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74B1 - 도어 개방 기구 - Google Patents

도어 개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74B1
KR102328174B1 KR1020210072195A KR20210072195A KR102328174B1 KR 102328174 B1 KR102328174 B1 KR 102328174B1 KR 1020210072195 A KR1020210072195 A KR 1020210072195A KR 20210072195 A KR20210072195 A KR 20210072195A KR 102328174 B1 KR102328174 B1 KR 10232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se
slider
torsion spring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경
Original Assignee
안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경 filed Critical 안혜경
Priority to KR102021007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를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후크; 상기 후크를 직선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내부에 상기 후크를 수납하거나 돌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 개방 기구{DOOR OPENING DEVICE}
본 발명은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도어를 개방하는 휴대용 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COVID-19와 같은 각종 전염병의 확산에 따라, 여러 사람의 손이 접촉하게 마련인 도어의 손잡이는, 이를 통한 각종 질병의 전염 염려 등으로, 가급적 직접 손으로 잡고 싶지 않은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런데, 밀어서 여는 도어의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다른 부위로 밀어서 열 수도 있으나, 당겨서 여는 풀링 타입 도어(Pulling Type Door)의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는 열기 어려워, 비위생적인 상황을 감수하고 손으로 도어를 열 수밖에 없어서, 도어 손잡이가 각종 질병의 확산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7872530000 B1
본 발명은 당겨서 여는 풀링 타입 도어를 도어 손잡이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를 직접 손으로 잡는 비위생적인 상황을 배제하여, 각종 질병의 전염을 예방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방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어 개방 기구는,
도어의 손잡이를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후크;
상기 후크를 직선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내부에 상기 후크를 수납하거나 돌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후크에 연결된 노브를 직선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노브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노브가이드홈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브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열쇠고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노브에 연결되는 뿌리부와, 손잡이를 거는 후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는 뿌리부가 동심축을 이루며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후크와 제2후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는 후크부의 단부에 서로 벌어지는 경사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의 뿌리부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의 후크부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후크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를 소정의 사용 준비위치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준비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준비고정수단은,
상기 후크가 케이스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된 홀딩스프링;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걸림턱;
상기 사용 준비위치에서 상기 고정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고정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의 뿌리부는 상기 제1후크부의 뿌리부 내부에 동심축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후크의 뿌리부 단부는, 상기 제2후크의 후크부가 상기 제1후크의 후크부와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걸림턱을 상기 고정걸림홈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뿌리부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해제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해제버튼이 제공하는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후크가 소정의 해제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후크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후크의 뿌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후크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소정의 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후크의 회전축까지 연결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후크를 상기 정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해제버튼이 제공하는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넘으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후크를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선택볼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후크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때,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선택볼록부를 넘어 원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리턴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겨서 여는 풀링 타입 도어를 도어 손잡이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를 직접 손으로 잡는 비위생적인 상황을 배제하여, 각종 질병의 전염을 예방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 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서, 후크가 케이스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케이스에 열쇠고리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3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제3실시예에서 제1후크에 대해 제2후크가 회전하면서 벌어지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제3실시예의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걸림턱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1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제3실시예의 토션스프링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제3실시예의 후크가 일부분 케이스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제3실시예의 사용예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도어 개방 기구의 제1실시예는, 도어의 손잡이를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후크(1); 상기 후크(1)를 직선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내부에 상기 후크(1)를 수납하거나 돌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3)에는 상기 후크(1)에 연결된 노브(5)를 직선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노브가이드홈(7)이 구비되고; 상기 후크(1)에는 상기 노브가이드홈(7)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브(5)가 일체로 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도어 개방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를 상기 케이스(3) 내에 수납한 상태로 휴대하다가,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때, 상기 노브(5)를 상기 케이스(3)의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후크(1)를 돌출시킨 후, 상기 후크(1)를 손잡이에 걸어서 당김으로써, 손으로 직접 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고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할 때, 손잡이를 직접 손으로 잡는 비위생적인 상황을 배제하여, 각종 질병의 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 2의 제1실시예에 추가 기능을 구비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3)에 폐곡선을 형성하는 열쇠고리(9)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도어 개방 기구가 복수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쇠고리(9)에는 열쇠 등과 같은 다양한 소지품을 고리로 걸어 함께 휴대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소지품들과 함께 본 발명의 도어 개방 기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 기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후크(1)와 케이스(3) 등의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후크(1)를 상기 노브(5)에 연결되는 뿌리부(11)와, 실제 손잡이를 거는 데에 사용되는 후크부(13)로 이루어진 것으로 세분화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1)는 뿌리부(11)가 동심축을 이루며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후크(1-1)와 제2후크(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는 상기 뿌리부(11)가 서로 동심축을 이루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뿌리부(11)들이 서로 상대회전 하여, 상기 후크부(13)들이 서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는 후크부(13)의 단부에 서로 벌어지는 경사삽입부(15)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뿌리부(11)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후크부(13)를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후크스프링(17)이 구비된다.
따라서, 돌려서 잡아당기는 타입의 도어 손잡이의 목부분에 상기 경사삽입부(15)를 대고 가압하면,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후크부(13)가 상기 도어 손잡이의 목을 감싸면서 양쪽으로 서로 벌어져서, 도 11과 같이 상기 손잡이(L)를 양쪽에서 잡아당길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상기 후크(1)를 상기 손잡이(L)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후크스프링(17)에 의해,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후크부(13)가 서로 좁아져서, 도 5와 같은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본 발명 도어 개방 기구의 휴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크스프링(17)은 도 5에 상기 제1후크(1-1)의 내부에 설치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기타 다른 위치에서, 예컨대 제1후크(1-1) 하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2후크(1-2)와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1)는 상기 케이스(3)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9)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노브(5)는 상기 슬라이더(19)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1)를 소정의 사용 준비위치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9)를 상기 케이스(3)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준비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즉, 상기 후크(1)는 뿌리부(11)가 회전축(S)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9)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9)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후크(1)의 뿌리부(11)가 회전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상기 슬라이더(19)는,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구조를 구비한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에 형성된 슬라이드가이드홈(23)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준비고정수단은, 상기 후크(1)가 케이스(3)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19)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3)와 슬라이더(19) 사이에 설치된 홀딩스프링(25); 상기 케이스(3)에 형성된 고정걸림턱(27); 상기 사용 준비위치에서 상기 고정걸림턱(27)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더(19)에 형성된 고정걸림홈(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9)가 케이스(3)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노브(5)로 슬라이더(19)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9)가 상측으로 어느 정도 이동된 후부터는 상기 홀딩스프링(25)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걸림홈(29)이 상기 고정걸림턱(27)에 걸려서, 상기 슬라이더(19)는 고정되고, 상기 홀딩스프링(25)에는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 위치가 상기 후크(1)의 상기 사용 준비위치인 것이다.
물론, 이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1)에 도어의 손잡이를 걸어서 당김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같이 도어를 단순히 당겨서 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는 손잡이를 돌려서 당겨야 하는 도어를 개방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삽입부(15)가 도어 손잡이(L)의 목부분에 가압되면서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후크부(13)가 서로 벌어지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19)의 고정걸림홈(29)이 상기 고정걸림턱(27)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상기 홀딩스프링(25)에 의해 축적되어 있던 탄성력으로 상기 슬라이더(19)는 케이스(3)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후크부(13)도 케이스(3) 쪽으로 이동하면서, 후크부(13)와 케이스(3) 사이에 상기 도어의 손잡이(L)가 끼워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3)를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의 손잡이(L)가 함께 회전되고, 이와 같이 손잡이(L)를 회전시킨 후 잡아당기면, 상기와 같이 손잡이(L)를 돌려서 당겨야 하는 도어의 경우에도, 손으로 직접 도어의 손잡이(L)를 잡지 않고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후크(1-2)의 뿌리부(11)는 상기 제1후크부(13)의 뿌리부(11) 내부에 동심축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후크(1-2)의 뿌리부(11) 단부는, 상기 제2후크(1-2)의 후크부(13)가 상기 제1후크(1-1)의 후크부(13)와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걸림턱(27)을 상기 고정걸림홈(29)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뿌리부(11)의 회전축(S)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경사삽입부(15)가 도어 손잡이(L)의 목부분으로 가압되면서 벌어지면, 상기 제2후크(1-2)의 뿌리부(11)에 형성된 절곡부(31)가 상기 고정걸림턱(27)을 상기 고정걸림홈(29)으로부터 밀어내어, 상기 슬라이더(19)가 상기 홀딩스프링(25)의 탄성력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편의상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 기구에서 후크부(13) 쪽을 상측으로 하고 케이스(3) 쪽을 하측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절대적인 상측과 하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딩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후크부(13)들과 케이스(3) 사이에 도어의 손잡이(L)가 끼워져서 가압된 상태로 상기 손잡이(L)를 회전시킬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손잡이(L)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3)의 상측에는 압축 변형이 비교적 용이하게 일어나면서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미끄러짐이 거의 없는 재질의 점착부재(33)가 장착될 수 있는 바, 주로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의 점착부재(33)를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와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후크(1-1)와 제2후크(1-2)의 후크부(13)가 완전히 상기 케이스(3) 내에 수납되지 않은 구조로 표현하였으나, 케이스(3)의 크기와 형상을 변경하면, 상기 후크부(13)까지 완전히 케이스(3) 내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3)에는 해제버튼(35)이 설치되고; 상기 해제버튼(35)이 제공하는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후크(1)가 소정의 해제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슬라이더(19)에 대해 후크(1)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37)이 설치된 구성이다.
참고로, 상기 해제위치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의 뿌리부(11)가 슬라이더(19)에 대해 우측으로 회전된 위치를 말하며, 후술하는 정위치는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되기 이전, 즉 도 9의 A 상태와 같이, 상기 후크(1)의 뿌리부(11)가 상기 슬라이더(19)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위치를 말하며, 이들 정위치와 해제위치는 상기 슬라이더(19)의 스토퍼(21)에 의해 제한되어, 상기 후크(1)는 상기 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 구간에서만, 상기 슬라이더(19)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3)의 상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후크(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케이스홀(3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37)은 일단(37-1)이 상기 후크(1)의 뿌리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37-2)이 상기 슬라이더(19)에 형성된 가이드홈(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홈(41)은, 상기 후크(1)가 상기 슬라이더(19)에 대해 상기 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과 상기 슬라이더(19)에 대한 후크(1)의 회전축(S)까지 연결되는 가상의 기준선(CL)을 기준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7)의 일단(37-1)이 상기 후크(1)를 상기 정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해제버튼(35)이 제공하는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이 넘으면, 상기 기준선(CL)을 기준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7)의 일단(37-1)이 상기 후크(1)를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을 가이드하는 선택볼록부(43)를 구비한다.
즉, 상기 후크(1)가 상기 슬라이더(19)에 대해 상기 정위치에 있을 때(도 9 A), 상기 기준선(CL)을 중심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7)의 일단(37-1)이 상기 후크(1)를 상기 정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기준선(CL) 우측)에 위치하면,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탄성력이 상기 후크(1)를 상기 정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해제버튼(35)이 눌려서,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이 상기 선택볼록부(43)를 넘어서 이동하게 되면(도 9 B), 상기 기준선(CL)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기준선(CL)을 중심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7)의 일단(37-1)이 상기 후크(1)를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기준선(CL) 좌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탄성력으로 상기 후크(1)를 해제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도 9 C).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L)를 돌려서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해제버튼(35)을 누르면, 상기 후크(1)가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후크(1)를 손잡이(L)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되어, 개방된 도어의 손잡이(L)에서 후크(1)가 잘 빠지지 않아 곤란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해제버튼(35)은 상기 케이스(3)와 해제버튼(35) 사이에 설치된 해제스프링(47)에 의해 원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버튼(35)을 누르면, 상기 슬라이더(19)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에 일체로 연결된 핀에 상기 해제버튼(35)이 직선 변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에 일체로 연결된 핀은 하기의 리턴가이드부(45)와도 만나서 가이드됨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이 상기 선택볼록부(43)를 넘어 도 9의 A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는 상기 후크(1)를 상기 케이스(3)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19)를 이동시킬 때,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이 상기 선택볼록부(43)를 넘어 원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리턴가이드부(4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및 도 9에 표시된 상기 리턴가이드부(45)는, 도 4에 보이는 케이스(3) 부분을 어퍼케이스, 도 5에 보이는 케이스(3) 부분을 로워케이스라고 할 때, 어퍼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0과 같은 일부 도면에 함께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후크(1)의 사용 완료 후, 상기 노브(5)를 케이스(3)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토션스프링(37)의 타단(37-2)은 도 9의 D, E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리턴가이드부(45)의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기 선택볼록부(43)를 넘어 도 9의 A상태와 같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9의 D 상태 E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슬라이더(19)에 대한 후크(1)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케이스(3)에 상기 리턴가이드부(45)와 유사한 경사면 구조를 추가하여 상기 슬라이더(19)가 하강함에 따라 점차 후크(1)가 정위치로 회전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잡아당겨서 여는 도어의 손잡이를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잡아당겨서 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를 회전시켜서 잡아당겨야 열 수 있는 도어의 경우에도,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킨 후 잡아당기는 동작을 손으로 직접 수행하지 않고 본 발명의 도어 개방 기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은 많은 사람들의 손이 접촉하게 마련인 도어 손잡이를 통한 질병의 전염 등과 같은 비위생적인 상황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회전시키고 당겨야 열리는 도어 이외에, 손잡이를 회전시키고 밀어야 열리는 도어의 개방에도 사용자의 직접적인 손잡이 파지 없이 도어의 위생적인 개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2에는 상기 제3실시예에, 열쇠고리를 추가한 제4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도어 개방 기구를 열쇠고리로 함께 사용하여 그 휴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후크
1-1; 제1후크
1-2; 제2후크
3; 케이스
5; 노브
7; 노브가이드홈
9; 열쇠고리
11; 뿌리부
13; 후크부
15; 경사삽입부
17; 후크스프링
L; 손잡이
19; 슬라이더
S; 회전축
21; 스토퍼
23; 슬라이드가이드홈
25; 홀딩스프링
27; 고정걸림턱
29; 고정걸림홈
31; 절곡부
33; 점착부재
35; 해제버튼
37; 토션스프링
39; 케이스홀
41; 가이드홈
CL; 기준선
43; 선택볼록부
45; 리턴가이드부
47; 해제스프링

Claims (10)

  1. 도어의 손잡이를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후크;
    상기 후크를 직선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내부에 상기 후크를 수납하거나 돌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후크에 연결된 노브를 직선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노브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노브가이드홈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브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노브에 연결되는 뿌리부와, 손잡이를 거는 후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는 뿌리부가 동심축을 이루며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후크와 제2후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는 후크부의 단부에 서로 벌어지는 경사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의 뿌리부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의 후크부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후크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를 소정의 사용 준비위치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에 대해 탄성적으로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준비고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열쇠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고정수단은,
    상기 후크가 케이스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된 홀딩스프링;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걸림턱;
    상기 사용 준비위치에서 상기 고정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고정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의 뿌리부는 상기 제1후크부의 뿌리부 내부에 동심축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후크의 뿌리부 단부는, 상기 제2후크의 후크부가 상기 제1후크의 후크부와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걸림턱을 상기 고정걸림홈에서 이탈시키도록, 상기 뿌리부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해제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해제버튼이 제공하는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후크가 소정의 해제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후크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후크의 뿌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후크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소정의 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후크의 회전축까지 연결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후크를 상기 정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해제버튼이 제공하는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넘으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후크를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선택볼록부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후크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때,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선택볼록부를 넘어 원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리턴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기구.
KR1020210072195A 2021-06-03 2021-06-03 도어 개방 기구 KR10232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95A KR102328174B1 (ko) 2021-06-03 2021-06-03 도어 개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95A KR102328174B1 (ko) 2021-06-03 2021-06-03 도어 개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174B1 true KR102328174B1 (ko) 2021-11-17

Family

ID=7870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195A KR102328174B1 (ko) 2021-06-03 2021-06-03 도어 개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73B1 (ko) * 2009-04-15 2009-10-01 주식회사 메모렛월드 유에스비 메모리
KR200475563Y1 (ko) * 2014-07-16 2014-12-10 홍진의 문고리 고정구
KR20170073877A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에버티 문고리 거치형 조명 장치
KR101787253B1 (ko) 2016-05-10 2017-10-18 오환종 보조 손잡이가 구비되는 문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73B1 (ko) * 2009-04-15 2009-10-01 주식회사 메모렛월드 유에스비 메모리
KR200475563Y1 (ko) * 2014-07-16 2014-12-10 홍진의 문고리 고정구
KR20170073877A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에버티 문고리 거치형 조명 장치
KR101787253B1 (ko) 2016-05-10 2017-10-18 오환종 보조 손잡이가 구비되는 문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3800B2 (en)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US9795192B2 (en) Buckle
US5357994A (en) Hidden safety contoured leaf spring locking device
US9800703B2 (en) Handl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520275B1 (ko)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US20150071699A1 (en) Ring binder mechanism with self-locking actuator
KR101999851B1 (ko) 악력기 겸용 복합 손운동 기구
JP2022503521A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保持装置及び保持装置を使用する方法
KR102328174B1 (ko) 도어 개방 기구
JP2006247310A (ja) 開閉式ハンガー
US20240008209A1 (en) Portable streaming media player holder
CN109497840A (zh) 煎烤机
JP6851077B2 (ja) 回転器具
KR101307003B1 (ko) 사무용 클립
US11976785B2 (en) Expandable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158154U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開閉具
KR20090084396A (ko) 골프크럽용 헤드커버
JP2019017958A (ja) 装身具用連結具
KR100706429B1 (ko) 곡선형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단말기
JP2946392B2 (ja) 開閉機構のストッパーステー構造
JP2001029246A (ja) 調理容器把持のためのハンドル
KR101475489B1 (ko) 줄넘기
CN108125327B (zh) 钥匙扣
KR200402852Y1 (ko) 악력 단련기
CN208886339U (zh) 一种卡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