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605B1 -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605B1
KR102327605B1 KR1020210060868A KR20210060868A KR102327605B1 KR 102327605 B1 KR102327605 B1 KR 102327605B1 KR 1020210060868 A KR1020210060868 A KR 1020210060868A KR 20210060868 A KR20210060868 A KR 20210060868A KR 102327605 B1 KR102327605 B1 KR 10232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setting
communication
cen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제
Original Assignee
조민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제 filed Critical 조민제
Priority to KR102021006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05B1/ko
Priority to PCT/KR2021/006229 priority patent/WO20220455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할 수 있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음성 안내를 하여 상대가 사용자의 통신가능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안내 멘트 설정 요청 및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사용자 단말 및 고객 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와 연결을 수행하는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Equipment for User Oriented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 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할 수 있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음성 안내를 하여 상대가 사용자의 통신가능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통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음성 통화 이외에도 각종의 부가적인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발신자 번호 표시(CID: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가 있다. 상기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호설정(call establishment) 이전에 발신자의 이동 단말기 식별번호(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착신자에게 미리 제공함으로써, 착신자가 자신에게 걸려 온 전화가 누구에게서 걸려온 전화인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이와 같은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발신측의 번호정보를 수신측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수신측이 전화를 받기 전에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스팸 전화로부터 수신측을 보호할 수 있으며, 수신측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환경일 때에는 추후 발신자 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의 발신측에 직접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다만, 발신측이 공중전화 등과 같은 발신전용 단말기로 전화를 걸었던 경우에는 발신자 표시 서비스가 유명무실하였으며, 발신측이 사설교환기를 통해 발신하였을 경우에는 발신측의 실제 전화번호와는 다른 번호정보가 수신측에 제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발신자 표시 서비스의 신뢰성을 저하시켰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발신측이 발신에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기와 착신에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상이할 때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오히려 발신자 표시 서비스가 발신용 단말기의 이용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개인의 업무와 사생활 간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벨(Work-life balance)을 추구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나, 스마트폰, e-메일, SNS 등의 기술 혁신에 의해 일을 위해 할당된 시간과 삶의 다른 측면 사이에서 개인이 필요로 하는 시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개인 생활이 침해를 받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따라서, 업무와 사생활 간의 구분 및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07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296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통신 서비스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할 수 있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음성 안내를 하여 상대가 사용자의 통신가능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의 업무와 사생활 간의 구분 및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 전화 번호 노출로 인한 업무 외 시간에 이루어지는 업무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직접 업무 시간, 멘트를 설정하여 발신자에게 안내 멘트를 발송하여 개인의 사생활 보호 및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할 때 사용자의 상태(업무 시간, 업무 외 시간, 휴가, 점심 시간 등)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발신자가 긴급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업무 외 시간에 통화가 안될 시 문자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담당자가 외부에서 고객 민원인과 통화할 때 담당자의 개인 전화번호를 노출하지 않고 통화를 하여 민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신장비에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공기관 및 일반 직장인들의 자기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업무 외 시간에 특정 번호를 통화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기능과 특정 번호에 대해 영구 차단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업무 처리 효율 및 사생활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은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안내 멘트 설정 요청 및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사용자 단말 및 고객 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와 연결을 수행하는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를 포함하고, 사용자 앱에서 발신하여 고객과 통화를 시도하면, 사용자 등록 정보 및 기능 등록 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노출되는 번호를 변경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와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 연결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에 변경된 전화 번호가 표시되어 통화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는, 발신 및 수신 호 연결을 수행하는 IP-PBX와,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을 저장하는 DB 서버와,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운영 서버와,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웹, 앱에서 등록 설정된 발신번호 표시, 유선 전화번호 변경 및 기간을 통신사 교환 장비에 요청하는 CID 서버를 포함하고,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설정 및 등록 요청에 의해 안내 멘트 송출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는,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정보 설정 요청부와,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로 업무 시작 시간,업무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을 요청하는 시간 설정 요청부와,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로 업무 시작 시간,업무 종료 시간에 관한 안내 멘트 설정을 요청하는 안내 멘트 설정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운영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 및 시간 설정, 안내 멘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정보 저장부와,호 소통시에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는 호 소통 매핑부와,안내 멘트 송출을 하는 안내 멘트 송출부와,사용자 설정 시간 이외의 시간에 IP-PBX로 연결 차단 요청을 하는 연결 차단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은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하여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및 기능 설정 요청 단계;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의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설정을 하는 기능 설정 단계;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하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을 하여 상대가 사용자의 통신가능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앱에서 발신하여 고객과 통화를 시도하면, 사용자 등록 정보 및 기능 등록 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노출되는 번호를 변경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와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 연결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에 변경된 전화 번호가 표시되어 통화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입력 및 기능 설정 요청 단계에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웹, 앱 정보, 기능 설정 및 등록 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하여 웹 또는 앱 로그인을 하고,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을 하는 단계와,기능 설정 등록 요청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의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설정을 하는 기능 등록 및 통신 장비 등록 요청을 하는 단계와,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의 서버들에서 기능 등록 및 통신 장비 등록 요청이 이루어진 정보의 저장 및 기능 등록을 하여,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정 번호가 고객에게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은, 고객 단말기가 발신을 하면,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에서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연결을 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수신 통화 CDR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고객과 수신 통화를 하는 단계와,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 및 등록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고객 단말기로 업무 시간 안내 멘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은, 발신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정 번호로 발신하면,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가 연결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발신 내역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업무가 종료된 시간인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업무 종료 안내 멘트 송출을 하고, 발신자와 통화 차단을 하는 단계와,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업무 중인 시간인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업무 시간 안내 멘트 송출을 하여 사용자와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할 수 있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통보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개인의 업무와 사생활 간의 구분 및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용자 개인 전화 번호 노출로 인한 업무 외 시간에 이루어지는 업무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직접 업무 시간, 멘트를 설정하여 발신자에게 안내 멘트를 발송하여 개인의 사생활 보호 및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발신자가 통화를 원할 때 사용자의 상태(업무 시간, 업무 외 시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발신자가 긴급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업무 외 시간에 통화가 안될 시 문자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섯째, 담당자가 외부에서 고객 민원인과 통화할 때 담당자의 개인 전화번호를 노출하지 않고 통화를 하여 민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통신장비에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공기관 및 일반 직장인들의 자기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사용자가 업무 외 시간에 특정 번호를 통화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기능과 특정 번호에 대해 영구 차단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업무 처리 효율 및 사생활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사용자 웹, 앱 정보, 기능 설정 등록 흐름도
도 5는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에서 지정 번호 매칭을 위한 흐름도
도 6은 사용자 전화 수신 흐름도
도 7은 사용자 전화, 발신번호변경 흐름도
도 8은 사용자 전화 발신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은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할 수 있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통보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의 업무와 사생활 간의 구분 및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개인 전화 번호 노출로 인한 업무 외 시간에 이루어지는 업무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직접 업무 시간, 멘트를 설정하여 발신자에게 안내 멘트를 발송하여 개인의 사생활 보호 및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할 때 사용자의 상태(업무 시간, 업무 외 시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발신자가 긴급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업무 외 시간에 통화가 안될 시 문자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담당자가 외부에서 고객 민원인과 통화할 때 담당자의 개인 전화번호를 노출하지 않고 통화를 하여 민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업무 외 시간에 특정 번호를 통화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기능과 특정 번호에 대해 영구 차단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업무 처리 효율 및 사생활 보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업무,업무 종료…등)을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안내 멘트(업무,업무 종료…등) 설정 및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와, 사용자 단말 및 고객 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와 연결을 수행하는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30)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안내 멘트 송출 요청,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는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 이외에 고객 니즈에 맞는 형태의 통신 서비스 환경 구축을 위하여, 사용자 개개인이 직접 호 연결 및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여 개개인에 맞는 통신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는 발신 및 수신 호 연결을 수행하는 IP-PBX(50)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를 통한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을 저장하는 DB 서버(60)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안내 멘트 송출,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운영 서버(70)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의 웹, 앱에서 등록 설정된 발신번호 표시, 유선 전화번호 변경 및 기간을 통신사 교환 장비(30)에 요청하는 CID 서버(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간 통신사 교환기 장비,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는 하나 또는 여러 서버로 기능을 구분하거나 합쳐서 구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은 [통신장비 설정 기능]으로 노출하는 전화번호(050,070,15xx,080,..등) 지정,업무시간 설정, 업무종료 설정을 하고, 음성 멘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비 전화 수신 설정 기능]으로 전화 수신 설정을 하여 전화 수신 시간 해제 및 설정을 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통신장비 문자 발신 설정 기능]으로 문자 발신 유선 전화 번호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비 전화 발신 설정 기능]으로 전화 발신 유선 전화 번호를 변경 설정(정부기관,공공기관)할 수 있다.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정보 설정 요청부(11)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로 업무시간,업무 종료 시간,…등의 시간 설정을 요청하는 시간 설정 요청부(12)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로 업무시간,업무 종료 시간,…등의 안내 멘트 설정을 요청하는 안내 멘트 설정 요청부(13)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운영 서버(7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운영 서버(70)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 및 시간 설정, 안내 멘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정보 저장부(71)와, 호 소통시에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는 호 소통 매핑부(72)와, 안내 멘트 송출을 하는 안내 멘트 송출부(73)와, 사용자 설정 시간 이외의 시간에 IP-PBX(50)로 연결 차단 요청을 하는 연결 차단 요청부(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영 서버(70)는 문자 발송을 요청하는 문자 발송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은 크게,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하여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하고, 안내 멘트 설정 요청 및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및 기능 설정 요청 단계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의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설정을 하는 기능 설정 단계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하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음성 안내를 하여 상대가 사용자의 통신가능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 정보 입력 및 기능 설정 요청 단계에 관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의 웹, 앱 정보, 기능 설정 등록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사용자 웹, 앱 정보, 기능 설정 등록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를 통하여 웹 또는 앱 로그인을 하고(S401),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하고, 안내 멘트 설정 요청 및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을 한다.(S402)
기능 설정 등록 요청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에서,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의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설정을 하는 기능 등록 및 통신 장비 등록 요청을 한다.(S403)
이어,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의 서버들에서 기능 등록 및 통신 장비 등록 요청이 이루어진 정보의 저장 및 기능 등록을 하여(S404),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정 번호를 고객에게 노출되도록 한다.(S405)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에서 지정 번호 매칭을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고객 단말기가 발신을 하면(S501),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30)에서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 연결을 하고(S502),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서 수신 통화 CDR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고객과 수신 통화를 한다.(S503)
여기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 및 등록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 및 업무시간,업무 종료 시간,…등의 시간 설정, 안내 멘트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에서 고객 단말기로 업무 시간 안내 멘트를 송출한다.(S504)
삭제
도 6은 사용자 전화 수신 흐름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전화 수신 과정은 먼저, 발신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정 번호로 발신하면(S611),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30)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가 연결되고(S612),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서 발신 내역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S613)
그리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서 업무가 종료된 시간인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업무 종료 안내 멘트 송출을 하고(S615), 발신자와 통화 차단을 한다.(616)
그리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서 업무 중인 시간인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업무 시간 안내 멘트 송출을 하여(S617) 사용자와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618)
삭제
도 7은 사용자 전화, 발신번호변경 흐름도이다.
사용자에 의한 전화 및 문자 발신 과정은 먼저, 사용자 앱에서 발신하여 고객과 통화를 시도하면(701), 사용자 등록 정보 및 기능 등록 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노출되는 번호 변경을 한다.(S702)
그리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와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30) 연결을 통하여(S703), 고객 단말기에 변경된 유선 전화 번호가 표시되어 통화를 한다.(S705)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는 고객에게 안내 멘트 송출을 하고(S704), 통화 종료후 사용자 웹,앱에 통화 실패 또는 통화 내역을 표시한다.(S706)
도 8은 사용자 전화 발신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기 앱에서 고객 전화번호로 발신하면(S801),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30)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가 연결되고(S802),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서 기간 통신사 교환기 발신자 번호 변경을 하고(S805), 고객과 통화를 한다.(S806)
그리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40)에서 발신 내역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로 전송하고(S803),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10)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발신자 내역을 전송한다.(S80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은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할 수 있고, 통신 가능 시간 설정 및 음성 안내를 하여 상대가 사용자의 통신가능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통신장비에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공기관 및 일반 직장인들의 자기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 30.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
40.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 50. IP-PBX
60. DB 서버 70. 운영 서버
80. CID 서버

Claims (10)

  1.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안내 멘트 설정 요청 및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고객 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와 연결을 수행하는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를 포함하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은, 고객 단말기가 발신을 하면,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에서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연결을 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수신 통화 CDR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고객과 수신 통화를 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 및 등록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고객 단말기로 업무 시간 안내 멘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는,
    발신 및 수신 호 연결을 수행하는 IP-PBX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을 저장하는 DB 서버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운영 서버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웹, 앱에서 등록 설정된 발신번호 표시, 유선 전화번호 변경 및 기간을 통신사 교환 장비에 요청하는 CID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설정 및 등록 요청에 의해 안내 멘트 송출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는,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는 정보 설정 요청부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로 업무 시작 시간,업무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을 요청하는 시간 설정 요청부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로 업무 시작 시간,업무 종료 시간에 관한 안내 멘트 설정을 요청하는 안내 멘트 설정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운영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정보 및 시간 설정, 안내 멘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정보 저장부와,
    호 소통시에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는 호 소통 매핑부와,
    안내 멘트 송출을 하는 안내 멘트 송출부와,
    사용자 설정 시간 이외의 시간에 IP-PBX로 연결 차단 요청을 하는 연결 차단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5.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구성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하여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및 기능 설정 요청 단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한 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의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설정을 하는 기능 설정 단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등록 요청에 의해 등록된 지정번호와 매핑을 수행하고, 발신 및 수신 호 연결, 사용자 등록 및 설정 값 저장, 연결 차단 요청, 지정 번호 표시 요청을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은, 고객 단말기가 발신을 하면,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에서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연결을 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수신 통화 CDR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고객과 수신 통화를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 및 등록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고객 단말기로 업무 시간 안내 멘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입력 및 기능 설정 요청 단계에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의 웹, 앱 정보, 기능 설정 및 등록 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를 통하여 웹 또는 앱 로그인을 하고,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시간을 설정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 기능 설정 등록을 요청을 하는 단계와,
    기능 설정 등록 요청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의해 지정 번호,성명,착신 번호 설정을 하는 기능 등록 및 통신 장비 등록 요청을 하는 단계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의 서버들에서 기능 등록 및 통신 장비 등록 요청이 이루어진 정보의 저장 및 기능 등록을 하여,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의 지정 번호가 고객에게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지정하고,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앱에서 발신하여 고객과 통화를 시도하면, 사용자 등록 정보 및 기능 등록 정보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노출되는 번호를 변경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와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 연결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에 변경된 전화 번호가 표시되어 통화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 전화 수신 과정은,
    발신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정 번호로 발신하면, 기간 통신사 교환 장비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가 연결되고,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발신 내역을 사용자 중심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업무가 종료된 시간인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업무 종료 안내 멘트 송출을 하고, 발신자와 통화 차단을 하는 단계와,
    사설 통신 장비 또는 통신사 장비에서 업무 중인 시간인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업무 시간 안내 멘트 송출을 하여 사용자와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60868A 2020-08-27 2021-05-11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32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868A KR102327605B1 (ko) 2020-08-27 2021-05-11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1/006229 WO2022045527A1 (ko) 2020-08-27 2021-05-18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90A KR102275569B1 (ko) 2020-08-27 2020-08-27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60868A KR102327605B1 (ko) 2020-08-27 2021-05-11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490A Division KR102275569B1 (ko) 2020-08-27 2020-08-27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605B1 true KR102327605B1 (ko) 2021-11-17

Family

ID=76864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490A KR102275569B1 (ko) 2020-08-27 2020-08-27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060868A KR102327605B1 (ko) 2020-08-27 2021-05-11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490A KR102275569B1 (ko) 2020-08-27 2020-08-27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75569B1 (ko)
WO (1) WO202204552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314A (ja) * 2001-11-08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交換機およびその不応答転送方法
KR20060076983A (ko) * 2004-12-29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2967A (ko) 2007-07-05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번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20795A (ko)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호의 발신 번호를 변경하는 시스템과 방법 및 유선전화기
KR101065776B1 (ko) * 2011-02-16 2011-09-19 이강훈 컨택센터의 실시간 상담 통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9915A (ko) * 2014-02-24 2015-09-02 천중영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KR20180111475A (ko) * 2017-03-30 2018-10-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314A (ja) * 2001-11-08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交換機およびその不応答転送方法
KR20060076983A (ko) * 2004-12-29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2967A (ko) 2007-07-05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번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20795A (ko)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호의 발신 번호를 변경하는 시스템과 방법 및 유선전화기
KR101065776B1 (ko) * 2011-02-16 2011-09-19 이강훈 컨택센터의 실시간 상담 통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9915A (ko) * 2014-02-24 2015-09-02 천중영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KR20180111475A (ko) * 2017-03-30 2018-10-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569B1 (ko) 2021-07-09
WO2022045527A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163B2 (en) Sender-address-based telecommunications operator callback system and method
WO2006074318A1 (en) Determination of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destination telephone
SE9901505D0 (sv) Method and apparatus of invoking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JP4203738B2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KR102327605B1 (ko) 사용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장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11856135B1 (en) Non-associative telephony and SMS messaging
KR20110017123A (ko) 스팸 차단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스팸 인증 장치
CA2962311C (en) Improved automatic caller identification translation
KR20070096162A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5306753A (zh) 一种公开手机号码并拦截骚扰电话、短信的系统和方法
US8036700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102378627B1 (ko) 발신자의 편의를 높인 통화유지 상태에서의 수신자 선택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77761A (ko) 다중 전화 번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WO2015099073A1 (ja) 個人情報付加システムおよび課金方法
JP7190764B2 (ja) 通話システム、通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78626B1 (ko) 발신자의 편의를 높인 통화유지 상태에서의 수신자 선택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0016906A (ja)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JP5602110B2 (ja) 電話取次ぎ装置および電話機
JP2014197911A (ja)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KR100761464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정보 송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4508A (ja)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JP2017201839A (ja)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JP4136983B2 (ja)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JP2011244508A (ja)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JP4465022B2 (ja) 着信規制方法、識別情報管理装置、発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