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625B1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625B1
KR102327625B1 KR1020200028629A KR20200028629A KR102327625B1 KR 102327625 B1 KR102327625 B1 KR 102327625B1 KR 1020200028629 A KR1020200028629 A KR 1020200028629A KR 20200028629 A KR20200028629 A KR 20200028629A KR 102327625 B1 KR102327625 B1 KR 10232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protrusion
stern
ic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2940A (en
Inventor
박경덕
고동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25B1/en
Publication of KR2021011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선수부; 상기 중앙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미부; 상기 선수부 또는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구현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rrier for loading cargo and delivering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 central portion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ertain size and shape is the same back and forth by a certain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w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a stern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entral portion;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ow portion or the stern portion, and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oulder portion implementing an ice breaking function.

Description

선박{SHIP}ship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일반적으로 광석이나 원유, 컨테이너 등을 싣고 항해하는 운반선으로서의 선박은, 선박의 선미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프로펠러의 후방에는 러더(Rudder) 또는 포드(Pod)가 부착될 수 있으며, 러더/포드의 조정으로 유체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항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In general, a ship as a carrier carrying ore, crude oil, containers, etc., moves forward using the flow of fluid generated when a propeller attached to the stern of the ship rotates. At this time, a rudder or a pod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ropeller, and the sailing direction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rudder/pod.

이러한 선박은 수선면에 부유하여 항해하기 때문에, 해수에 의한 마찰저항과 함께 파도 등에 의한 조파저항을 받게 된다. 이때 조파저항 등은 선수 선형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데, 항해 중 파랑에 의해 전체저항에 있어 선박의 조파저항 영향력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Since such a vessel floats on the waterline and sails, it receives wave resistance due to waves, etc. as well as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sea water. At this time, wave resistance, etc. occu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ow alignmen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wave resistance of the ship on the total resistance is greater due to the waves during voyage.

따라서 선박이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조파 저항을 감쇄시키거나, 추진 장치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등 운항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화물 적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Therefore, when a ship is made of a carrier, efforts to improve operation efficiency such as reducing wave resistance or changing the structure of a propulsion device or improving cargo loading capacity are continuously being made.

한편 운반선은, 항로가 다변화되고 있어 극지방의 운항도 이루어지는데, 운반선은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운항 효율 등을 위한 구조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극지방 운항을 위한 구조개선 역시 필요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carriers are also operated in polar regions due to diversification of routes. As mentioned above, carriers are generally structurally improved for operational efficiency, etc., but structural improvement for polar navigation is also required.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이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운항 효율에 나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얼음이 있는 극지방을 운항 시 자체적으로 쇄빙 및 선회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n operational efficiency when a ship composed of a carrier is sailing on an ice-free sea while operating in an ice polar region. It is to provide a ship in which a turning function can be easily ma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선수부; 상기 중앙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미부; 상기 선수부 또는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구현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rrier for loading cargo and delivering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a central portion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ertain size and shape is the same back and forth by a certain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w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a stern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entral portion;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ow portion or the stern portion, and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oulder portion implementing an ice breaking fun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로 돌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portion may protrude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측면과 나란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되고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선미 또는 선수 측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is provided on the stern or bow side in the first protrus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제2 돌출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te of increase of the degree of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w or the stern part to the adjacent to the second protrusion from the first protrusion is, from the second protrusion to the first protrusion in the bow or the stern part. It may be small compared to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left and right.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회 절곡 또는 휘어지는 지점을 갖고,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portion has a point that is bent or bent o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closer the point is from the top to the top based on the point, the greater the rate of increase in the degree of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w or the stern portion is , It may be smaller than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w portion or the stern portion closer to the point from the bottom from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point.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수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13 내지 1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portion is provided in the bow portion, and may be provided between sections 13 to 18 when the vessel is divided into 20 s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미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2 내지 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stern portion, and may be provided between sections 2 to 7 when dividing the vessel into 20 s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숄더부는,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해수 위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하단점을 잇는 하단선은 얼음에 먼저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선저에 대비하여 더 이격되어 곡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part is provided at a position exposed above the sea water during Hangzhou in an ice-free sea, and the lower line connecting the lower point in Hangzhou in an ice-free sea is in preparation for the bottom of the ship as it goes from the point in contact with the ice first to the upper part. It may be further spaced apart to form a curved shape.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 외측에 숄더부가 마련되면서도 접안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자체적으로 쇄빙 및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선박의 운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berthed while providing a shoulder portion on the outside of a ship made of a carrier, and can easily make icebreaking and turning on its own in an icy sea,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hip can be made effectively.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인 돌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정면 일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정면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와 얼음이 위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선수 방향으로 운항 시 쇄빙 기능의 차이와 선수 방향으로 선회 시 쇄빙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선박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숄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1A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trusion A of FIG. 1A .
2 is a view showing a bow region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ern area of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ront part of the bow of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area in which seawater and ice are located by waves in the front of the bow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ice breaking function when sailing in the bow direction and the ice breaking function when turning in the bow direction.
7 is a view showing an improved state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ip.
8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shoulder portion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ip.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저면과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부 정면에서 얼음이 위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and a protrusion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bow region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4 are this view It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tern part of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an area where ice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stern part of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6은 쇄빙 기능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종래의 선박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ice breaking func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n improved state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ip.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숄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shoulder portion of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ip.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되는 종래의 선박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쇄빙선과 달리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항 효율을 위해 선수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고, 중앙부(111), 선수부(112), 선미부(113), 숄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8 , unlike the conventional ship shown in FIG. 9 , the shi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arrier that loads cargo and delivers it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unlike an icebreaker. Can be, the bow may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end for operational efficiency, and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1 , a bow portion 112 , a stern portion 113 , and a shoulder portion 130 .

도 1a 및 도 8을 참조하면, 중앙부(111)는, 선박(100)의 중심영역에 마련되고, 좌우현 방향으로 수직의 절단면에 대하여 단면적이 변화는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와 달리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111)는 좌우현 방향에 대한 수직 절단면이 대략적으로 사각형(선저의 좌우 각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방의 단면적 및 형태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1A and 8, the central part 111 i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hip 10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chang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ut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ow 112 and the stern part 113 and Alternatively, a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may be the same back and forth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central portion 111 may be made to have the same/similar cross-sectional area and shape in the front and rear while the vertical cut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approximately rectangular (each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ship bottom may be curved).

이러한 중앙부(111)는 상부에 선박(100)의 운항에 필요한 각종 설비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중앙부(111)에 대한 설명은, 선미부(113) 및/또는 선수부(112)에 마련되는 숄더부(13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구분한 것이고, 중앙부(111)는 선미부(113), 선수부(112)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선박(100)을 이루는 것이므로, 상기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Various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essel 100 may be provided on the central portion 111 .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central part 111 is divided to explain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part 130 provided on the stern part 113 and/or the bow part 112, and the central part 111 is the stern part 113. , Since i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ow 112 to form one vessel 100, it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above.

선수부(112)는, 선박(100)의 선수 영역을 이루어 중앙부(11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The bow portion 112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111 to form a bow region of the ship 100 .

여기서 선수부(112)는, 중앙부(111)와 달리 중앙부(111)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선수의 단을 향해 점차 좌우 폭(단면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선박(100)의 항해 시 전방에 위치한 선수부(112)에서 해수에 의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며,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bow 1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idth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area adjacent to the central part 111 to the end of the bow, unlike the central part 111, which is the front when the vessel 100 sails. In order to reduce the resistance by seawater in the bow 112 located in the, well-known techniques can be applied.

그리고 선수부(112)는 상갑판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앵커 등 다양한 설비 및 시설 등이 배치될 수 있고, 하측 내부에는 카고 홀드(Cargo hold) 및 보선 스토어(bosun store; 도시하지 않음) 등의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nd in the bow 112, various facilities and facilities such as anchor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based on the upper deck, and storage space such as a cargo hold and a bosun store (not shown) in the lower side is provided. can be formed.

선미부(113)는, 선박(100)의 선미 영역을 이루어 중앙부(111)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The stern part 113 may be provided in the rear of the central part 111 to form a stern region of the ship 100 .

선미부(113)는 또한 단면적이 변화할 수 있으나, 선수부(112)와 달리 추진 장치(도시하지 않음)등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추진 장치는, 프로펠러와 러더를 장착하는 방식과 포드 추진기(프로펠러와 포드)를 배치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tern part 113 may also change in cross-sectional area, but unlike the bow part 112,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such as a propulsion device (not shown). And the propulsion device, a method of mounting a propeller and a rudder and a method of arranging a pod thruster (propeller and a pod) may be applied.

이때, 포드 추진기를 배치하는 방식은, 러더를 배치하는 방식에 비하여 선박의 최소 회전반경이 작아 선박의 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포드 추진기가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disposing the pod thruster can improve the steering ability of the vessel because the minimum turning radius of the vessel is smaller than the method of disposing the rudd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더불어 선미부(113)는 내부에 카고홀드 및 엔진룸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ern portion 113 may have a cargo hold and an engine room formed therein, which will be omitted in lieu of a known technique.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숄더부(130)는, 선수부(112) 및/또는 선미부(113)에 마련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100)의 운항 시 별도의 쇄빙선이 운항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쇄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8 , the shoulder part 130 may be provided on the bow part 112 and/or the stern part 113 , and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ship 100 made of a carrier is operated. A separate icebreaker is not operated, and the icebreak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itself.

예를 들어 숄더부(130)는, 선수부(112)에 마련될 수 있고, 선박(100)을 선수로부터 선미까지를 20개의 섹션으로 등분(균등분할 할 수 있음)할 때 섹션 13 내지 18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섹션 14 내지 17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중앙부(111)와 달리 형상이 변경되는 영역으로서 선수부(112)와 같이 폭이 좁아지는 영역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houlder portion 130 may be provided on the bow portion 112, and when dividing the vessel 100 from the bow to the stern into 20 sections (can be equally divided), sections 13 to 18 are provided. It may be, and preferably, it may be provided between sections 14 to 17, which, unlike the central portion 111, is a region in which the shape is changed and may be a region in which the width is narrowed like the bow portion 112.

한편 숄더부(130)는, 선미부(113)에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때 선박(100)을 선수로부터 선미까지를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2 내지 7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섹션 3 내지 5에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oulder portion 130 may be provided in the stern portion 113, and at this time, it may be provided between sections 2 to 7 when the ship 100 is divided into 20 sections from the bow to the stern, preferably may be provided in sections 3 to 5.

물론 숄더부(130)는 선수부(112)와 선미부(113)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Of course, the shoulder portion 13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r both of the bow portion 112 and the stern portion 113 .

여기서 숄더부(130)는, 중앙부(111) 대비 폭이 작게 이루어지는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 마련되되, 중앙부(111)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숄더부(130)는 쇄빙의 기능을 이루기 위해 선박(100)의 외측에 마련되더라도 운반선으로서의 기능을 이루어 항구/암벽 등에 정박 시 숄더부(130)에 의한 암벽 접근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원활한 접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shoulder portion 130 is provided on the bow portion 112 or the stern portion 113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central portion 111 , and may protrude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111 . Accordingly, even if the shoulder portion 13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hip 100 to achieve the function of ice breaking, it functions as a carrier and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pproach of the rock wall by the shoulder portion 130 when anchored in a port / rock wall, etc. It can be made available for docking.

또한, 숄더부(130)는, 해수 상에 위치되는 얼음을 쇄빙하도록,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적어도 일부가 해수 위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얼음(I)이 형성되는 영역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ulder unit 1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above seawater when sailing in an ice-free sea to break ice located on seawater, and as shown in FIG. 5 , ice (I )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egion in which it is formed.

이러한 숄더부(130)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 제2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는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이 상이하여 절곡/휘어지는 지점을 가질 수 있으나 돌출되는 정도가 다를 뿐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숄더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후방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이 다른 경계선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The shoulder 13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31 and a second protrusion 132, as shown in FIG. 1 , and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protrude. The degree of increase may be different, so it may have a bending/bending point, but the degree of protrusion may be different, but it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houlder part 130,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was divided based on the boundary line with different growth rates.

다만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숄더부(130)가 하나 이상으로 분리될 수도 있어,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embodiment, since the shoulder part 130 may be separated into one or mor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be discontinuously formed.

구체적으로 숄더부(130)의 제1 돌출부(131)는,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111)의 측면과 나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131)가 마련되는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는 중앙부(111) 대비 폭이 감소되는데, 이때 제1 돌출부(131)는 중앙부(111)와 측면이 나란하도록 형성되면서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의 폭에 대비하여 돌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131 of the shoulder part 130 may be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art 111 as shown in FIG. 1 . Here, the bow portion 112 or the stern portion 113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131 is provided has a reduced width compared to the central portion 111. It may protrude in comparison with the width of the bow 112 or the stern 113 .

따라서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얼음과 충돌 시 숄더부(130)가 얼음을 쇄빙하여, 선박(100)에서 폭이 가장 크게 이루어지는 중앙부(111)가 얼음으로 인한 운항 저항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ow 112 or the stern 113 collides with ice, the shoulder 130 breaks the ice, so that the central part 111, which has the largest width in the ship 100, reduces operating resistance due to ice. can do.

더불어 숄더부(130)의 제2 돌출부(132)는 제1 돌출부(131)와 연속되고 제1 돌출부(131)에서 선미(선미부(113)에 마련되는 경우) 또는 선수(선수부(112)에 마련되는 경우)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돌출부(132)는 제1 돌출부(131)보다 먼저 얼음과 충돌하여 쇄빙 기능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132 of the shoulder portion 130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 to the stern (when provided in the stern 113) or the bow (to the bow 112). provided) side,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collide with ice before the first protrusion 131 to have a structure optimized for the ice breaking function.

일례로 도 1b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131)에서 제2 돌출부(132)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제2 돌출부(132)에서 제1 돌출부(131)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B , the closer the second protrusion 132 to the first protrusion 131, the more the rate of increase in the degree of protrusion left and right from the bow 112 (or the stern 113) is the second protrusion ( In 132), the closer to the first protrusion 131, the smaller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from side to side in the bow portion 112 (or the stern portion 113).

따라서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돌출부(131)가 경계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얼음과 먼저 맞닿는 제2 돌출부(132)가 경계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 the rate of increase in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protrusion 131 protrudes toward the boundary is determined by the second protrusion 132 that first contacts the ice. It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toward the .

예를 들어 선박(100)의 항해 과정에서 선수부(112)가 얼음과 충돌 시 얼음이 충분히 깨지지 않으면 선박(100)이 얼음을 타고 얼음의 상부에 선수부(112)가 위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숄더부(130)가 중앙부(111)의 전방인 선수부(112)에서 중앙부(111)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이룰 수 있으므로, 선수부(112)가 얼음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ce is not sufficiently broken when the bow 112 collides with ice in the course of sailing of the vessel 100, the vessel 100 rides on the ice and the bow 112 may be positioned on top of the ice. Since the shoulder portion 13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entral portion 111 in the bow 112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111 to achieve an ice break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w 112 from going up on the ice.

즉 도 6의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박은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의 숄더부(130) 근방에서 쇄빙 능력이 부족하여 좁은 쇄빙 채널(Narrow icebreaking channel)이 생성되어 빙저항이 큰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운항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도 6 (b)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넓은 쇄빙 채널(Wide icebreaking channel) 생성과 함께 아이스(ICE) 쇄빙성능이 향상되어, 빙저항이 감소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선박이 선회할 경우 얼음과 닿는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의 숄더부(130)에서 쇄빙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아이스 선회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도 5의 (c)참조).That is, as shown in FIG. 6 (a), the conventional ship lacks ice breaking ability near the shoulder part 130 of the bow part 112 and the stern part 113, so a narrow icebreaking channel is created. It may be difficult to operate because the ice resistance is high, bu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b), ice breaking performance is improved along with the creation of a wide icebreaking channel The resistance may be reduced, and since the ice breaking ability may be improved in the shoulder part 130 of the bow 112 and the stern part 113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ce when the ship turns, the ice turning ability may be improved. (See Fig. 5 (c)).

다만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돌출되는 비율은 상기 실시예와 다른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돌출되는 비율이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가 서로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포드가 마련되는 선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돌출되는 정도가 완만한 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However, the protrusion ratio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part 132 may be made in a modified example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so that the protrusion ratio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part 132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also be made similarly, as shown in FIG. 8 (which may be a ship in which a pod is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a gentle curve It may be made to be made of a structure.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의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와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차이가 마련되면서도 아래와 같이 상하 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되는 정도의 차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whil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like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provided, a difference in the protrusion degre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follows is formed. may be

즉 본 실시예는 선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전후 방향에서 위치에 따라 증가율이 다를 수 있고, 상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에 따라 증가율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쇄빙기능의 향상을 위해 입체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the degree of protrusion outward from the hull may have a different increase rate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increase rate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three-dimensional for the improvement of the ice-breaking function. can be improved with

여기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선박(100)은(도 1 및 도 8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되는 기술일 수 있음, 이때 도 1은 러더가 마련되는 선박일 수 있고, 도 8은 포드가 마련되는 선박일 수 있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에 대비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영역 중 일부를 복수의 절단면 형태로 도시한 것이며, 숄더부(130)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다.Here, the vessel 100 shown in Figs. 2 to 5 (may be a technology applied to both the embodiments of Figs. 1 and 8, in this case, Fig. 1 may be a vessel in which a rudder is provided, and Fig. 8 is a pod may be a vessel provid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ortion of the region in which the shape is deformed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is shown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ut surfaces, and the shoulder portion 130 is continuously formed to form a single shape. There is as mentioned above.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숄더부(130)는, 앞서 설명한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완만한 곡선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And the shoulder portion 130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described above, and preferably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 132),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even when a gentle curved structure is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8 .

구체적으로 숄더부(130)는, 상하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회 절곡 또는 휘어지는 지점(이하에서 '경계점'으로 명칭 함)을 갖고, 경계점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단으로부터 경계점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경계점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하단으로부터 경계점에 인접할수록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을 수 있다. 이때 경계점을 기준으로 상부의 길이가 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ulder 130 has a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undary point') that is bent or bent o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hen described based on the top and bottom, and from the top to the boundary point from the top to the boundary point based on the boundary point. The closer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w 112 or the stern part 113, the more the bow 112 or the stern 113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ttom to the boundary point from the lower part based on the boundary point. may be small compared to the rate of increase of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part based on the boundary point, so that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이는, 얼음과 맞닿지 않는 상부는 쇄빙각을 작게 형성하지 않고, 얼음과 맞닿는 하부에 대하여 쇄빙각이 작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쇄빙각은 얼음과 맞닿는 선체 표면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선체의 단면 형상이 U 타입이면 쇄빙각이 크고 얼음을 눌러 깨기 어려운 선체 형상인 반면 선체의 단면 형상이 V 타입이면 쇄빙각이 작아 쇄빙하기에 유리한 선체 형상을 갖게 된다. This is so that the ice-breaking angle is not formed small in the upper part not in contact with the ice, and the ice-breaking angle is formed small in the lower part in contact with the ice. In general, icebreaking angle is an expression indicat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hull surface in contact with ice. I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ull is U-type, the ice-breaking angle is large and the hull shape is difficult to break by pressing ice. The small ice-breaking angle has a favorable hull shape for ice-breaking.

하지만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선박이 항주할 경우에는 V 타입에 비해 U 타입의 선체 형상이 유체 저항을 감소시켜 OW 성능(Open water 운항 성능)을 향상시킨다. 즉 OW 기능이 유리한 U 타입 선박(100)이 얼음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쇄빙각이 커 아이스(ICE) 쇄빙 성능에 불리하면서 아이스 선회성능 또한 불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도 6의 a 참조, 빙저항이 큰 상태), 얼음과 접촉하는 숄더부(130)의 하부가 상부에 대비하여 쇄빙각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아이스 쇄빙성능 및 선회능력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것이다(도 6 b 참조, 빙저항이 감소된 상태).However, when a ship sails in ice-free waters, the U-type hull shape reduces fluid resistance compared to the V-type, improving OW performance (open water navigation performance). That is, the U-type vessel 100, which has an advantageous OW function, has a large ice-breaking angle 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ice, which is disadvantageous to the ice (ICE) ice-breaking performance and overcomes the disadvantage of the ice turning performance as well (see Fig. 6 a, ice resistance is large state),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part 130 in contact with the ice has a smaller ice breaking angle compared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ice breaking performance and turning ability are improved (see FIG. 6 b , the ice resistance is reduced) state).

이러한 숄더부(130)는 전체가 해수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이때 경계점을 기준으로 하부는 일부가 해수에 잠기고 일부는 노출되어 경계점 영역을 기준으로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OW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숄더부(130)의 하부가 얼음에 맞닿아 아이스 쇄빙 성능이 최적화될 수 있다.The shoulder 130 is not entirely exposed from the sea level, but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exposed. At this time, the lower part is submerged in the sea water based on the boundary point and the part is exposed so that it is exposed out of the water based on the boundary point area, ice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ice while minimizing the degradation of the OW performance when hanging in the sea without the ice, so that the ice breaking performance can be optimized.

여기서 복수의 경계점은 서로 연결 시 수선면과 수평선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얼음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얼음에 맞닿는 하단이 경계점을 기준으로 하부의 상단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plurality of boundary points may form a vertical plane and a horizontal line when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is so that the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ice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formation of the ic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point.

다만, 숄더부(130)의 하단점을 연결하는 하단선(130A)은 얼음에 먼저 맞닿는 지점으로 갈수록(선수부(112)에서는 선수로 갈수록, 선미부(113)에서는 선미로 갈수록) 선저에 대비하여 더 이격되어 곡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숄더부(130)는 하부에서 해수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However, the lower end line 130A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portion 130 toward the point in contact with the ice first (toward the bow in the bow 112, and toward the stern in the stern portion 113) in preparation for the bottom of the ship It may be further spaced apart to form a curved shape. Therefore, the shoulder 130 may guide the flow of seawater from the bottom.

이와 같이 숄더부(130)는 OW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쇄빙의 기능이 최적화되도록, 선수부(112) 또는 선미부(113)에서 부분 변형된 형태를 이루며, 중앙부(111)에 인접하는 변형율과 선수부(112)/선미부(113)에 인접하는 변형율 및/또는 상하 방향에 대한 변형율이 선박의 운항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쇄빙 기능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In this way, the shoulder part 130 forms a partially deformed shape in the bow 112 or stern part 113 so that the function of ice breaking is optimized without degrading the OW performance, and the deformation rate and the bow part adjacent to the central part 111 (112) / The deformation rate adjacent to the stern 113 and / or the deformation 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mproved so that the ice breaking functio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without degrad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essel.

즉 선박(100)의 OW 성능이 유리하기 위해서는, V 타입이 아닌 U 타입의 선수부(112)로 이루어져 부드러운 곡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여(U 타입의 쇄빙 기능은 V 타입에 대비 저하됨), 본 실시예는 선수부(112)가 U 타입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얼음이 닿는 영역에 국한하여 쇄빙 기능이 최적화되는 구조를 이루는 숄더부(130)가 마련되도록 개선된 것이며,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돌출 정도 증가비율 차이와 경계점을 기준으로 상하부의 변형(쇄빙각 차이)로 구현한 것이다.That is, in order for the OW performance of the ship 100 to be advantageous,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smooth curved surface made of the U-type bow 112 rather than the V-type (the ice breaking function of the U type is reduced compared to the V type), this practice The example is improved so that the bow 112 maintains the U-type, and the shoulder 13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optimizes the ice breaking function by limiting the ice contact area, which is the first protrusion as mentioned above.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the difference in the protrusion degree increase ratio and the boundary point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deformation (ice breaking angle difference) is implemented.

이러한 선박(100)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OW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면서도, 예를 들어 일정 선속(5knots)에서 11% 내외로 선수부(112)의 아이스(ICE) 저항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개시된 개선 후 선형은 도 1 내지 도 6에 개시된 선박(100)의 선형으로 선박(100)의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 각각의 좌우에 숄더부(130)를 구비하는 선박(100)의 선형으로, 숄더부(130)는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 모두를 구비하는 선형을 의미한다. 또한, 도 7에 개시된 선속이 "-"임은 선박(100)의 정지 상태, 즉 선속이 0인 상태를 의미한다. 즉, 아이스(ICE) 선회 성능은 선박(100)의 정지 상태에서 측정함을 알 수 있다.
Such a vessel 100, as shown in FIG. 7, while maintaining the OW performance without deterioration, for example, the ice (IC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bow 112 is improved by about 11% at a constant ship speed (5 knots). can be known by being
Here, after the improvement disclosed in FIG. 7 , the linearity of the ship 100 disclosed in FIGS. 1 to 6 is provided with shoulder parts 130 on the left and right of each of the bow 112 and the stern 113 of the ship 100 . In the linear form of the vessel 100 , the shoulder 130 means a linear having both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 In addition, the ship speed disclosed in FIG. 7 "-" means the stationary state of the ship 100,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ship speed is zero.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CE turning performance is measured 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vessel 100 .

그리고 설명되지 않은 도 1, 8의 A는 선수부(112)에 마련되는 숄더부(130)가 마련되는 영역 중 일부이고, B는 선미부(113)에 마련되는 숄더부(130)가 마련되는 영역 중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And in FIGS. 1 and 8 A, which is not described, is a part of the area in which the shoulder part 130 provided in the bow part 112 is provided, and B is the area in which the shoulder part 130 provided in the stern part 113 is provided. some of them are displayed.

더불어 본 실시예의 숄더부(13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선수부(112), 선미부(113) 중 어느 하나 또는 선수부(112)와 선미부(113) 모두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houlder portion 130 of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bow portion 112, the stern portion 113, or both the bow portion 112 and the stern portion 113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선수부(112)에 마련된 숄더부(130)는 선박이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선수 방향으로 운항할 때 도 5의 (b)와 같이 넓은 쇄빙 채널(Wide icebreaking channel)이 생성되어 아이스 쇄빙성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shoulder unit 130 provided in the bow 112 creates a wide icebreaking channel as shown in FIG. 5 (b) when the ship operates in the bow direction in the sea with ice, so that the ice breaking performance is improved. can help

또한 선수부(112)에 마련된 숄더부(130)는 도 5의 (c)와 같이 선박이 선수 방향으로 선회할 때 선수 근방에서 얼음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Bow shoulder crushing (얼음이 압착되어 잘 깨지지 않는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아이스(ICE) 선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ulder 130 provided in the bow 112 is bow shoulder crush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ice is compressed and not broken easily) which is generated by contact with ice near the bow when the ship turns in the bow direction as shown in FIG. 5(c). ) can help to alleviate the ice (ICE) tur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반면 선미부(113)에 마련되는 숄더부(130)는 도 5의 (c)와 같이 선박이 선수 방향으로 선회할 때 선미 근방에서 얼음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Stern shoulder crushing 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아이스(ICE)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oulder part 130 provided on the stern part 113 can help to alleviate the stern shoulder crushing that is caused by contact with ice in the vicinity of the stern when the ship turns in the bow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CE turning performance.

더불어 러더 대신 포드 추진기를 장착하는 선박은,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선미 방향으로 쇄빙 및 선회 운항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선미 방향으로 운항할 때는 선수부(112)에 마련된 숄더부(130)와 선미부(113)에 마련된 숄더부(130)의 역할이 변경될 수도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In addition, ships equipped with pod thrusters instead of rudders are often designed to perform ice breaking and turning operations in the stern direction in sea with ice, and at this time, when operating in the stern direction, the shoulder portion 130 provided on the bow 112 ) and the role of the shoulder portion 130 provided on the stern portion 113 may be chang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운반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박(100) 외측에 숄더부(130)가 마련되면서도 접안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자체적으로 쇄빙 및 선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선박(100)의 운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shoulder part 13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hip 100 made of a carrier, berthing can be made easily, and icebreaking and turning can be easily made by itself in the sea with ice, so that the ship ( 100) can be effectively operat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선박 111: 중앙부
112: 선수부 113: 선미부
130: 숄더부 131: 제1 돌출부
132: 제2 돌출부
100: ship 111: central part
112: fore part 113: stern part
130: shoulder portion 131: first protrusion
132: second protrusion

Claims (8)

화물을 적재하고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전달하는 운반선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전후로 동일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선수부;
상기 중앙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미부; 및
상기 선수부 및 상기 선미부 모두에 마련되며, 상기 선수부 및 상기 선미부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쇄빙 기능을 구현하는 숄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수부의 상기 숄더부는 선수 방향으로 선회할 때 선수 근방에서 발생하는 Bow shoulder crushing을 완화시키고,
상기 선미부의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수 방향으로 선회할 때 선미 근방에서 발생하는 Stern shoulder crushing 모두를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In a carrier that loads cargo and delivers it from an origin to an destination,
a central portion in which a cross section of a certain size and shape is the same back and forth by a certain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w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a stern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entral portion; and
It is provided on both the bow part and the stern part, and includes a shoulder part provid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w part and the stern part to implement an ice breaking functi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w relieves the bow shoulder crushing that occurs near the bow when turning in the bow directi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stern portion of the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alleviating all of the stern shoulder crushing that occurs in the vicinity of the stern when turning in the bow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폭을 넘지 않는 범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ulder portion,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in a range not exceeding the width of the central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중앙부의 측면과 나란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되고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선미 또는 선수 측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ulder portion,
a first protrusion parallel to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protrus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is provided on the stern or bow side in the first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제2 돌출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w part or the stern part as it approaches the second protrusion from the first protrusion is,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r to the first protrusion in the second protrusion, the smaller compared to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from side to side from the bow or the ster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1회 절곡 또는 휘어지는 지점을 갖고,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은,
상기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점에 인접할수록 상기 선수부 또는 상기 선미부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정도의 증가율 대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ulder portion,
It has a point where it bends or bends o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from the bow or the stern part as the closer to the point from the top from the top with respect to the point is,
Based on the point, the closer to the point from the lower end at the bottom, the smaller compared to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protrusion from side to side from the bow or the ster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의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13 내지 18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w portion is provided between sections 13 to 18 when the ship is divided into 20 sections equ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부의 상기 숄더부는, 상기 선박을 20개의 섹션으로 등분할 때 섹션 2 내지 7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shoulder portion of the ster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sections 2 to 7 when dividing the ship into 20 sections equ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얼음이 없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해수 위로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얼음이 있는 해상에서 항주 시 하단점을 잇는 하단선은 얼음에 먼저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선저에 대비하여 더 이격되어 곡선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ulder portion,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exposed above the sea water during Hangzhou in an ice-free sea, and the lower line connecting the lower point in Hangzhou in an ice-free sea is more spaced from the point that first touches the ice to the upper part to form a curved shape.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achieves.
KR1020200028629A 2020-03-06 2020-03-06 Ship KR102327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29A KR102327625B1 (en) 2020-03-06 2020-03-06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29A KR102327625B1 (en) 2020-03-06 2020-03-06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40A KR20210112940A (en) 2021-09-15
KR102327625B1 true KR102327625B1 (en) 2021-11-16

Family

ID=7779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29A KR102327625B1 (en) 2020-03-06 2020-03-06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625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725A (en) * 1978-06-30 1983-01-25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increasing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ice-covered waters
KR20150044544A (en)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tractable breaking device for bow ice-breaking vessel
KR20150044545A (en) * 2013-10-17 2015-04-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tractable breaking device for stern ice-breaking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40A (en)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255B2 (en) Ship with stern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flecting a flow of water
US7578250B2 (en) Watercraft with wave deflecting hull
RU2429157C2 (en) Method of breaking ice, ship with engine and method and its application
CN101137536A (en) A foreship arrangement for a vessel of the deplacement type
JP5986856B2 (en) Commercial cargo ship
EP0585698B1 (en) High-speed lateral-stability hull construction
CN102145742B (en) Ship structure with azimuth propulsion device
US20090308300A1 (en) Watercraft with wave deflecting hull
KR20030042415A (en) Bow form of ship
NO172222B (en) CATAMARAN TYPE SURFACE VESSEL WITH TWO SIDING HODS
JP2012162116A (en) Wave shock relieving device
KR102327625B1 (en) Ship
JP4009643B2 (en) Ship bow shape
US20070157865A1 (en) Watercraft with wave deflecting hull
CN109094743B (en) Large polar region transport ship structure
EP1545968B1 (en) Vessel provided with a foil situated below the waterline
EP2603420B1 (en) Full form ship's hull with reduced wave making resistance
JP2007118950A (en) Enlarged vessel
JP5969170B2 (en) Ship
JP2006008091A (en) Vessel shape for small high speed vessel
RU200935U1 (en) HULL OF UNIVERSAL DRY-LOADING VESSEL OF INCREASED ICE PASSAGE
JP5143510B2 (en) Hull structure
JP2012116401A (en) Ship
KR20220059828A (en) Ice braker
JP4102315B2 (en)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