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29B1 - 인명구조함 - Google Patents

인명구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29B1
KR102328129B1 KR1020210017238A KR20210017238A KR102328129B1 KR 102328129 B1 KR102328129 B1 KR 102328129B1 KR 1020210017238 A KR1020210017238 A KR 1020210017238A KR 20210017238 A KR20210017238 A KR 20210017238A KR 102328129 B1 KR102328129 B1 KR 10232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saving
cover
box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텍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텍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텍산업
Priority to KR102021001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명 구조에 사용되는 인명구조장비가 보관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으로, 함체 구조를 가지며 전측이 개방되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의 전측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수용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커버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수용케이스 하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스텐드 바; 를 포함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명구조함{Storage box for survival equipment}
본 발명은 튜브, 드로우팩, 구명조끼 등의 인명구조장비가 보관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내부에 구명튜브, 구명조끼, 구명로프, 손전등 및 각종 구조장비가 내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외부에서 몸체 내부의 물건이 보이도록 투명판이 설치된 도어;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지면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가 구성된 수상 인명 구조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도어는 바람의 저항력을 덜 받도록 원형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 및 도어에는 심한 바람에도 몸체가 쓰러지지 않도록 바람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통공과 도어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바람이 심하게 불어서 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다시 원상복귀되도록 몸체와 지주판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 몸체 자체가 쓰러지지 않고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 구조함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수상지역에 설치되며, WAN 통신 및 LAN 통신이 가능한 라우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인명구조함과; 상기 인명구조함 내부, 외부 또는 내외부에 장착되어 자기위치센서가 부착되며, 이탈 시 상기 인명구조함의 라우터를 매개로 LAN 통신되는 구조장비와; 상기 인명구조함으로부터 상기 라우터를 매개로 WAN 통신되는 조난관리서버와; 상기 조난관리서버와 통신망에 의해 통신되는 관리자 스마트폰과 조난센터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물에 빠진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발생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호스와, 상기 공기호스를 속에 내장하는 구조호스와, 상기 공기호스와 구조호스가 장착되는 회전관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설치되되, 구조호스 상하에 설치되는 상, 하부가이드롤과, 상기 상/하부가이드롤 중 어느 하나와 에어펌프를 구동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신축부재로 구획되는 하나 이상의 공간부가 서로 소통하는 상태로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케이스로 감싸진 반응물질; 및 상기 반응물질과 접촉하는 압전점화수단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전점화수단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반응물질에 가해지면, 상기 반응물질의 반응으로 생성된 질소가 공간부로 채워져 부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구명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0960721 B1 (2010년05월31일) KR 10-2016-0079171 A (2016년07월06일) KR 10-1237709 B1 (2013년02월27일) KR 10-2009-0010694 A (2009년01월30일)
본 발명은 튜브, 드로우팩, 구명조끼 등의 인명구조장비가 보관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함체 구조를 가지며 전측이 개방되는 수용케이스(100); 상기 수용케이스(100)의 전측에 결합되는 커버(200);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커버(200)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0); 상기 수용케이스(100) 하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스텐드 바(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내면에 결합되는 행거부(1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커버(200)는 전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인명구조장비를 표시하는 수용장비 표시부(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결합부(3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커버(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결합부(310)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절곡 구조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스텐드 바(5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보강부(6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커버(200)의 개폐, 상기 수용케이스(100) 내부에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 탈착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인명구조함 관리부(7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8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며 긴급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긴급상황 알림부(9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스텐드 바(5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텐드 바(510),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텐드 바(520), 상기 상부 스텐드 바(510)와 상기 하부 스텐드 바(520)를 연결하는 외력 흡수수단(53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인명구조장비를 안전하게 보관 가능하므로, 수상에서 안전사고 발생 시 효과적으로 구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케이스 내부에 흔들림 방지립이 형성되므로,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케이스 내부에 배수부와 통풍부가 형성되므로, 내부에 습기가 차며 발생하는 장비의 부식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 수용장비 표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를 빠르게 파악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이 자기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개폐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체결력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수용케이스와 커버를 자기력으로 결합하며 발생하는 부족한 체결력을 보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케이스와 스텐드 바를 금속재질의 보강부가 연결하므로, 외력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인명구조함의 개폐 및 인명구조장비의 사용 유무를 확인 가능하므로, 인명구조함 관리 및 수상 안전사고 파악을 보다 용이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서 카메라를 조작하여 주변상황을 파악 가능하므로, 사고발생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텐드 바가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결합이 해제되며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바람 또는 파도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의 수용케이스 내부에 흔들림 방지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의 수용케이스 상에 배수부와 통풍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의 수용케이스와 커버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의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에 형성된 관리부 및 알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의 스텐드 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함체 구조를 가지며 전측이 개방되는 수용케이스(100); 상기 수용케이스(100)의 전측에 결합되는 커버(200);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커버(200)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0); 상기 수용케이스(100) 하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스텐드 바(500); 를 포함한다.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이 물에 들어갈 경우 연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인명 구조는 물에 빠진 사람의 근처에 드로우팩, 튜브 등을 던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별한 상황에서만 안전요원이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로 물에 빠진 사람을 직접 구출하고 있다. 이때,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서는 튜브, 드로우팩, 구명조끼 등의 인명구조장비가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물놀이가 이루어지는 강, 바다 등에 인명구조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인명구조함을 개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명구조함은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가 결합되며 인명구조장비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수용케이스는 스텐드 바(500)에 의해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장치의 사용은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이용하여 커버(200)를 개폐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내면에 결합되는 행거부(1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행거부(110)에 결합되는 인명구조장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흔들림 방지립(1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립(120)은 인명구조장비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제1 흔들림 방지립(121); 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립(120)은 인명구조장비의 구멍을 관통하는 제2 흔들림 방지립(122); 을 포함한다.
튜브, 드로우팩, 구명조끼 등의 인명구조장비는 수용케이스(100) 상에 다양한 형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행거부(110)에 걸쳐진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행거부(110)에 인명구조장비가 걸쳐진 상태로 보관 시, 바람, 파도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인명구조장비가 흔들리며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수용케이스(100) 내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구조장비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흔들림 방지립(120)을 형성하여, 인명구조장비가 흔들리며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 한 것이다. 이때, 흔들림 방지립(120)이 인명구조장비를 구속하는 형태는, 복수개가 인명구조장비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1 타입과, 인명구조장비의 구멍을 관통하는 제2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상기 커버(200)와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1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배수부(1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통풍부(150); 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는 서로의 결합을 보다 공고히 하고, 외부에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결합면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수용케이스(100) 상에는 하측에 내부에 고이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14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습기가 상승하며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수용케이스(100) 상에는 배수부(140) 이외에도 측면에 통풍부(150)가 형성되어, 내부 공기가 외부 대기와 순환하게 함으로써, 수용케이스(100) 내부 습도가 높아져 물이 고이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도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전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인명구조장비를 표시하는 수용장비 표시부(2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와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220); 를 포함한다.
커버(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내부에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명구조장비의 경우 사람이 빠르게 인식 가능한 특별한 색(형광색)을 가져야 하지만, 햇빛에 장시간 노출 시 색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커버(200)를 불투명 재질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커버(200)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 시 커버(200) 내부에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의 종류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커버(200)의 전면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를 표시하는 수용장비 표시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이때, 수용장비 표시부(210)는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의 사진,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결합부(3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31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의 상측, 좌측,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힌지결합부(310)와 대향 배치되어 자기력으로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를 체결하는 마그네틱 체결부재(3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힌지결합부(310) 및 상기 마그네틱 체결부재(320)를 연결한 임의의 선과 교체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를 체결하는 체결력 보강부재(3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체결력 보강부재(330)는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에 각각 결합되며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력 보강부재(331),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 체결력 보강부재(332); 를 포함한다.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는 힌지결합부(31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당기면 커버(200)가 힌지결합부(31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인명구조함이 개방된다. 이때, 힌지결합부(310)는 인명구조함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중 어느 선택되는 어느 한측에 형성되면 충분하나, 상측에 형성될 경우 바람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커버(200)가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의 체결은 수용케이스(100)의 결합면에 위치된 제1 마그네틱 체결부재(321) 및 커버(200)에 제1 마그네틱 체결부재(32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마그네틱 체결부재(32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이외에도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의 체결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수용케이스(100)와 커버(200)가 마그네틱 체결부재(320)에 의해 체결될 경우, 체결력 보강부재(330)가 마그네틱 체결부재(320)의 부족한 체결력을 보강할 수도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커버(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결합부(310)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310)는 상기 커버(200)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커버(20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손잡이부(400)는 커버(200) 개방이 용이하도록, 힌지결합부(310)와 대칭 배치된다. 그리고, 긴급 상황에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손잡이부(4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400)는 커버(200)와 이종의 색상을 가지고, 커버(200)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긴급상황에서 당황한 사용자가 힌지구조를 가지는 커버(200) 개방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손잡이부(400)가 보다 눈에 잘 들어올 수 있게 색상 및 형태를 특정하여 준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절곡 구조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스텐드 바(5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보강부(6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600)는 타측이 상기 수용케이스(100)의 후면에 삽입 결합된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6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보다 강성이 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바다 인근에서는 강한 바람이 인명구조함에 인가되기 때문에, 수용케이스(100)와 스텐드 바(500)의 결합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강성을 가지는 ‘ㄴ’자 형상의 보강부(600)로 수용케이스(100)와 스텐드 바(500)를 연결하여, 수용케이스(100)와 스텐드 바(500)의 결합부가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이때, 보강부(600)는 수용케이스(100)보다 강성이 높은 다양한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수평부는 스텐드 바(500)에 용접 결합되고, 수직부는 수용케이스(100)의 후면에 삽입 결합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개폐, 상기 수용케이스(100) 내부에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 탈착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인명구조함 관리부(7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함 관리부(700)는 커버(200)의 개폐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710), 인명구조장비의 탈착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720), 제1 센서(710)와 제2 센서(720)에서 획득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장치(730), 상기 제어장치(730)와 연동되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740); 를 포함한다.
인명구조함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서는, 관리기관에서 인명구조함의 사용유무 및 인명구조장비의 보관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구조함 내부에 커버(200)의 개폐정보를 파악 가능한 제1 센서(710)와, 인명구조장비의 탈착을 파악 가능한 제2 센서(720)를 위치시켰다. 그리고, 파악되는 정보를 제어장치(730)에서 수신받은 후 통신부(740)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제1 센서(710)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방출한 후 수신되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의 정보를 기반으로 커버(200)의 개폐를 파악하는 센서일 수 있고, 제2 센서(720)는 행거부(110)에 결합되어 행거부(110)에 걸쳐진 인명구조장비의 무게정보 변화를 이용하여 인명구조장비의 탈착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일 수 있다.
아울러, 수용케이스(100) 상에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센서(710), 제2 센서(720), 제어장치(730), 통신부(7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며 배터리(10)에 생성한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모듈(20),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며 배터리(10)에 생성산 전력을 공급하는 풍력발전기(3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8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8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800)의 움직임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어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80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는 상기 인명구조함 관리부(700)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카메라가 설치되어, 인명구조함 관리부(700)에서 커버(200)가 개방정보 또는 인명구조장비가 탈착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 시, 관리서버에서 카메라를 통해 상황을 파악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다 원활한 대처를 위해서는 관리자가 정확한 사고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므로, 수용케이스(100) 상에 카메라를 요잉 또는 피칭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하고, 관리서버에서 카메라를 조작하여 사고발생 상황을 파악한 후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며 긴급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긴급상황 알림부(9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900)는 수용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버튼(910), 상기 비상버튼(910)이 눌러지면 빛과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긴급상황을 표시하는 긴급상황 알림장치(920); 를 포함한다.
사람이 물에 빠지는 긴급상황 발생 시, 주변에 도움을 청할 경우 보다 원활한 구조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수용케이스(100) 내부에 외부에 도움을 청할 수 잇는 긴급상황 알림부(900)를 형성하였다. 이때, 긴급상황 알림부(900)는 사용자가 비상버튼(910)을 누르면 긴급상황 알림장치(920)에서 큰 소리 또는 점멸 등의 형태로 주변에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은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 바(5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텐드 바(510),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텐드 바(520), 상기 상부 스텐드 바(510)와 상기 하부 스텐드 바(520)를 연결하는 외력 흡수수단(530); 을 포함한다.
(실시예 10-2)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10-1에 있어서, 상기 외력 흡수수단(530)은 상기 상부 스텐드 바(510) 하측에 삽입 결합되며 체결바(531A)가 돌출 형성되는 상부 체결부재(531), 상기 하부 스텐드 바(520) 상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체결바(531A)가 끼워지는 삽입홈(532A)이 형성되는 하부 체결부재(532), 상기 체결바(531A)와 상기 삽입홈(532A)을 형성하는 하부 스텐드 바(520)의 내면을 연결하는 파단부재(533); 을 포함한다.
(실시예 10-3)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10-2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재(533)는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파단홈(533A); 을 포함한다.
(실시예 10-4)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은 실시예 10-2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531A)와 상기 삽입홈(532A)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인명구조함에 강한 힘이 인가될 경우 인명구조함이 회전하며 충격을 해소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강한 바람 또는 파도가 인가될 경우 인명구조함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인명구조함이 파손될 수 있을 정도로 큰 충격이 인가되면, 인명구조함의 회전을 제한하던 부재가 파단되며 인명구조함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드 바(500)를 상부 스텐드 바(510)와 하부 스텐드 바(520)로 구분하고, 상부 스텐드 바(510)와 하부 스텐드 바(520)를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되 파단부재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외력 흡수수단(530)으로 연결하여, 평상시에는 상부 스텐드 바(510)와 하부 스텐드 바(520)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일정 이상의 회전토크가 인가되면 파단부재(533)가 끊어지며 상부 스텐드 바(510)에 결합된 수용케이스(100) 및 커버(200)가 회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외력 흡수수단(530)은 체결바(531A)가 돌출 형성되는 상부 체결부재(531)와, 체결바(531A)가 끼워지는 삽입홈(532A)이 형성되는 하부 체결부재(532)를 포함하며, 체결바(531A)와 삽입홈(532A)은 파단부재(533)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체결부재(531)는 상부 스텐드 바(510)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하부 체결부재(532)는 하부 스텐드 바(53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파단부재(533)는 길이방향 양측이 체결바(531A)와 삽입홈(532A)에 연결되며, 중앙부에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파단홈(533A)이 형성되어, 일정이상의 토크가 인가되면 파단된다.
100 : 수용케이스 110 : 행거부
120 : 흔들림 방지립 121 : 제1 흔들림 방지립
122 : 제2 흔들림 방지립 130 : 제1 단차부
140 : 배수부 150 : 통풍부
200 : 커버 210 : 수용장비 표시부
220 : 제2 단차부
300 : 연결부 310 : 힌지결합부
320 : 마그네틱 체결부재 330 : 체결력 보강부재
331 : 제1 체결력 보강부재 332 : 제2 체결력 보강부재
400 : 손잡이부 500 : 스텐드 바
510 : 상부 스텐드 바 520 : 하부 스텐드 바
530 : 외력 흡수수단 531 : 상부 체결부재
532 : 하부 체결부재 533 : 파단부재
531A : 체결바 532A : 삽입홈
533A : 파단홈
600 : 보강부 700 : 인명구조함 관리부
710 : 제1 센서 720 : 제2 센서
730 : 제어장치 740 : 통신부
800 : 카메라부 900 : 긴급상황 알림부
910 : 비상버튼 920 : 긴급상황 알림장치

Claims (10)

  1. 내부에 인명구조장비가 보관되는 인명구조함에 있어서,
    함체 구조를 가지며 전측이 개방되는 수용케이스(100);
    상기 수용케이스(100)의 전측에 결합되는 커버(200);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커버(200) 상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0);
    상기 수용케이스(100) 하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스텐드 바(500);
    상기 커버(200)의 개폐, 상기 수용케이스(100) 내부에 보관되는 인명구조장비 탈착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인명구조함 관리부(700);
    상기 수용케이스(100)는 내면에 결합되는 행거부(110);
    상기 수용케이스(100)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배수부(140);
    상기 수용케이스(10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통풍부(150);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커버(200)와 이종의 색상을 가지고, 커버(200)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
    상기 인명구조함 관리부(700)는 인명구조장비의 탈착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720);
    상기 제2 센서(720)에서 획득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장치(730);
    상기 제어장치(730)와 연동되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740);
    상기 제2 센서(720)는 행거부(110)에 결합되어 행거부(110)에 걸쳐진 인명구조장비의 무게정보 변화를 이용하여 인명구조장비의 탈착정보를 획득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전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인명구조장비를 표시하는 수용장비 표시부(210); 를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수용케이스(100)와 상기 커버(20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결합부(310); 를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커버(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결합부(310)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절곡 구조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스텐드 바(5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보강부(600); 를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800); 를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100)에 결합되며 긴급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긴급상황 알림부(900); 를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 바(5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스텐드 바(510),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스텐드 바(520), 상기 상부 스텐드 바(510)와 상기 하부 스텐드 바(520)를 연결하는 외력 흡수수단(530); 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KR1020210017238A 2021-02-08 2021-02-08 인명구조함 KR10232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38A KR102328129B1 (ko) 2021-02-08 2021-02-08 인명구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38A KR102328129B1 (ko) 2021-02-08 2021-02-08 인명구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129B1 true KR102328129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38A KR102328129B1 (ko) 2021-02-08 2021-02-08 인명구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246A (ko) 2022-04-12 2023-10-19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무선제어 가능한 구명부재 및 인명 구조함 자동화 시스템
KR102670268B1 (ko) * 2023-10-27 2024-05-30 주식회사 휴텍산업 자가발전 기능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34B1 (ko) * 2008-02-04 2008-06-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전단구조를 사용한 회전식 도로정보시설물
KR20090010694A (ko) 2007-07-24 2009-01-30 김기범 인명구조용 구명장치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KR100926182B1 (ko) * 2008-07-18 2009-11-10 강명일 구명장비 보관함
KR100960721B1 (ko) 2009-06-19 2010-05-31 거성환경주식회사 수상 인명 구조함
KR20120023870A (ko) *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101237709B1 (ko) 2011-11-17 2013-02-27 박진욱 인명구조장치
KR200467692Y1 (ko) * 2012-02-07 2013-06-28 (주) 삼성화스너 옥외용 광고판 설치용 고정 지지대
KR20160079171A (ko) 2014-12-26 2016-07-06 강명효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694A (ko) 2007-07-24 2009-01-30 김기범 인명구조용 구명장치
KR100835734B1 (ko) * 2008-02-04 2008-06-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전단구조를 사용한 회전식 도로정보시설물
KR100926182B1 (ko) * 2008-07-18 2009-11-10 강명일 구명장비 보관함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KR100960721B1 (ko) 2009-06-19 2010-05-31 거성환경주식회사 수상 인명 구조함
KR20120023870A (ko) *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101237709B1 (ko) 2011-11-17 2013-02-27 박진욱 인명구조장치
KR200467692Y1 (ko) * 2012-02-07 2013-06-28 (주) 삼성화스너 옥외용 광고판 설치용 고정 지지대
KR20160079171A (ko) 2014-12-26 2016-07-06 강명효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246A (ko) 2022-04-12 2023-10-19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무선제어 가능한 구명부재 및 인명 구조함 자동화 시스템
KR102670268B1 (ko) * 2023-10-27 2024-05-30 주식회사 휴텍산업 자가발전 기능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129B1 (ko) 인명구조함
US5066256A (en) Buoy and releasing system for ships in distress
US5153567A (en) Alarm kit apparatus
US8869726B2 (en) Salvaging device and salvaging method for salvaging condensed matter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a waterway
US996039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BRPI0618195A2 (pt) sistema de segurança
NO180265B (no) Anordning ved redningsflåter på skip
CN210959081U (zh) 一种防水型激光器机柜
WO2014075689A1 (en) Safety installation
US7033042B2 (en) Emergency flashlight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KR102341938B1 (ko)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670268B1 (ko) 자가발전 기능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US7156711B2 (en) Outboard motor enclosure and security arrangement therefor
KR102348012B1 (ko) 수중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
CN112814555A (zh) 一种用于城市内涝的应急逃生装置
US20040020419A1 (en) Safety device
CN112960114B (zh) 一种消防无人机
KR102425191B1 (ko) 인명구조함
CN219418213U (zh) 一种具有全方位环境拍摄功能的无人售货柜
KR101809055B1 (ko) 바이크용 블랙박스
CN210518569U (zh) 一种远程监控安全预警装置
KR102475726B1 (ko) 매립형 해양구조시스템
CN112150754B (zh) 一种应急救生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