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281B1 -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281B1
KR102326281B1 KR1020210068904A KR20210068904A KR102326281B1 KR 102326281 B1 KR102326281 B1 KR 102326281B1 KR 1020210068904 A KR1020210068904 A KR 1020210068904A KR 20210068904 A KR20210068904 A KR 20210068904A KR 102326281 B1 KR102326281 B1 KR 10232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upling
coupled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06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복수개의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난간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핸드레일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안정적인 핸드레일의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난간의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와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내측 중심부에 핸드레일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중심으로 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가 돌출 구비된 연결판과, 상기 고정구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관체 형상의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과 대향 되게 상기 결합몸체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돌출 구비된 결합판으로 구성된 연결관체와, 상기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밀착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후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에 결합하고자 하는 핸드레일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고정링이 핸드레일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될 시, 상기 밀착공의 내경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이 외측 테두리 부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복수개의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난간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핸드레일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안정적인 핸드레일의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실내와 외부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는, 건축물에 도어가 설치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형성하거나, 개방된 공간에 창문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건축물의 실내가 외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는 상술한 도어나 창문을 설치하지 않고,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건축물의 실내와 연장되는 베란다나 발코니에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난간은,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개방된 공간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대개, 난간을 이루는 하부레일의 상부로 복수개의 난간동자를 설치하고, 상기 난간동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을 이루는 벽체에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난간을 이루는 핸드레일만을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을 이루는 벽체에 설치하여 난간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벽체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핸드레일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핸드레일 고정장치는 핸드레일이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과 제작된 핸드레일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핸드레일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핸드레일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하기가 어려워,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핸드레일의 길이를 일일이 조절하며 설치해야 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설치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이든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8536호(2020.05.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핸드레일의 설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형태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와 핸드레일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핸드레일을 다시 제작하거나, 핸드레일을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비용과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핸드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 연결관체, 고정링의 연결 부위가 외부덮개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간의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와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내측 중심부에 핸드레일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중심으로 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가 돌출 구비된 연결판과, 상기 고정구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관체 형상의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과 대향 되게 상기 결합몸체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돌출 구비된 결합판으로 구성된 연결관체와, 상기 핸드레일이 삽입되는 밀착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후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에 결합하고자 하는 핸드레일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고정링이 핸드레일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될 시, 상기 밀착공의 내경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이 외측 테두리 부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레일의 외측 테두리에는 탄성을 갖는 보호링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는 상기 밀착판과 결합판의 사이를 이루는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볼트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고정구와 인접한 전면으로 원형을 이루는 밀착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밀착홈에는 상기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고정구, 연결관체, 고정링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부덮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외부덮개는 상기 밀착홈에 후면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 연결관체, 고정링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전면을 가리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핸드레일이 관통 결합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개방된 공간에 핸드레일의 설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형태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셋째,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와 핸드레일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핸드레일을 다시 제작하거나, 핸드레일을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핸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비용과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핸드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 연결관체, 고정링의 연결 부위가 외부덮개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가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가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관체의 결합몸체에 외부덮개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관체의 결합몸체에 외부덮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벽체에서 고정링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명명하고, 고정링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의 핸드레일(2)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1)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내측 중심부에 핸드레일(2)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a)을 중심으로 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2b)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12)가 돌출 구비된 연결판(10)과, 상기 고정구(12)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레일(2)이 삽입되는 삽입공(21a)이 관통 형성된 관체 형상의 결합몸체(21)와, 상기 결합몸체(21)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2b)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형성된 밀착판(22)과, 상기 밀착판(22)과 대향 되게 상기 결합몸체(21)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3a)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3b)가 돌출 구비된 결합판(23)으로 구성된 연결관체(20)와, 상기 핸드레일(2)이 삽입되는 밀착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20)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23b)와 대응되는 후면에는 결합돌기(23b)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3a)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공(3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20)에 결합하고자 하는 핸드레일(1)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링(30)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레일(2)은 상기 고정링(30)이 핸드레일(2)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될 시, 상기 밀착공(31)의 내경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2a)이 외측 테두리 부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2)은 외측 테두리 부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안착홈(2a)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링(30)이 핸드레일(2)의 안착홈(2a)을 감싸도록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링(30)은 상기 안착홈(2a)의 상, 하부를 감싸며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고정링(30)과 안착홈(2a)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판(10)은 본 발명인 핸드레일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1)의 전면에 볼트(P)를 통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와 밀착되는 부위가 평평한 형상을 이루는 판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10)은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1)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10)의 전면으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구(12)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구(12)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2a)과, 상기 삽입홈(12a)을 중심으로 한 고정구(12)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형성되는 결합공(12b)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a)은 상기 연결판(10)에 설치하고자 하는 핸드레일(2)의 단부가 삽입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공(12b)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관체(20)가 볼트(P)를 통하여 고정구(12)의 전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구(12)의 삽입홈(12a)에 설치된 핸드레일(2)이 연결관체(20)를 통하여 더욱 견고하게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체(2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2)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홈(12a)에 설치하고자 하는 핸드레일(2)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몸체(21)와, 상기 결합몸체(21)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밀착판(22)과, 상기 밀착판(22)과 대향 되게 결합몸체(21)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결합판(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몸체(2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2)이 내측 중심부에 삽입될 수 있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핸드레일(2)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 중심부에 삽입공(21a)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판(22)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몸체(21)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구(12)의 결합공(12b)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22a)에 체결되는 볼트가 상기 결합공(12b)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구(12)의 전면에 전면이 밀착되며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고정구(12)의 전면으로 상기 관통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밀착판(22)이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몸체(21)의 삽입공(21a)에 관통 결합되는 핸드레일(2)이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20)의 구성을 통하여, 연결판(10)의 고정구(12)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판(23)은 상기 결합몸체(21)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되, 전면으로 복수개의 고정공(23a)과 결합돌기(23b)가 돌출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링(30)이 연결관체(20)의 전면에 용이하게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결합판(23)의 고정공(23a)으로 고정링(30)의 연결공(33)에 체결되는 볼트(P)가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결관체(20)의 전면으로 고정링(30)이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결합돌기(23b)가 고정링(30)의 결합홈(32)에 삽입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관체(20)와 고정링(30)의 결합 부위가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링(30)은 상기 연결관체(20)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돌기(23b)와 대응되는 후면에 복수개의 결합홈(32)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공(23a)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공(33)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20)와 고정링(30)이 결합 될 시, 상기 결합홈(32)으로 연결관체(20)의 결합돌기(23b)가 삽입되도록 한 후, 연결공(33)에 체결되는 볼트(P)가 고정공(23a)에 체결되도록 하여 연결관체(20)와 고정링(30)이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링(30)의 내측 중심부에 형성된 밀착공(31)으로 핸드레일(2)이 삽입되어 고정을 이루는 경우, 상기 연결관체(20)와 고정구(12)가 결합 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구(12)의 삽입홈(12a)에 일단이 삽입된 핸드레일(2)의 설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30)의 밀착공(31)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2)의 안착홈(2a) 내측에 밀착되게 결합 됨으로써, 상기 고정링(30)과 핸드레일(2)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연결판(10)의 고정구(12)에 설치된 핸드레일(2)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0)의 고정구(12)에 핸드레일(2)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한 후, 상기 연결관체(20)와 고정링(30)의 구성을 통하여 핸드레일(2)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0)의 전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구(12)에 핸드레일(2)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며 용이한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링(30)의 밀착공(31)이 핸드레일(2)의 안착홈(2a)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12)의 삽입홈(12a)으로 결합되는 핸드레일(2)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결합을 이룸으로써, 핸드레일(2)의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와 핸드레일(2)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핸드레일(2)의 길이를 가공하거나, 핸드레일(2)을 다시 제작하는 일 없이도, 상기 연결판(10)의 전면으로 핸드레일(2)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2)의 외측 테두리에는 탄성을 갖는 보호링(4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링(40)의 구성은, 상기 연결판(10), 연결관체(20), 고정링(30)을 통하여 설치되는 핸드레일(2)의 외측부를 상기 보호링(40)이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핸드레일(2)에 형성된 안착홈(2a)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되거나, 상기 안착홈(2a)에 사용자의 손이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몸체(21)는 상기 밀착판(22)과 결합판(23)의 사이를 이루는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볼트공(21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판(10)은 상기 고정구(12)와 인접한 전면으로 원형을 이루는 밀착홈(13)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밀착홈(13)에는 상기 핸드레일(2)이 설치되는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부덮개(5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덮개(50)는 상기 밀착홈(13)에 후면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볼트공(21b)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51a)이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판(51)과, 상기 덮개판(51)의 전면을 가리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핸드레일(2)이 관통 결합되는 설치공(52a)이 형성된 연결판(52)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벽체(1)의 전면으로 연결판(10), 연결관체(20), 고정링(30)을 설치하여 벽체(1)의 개방된 공간에 핸드레일(2)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덮개판(51)의 후면 단부가 연결판(10)에 형성된 밀착홈(13)에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덮개판(51)이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0)의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위치되게 구성하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결판(52)이 덮개판(51)의 전면 부위를 가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덮개(5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판(52)의 설치공(52a)으로 핸드레일(2)이 관통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연결판(52)의 설치공(52a)으로 삽입되는 핸드레일(2)이 상기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에 용이하게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덮개판(51a)의 지지공(51a)에 삽입되는 볼트(P)가 결합몸체(21)의 볼트공(21b)에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판(10)의 전면으로 외부덮개(5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외부덮개(5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핸드레일(2)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의 연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핸드레일
2a: 안착홈 10: 연결판
11: 체결공 12: 고정구
12a: 삽입홈 12b: 결합공
13: 밀착홈 20: 연결관체
21: 결합몸체 21a: 삽입공
21b: 볼트공 22: 밀착판
22a: 관통공 23: 결합판
23a: 고정공 23b: 결합돌기
30: 고정링 31: 밀착공
32: 결합홈 33: 연결공
40: 보호링 50: 외부덮개
51: 덮개판 51a: 지지공
52: 연결판 52a: 설치공
P: 볼트

Claims (3)

  1. 난간의 핸드레일(2)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1)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내측 중심부에 핸드레일(2)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a)을 중심으로 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2b)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12)가 돌출 구비된 연결판(10)과,
    상기 고정구(12)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레일(2)이 삽입되는 삽입공(21a)이 관통 형성된 관체 형상의 결합몸체(21)와, 상기 결합몸체(21)의 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2b)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형성된 밀착판(22)과, 상기 밀착판(22)과 대향 되게 상기 결합몸체(21)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3a)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3b)가 돌출 구비된 결합판(23)으로 구성된 연결관체(20)와,
    상기 핸드레일(2)이 삽입되는 밀착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20)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23b)와 대응되는 후면에는 결합돌기(23b)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3a)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공(3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체(20)에 결합하고자 하는 핸드레일(1)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링(30)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레일(2)은 상기 고정링(30)이 핸드레일(2)의 외경을 감싸도록 설치될 시, 상기 밀착공(31)의 내경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홈(2a)이 외측 테두리 부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2)의 외측 테두리에는 탄성을 갖는 보호링(4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21)는
    상기 밀착판(22)과 결합판(23)의 사이를 이루는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볼트공(21b)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0)은
    상기 고정구(12)와 인접한 전면으로 원형을 이루는 밀착홈(13)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밀착홈(13)에는 상기 핸드레일(2)이 설치되는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외부덮개(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외부덮개(50)는
    상기 밀착홈(13)에 후면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12), 연결관체(20), 고정링(30)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볼트공(21b)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51a)이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판(51)과,
    상기 덮개판(51)의 전면을 가리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핸드레일(2)이 관통 결합되는 설치공(52a)이 형성된 연결판(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0210068904A 2021-05-28 2021-05-28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326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04A KR102326281B1 (ko) 2021-05-28 2021-05-28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04A KR102326281B1 (ko) 2021-05-28 2021-05-28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281B1 true KR102326281B1 (ko) 2021-11-16

Family

ID=7871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04A KR102326281B1 (ko) 2021-05-28 2021-05-28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2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883B2 (ja) * 1995-09-07 2005-11-24 東陶機器株式会社 手すりの取付方法
KR102118536B1 (ko) 2019-07-01 2020-06-26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184897B1 (ko) * 2020-11-02 2020-12-0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21239B1 (ko) * 2020-08-11 2021-03-02 주식회사 푸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44767B1 (ko) * 2021-03-15 2021-04-27 (주)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883B2 (ja) * 1995-09-07 2005-11-24 東陶機器株式会社 手すりの取付方法
KR102118536B1 (ko) 2019-07-01 2020-06-26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21239B1 (ko) * 2020-08-11 2021-03-02 주식회사 푸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184897B1 (ko) * 2020-11-02 2020-12-0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44767B1 (ko) * 2021-03-15 2021-04-27 (주)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239B1 (ko)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84897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78283B1 (ko)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323023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US6752385B2 (en) Railing system
US10443823B2 (en) Mount interace for light fixtures
KR100928413B1 (ko) 고정 요소
KR102286742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US20030060067A1 (en)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
US20130020546A1 (en) Attachment for baluster for stair, balcony, or landing rail for both adjustable and fixed railings
US20090272957A1 (en) Connector for railing systems
US10480195B2 (en) Tubular structure connecting assembly
KR102249951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44767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102326281B1 (ko)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KR102369458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475899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50017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US7604209B2 (en) Support for luminaire
KR102063493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CZ298938B6 (cs) Krycí ružice
KR102225871B1 (ko)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102495045B1 (ko)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