KR102328600B1 -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 Google Patents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600B1
KR102328600B1 KR1020190144523A KR20190144523A KR102328600B1 KR 102328600 B1 KR102328600 B1 KR 102328600B1 KR 1020190144523 A KR1020190144523 A KR 1020190144523A KR 20190144523 A KR20190144523 A KR 20190144523A KR 102328600 B1 KR102328600 B1 KR 10232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les
passage
exhal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7585A (en
Inventor
이동규
권오원
김현수
김지애
김태경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0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호기가 통과하는 통로부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유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출유닛은,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변화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변화시켜, 환자 맞춤형으로 최적의 민감도를 가지면서 호흡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patient-tailored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is fixed to the end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user's exhalation passes, and includes an outlet unit through which the exhalation flows out. The outlet unit includes an outlet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a cover part that selectively opens or closes the outlet to change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exhaled air flows out. Thus, by changing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exhaled air flows out according to the patient's breathing stat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breathing state while having an optimal sensitivity tailored to the patient.

Description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본 발명은 호흡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속적인 호흡 상태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소형 및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환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continuous respiration monitoring is required, it is manufactured in a relatively small and simple configuration to improve patient usability, and to perform optimal monitoring according to various patient conditions It relates to a patient-specific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that can do this.

환자의 호흡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은, 특히 만성호흡기 질환 환자나 폐암 등의 호흡기 관련 수술을 진행한 환자 등에 대하여 지속적인 호흡 상태의 모니터링이 필요함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Techniques for monitoring a patient's respiratory statu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respiratory-related surgery such as lung cancer, as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respiratory status is required.

다만, 기존의 복잡한 구조의 호흡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소형화 및 단순화 설계의 결과, 최대 단일 호흡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구현되고 있으며, 병원에서는 물론 가정용으로도 사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However, as a result of the miniaturization and simplified design of the existing respiratory sta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complex structure, it is implemented as a device for measuring the maximum single respiration volume, and its usability is expanding not only in hospitals but also at home.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5067호에서는, 이러한 단일 호흡만으로도 호흡기체에 포함된 바이오가스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환자의 호흡기 질환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5067 discloses a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a patient's respiratory disease by accurately analyzing biogas contained in a respiratory body only with such a single respiration.

그러나, 환자의 호흡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자의 호흡 상태, 즉 호기속도 또는 호기압력을 고려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 상태에서 가장 민감도가 높은 측정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제안되는 범용 호흡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경우, 환자의 호흡 상태에 대한 고려는 없는 상황이다. However, in order to monitor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u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ost sensitive measurement device in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us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us, that is, expiratory rate or exhalation pressure. In the case of a respiratory state monitoring device,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e.

즉, 환자의 연령이나, 성별, 또는 환자의 질환 정도에 따라, 환자의 호흡 상태는 서로 가변적이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환자별 호흡 상태를 고려하여, 해당 환자에게 적합하거나 해당 환자의 호흡 상태에 최적으로 센싱될 수 있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는 개발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That is,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gender, or the patient's disease level,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us is variable, but considering the patient's breathing status up to now, it is suitable for the patient or optimally suited to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us. Respiratory monitoring devices that can be sensed are not being develop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506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05067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최적의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환자 호흡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소형 및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환자의 사용성이 향상된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optimal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e,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monitoring of the patient's respiratory state, and a relatively small and simple configuration. It is designed to provide a patient-customized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with improved patient usabilit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의 호기가 통과하는 통로부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유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출유닛은,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변화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Respiratory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end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user's exhalation, and includes an outlet unit through which the exhalation flows out. The outlet unit includes an outlet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a cover part that selectively opens or closes the outlet to change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exhaled air flows o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유출유닛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assage unit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let unit to measure the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민감도는 증가하고, 측정 가능한 호기속도의 범위는 감소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exhalation is discharged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may increase, and the range of the measurable exhalation rate may decre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개방되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이 형성된 상부 유출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복수의 개구홀들이 형성된 하부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utlet may include an upper outlet in which the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to be opened are formed, and a lower outlet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by the cover part are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유출부 상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let, and a protrusion that slides along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o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유출부와 상기 하부 유출부 사이에는 단차를 형성하는 경계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boundary portion forming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outlet portion and the lower outlet portion, and sliding of the cover portion may be restricted by the boundary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다른 형상의 커버부로 대체되어 상기 유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ver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exhaled air flows out, may be replaced with a cover part of a different shape to open or close the outlet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커버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유출부의 일부에 중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let portion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cover portion may overlap a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in a sectoral shape.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쥐는 손잡이부, 사용자가 호기를 제공하는 마우스 피스, 및 상기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피스 및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연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control module is provided therein, and it includes a handle part held by the user, a mouthpiece for providing exhalation by the user, and the passage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uthpiece and the handle part.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손잡이부에 탈부착되도록 연결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결합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고, 상기 마우스 피스는 상기 통로부의 시작단에 삽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and detachably from the handle part, the passage part extend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upling part, and the mouthpiece is at the starting end of the passage part.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통로부를 통과하는 호기의 속도를 가변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로부 내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민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exhaled air flows out, it is possible to variably control the speed of exhalation passing through the passage, thereby changing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measured inside the passage. .

즉, 상대적으로 호흡의 세기가 약한 어린환자나 중증 환자의 경우,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의 호기 속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민감도로 호기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호기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That is, in the case of a young patient or severely ill patient with relatively weak breathing intens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open holes, it is possible to sense the exhalation pressure with a relatively high sensitivity to a relatively small range of exhalation rates. Accurate monitoring of exhalation is possible.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호흡의 세기가 강한 성인환자나 경증 환자의 경우,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넒은 범위의 호기 속도에 대하여 호기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으므로, 측정하는 호기 상태의 범위가 넓어져 해당 환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호기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dult patient or a mild patient with relatively strong breathing intens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open holes, the exhalation pressure can be sensed over a relatively wide range of exhalation rates, so the As the range is widened,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onitor the exhalation state of the patient.

즉, 이상과 같이,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호기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al monitoring of the expiration date.

특히, 커버부가 유출부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상기 유출부에 형성되는 홀들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rough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opens or closes a part of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holes formed in the outlet, thereby implementing a patient-specific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 경우, 상기 커버부는, 하부 유출부 상에서만 슬라이딩되며 홀들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하므로, 일정량의 호기를 위한 유출부는 상시 유지되어, 안정적인 호흡 모니터링이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cover part slides only on the lower outlet and implemen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les, the outlet for a certain amount of exhalation is always maintained, and stable respiration monitoring can be implemented.

특히,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가 상기 커버부의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부 유출부 상에 홀들을 배열함으로써, 단순한 커버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arranging the holes on the lower outlet so that the number of open holes varies according to the sliding state of the cover, the number of open holes can be easily controlled through simple sliding of the cover.

또한, 상기 커버부를 다른 형상의 커버부로 교체함으로써, 하나의 커버부로 제어가 어려운 개방되는 홀의 개수를, 다른 형상의 커버부로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eplacing the cover portion with a cover portion of a different shape, by easily controlling the number of open holes that are difficult to control with one cover portion, with a cover portion having a different shape, various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s can be easily implemented according to user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호흡 모니터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통로부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 상태를 시뮬레이션 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a의 통로부의 내부의 공기 유동에 따른 압력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유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 내지 도 4c는 도 4a의 유출유닛의 다양한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4d는 도 1a의 유출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커버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a 내지 도 4d의 유출유닛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들이며, 도 7은 도 6a 내지 도 6d의 유출유닛의 개방 상태에 따른 압력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4a의 유출유닛의 개방 상태에 따른 측정 결과의 민감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ide view of the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of Figure 1a.
FIG. 2 is an image simulating the flow state of air inside the passage of FIG. 1A .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state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inside the passage of FIG. 1A .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et unit of FIG. 1A, FIGS. 4B to 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open states of the outlet unit of FIG. 4A, and FIG.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let unit of FIG. 1A am.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cover part of FIG. 4A .
6A to 6D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outlet unit of FIGS. 4A to 4D ,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outlet unit of FIGS. 6A to 6D .
8 is a graph showing the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outflow unit of FIG. 4A.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호흡 모니터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ide view of the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of Figure 1a.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10)는, 유출유닛(100), 손잡이부(200), 연결모듈(300) 및 마우스 피스(400)를 포함한다. 1A and 1B , the breathing monito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flow unit 100 , a handle 200 , a connection module 300 , and a mouthpiece 400 .

상기 손잡이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제어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andle 200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although not shown, a control module may be provided therein.

상기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0)에 호기를 불어넣는 경우, 잡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쥘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길이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When the user blows the breath into the breathing monitoring device 10, the handle 200 is a gripping part, it is sufficient if it is formed of a size and length that the user can hold.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후술되는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0)의 호흡을 모니터링, 즉 호흡 압력을 측정한 결과를 제공받아, 필요한 사용자의 호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련 결과를 외부로 송수신하거나,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0)의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receives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respiration of the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1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measuring the respiration pressure, monitors the required user's respiration state,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related result to the outside, or the It can be displayed to the outside of the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10).

이 경우,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0)의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handle portion 200 of the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10,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the monitoring result may be formed.

상기 연결모듈(300)은 결합부(310) 및 통로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31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결합된다. The connection module 300 includes a coupling part 310 and a passage part 320, and the coupling part 310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200, and the handle part ( 200) is inserted and coupled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ide.

상기 통로부(320)는, 상기 결합부(3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내부에 호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The passage portion 320 is obliquely exte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310, and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exhaled air passes therein.

이 경우, 상기 통로부(320)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00)를 쥔 상태에서, 호기를 내 뿜기에 편한 각도로, 상기 결합부(310)에 대하여 연장되면 충분하며, 상기 연장되는 각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the passage part 320 extend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310 at an angle convenient for exhaling exhalation while the user holds the handle part 200, and the extended angle is sufficien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상기 마우스 피스(400)는 상기 통로부(320)의 시작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입을 대며 내부로 호기를 불어넣게 된다. The mouthpiece 40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tart end of the passage portion 320 , and the user directly puts his/her mouth and blows exhalation into the mouthpiece.

이 경우, 상기 마우스 피스(400)는 1회용으로 교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통로부(320)의 시작단에는 상기 마우스 피스(40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thpiece 400 is exchanged for a one-time use. Accordingly, a predetermined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starting end of the passage portion 320 so that the mouthpiece 400 can be detachably attached. have.

상기 유출유닛(100)은 상기 통로부(320)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통로부(320)를 통과한 사용자의 호기가 유출된다. The outlet unit 1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assage part 320 , the user's exhaled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art 320 flows out.

상기 유출유닛(100)은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호기가 유출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형상을 가지며, 이와 관련하여는 후술한다. The outflow unit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has a shape to control the degree of outflow of the user's exhaled ai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도 1a의 통로부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 상태를 시뮬레이션 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a의 통로부의 내부의 공기 유동에 따른 압력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FIG. 2 is an image simulating the flow state of air inside the passage of FIG. 1A .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essure state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inside the passage of FIG. 1A .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호기는 상기 마우스 피스(40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통로부(320)를 통과하고, 상기 유출유닛(100)을 통해 유출되는데, 상기 마우스 피스(400)는 소정 반경을 가지며 양 측이 모두 개구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지만, 상기 유출유닛(100)은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출유닛(100)을 통해 유출되는 호기는 상기 홀들을 통해서만 유출이 가능하여 유동이 일정 부분 제한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user's exhaled air flows in through the mouthpiece 400 , passes through the passage 320 , and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unit 100 , and the mouthpiece 400 is a predetermined It has a radius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 but the outflow unit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exhaled air flowing out through the outflow unit 100 can flow out only through the holes. Flow is limited to some extent.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부(320)를 통과하는 호기는 내부에서 소정의 유로, 즉, 서로 평행하게 흐르는 유로가 아닌 불규칙하게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exhaled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art 320 forms a predetermined flow path, that is, an irregular flow path rather than a flow path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통로부(320)를 통과하는 호기가 소정의 유동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통로부(320)의 내부에서는 소정의 압력 구배가 형성되며, 이에 따른 압력은 상기 통로부(320)의 출구 측, 즉 상기 유출유닛(100)이 형성되는 끝단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exhaled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320 forms a predetermined flow, a predetermined pressure gradient is formed inside the passage 320 , and the result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let of the passage 320 . The side, that is, the outflow unit 100 is increased toward the end side is 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의 유출유닛(100)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일부가 폐쇄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상기 통로부(320)를 통과하는 호기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통로부(320) 내부의 압력 구배를 선(line)으로 표시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식화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suming that the outlet unit 100 of FIG. 1A is partially closed as shown in FIG. 1A, the passage portion formed by the exhalation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ortion 320 ( 320) If the internal pressure gradient is indicated by a line, it can be schematically illustrated as shown in FIG. 3 .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출유닛(100)의 상측으로 유출되는 호기의 압력분포(P1), 상기 유출유닛(100)의 중앙으로 유출되는 호기의 압력분포(P2), 및 상기 유출유닛(100)의 하측으로 유출되는 호기의 압력분포(P3), 모두에서, 상기 통로부(320)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압력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3 , the pressure distribution P1 of the exhaled air flowing out to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unit 100 , the pressure distribution P2 of the exhalation flowing out to the center of the outlet unit 100 , and the outlet unit In all of the pressure distributions P3 of the exhaled air flowing out to the lower side of 100,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ure increases toward the outlet side of the passage portion 320.

또한, 상기 유출유닛(100)의 상측을 통해 유출되는 호기일수록 특정 위치에서 계측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유출유닛(100)의 상측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통로부(320) 내부에서의 압력값이 서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ssure measured at a specific location is relatively high as the exhaled air flows out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outflow unit 100 , and through this, the passage pa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upper side of the outflow unit 100 . (320)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pressure values change with each other.

즉, 상기 유출유닛(100)의 상측의 개방 정도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통로부(320) 내부에서 유동되는 호기의 압력값이 서로 다르게 측정된다. 이로 부터,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호기를 뿜을 수 있는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사용자에 따라 상기 유출유닛(100)의 개방 정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로부(320) 내부를 통과하는 호기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a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unit 100 is controlled, the pressure values of the exhaled air flowing inside the passage part 320 are measured differently. From thi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let unit 100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r who can exhale with a relatively large pressure and the user who does not, the pressure of the exhaled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art 320 is reduced. can be controlled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given later.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부(320)는, 상기 유출유닛(100)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통로부(320)의 하면에서 상기 통로부(320)를 통과하는 호기(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321)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passage part 320 is located adjacent to the outflow unit 100, and the exhaled air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part 3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ssage part 320 is It includes a measuring unit 321 for measuring the pressure.

즉, 상기 측정부(321)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That is, the measuring unit 321 may be a pressure sensor.

도 4a는 도 1a의 유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 내지 도 4c는 도 4a의 유출유닛의 다양한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4d는 도 1a의 유출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커버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et unit of FIG. 1A, FIGS. 4B to 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open states of the outlet unit of FIG. 4A, and FIG.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utlet unit of FIG. 1A am.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cover part of FIG. 4A .

우선, 도 4a, 도 4c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출유닛(100)은 유출부(101) 및 커버부(13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4A , 4C and 5 , the outflow unit 100 includes an outlet 101 and a cover 130 .

상기 유출부(101)는 예를 들어,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홀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The outlet 101 has, for example, a circular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출부(101)는 상부 유출부(110) 및 하부 유출부(120)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11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도 복수의 개구홀들(121, 122, 123)이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outlet 101 is divided into an upper outlet 110 and a lower outlet 120 , and a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111 are formed in the upper outlet 110 , and the A plurality of opening holes 121 , 122 , 123 are also formed in the lower outlet 120 .

이 경우, 상기 상부 유출부(110)는 상기 하부 유출부(12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 형성되는 홀들의 개수가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홀들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outlet 110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lower outlet 120 . Accordingly, the number of holes formed in the upper outlet 110 increases with the lower outlet 120 . )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holes formed in the .

또한, 상기 상부 유출부(110) 및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면적을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르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유출부(120)가 180°보다 작은 중심각(

Figure 112019116157500-pat00001
)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form the areas of the upper outlet 110 and the lower outlet 120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outlet 120 has a central angle smaller than 180° (
Figure 112019116157500-pat00001
) may be formed in a sectoral shape having

이 경우,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중심각의 크기는, 상기 형성되는 홀들의 개수 및 각각의 홀의 크기, 상기 유출부(101)의 전체 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central angle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formed holes, the size of each hole, the total area of the outlet part 101 , and the like.

또한, 후술되는 상기 커버부(130)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 유출부(110)와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경계에는 경계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계부(115)는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유출부(110)와 상기 하부 유출부(120)가 서로 구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upling with the cover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 boundary portion 115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outlet portion 110 and the lower outlet portion 120 , and the boundary portion 115 may be It is formed in a step, so that the upper outlet 110 and the lower outlet 120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유출부(101)에 형성되는 홀들 중 일부의 홀들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하부 유출부(120) 만을 선택적으로 커버한다. The cover part 130 closes or opens some of the holes formed in the outlet part 101.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art 130 selects only the lower outlet part 120. cover with

그리하여,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홀들(121, 122, 123)만을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개구홀들(111)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us, the cover unit 130 selectively closes or opens only the holes 121 , 122 , and 123 formed in the lower outlet 120 , and accordingly, the upper outlet 120 formed in the upper outlet 120 . The upper opening holes 111 are always kept open.

한편,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부(130)의 형상은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part 130 is coupled only to the lower outlet part 120 , and substantially, the shape of the cover part 13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

다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원호의 끝단이 일정부분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130)보다 크게 형성될 수는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4A , the arc end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may protrude to a certain extent and be larger than the cover part 130 .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상기 커버부(130)도 상기 하부 유출부(120)와 동일한 중심각(

Figure 112019116157500-pat00002
)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하부 유출부(120)와 모두 중첩되면,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모든 개구홀들은 폐쇄된다. Nevertheless, as a whole, the cover part 130 also has the same central angle as the lower outlet part 120 (
Figure 112019116157500-pat00002
), and thus, when the cover part 130 overlaps with the lower outlet part 120 , all open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outlet part 120 are closed.

한편, 상기 커버부(130)의 저면, 즉 상기 하부 유출부(120)와 서로 마주하는 면의 중앙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돌출부(133)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a protruding protrusion 13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 , that is,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wer outlet part 120 .

또한,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상면, 즉 상기 커버부(130)와 마주하는 면의 중앙에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홈부(124)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 a predetermined groove 124 is also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cover part 130 .

이 경우, 상기 홈부(124) 및 상기 돌출부(133)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즉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유출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133)는 상기 홈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12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In this case, the groove 124 and the protrusion 133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outlet 120 toward the upper outlet 110 , and the protrusion 133 . is sli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oove 124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4 .

한편, 상기 홈부(124)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3)에는 하나의 고정돌기(134)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34)가 상기 고정홈(125)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13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fixing groove 125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124 , and one fixing protrusion 134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33 , and the fixing projection 134 is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125 . When positioned on the top, the cover part 130 may be positioned in a fixed state.

즉,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돌출부(133)가 상기 홈부(124) 상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유출부(120) 상에서 이동되지만, 상기 고정돌기(134)가 상기 고정홈(125)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제1 위치에서 추가 이동이 제한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ver part 130 , the protrusion part 133 slides on the groove part 124 , and moves on the lower outlet part 120 , but the fixing projection 134 is in the fixing groove 125 . When positioned, that is, additional movement is restricted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and when an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it can be further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고정홈(125)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추가로 이동된 후, 상기 고정돌기(134)가 다른 고정홈(125) 상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제2 위치에서 추가 이동이 제한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wo or more fixing grooves 125 are formed, after being further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when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located on another fixing groove 125 , that is, the second fixing groove 125 . Further movement in the position may be restricted so that the position may be fixed.

이상과 같이,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하부 유출부(120)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되지만, 제1 위치(즉,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홈(125) 상에 상기 고정돌기(134)가 위치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추가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후, 제2 위치(즉, 도 4a에 도시된 위치)에서, 다른 고정홈(125) 상에 상기 고정돌기(134)가 위치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part 130 slides and moves on the lower outlet part 120 , but in the first position (ie, the position shown in FIG. 4B ), the fixing protrusion on the fixing groove 125 . By positioning 134 , the position can be fixed, and after being further slid and moved, in the second position (ie, the position shown in FIG. 4A ), the fixing protrusion 134 on the other fixing groove 125 . ), the position can be fixed.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두 가지 위치에서 각각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130)가 고정되는 위치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ver part 130 may be fixedly positioned at each of the two positions, and the number of positions at which the cover part 130 is fixed may be variously modified. .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부(115)가 단차로서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상부 유출부(110)를 향해 슬라이딩되더라도, 상기 커버부(130)의 접촉부(131)가 상기 경계부(115)에 접촉하면서 추가적인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undary portion 115 is formed as a step, even if the cover portion 130 slides toward the upper outlet portion 110 , the contact portion 131 of the cover portion 130 is the Further sliding is limi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portion 115 .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하부 유출부(120) 상에서만 위치가 변경되며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유출부(120) 상에 형성된 개구홀들만을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ver part 130 can be slid with a change in position only on the lower outlet part 120 , and only the opening holes formed on the lower outlet part 120 can be selectively closed or opened. .

이하에서는, 상기 커버부(130)의 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구홀들의 예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xamples of the opening holes that ar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ver part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

즉,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111)만이 개방되며,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개구홀들은 모두 폐쇄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4A , as the cover part 130 is positione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 the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111 formed in the upper outlet part 110 . is opened, and all of the open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outlet part 120 are clos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고정돌기(134)가 상기 고정홀들(125) 중,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30)는 도 4a에 도시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part 130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fixing hol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formed adjacent to the upper outlet 110 among the fixing holes 125 . position, and thus the cover unit 130 may be stably fix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4A .

나아가, 상기 커버부(130)의 접촉부(131)가 상기 경계부(115)가 형성하는 단차에 접촉하여 위치하므로, 상기 커버부(130)는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contact portion 131 of the cover portion 130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tep formed by the boundary portion 115 , the cover portion 130 may be stably positioned.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홈부(124)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면,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일부가 개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cover part 130 slides along the groove part 124 and moves in a downward direction, a part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is opened.

이 경우,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고정돌기(134)가 상기 고정홀들(125) 중,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30)는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ver part 130 may be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34 is inserted into a fixing hol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xing holes 125 to be fixed, and accordingly, the cover part ( 130) may be stably fix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4B.

이상과 같이, 상기 커버부(130)가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111)이 개방되는 것은 물론,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개구홀들 중, 제1 개구홀들(121)이 모두 개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part 13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4B , the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111 formed in the upper outlet 110 are opened as well as the lower outlet. Among the opening holes formed in the part 120 , all of the first opening holes 121 may be opened.

따라서, 도 4a의 위치에서보다, 개방된 개구홀들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number of open opening holes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FIG. 4A.

한편,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홈부(124)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 유출부(120)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하부 유출부(120)는 모두 개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C , when the cover part 130 slides along the groove part 124 and moves downward and is removed from the lower outlet part 120 , the lower outlet part 120 is all is open

이상과 같이, 상기 커버부(130)가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외부로 제거되면,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111)이 개방되는 것은 물론,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개구홀들도 모두 개방된다. 즉, 상기 제1 개구홀들(121)은 물론, 제2 개구홀들(122)까지 모두 개방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part 130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as shown in FIG. 4C , the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111 formed in the upper outlet part 110 are formed. As well as being opened, all of the open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outlet part 120 are also opened. That is, all of the first opening holes 121 as well as the second opening holes 122 are opened.

따라서, 도 4b의 위치에서보다, 개방된 개구홀들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number of open opening holes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osition of FIG. 4B.

나아가,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는 부채꼴 형상이 아닌 다를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40)가 부채꼴 형상에서 양 측 모서리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유출부(120)를 커버할 수 있다. Furthermore, referring to FIG. 4D , the cover part may be replaced with a shape other than a sector shape, and the cover part 140 is formed in a sector where both side corners are cut from the sector shape, so that the lower outlet part 120 ) can be covered.

즉, 도 4d에 도시된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홈부(124)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접촉부(141)가 상기 경계부(115)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커버부(140)는 부채꼴에서 양 측 모서리가 절단된 형상으로 양측에 측면부(144)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커버부(140)에 의해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개구홀들이 모두 폐쇄되지는 않는다. That is, when the cover part 140 shown in FIG. 4D is slid along the groove part 124 and the contact part 141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boundary part 115, the cover part 140 is in a sector shape. Since the side portions 144 are formed on both sides in a shape in which both side edges are cut, the opening holes of the lower outlet portion 120 are not all closed by the cover portion 140 .

즉, 상기 하부 유출부(120)의 개구홀들 중, 제3 개구홀들(123)은 상기 커버부(140)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가 된다. That is, among the opening holes of the lower outlet part 120 , the third opening holes 123 are not closed by the cover part 140 but are in an open state.

그리하여,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부(14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상부 유출부(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111)이 개방되는 것은 물론, 상기 하부 유출부(120)에 형성되는 제3 개구홀들(123)도 개방된 상태가 된다. Thus, as shown in FIG. 4D , as the shape of the cover part 140 is deformed, the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111 formed in the upper outlet part 110 are opened as well as the lower outlet part. The third opening holes 123 formed in the 120 are also opened.

이 경우,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는, 도 4a에 도시된 유출유닛(100) 보다는 많으며, 도 4b에 도시된 유출유닛(100)보다는 적게 된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holes to be opened is larger than that of the outflow unit 100 shown in FIG. 4A , and less than that of the outflow unit 100 shown in FIG. 4B .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a 내지 도 4d의 유출유닛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들이며, 도 7은 도 6a 내지 도 6d의 유출유닛의 개방 상태에 따른 압력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4a의 유출유닛의 개방 상태에 따른 측정 결과의 민감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6A to 6D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outlet unit of FIGS. 4A to 4D ,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outlet unit of FIGS. 6A to 6D . 8 is a graph showing the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outflow unit of FIG. 4A.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a의 유출유닛(100)에 의해 개방되는 개구홀들(111)을 도시한 것은 도 6a의 유출부와 같으며, 도 4b의 유출유닛(100)에 의해 개방되는 개구홀들(111, 121)을 도시한 것은 도 6b의 유출부와 같으며, 도 4c의 유출유닛(100)에 의해 개방되는 개구홀들(111, 121, 122)을 도시한 것은 도 6c와 같으며, 도 4d의 유출유닛(100)에 의해 개방되는 개구홀들(111, 123)을 도시한 것은 도 6d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s 111 opened by the outlet unit 100 of FIG. 4A are the same as the outlet parts of FIG. 6A , and the opening holes opened by the outlet unit 100 of FIG. 4B are shown. The ones 111 and 121 are the same as the outlet of FIG. 6B, and the openings 111, 121 and 122 opened by the outlet unit 100 of FIG. 4C are shown in FIG. 6C. , which shows the opening holes 111 and 123 opened by the outlet unit 100 of FIG. 4D are the same as that of FIG. 6D.

즉,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건대, 개방되는 개구홀들의 개수가 많은 것부터 나열하면, 도 6a의 유출부(A), 도 6d의 유출부(D), 도 6b의 유출부(B) 및 도 6C의 유출부(C)의 순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6A to 6D, if the number of opening holes to be opened is listed first, the outlet (A) of FIG. 6A, the outlet (D) of FIG. 6D, the outlet (B) of FIG. 6B and It is the order of the outlet (C) of FIG. 6C.

이상과 같이, 서로 개구홀들이 다른 경우에 대하여, 상기 측정부(321)에서 사용자의 호기에 대한 압력을 측정한 결과는 도 7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hol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ult of measuring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by the measuring unit 321 is shown in FIG. 7 .

즉, 도 7을 참조하면, 유출부의 개구홀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측정부(321)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최대 호기속도(peak flow rate)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가능한 최대 호기속도가 감소하지만, 각 측정 가능한 최대 호기속도에서의 측정 민감도는 증가하게 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opening holes in the outlet increases, the peak flow rate tha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unit 321 decreases, and the maximum exhalation that can be measured Although the rate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t each measurable maximum expiratory rate increases.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가능한 최대 호기속도가 감소한다면, 압력 신호(pressure sensor signals)를 획득할 수 있는 범위(measurement limit 이내)가 일정한 경우, 호기속도의 구간(peak flow rate)이 감소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측정되는 압력 신호의 민감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if the measurable maximum expiratory rate decreases, when the range (within the measurement limit) in which pressure sensor signals can be obtained is constant, the peak flow rate When this is decreased, it can be seen that the sensitivity of the naturally measured pressure signal increases.

이에 따라, 상기 유출부의 개구홀들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해당 측정 구간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민감도는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openings in the outlet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exhalation measured in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section increases.

그리하여, 사용자의 호기 상태에 따라, 유출부의 개구홀들을 변화시키면서 호기 상태를 측정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최대 호기속도가 낮은 어린 환자나 중증 환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최대 호기속도의 범위에서 높은 민감도를 가지며 환자의 호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최대 호기속도가 높은 성인 환자나 경증 환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민감도는 감소하지만 넓은 최대 호기속도의 범위에서 환자의 호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호기 상태에 최적화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Thus, if the exhalation state i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opening holes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user's exhalation state, high sensitivity is achieved in the relatively low maximum expiratory rate range for young or severely ill patients with relatively low maximum expiratory rate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atient's expiratory state wit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optimized for the user's exhalation state.

즉, 상대적으로 최대 호기속도가 낮은 환자에 대하여는, 상기 유출부(A) 나 상기 유출부(D)를 적용하여 높은 민감도로 호기 상태를 측정하며, 상대적으로 최대 호기속도가 높은 환자에 대하여는, 상기 유출부(B)나 상기 유출부(C)를 적용하여 넓은 범위의 최대 호기속도 구간에 대하여 호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That is, for a patient with a relatively low maximum expiratory rate, the outlet (A) or the outlet (D) is applied to measure the expiratory state with high sensitivity, and for a patient with a relatively high maximum expiratory rate, the By applying the outlet (B) or the outlet (C), the expiratory state can be measured for a wide range of maximum expiratory velocity sections.

또한, 상기 유출부들의 개구홀들의 개수를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호기 상태에 최적화된 상태로 개구홀들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opening holes of the outlets can be variously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opening holes can be controlled in a state optimized for the user's exhalation st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통로부를 통과하는 호기의 속도를 가변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로부 내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민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exhaled air flows out, it is possible to variably control the speed of exhalation passing through the passage, thereby changing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measured inside the passage. can do it

즉, 상대적으로 호흡의 세기가 약한 어린환자나 중증 환자의 경우,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의 호기 속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민감도로 호기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호기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That is, in the case of a young patient or severely ill patient with relatively weak breathing intens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open holes, it is possible to sense the exhalation pressure with a relatively high sensitivity to a relatively small range of exhalation rates. Accurate monitoring of exhalation is possible.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호흡의 세기가 강한 성인환자나 경증 환자의 경우,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넒은 범위의 호기 속도에 대하여 호기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으므로, 측정하는 호기 상태의 범위가 넓어져 해당 환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호기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dult patient or a mild patient with relatively strong breathing intens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open holes, the exhalation pressure can be sensed over a relatively wide range of exhalation rates, so the As the range is widened,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onitor the exhalation state of the patient.

즉, 이상과 같이,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호기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al monitoring of the expiration date.

특히, 커버부가 유출부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상기 유출부에 형성되는 홀들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rough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opens or closes a part of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holes formed in the outlet, thereby implementing a patient-specific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 경우, 상기 커버부는, 하부 유출부 상에서만 슬라이딩되며 홀들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하므로, 일정량의 호기를 위한 유출부는 상시 유지되어, 안정적인 호흡 모니터링이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cover part slides only on the lower outlet and implemen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les, the outlet for a certain amount of exhalation is always maintained, and stable respiration monitoring can be implemented.

특히,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가 상기 커버부의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부 유출부 상에 홀들을 배열함으로써, 단순한 커버부의 슬라이딩을 통해 개방되는 홀들의 개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arranging the holes on the lower outlet so that the number of open holes varies according to the sliding state of the cover, the number of open holes can be easily controlled through simple sliding of the cover.

또한, 상기 커버부를 다른 형상의 커버부로 교체함으로써, 하나의 커버부로 제어가 어려운 개방되는 홀의 개수를, 다른 형상의 커버부로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호흡 모니터링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eplacing the cover portion with a cover portion of a different shape, by easily controlling the number of open holes that are difficult to control with one cover portion, with a cover portion having a different shape, various respiration monitoring devices can be easily implemented according to user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호흡 모니터링 장치
100 : 유출유닛 101 : 유출
110 : 상부 유출부 120 : 하부 유출부
130, 140 : 커버부 111 : 상부 개구홀
121 : 제1 개구홀 122 : 제2 개구홀
133 : 제3 개구홀 124 : 홈부
133 : 돌출부 200 : 손잡이부
300 : 연결모듈 310 : 결합부
320 : 통로부 321 : 센서부
400 : 마우스 피스
10: breathing monitoring device
100: outflow unit 101: outflow
110: upper outlet 120: lower outlet
130, 140: cover part 111: upper opening hole
121: first opening hole 122: second opening hole
133: third opening hole 124: groove portion
133: protrusion 200: handle part
300: connection module 310: coupling part
320: passage part 321: sensor part
400: mouthpiece

Claims (10)

사용자의 호기가 통과하는 통로부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유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유닛은,
항상 개방되는 복수의 상부 개구홀들이 형성되는 상부 유출부, 및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복수의 개구홀들이 형성되는 하부 유출부를 포함하는 유출부; 및
상기 하부 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를 변화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유출부 상에는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출부와 상기 하부 유출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상기 커버부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로 대체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상기 하부 유출부의 개구홀들의 개수를 다양하게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
It is fixed to the end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user's exhalation passes, and includes an outlet unit through which the exhaled air flows out, the outlet unit comprising:
an outlet including an upper outlet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opening holes that are always open are formed, and a lower outlet in which a plurality of selectively open or closed openings are formed; and
By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the lower outlet, it includes a cover for changing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exhaled air flows out,
A groove portion through which the cover portion slides is formed on the lower outlet portion, and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utlet portion and the lower outlet portion to limit sliding of the cover portion,
Respiratory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is replaced with a cover portion having a different shape, the number of opening holes of the lower outlet to be opened or closed in various w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유출유닛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ssage portion,
Respiratory monitoring device,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outflow unit, comprising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가 유출되는 홀들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민감도는 증가하고, 측정 가능한 호기속도의 범위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s the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the exhalation is discharged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ncreases, and the range of the measurable exhalation rate decrea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커버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유출부의 일부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has a circular plate shape,
Respiratory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overlaps a portion of the outlet in a sector-shap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쥐는 손잡이부;
사용자가 호기를 제공하는 마우스 피스; 및
상기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피스 및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연결모듈을 더 포함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module is provided therein, the user grips a handle portion;
a mouthpiece through which the user provides an exhalation; and
Respirator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the passa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uthpiece and the handl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손잡이부에 탈부착되도록 연결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결합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고,
상기 마우스 피스는 상기 통로부의 시작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and detachably from the handle part,
The passage portion extend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upling portion,
The mouthpiece is a breathing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starting end of the passage.
KR1020190144523A 2019-11-12 2019-11-12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KR102328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23A KR102328600B1 (en) 2019-11-12 2019-11-12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23A KR102328600B1 (en) 2019-11-12 2019-11-12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585A KR20210057585A (en) 2021-05-21
KR102328600B1 true KR102328600B1 (en) 2021-11-19

Family

ID=7615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23A KR102328600B1 (en) 2019-11-12 2019-11-12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60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6010A (en) 1990-12-11 1993-09-21 Biotr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halation analysis
KR102021096B1 (en) * 2019-07-30 2019-09-11 (주)지에이치이노텍 apparatus for respiration rehabil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994A (en) * 1997-09-24 1999-07-20 Nellcor Puritan Bennett Spirometer having individually characterized, single-use disposable sensor
KR101905067B1 (en) 2016-11-29 2018-10-05 한국기계연구원 Analysis method of single breath and analysis device of single brea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6010A (en) 1990-12-11 1993-09-21 Biotr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halation analysis
KR102021096B1 (en) * 2019-07-30 2019-09-11 (주)지에이치이노텍 apparatus for respiration rehabil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585A (en)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201B2 (en) Flow regulation device for breath analysis and related method
US20180168484A1 (en) Pulmonary function test devices and methods
JP5346577B2 (en) Peak flow meter
KR101132595B1 (en) Portable Spiro meter
JP2019503829A (en) Flow regulator assembly for use in a medical inhaler
JP2019500196A (en) Flow regulator for use with medical inhalers
JPS62442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lung function
CA30044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irway resistance and lung compliance
JP2013501570A (en) Improved spirometer device and method useful for use therewith
JP6948643B2 (en) Pulmonary function test device
EP0741995A1 (en) An improved peak flow meter
KR102328600B1 (en) Patient customized peak flow meter
US20130204151A1 (en) Augmented Incentive Spirometer
WO2005104788A2 (en) Mouthpiece for use in a spirometer
KR20230096490A (en) Respiration analysis and training apparatus
US20160220148A1 (en) Mouthpiece for a Device for Measuring a Parameter of Respiratory Air, and Respiratory Air Meter
JP2022537661A (en) Respiratory sensor attachment device
KR20190133951A (en) Inspirometer
KR102465031B1 (en) A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CN11378466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irway resistance
US9700235B2 (en) Peak expiratory flow rate measurement apparatus
KR102352876B1 (en) Spirometer
KR102617848B1 (en) Respira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Lung Capacity and Breathing Pressure, and Training Respiratory Resistance
RU15955U1 (en) RESPIRATORY CENTER EXCITATION ASSESSMENT DEVICE
GB2576136A (en) Multi-test respiratory diagnos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