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33B1 - 구명장비 - Google Patents

구명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33B1
KR102328133B1 KR1020210017270A KR20210017270A KR102328133B1 KR 102328133 B1 KR102328133 B1 KR 102328133B1 KR 1020210017270 A KR1020210017270 A KR 1020210017270A KR 20210017270 A KR20210017270 A KR 20210017270A KR 102328133 B1 KR102328133 B1 KR 10232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eight
flexible
longitudinal direction
life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텍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텍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텍산업
Priority to KR102021001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빠진 사람을 효과적으로 구조 가능한 투척식 구명장비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 일측이 상기 중량부와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부; 상기 유연부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 를 포함하는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명장비{Survival equipment}
본 발명은 물에 빠진 사람을 효과적으로 구조 가능한 투척식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부상재질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피구조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 상기 몸체에 탑재되어 전원 공급 시 발광되는 LED;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선단에 관통형성되는 고정공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피구조자를 잡아 당기기 위한 당김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LED는 온/오프 제어되어 점등 또는 소등되거나, 또는 점멸식으로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수납되고, 온/오프 제어되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방수 랜턴; 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랜턴은 상기 방수 랜턴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홈의 내주연에 서로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충전시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LED 구명장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방수성을 가지며, 내부에 주입튜브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우레탄 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우레탄 폼을 상기 주입튜브로 주입 시키기 위한 주입노즐, 및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우레탄 폼을 상기 주입노즐을 통해 분사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구비되는 압축가스통을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 폼은 상기 주입튜브에 충진되는 것과 동시에 경화되어 상기 하우징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구명장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수난사고용 투척식 구명장비에 있어서, 상기 구명장비는 구명장비 몸체부와 구명장비 캡부, 구명줄 고정판, 구명줄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구조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측부에 손잡이부를 가지며, 내부는 물에 뜰 수 있어 부력을 생성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부에는 몸체 나사부가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구성되는 구명장비 몸체부와, 상기 구명장비의 몸체 나사부와 결합되어 밀폐 고정할 수 있는 캡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구명줄의 일측부는 구명줄 관통구로 튀어나 구명줄 손잡이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부는 구명줄 관통구 안으로 통과하여 내부에 내재하고 있는 구명줄을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구명줄 고정판을 수용하는 구명장비 캡부로, 상기 구명장비 캡부의 외측부에는 파지홈을 두어,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몸체 나사부와 캡 나사부에 회전에 의해 구명장비 몸체부와 구명장비 캡부가 개봉한 후, 구명줄을 정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명줄 부식방지와 구조용품 보관함에 수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사고용 투척식 스핀형 타입의 구명장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 인명을 구조하도록 착용하는 구명복과, 부피를 최소화되도록 양단부와 밑단을 접은 상태로 상기 구명복 외면과 탈착수단으로 부착되고, 사용자의 머리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 내경에는 조임수단으로 오므려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날개가 형성 되고, 바닥에 공기주입구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물에 뜰 수 있도록 공기수용부가 형성되며, 바닥 상부에는 돔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 텐트천막이 형성된 수상텐트 겸 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인명구조장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114276 B1 (2020년05월22일) KR 10-2019-0012010 A (2019년02월08일) KR 10-2017-0089612 A (2017년08월04일) KR 10-1340942 B1 (2013년12월13일)
본 발명은 물에 빠진 사람을 효과적으로 구조 가능한 투척식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100);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와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부(200); 상기 유연부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유연부(200)와 결착부(3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타측이 개방되는 수납부(4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량부(100)는 중앙에 위치되는 부력 생성수단(110); 상기 부력 생성수단(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충격 흡수수단(12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유연부(200)는 와이어, 밧줄, 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량부(100)와 상기 유연부(200)를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5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결착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밴드(310); 상기 밴드(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며 밴드 체결공이 형성되는 버클(320); 을 포함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에 결합되는 봉형의 연결바(600); 상기 연결바(6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감김부(700); 일측이 상기 감김부(700)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700)에 감기는 유연부(200); 상기 유연부(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300); 상기 연결바(6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8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중량부(100)는 상기 충격 흡수수단(12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유력을 가지는 중량부가 유연부를 통해 사용자와 연결되므로, 투척 후 유연부를 당겨 물에 빠진 사람을 용이하게 구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결착부가 사용자의 팔목에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장비를 투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장비를 놓치는 문제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부 외측에 충격을 흡수 가능한 물질이 위치되므로, 물에 빠진 사람이 장비에 타격될 경우 받는 충격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충격 흡수수단 내부에 중량 증가수단이 수용되므로, 중량부의 투척거리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납부에 파지공이 형성되므로, 중량부 투척을 보다 원활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바에 유연부가 감기는 감김부가 형성되므로, 유연부가 엉키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구명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구명장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구명장비의 공회전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은 구명장비의 투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구명장비의 파지공에 롤러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구명장비의 새로운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구명장비의 감김부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인 구명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100);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와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부(200); 상기 유연부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300); 를 포함한다.
물에 빠진 사람은 본능적으로 주위에 있는 임의의 대상을 움켜쥐려 하기 때문에, 구조를 위해 접근 시 더욱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력을 가지는 중량부(100)를 물에 빠진 사람 인근으로 투척하여, 물에 빠진 사람이 중량부(100)를 잡으면, 사용자가 유연부(200)를 당겨 인명을 구조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중량부(100)는 물에 뜨는 특성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가져야 하고, 상기 유연부(200)는 선형으로 이루어져 풀림/감김이 용이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결착부(300)는 사용자가 유연부(200)를 놓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중량부(100), 유연부(200), 결착부(30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유연부(200)와 결착부(3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타측이 개방되는 수납부(4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0)는 길이방향 타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공(410); 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파지공(410)을 형성하는 수납부(4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4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0)는 길이방향 타측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관통홀(430); 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파지공(410)에 위치되며, 상기 보강부재(42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440); 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량부(100)에는 상기 유연부(200)가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400)가 결합된다. 이때, 수납부(40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천으로 만들어지며, 길이방향 타측에는 개방구 폐쇄를 위한 복수개의 관통홀(430)이 원주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비가 사용되지 않을 시 수용공간 상에 유연부(200)가 수납되고, 끈 또는 보관되는 유연부(200)가 복수개의 관통홀(430)에 끼워진 상태로 매듭지어져, 수납부(400)의 개방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사용자의 투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00)의 길이방향 타측에 파지공(410)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명장비의 투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납부(400)를 움켜쥔 상태에서 던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수납부(400)에 사용자가 수납부(400)를 보다 강하게 움켜쥘 수 있도록 하는 파지공(410)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투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공(41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구명장비를 투척 시, 파지공(410)을 형성하는 수납부(400)의 내주면 일부 영역에 힘이 집중되어 수납부(400)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파지공(410)을 형성하는 수납부(400)의 내주면 또는 가장자리에는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보강부재(420)가 결합되어, 수납부(400)가 찢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지공(410) 상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명장비를 휘두를 시 보다 쉽게 파지공(410)에서 손가락을 뺄 수 있도록 보조하는 롤러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숙련되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구명장비를 휘두를 시 정확한 시점에 파지공(410)에서 손가락을 빼지 못해 투척 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파지공(410)에 롤러부(440)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손가락이 파지공(410)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00)는 중앙에 위치되는 부력 생성수단(110); 상기 부력 생성수단(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충격 흡수수단(1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부력 생성수단(110)은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는 공기주머니; 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부력 생성수단(110)은 물보다 밀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수단(120)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00)는 상기 충격 흡수수단(120) 내부에 수용되는 중량 증가수단(13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중량 증가수단(130)은 상기 충격 흡수수단(120)의 중앙에 위치되는 선형의 금속물질인 것; 을 포함한다.
중량부(100)는 중앙에 위치되는 부력 생성수단(110)을 충격 흡수수단(120)이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량부(100)는 물에 빠진 사람에게 투척되는 부위로, 긴 비거리를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접촉 시 인가되는 충격이 최소화 되어야 하므로, 부력 생성수단(110)의 외주면을 일정 이상의 밀도를 가지되 쉽게 변형되어 충격 전달을 최소화 가능한 충격 흡수수단(120)으로 감싸 준 것이다. 이때, 충격 흡수수단(120)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충격 흡수수단(120)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중량부(100)가 보다 높은 하중을 가지도록 보조하는 중량 증가수단(130)이 수용되어, 중량부(100)의 투척거리를 보다 극대화 할 수도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200)는 와이어, 밧줄, 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포함한다.
유연부(200)는 와이어, 밧줄, 끈 등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투척 과정에서 쉽게 풀릴 수 있고, 투척 후 사용자가 용이하게 당길 수 있는 다양한 선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00)와 상기 유연부(200)를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500); 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수단(500)은 상기 중량부(100)에 삽입 결합되는 앵커부(510), 상기 유연부(200)가 결합되는 고리부(520), 상기 앵커부(510)와 상기 고리부(5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5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530)는 앵커부(510)와 마주보는 고리부(520)의 일측에 형성되며 단부가 절곡되어 수용홈(531-1)을 형성하는 제1 체결립(531), 고리부(520)와 마주보는 앵커부(5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립(531)이 형성하는 상기 수용홈에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삽입립(532); 을 포함한다.
중량부(100)와 유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수단(500)은 앵커부(510), 고리부(520), 제2 연결부(530)가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하게 고정 결합된 결합체일 수 있으나, 제1 연결수단(500)이 고정된 형태일 경우 유연부(200)가 꼬이거나 얽히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공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리부(520)에 결합된 제1 체결립(531)이 수용홈(531-1)을 형성하고, 앵커부(510)에 결합된 제1 삽입립(532)이 수용홈(531-1)에 끼워져, 유연부(200)에서 회전토크가 인가되면 제1 체결립(531)이 공회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밴드(310); 상기 밴드(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며 밴드 체결공이 형성되는 버클(3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밴드(310)는 천, 가죽,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착부(300)는 플렉시블한 밴드(310)와 밴드(310)를 연결하여 착용 가능한 링 구조로 만드는 버클(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중량부(100) 투척 시 사용자가 유연부(200)를 놓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유연부(200)를 놓쳐 구명장비가 강 또는 바다에 빠질 경우 장비를 분실하게되므로, 사용자가 밴드(310)로 손목을 감싼 후 버클(320)을 이용하여 밴드(310)를 손목에 압박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밴드(310)의 길이방향 일측은 버클(320)에 고정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버클(320) 상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져 링 구조를 가지게 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에 결합되는 봉형의 연결바(600); 상기 연결바(6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감김부(700); 일측이 상기 감김부(700)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700)에 감기는 유연부(200); 상기 유연부(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300); 상기 연결바(6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8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00)와 상기 연결바(600) 및 상기 연결바(600)와 상기 손잡이부(800)를 공회전 결합하는 제2 연결부(9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700)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가이드홈(710); 을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710)의 폭방향 길이(A)가 상기 유연부(200)의 직경(B)보다 작은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700)는 상기 중량부(100)가 위치되는 길이방향 일측보다 길이방향 타측 외경 길이가 짧은 것; 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중량부(100)에 손잡이부(800)가 형성된 봉형의 연결바(600)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중량부(100)와 연결바(600) 및 연결바(600)와 손잡이부(800)는 제2 연결부(900)를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량부(100)를 회전시키다가 놓을 경우 원심력에 의해 중량부(100)가 보다 멀리 투척될 수 있으므로, 중량부(100)에 연결바(600)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중량부(10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2 연결부(900)로 중량부(100)와 연결바(600) 및 연결바(600)와 손잡이부(800)를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중량부(100)를 회전시키며 장치에 인가되는 비틀림 응력을 해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600) 상에는 상기 유연부(200)가 감기는 감김부(700)가 결합되며, 감김부(700) 상에는 감겨있는 유연부(200)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710)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71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길이(A)가 유연부(200)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중량부(100) 투척 시, 유연부(200)가 가이드홈(710)에 걸리지 않고 쉽게 풀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감김부(700)는 유연부(200)가 보다 쉽게 풀어질 수 있도록,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짧아지는 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00)는 상기 충격 흡수수단(12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부(1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인 구명장비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40)는 충격이 인가되면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방출부, 상기 가스 방출부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재; 를 포함한다.
중량부(100)는 물에 빠진 사람이 쉽게 잡을 수 있어야 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100) 상에 돌출되는 확장부(140)를 형성하여, 중량부(100)가 굴곡진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형 구조체의 경우 물에 빠진 사람이 잡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확장부(140)로 중량부(100)의 외부 형상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 준 것이다. 그리고, 확장부(140)는 투척 후 물에 닿는 충격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팽창부재 내부에 가스 방출부가 구비되어, 투척된 중량부(100)가 물에 접촉는 순간 가스 방출부가 작동하며 팽창부재를 팽창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100 : 중량부 110 : 부력 생성수단
120 : 충격 흡수수단 130 : 중량 증가수단
140 : 확장부
200 : 유연부
300 : 결착부 310 : 밴드
320 : 버큼
400 : 수납부 410 : 파지공
420 : 보강부재
500 : 제1 연결수단 510 : 제1 체결립
520 : 고리부 530 : 제1 연결부
531 : 제1 체결립 531-1 : 수용홈
532 : 제1 삽입립
600 : 연결바
700 : 감김부 710 : 가이드홈
800 : 손잡이부
900 : 제2 연결부

Claims (8)

  1. 인명 구조에 사용되는 구명장비에 있어서,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100);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와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부(200);
    상기 유연부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3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유연부(200)와
    결착부(3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타측이 개방되는 수납부(400);
    상기 수납부(400)는 길이방향 타측에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공(410);
    상기 파지공(410)을 형성하는 수납부(4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420);
    상기 파지공(410)에 위치되며, 상기 보강부재(42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440);
    상기 중량부(100)와 상기 유연부(200)를 연결하는 제1 연결수단(500);
    상기 제1 연결수단(500)은 상기 중량부(100)에 삽입 결합되는 앵커부(510), 상기 유연부(200)가 결합되는 고리부(520), 상기 앵커부(510)와 상기 고리부(52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530);를 포함하는 구명장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100)는 중앙에 위치되는 부력 생성수단(110);
    상기 부력 생성수단(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충격 흡수수단(120); 을 포함하는 구명장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200)는 와이어, 밧줄, 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포함하는 구명장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밴드(310);
    상기 밴드(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며 밴드 체결공이 형성되는 버클(320); 을 포함하는 구명장비.
  7. 인명 구조에 사용되는 구명장비에 있어서,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로 형성된 중량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중량부(100)에 결합되는 봉형의 연결바(600);
    상기 연결바(6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감김부(700);
    일측이 상기 감김부(700)에 결합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700)에 감기는 유연부(200);
    상기 유연부(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착부(300);
    상기 연결바(6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800);
    상기 중량부(100)와 상기 연결바(600) 및 상기 연결바(600)와 상기 손잡이부(800)를 공회전 결합하는 제2 연결부(900);
    상기 중량부(100)는 중앙에 위치되는 부력 생성수단(110);
    상기 부력 생성수단(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충격 흡수수단(120);
    상기 충격 흡수수단(12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부(140);를 포함하는 구명장비.
  8. 삭제
KR1020210017270A 2021-02-08 2021-02-08 구명장비 KR10232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70A KR102328133B1 (ko) 2021-02-08 2021-02-08 구명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70A KR102328133B1 (ko) 2021-02-08 2021-02-08 구명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133B1 true KR102328133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70A KR102328133B1 (ko) 2021-02-08 2021-02-08 구명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13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6186A1 (en) * 2002-12-23 2006-04-13 Lars-Hakan Lindqvist Life-saving device
US20080254693A1 (en) * 2007-04-12 2008-10-16 Zogg Alan R Rescue line device
KR101088425B1 (ko) * 2011-07-20 2011-12-01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던짐줄용 던짐추 및 이 던짐추의 제작방법
KR101340942B1 (ko) 2012-11-30 2013-12-13 지엘테크(주) 수상용 인명구조장비
KR20170089612A (ko) 2016-01-27 2017-08-04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난사고용 투척식 스핀형 타입의 구명장비
KR20180046294A (ko) * 2016-10-27 2018-05-08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구명장치
KR20190012010A (ko) 2017-07-26 2019-02-08 최지선 수상용 구명장비
KR102114276B1 (ko) 2019-10-18 2020-05-22 대한민국 인명구조용 led 구명장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6186A1 (en) * 2002-12-23 2006-04-13 Lars-Hakan Lindqvist Life-saving device
US20080254693A1 (en) * 2007-04-12 2008-10-16 Zogg Alan R Rescue line device
KR101088425B1 (ko) * 2011-07-20 2011-12-01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던짐줄용 던짐추 및 이 던짐추의 제작방법
KR101340942B1 (ko) 2012-11-30 2013-12-13 지엘테크(주) 수상용 인명구조장비
KR20170089612A (ko) 2016-01-27 2017-08-04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난사고용 투척식 스핀형 타입의 구명장비
KR20180046294A (ko) * 2016-10-27 2018-05-08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구명장치
KR20190012010A (ko) 2017-07-26 2019-02-08 최지선 수상용 구명장비
KR102114276B1 (ko) 2019-10-18 2020-05-22 대한민국 인명구조용 led 구명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1077A (en) Lifesaving and mooring device
US20120214371A1 (en) Inflatable Rescue Device
US2651789A (en) Life line for boats
EP1196324B1 (en) Hands free signal device
US20080254693A1 (en) Rescue line device
JP7268146B2 (ja) 水難救助用馬蹄形救命ブイ及び関連する救助ロープアセンブリ
KR102328133B1 (ko) 구명장비
US20150140879A1 (en) Life saving dan buoy
EP3577020B1 (en) Extensible life-preserving device
US7347757B1 (en) Rescue apparatus and method
USRE29728E (en) Lifesaving device
US4778424A (en) Water rescue projectiles
US20120171911A1 (en) Inflatable diving safety marker
JPH1159585A (ja) 救助システム
JP2009083850A (ja) 水難救助装置
KR102133378B1 (ko) 수상용 인명구조 장치
US1403362A (en) Life-saving apparatus
KR0121090Y1 (ko) 인명구조 기구
KR200490451Y1 (ko) 팽창형 구명 부이
US3303521A (en) Recovery device
US7189129B2 (en) Life saver buoy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RU186103U1 (ru) Надувное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129351A (en) Signalling device for scuba divers
KR20160047115A (ko) 투척식 구명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