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10B1 -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410B1
KR102327410B1 KR1020200074179A KR20200074179A KR102327410B1 KR 102327410 B1 KR102327410 B1 KR 102327410B1 KR 1020200074179 A KR1020200074179 A KR 1020200074179A KR 20200074179 A KR20200074179 A KR 20200074179A KR 102327410 B1 KR102327410 B1 KR 10232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fuel supply
pressure
pump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혁
최안철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410B1/ko
Priority to CN202080101981.2A priority patent/CN115697836A/zh
Priority to JP2022575940A priority patent/JP7485796B2/ja
Priority to PCT/KR2020/018576 priority patent/WO20212566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은, 선박의 데크에 마련된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선내 엔진으로 액화가스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의 상류로 재순환시키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에 마련되어 재순환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기액분리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리턴라인에서 상기 세퍼레이터 상류에 마련되는 감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라인을 통해 재순환되는 상기 액화가스는 상기 감압부에서 감압으로 냉각되어 상기 세퍼레이터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Fuel Supplying System And Method For Liquefied Gas Carrier}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서 엔진으로 초과공급되어 남은 LPG를 회수하여 재순환시키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NG(Liquefied Natural Gas)나 LPG(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액화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상태로 액화가스 운반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LNG나 LPG 등의 액화가스는 천연가스 혹은 석유가스를 극저온(LNG의 경우 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폭 감소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석유가스의 액화 온도는 상압 약 -42℃의 저온이고, 18 bar에서는 약 45℃의 온도까지, 7 bar에서는 20℃까지 액체 상태로 저장가능하다. LPG는 상압 -42℃보다 높으면 증발되므로, 선박의 LPG 저장탱크에는 단열처리가 되어있다. 그러나 외부의 열이 지속적으로 LPG에 전달되므로, LPG 수송 과정에서 LPG 저장탱크 내에서 지속적으로 LPG가 기화되어 LPG 저장탱크 내에 증발가스(Boil-Off Gas)가 발생한다.
LPG 운반선에서는 LPG 저장탱크 내에 증발가스가 축적되면 LPG 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므로, LPG 저장탱크에 내압구조를 갖추는 한편 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를 사용한다.
한편, 종래의 LPG 운반선 등에는 선박의 추진 연료로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벙커C유 등의 중유를 사용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중유 연료 공급 시스템은 중유 연료 사용에 대한 국제적인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로 황 성분이 적은 중유 연료 탱크(LSHFO tank)를 별도로 설치해야 했고, 국제적인 환경규제 기준에 적합한 친환경적인 연료 공급 시스템의 요구가 커졌다.
최근에는 LPG 또는 LNG 운반선에서 LPG 또는 LNG 및 그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공급시스템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고, 국제적인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에 따라 LPG 또는 LNG 운반선 외에 일반 선박에서도 LNG 등을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LPG는 극저온에서 액화되는 LNG보다 저장이 용이하고 기존 HFO에 견주어 SPECIFIC ENERGY와 ENERGY DENSITY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기존 HFO 대비 SOX, NOX, CO2, PM등의 절감 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서 종래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시스템의 일 예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에 연료로 공급될 LPG는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압축용 펌프, 히터 등을 포함하는 연료공급부(Fuel Supply System)를 거치면서 엔진의 연료공급조건에 맞추어 공급라인(L1)을 통해 선박의 엔진에 공급된다.
비압축성 유체인 LPG는 엔진의 로드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보다 초과공급될 수 있으며, 초과공급되어 연료로 소비되고 남는 LPG나 엔진 로드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율 변화로 남는 LPG는 회수라인(L2)을 통해 엔진으로부터 엔진의 상류로 회수한다.
그런데, 회수라인을 통해 회수되는 LPG는 엔진의 연료공급조건에 맞추어 압축 및 가열되어 고온 고압 상태이므로 이를 연료공급탱크로 보내면 탱크 내 압력 및 온도를 높이는 문제가 있고, 엔진에서 유입된 윤활유(sealing oil)로 인한 LPG 오염 우려가 있으며, 연료공급탱크의 온도가 -10℃ 이하로 떨어지면 결정화될 우려도 있다. 한편, 회수되는 LPG를 그대로 배출시켜 태워 없애면 연료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엔진에서 회수되는 LPG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데크에 마련된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선내 엔진으로 액화가스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의 상류로 재순환시키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에 마련되어 재순환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기액분리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리턴라인에서 상기 세퍼레이터 상류에 마련되는 감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라인을 통해 재순환되는 상기 액화가스는 상기 감압부에서 감압으로 냉각되어 상기 세퍼레이터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부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펌프에서 이송된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상기 엔진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승압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상의 액화가스는 상기 제1 펌프와 제2 펌프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재순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회수하는 베이퍼라인; 및 상기 베이퍼라인에 마련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력을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보다 0.5 내지 2 bar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공급라인에서 상기 압축부의 후단에 마련되며 압축된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연료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턴라인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로 연결되는 제1 리턴라인; 및 상기 제2 펌프와 연료히터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로 연결되는 제2 리턴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부는, 상기 제1 리턴라인에 마련되는 제1 감압장치; 및 상기 제2 리턴라인에 마련되는 제2 감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먼저 제2 펌프의 펌프 스피드를 낮추고, 여전히 설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감압장치를 열어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운송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카고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재액화하는 재액화부; 및 상기 재액화부로부터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거쳐 상기 카고탱크로 연결되는 냉각라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액화부에서 재액화된 액화가스는 상기 냉각라인을 따라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키고 상기 카고탱크로 이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상기 액화가스를 이송하여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데크에 마련된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연료공급라인을 따라 액화가스를 압축부에서 압축하여 선내 엔진에 연료로 공급하고,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상기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의 상류로 재순환시키는 리턴라인에 감압부를 마련하여 재순환될 액화가스를 감압하고, 감압으로 냉각된 재순환 액화가스는 세퍼레이터에서 기액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부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펌프에서 이송된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상기 엔진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승압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상의 액화가스는 상기 제1 펌프와 제2 펌프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재순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회수하되,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회수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력을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보다 0.5 내지 2 bar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먼저 제2 펌프의 펌프 스피드를 낮추고, 여전히 설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펌프의 후단에서 액화가스 일부를 감압하여 상기 세퍼레이터로 배출시켜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운송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카고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재액화부에서 재액화하고, 상기 재액화부에서 재액화된 액화가스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거쳐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키고 상기 카고탱크로 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상기 액화가스를 이송하여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으로 연료 공급을 위해 압축된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리턴라인을 통해 재순환시키되, 압축된 액화가스를 리턴라인에서 감압으로 냉각시키고 세퍼레이터를 통해 기액분리하여 액상의 액화가스만을 연료공급라인으로 공급하여 재순환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엔진으로 초과공급되어 연료로 소비되고 남은 액화가스를 재순환시킴으로써, 윤활유(sealing oil)로 인한 연료공급탱크 내 LPG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재순환되는 액화가스를 냉각시키고 기액분리하여,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압축부의 제1 펌프를 거쳐 공급되는 과냉각(subcooled) LPG와 함께 제2 펌프로 도입시킴으로써, 압축부의 제2 펌프 흡입부(suction)에서 베이퍼(vapor) 발생 위험을 낮추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압축부의 장치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는 연료공급탱크로 이송하고, 카고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재액화하여 이를 냉각라인을 통해 연료공급탱크를 거쳐 카고탱크로 이송함으로써, 재액화된 액화가스를 통해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켜 탱크의 압력과 온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이 마련된 선박에서 종래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박은, 액화석유가스를 추진용 엔진의 연료 또는 발전용 엔진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이 설치되는 모든 종류의 선박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LPG 운반선, LNG 운반선(LNG Carrier), 액체수소 운반선, LNG RV(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자체 추진 능력을 갖춘 선박을 비롯하여,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와 같이 추진 능력을 갖추지는 않지만 해상에 부유하고 있는 해상 구조물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저온으로 액화시켜 수송될 수 있고, 저장된 상태에서 증발가스가 발생하며 엔진의 연료로 공급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액화가스의 연료공급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예를 들어 LNG(Liquefied Natural Gas), LEG(Liquefied Ethane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프로필렌가스(Liquefied Propylene Gas) 등과 같은 액화석유화학가스 및 암모니아 등일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액화가스 중 하나인 LPG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시스템은, 선박의 데크에 마련된 연료공급탱크(DT)로부터 선내 엔진(E)으로 액화가스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라인(SL)과, 연료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110, 120),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의 상류로 재순환시키는 리턴라인(RL1, RL2), 리턴라인에 마련되어 재순환되는 액화가스를 기액분리하는 세퍼레이터(210), 리턴라인에서 세퍼레이터 상류에 마련되는 감압부(220, 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턴라인을 통해 재순환되는 액화가스는 감압부를 거쳐 감압되며, 액화가스는 감압 과정에서 줄-톰슨 효과에 의해 냉각되어 세퍼레이터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부는,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제1 펌프(110)와, 제1 펌프에서 이송된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상기 엔진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승압하는 제2 펌프(120)를 포함하는 두 개의 펌프로 이루어진다.
제1 펌프(110)는 액화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저압 펌프로 원심 펌프(centrifugal pump)로, 제2 펌프(120)는 엔진에서 요구하는 연료공급압력으로 압축하는 고압 펌프로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및 제2 펌프를 거친 액화가스는 연료공급라인에서 압축부의 후단에 마련된 연료히터(130)에서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로 가열되어 엔진으로 공급된다.
연료공급라인에서 압축부 및 연료히터를 거쳐 압축 및 가열된 액화가스는 연료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40)와 서비스밸브부(SVT)를 거쳐 엔진(E)으로 공급된다. 서비스밸브부에서는 엔진으로 LPG를 공급하면서 엔진의 연료유 전환이나 LPG 모드 정지, 트립 등으로 LPG 연료 공급이 중단될 때 밸브를 통해 각 배관을 이중 차단하며 배관 내 압력을 해소한다.
이러한 압축 및 가열된 LPG를 연료로 공급받는 엔진은 일 예로 MAN Diesel & Turbo사(社)의 ME-LGIP 엔진일 수 있다. 이 경우 LPG는 압축부 및 연료히터를 거쳐 54 bar, 35℃ 내외의 고압 액체 상태로 엔진에 공급되며, 엔진에서 유압으로 600 내지 700 bar의 압력으로 노즐에 분사되어 엔진이 가동된다.
즉, 본 실시예의 엔진에서는 압축 및 가열된 연료가 액체 상태로 엔진으로 공급되는데, 압력 변화에 따라 부피변화가 큰 압축성 유체, 즉 가스 연료가 공급되는 엔진과는 달리, 압력을 가하여도 부피의 변화가 없거나 적은 비압축성 유체, 액체 상태의 LPG가 엔진 연료로 공급되는 경우 엔진의 부하 변동에도 충분한 연료를 공급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하며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해서 과잉의 LPG를 엔진으로 공급한다. 엔진에 공급된 LPG 중 연료로 소비되고 남은 LPG는 엔진에서 리턴라인을 통해 배출하여 재순환시키는데, 압축 및 가열된 LPG를 그대로 재순환시키거나 연료공급탱크로 보내면 압축부 흡입부(suction)에서 베이퍼(vapor) 발생 위험이 있고, 연료공급탱크 내 압력 및 온도를 상승시켜 탱크 및 선박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리턴라인에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부(220, 230)를 마련하여,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감압하여 재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압축된 액화가스는 감압 과정에서 단열팽창 또는 등엔트로피 팽창하면서 줄-톰슨 효과에 의해 냉각된다.
엔진(E)으로부터 리턴라인(RL1)을 통해 재순환되는 압축된 액화가스는 감압부(220)를 거쳐 감압되며 냉각되어 세퍼레이터(210)로 도입되어 기액분리되고,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상의 액화가스는 리퀴드라인(LL)을 통해 제1 펌프(110)와 제2 펌프(120) 사이의 연료공급라인(SL)으로 공급되어 재순환되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는 베이퍼라인(VL)을 통해 연료공급탱크(DT)로 회수된다. 베이퍼라인에는 연료공급탱크(DT)로 이송되는 기체를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25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압을 통해 냉각된 액화가스가 세퍼레이터로 도입되고, 기액분리 후 액상의 액화가스가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압축부의 제1 펌프를 거쳐 공급되는 과냉각(subcooled) LPG와 함께 제2 펌프(120)로 도입되므로, 제2 펌프 흡입부에서의 베이퍼 발생 위험을 낮춰 베이퍼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재순환되는 액화가스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엔진의 연료 요구 조건에 맞추기 위해 연료히터에서 가열기능과 함께 냉각기능도 갖추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감압부를 거쳐 재순환 액화가스가 냉각되고, 세퍼레이터를 통해 감압된 재순환 액화가스 중의 기체는 연료공급탱크로 회수되어, 제2 펌프로 흡입되는 고온의 재순환 액화가스의 질량유량(mass flow)를 줄여, 추가 냉각없이도 적절한 온도의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연료히터는 가열기능만 갖추어도 되므로 장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운전이 용이하다.
한편 리턴라인은, 엔진(E)으로부터 세퍼레이터(210)로 연결되는 제1 리턴라인(RL1)과, 상기 제2 펌프(120)와 연료히터(130) 사이의 연료공급라인(SL)으로부터 세퍼레이터(210)로 연결되는 제2 리턴라인(RL2)을 포함한다. 또한 감압부는, 제1 리턴라인에 마련되는 제1 감압장치(220)와, 제2 리턴라인에 마련되는 제2 감압장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감압장치는 압축된 액화가스를 단열팽창 또는 등엔트로피 팽창시켜 냉각하는 팽창기 또는 줄-톰슨 밸브 등의 팽창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리턴라인의 제1 감압장치 상류에는 리턴밸브부(RVT) 및 필터(240)가 마련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는 리턴밸브부 및 필터를 거쳐 제1 감압장치로 도입된다. 필터에서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액화가스에 혼입된 윤활유 등을 걸러낼 수 있다.
제1 리턴라인 및 제1 감압장치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제2 리턴라인 및 제2 감압장치는 제1 및 제2 펌프의 압축부를 거쳐 압축된 액화가스를 연료히터 상류로부터 감압하여 세퍼레이터로 이송한다.
이를 통해 엔진의 LPG 모드 정지 시나 트립 등 LPG 연료 공급이 중단될 때 엔진 및 연료공급라인에 잔존하는 LPG도 감압으로 냉각하여 세퍼레이터로 이송할 수 있다. LPG 연료 공급 중단 시에는 세퍼레이터로부터 LPG를 연료공급라인으로 재순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연료공급탱크로 보낼 수 있고, 이를 위해 세퍼레이터로부터 연료공급탱크로 이송라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시스템에는 운전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압력감지부가 마련된다. 제2 펌프와 연료히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 신호를 보내는 제1 압력감지부(PC1), 제1 리턴라인에서 필터와 제1 감압장치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 신호를 보내는 제2 압력감지부(PC2), 제1 펌프 후단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3 압력감지부(PC3), 세퍼레이터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4 압력감지부(PC4)가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 시스템에서의 운전압력은 일 예로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연료공급탱크의 운전압력 범위는 1 내지 8 barg인데, 운전압력을 4barg로 가정하면, 제1 펌프의 디퍼렌셜(Differential) 압력은 약 2 bar, 제1 펌프 후단 압력은 6 barg이다. 세퍼레이터(210)의 운전압력은 제1 펌프 후단 압력보다 약 0.5 내지 2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bar 높게 유지됨으로써,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상의 재순환가스가 제1 펌프 후단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압력감지부(PC3)에서의 압력 신호를 제4 압력감지부(PC4)가 받아, 제4 압력감지부(PC4)에서 베이퍼라인(VL)의 압력조절밸브(250)에 설정값 신호를 보내고, 압력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세퍼레이터의 압력이 6.5 내지 7 barg로 유지된다.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체는 리퀴드라인(LL)을 따라 제2 펌프 전단으로 공급되며 제2 펌프에서 펌핑되어 54barg로 가압된다.
엔진에서 돌아오는 제1 리턴라인(RL1)은 제2 압력감지부에서 제1 감압장치(220)를 제어하여 제1 감압장치 상류의 압력을 22barg로 유지하고, 제1 감압장치 후단에서의 압력은 세퍼레이터 압력과 같은 6.5 내지 7 barg로 유지한다.
엔진에서의 로드 변화로 연료 소모량이 변화하여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이 변할 때는 제1 압력감지부(PC1)에서 압력을 감지하여 제1 압력감지부의 설정값(54barg) 이상이면 먼저 제2 펌프의 VFD를 조절하여 펌프 스피드를 낮추고, 여전히 압력이 54barg 이상에서 55barg까지 올라가면 제2 리턴라인의 제2 감압장치(230)를 열어 압력을 낮춘다.
본 실시예의 선박은 액화가스 운반선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하여 운송하기 위한 카고탱크(미도시)가 마련되는데, 카고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재액화부(RS)로 공급되어 재액화된다.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되어 도입되는 가스에 의해 연료공급탱크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재액화부(RS)로부터 재액화된 액화가스가 연료공급탱크(DT)를 거쳐 카고탱크(미도시)로 연결되도록 냉각라인(CL)을 마련하여, 재액화부에서 재액화된 액화가스의 냉열을 이용해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선내에는 데크에 배치된 연료공급탱크(DT)로 선내 엔진의 연료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탱크(FT1, FT2)가 추가로 마련되는데, 재액화부를 가동하지 않을 때에는 연료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연료공급탱크로 공급하여 저온의 액화가스에 의해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E: 엔진
DT: 연료공급탱크
FT1, FT2: 연료탱크
SL: 연료공급라인
RL1: 제1 리턴라인
RL2: 제2 리턴라인
SVT: 서비스밸브부
RVT: 리턴밸브부
RS: 재액화부
CL: 냉각라인
110: 제1 펌프
120: 제2 펌프
130: 연료히터
140, 240: 필터
210: 세퍼레이터
220: 제1 감압장치
230: 제2 감압장치
250: 압력조절밸브
PC1, PC2, PC3, PC4: 제1 내지 제4 압력감지부

Claims (16)

  1. 선박의 데크에 마련된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선내 엔진으로 액화가스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제1 펌프와, 상기 제1 펌프에서 이송된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상기 엔진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승압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압축부;
    상기 연료공급라인에서 상기 압축부의 후단에 마련되며 압축된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연료히터;
    상기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의 상류로 재순환시키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에 마련되어 재순환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기액분리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리턴라인에서 상기 세퍼레이터 상류에 마련되는 감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턴라인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로 연결되는 제1 리턴라인과, 상기 제2 펌프와 연료히터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로 연결되는 제2 리턴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라인을 통해 재순환되는 상기 액화가스는 상기 감압부에서 감압으로 냉각되어 상기 세퍼레이터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상의 액화가스는 상기 제1 펌프와 제2 펌프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를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회수하는 베이퍼라인; 및
    상기 베이퍼라인에 마련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력을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보다 0.5 내지 2 bar 높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제1 리턴라인에 마련되는 제1 감압장치; 및
    상기 제2 리턴라인에 마련되는 제2 감압장치: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먼저 제2 펌프의 펌프 스피드를 낮추고,
    여전히 설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감압장치를 열어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9. 제 1항 내지 4항, 제 7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운송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카고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재액화하는 재액화부; 및
    상기 재액화부로부터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거쳐 상기 카고탱크로 연결되는 냉각라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액화부에서 재액화된 액화가스는 상기 냉각라인을 따라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키고 상기 카고탱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상기 액화가스를 이송하여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11. 선박의 데크에 마련된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연료공급라인을 따라 액화가스를 압축부에서 압축하여 선내 엔진에 연료로 공급하되,
    상기 압축부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펌프에서 이송된 액화가스를 펌핑하여 상기 엔진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승압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상기 액화가스 중 엔진에서 소비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엔진의 상류로 재순환시키는 리턴라인에 감압부를 마련하여 재순환될 액화가스를 감압하고, 감압으로 냉각된 재순환 액화가스는 세퍼레이터에서 기액분리되며,
    상기 제2 펌프의 후단에서 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액화가스 일부를 감압하여 상기 세퍼레이터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액상의 액화가스는 상기 제1 펌프와 제2 펌프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회수하되,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회수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세퍼레이터의 압력을 상기 제1 펌프의 후단 압력보다 0.5 내지 2 bar 높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먼저 제2 펌프의 펌프 스피드를 낮추고,
    여전히 설정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펌프의 후단에서 액화가스 일부를 감압하여 상기 세퍼레이터로 배출시켜 제2 펌프의 후단 압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15. 제 1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운송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카고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재액화부에서 재액화하고,
    상기 재액화부에서 재액화된 액화가스는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거쳐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키고 상기 카고탱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되어 선내 엔진으로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연료공급탱크로 상기 액화가스를 이송하여 상기 연료공급탱크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KR1020200074179A 2020-06-18 2020-06-18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32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79A KR102327410B1 (ko) 2020-06-18 2020-06-18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CN202080101981.2A CN115697836A (zh) 2020-06-18 2020-12-17 液化气体运输船的燃料供给系统及方法
JP2022575940A JP7485796B2 (ja) 2020-06-18 2020-12-17 液化ガス運搬船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方法
PCT/KR2020/018576 WO2021256644A1 (ko) 2020-06-18 2020-12-17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79A KR102327410B1 (ko) 2020-06-18 2020-06-18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410B1 true KR102327410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79A KR102327410B1 (ko) 2020-06-18 2020-06-18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324A (ko) * 2021-12-17 2023-06-26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969A (ko) * 2013-06-12 2014-1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7017A (ko) * 2017-01-24 2018-08-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연료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5039A (ko) * 2018-08-29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969A (ko) * 2013-06-12 2014-1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7017A (ko) * 2017-01-24 2018-08-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연료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5039A (ko) * 2018-08-29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324A (ko) * 2021-12-17 2023-06-26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626177B1 (ko) * 2021-12-17 2024-01-1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465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538933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JP7485796B2 (ja) 液化ガス運搬船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方法
KR102327410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333072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774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539439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6446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5624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9807B1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KR102376279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2289314B1 (ko) 선박의 가스 연료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376278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239827B1 (ko) 선박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297861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51600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464A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00125374A (ko)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4284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1150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5594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442557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240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499810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29765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