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023B1 -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3023B1 KR102323023B1 KR1020200182354A KR20200182354A KR102323023B1 KR 102323023 B1 KR102323023 B1 KR 102323023B1 KR 1020200182354 A KR1020200182354 A KR 1020200182354A KR 20200182354 A KR20200182354 A KR 20200182354A KR 102323023 B1 KR102323023 B1 KR 102323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connector
- handbar
- groov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핸드바를 신속하게 설치하여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내측에 삽입홈을 갖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가 돌출 구비된 설치판과,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구의 외경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로 구성된 벽체고정수단과, 상기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내측 중심 부위에는 핸드바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배치되게 형성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의 내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바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홈에 외경이 결합되는 결합링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벽체고정수단과 연결구 간 결합 시, 상기 삽입홈의 내측으로 연결구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바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핸드바를 신속하게 설치하고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는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다.
위와 같은 난간은,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를 이루는 발코니나 베란다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과 마주보게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되는 핸드바와, 상기 핸드바와 하부레일을 연결하는 난간동자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드바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하부레일과 난간동자의 구성 없이도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건축물에 난간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레일, 난간동자, 핸드바를 결합하여 난간의 개방된 부위에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구조를 통하여 핸드바를 설치함으로써,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로 사람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드바는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구성으로,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건축물의 벽체에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고정구조를 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문헌(1)에서와 같이, 핸드바가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건축물에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핸드바 고정구조는 건축물의 벽체에 핸드바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는 있으나, 핸드바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설치 간격이 제작된 핸드바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핸드바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핸드바를 다시 재작한 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핸드바를 설치한 이후에는 핸드바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려워, 핸드바가 설치된 건축물의 공간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핸드바의 설치 상태를 유지 하기 힘이든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불필요한 난간의 작업시간 증대와, 이에 따른 설치비용의 증대가 발생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난간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핸드바의 설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핸드바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공간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핸드바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핸드바가 설치된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핸드바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건축물에 설치된 핸드바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설치가 분리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내측에 삽입홈을 갖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가 돌출 구비된 설치판과,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구의 외경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로 구성된 벽체고정수단과, 상기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내측 중심 부위에는 핸드바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배치되게 형성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의 내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바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홈에 외경이 결합되는 결합링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벽체고정수단과 연결구 간 결합 시, 상기 삽입홈의 내측으로 연결구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바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의 외측에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과 연결구 간 결합 시,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끼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과 연결구의 외측을 감싸는 덮개가 더 결합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끼움홈에 개방된 단부의 테두리가 끼움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벽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판의 단부에서 상기 핸드바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바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덮개판과 대응되는 테두리 영역에 복수개의 고정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은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삽입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공에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난간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핸드바의 설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핸드바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공간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핸드바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셋째, 핸드바가 설치된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핸드바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건축물에 설치된 핸드바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설치가 분리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설명에 있어서, 벽체의 방향에서 핸드바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하고, 핸드바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고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내측에 삽입홈(11b-1)을 갖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11b)가 돌출 구비된 설치판(11)과,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판(11)의 전면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12a)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11b)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구(11b)의 외경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12)로 구성된 벽체고정수단(10)과, 상기 삽입홈(11b-1)에 일단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11b-1)과 대응되는 내측 중심 부위에는 핸드바(2)가 결합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b-1)과 대응되는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걸림홈(22)이 배치되게 형성된 연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21)의 내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바(2)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홈(21a)에 외경이 결합되는 결합링(30)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 간 결합 시, 상기 삽입홈(11b-1)의 내측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바(12)의 걸림돌기(12a)가 걸림홈(22)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벽체고정수단(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판(11)과 고정바(12)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설치판(11)은 체결공(1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11)은 핸드바(2)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1)에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며, 벽체(1)에 설치된 후에는 견고하게 그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11b)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구(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판(11)의 전면에 돌출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2)는 상기 고정구(11b)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판(11)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설치판(11)에 연결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벽체(1)의 전면 방향으로 바 형상을 이루는 고정바(12)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1b)의 외경과, 고정바(12)의 일면은 스프링(S)을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됨으로써,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구(20)가 고정구(11b)의 삽입홈(11b-1) 내측으로 삽입을 이루는 경우에도, 고정바(12)가 고정구(11b)를 중심으로 젖혀져 연결구(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홈(11b-1)의 내측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을 이룬 후에는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1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12a)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11b-1)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연결구(2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 걸림돌기(12a)가 걸려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구(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1b-1)에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홈(11b-1)과 대응되는 내측 중심 부위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삽입홈(11b-1)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 된 후에는 상기 연결구(20)의 결합공(21) 내측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하고자 하는 핸드바(2)가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20)는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걸림홈(22)이 배치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1b-1)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경우, 고정바(12)의 걸림돌기(12a)가 걸림홈(22)에 걸려 고정구(11b)와 연결구(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11b-1)에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걸림홈(22)이 걸림돌기(12a)에 밀착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11b)와 고정바(12)를 연결하는 스프링(S)의 탄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바(12)가 고정부(11b)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구성됨으로써, 걸림돌기(12a)와 걸림홈(22)의 밀착으로 인하여 상기 삽입홈(11b-1)에 연결구(2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홈(11b-1)에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을 이룬 후에는 고정바(12)의 걸림돌기(12a)가 스프링(S)의 탄성을 통하여 걸림홈(2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공(21)의 내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21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핸드바(2)의 외측 테두리에는 결합링(30)이 끼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링(30)을 핸드바(2)의 외경에 끼움 결합한 후에, 상기 연결구(20)의 결합공(21) 내측으로 핸드바(2)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링(30)의 외경이 결합공(21)에 형성된 안착홈(21a)에 안착되게 결합됨으로써, 결합공(21)과 핸드바(2)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홈(21a)에 결합되는 결합링(30)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가 조절함으로써, 연결구(20)와 핸드바(2)의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며 용이한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12)의 외측에는 고정홈(12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12b)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 간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12a)와 걸림홈(22)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4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고정구(11b)의 삽입홈(11b-1)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바(12)의 걸림돌기(12a)가 연결구(20)의 걸림홈(22)에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고정링(40)이 고정바(12)의 외측을 감싸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걸림돌기(12a)와 걸림홈(22)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11)의 전면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10)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끼움홈(11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끼움홈(11c)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의 외측을 감싸는 덮개(5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50)는 상기 끼움홈(11c)에 개방된 단부의 테두리가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며, 내경에는 탄성판(51a)이 돌출 구비된 원통 형상의 고정판(51)과, 상기 벽체(1)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판(51)의 단부에서 상기 핸드바(2)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바(2)가 관통되는 관통공(52a)이 형성된 덮개판(52)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덮개(50)가 벽체(1)에 형성된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의 결합 부위가 손상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끼움홈(11c)으로 덮개(50)를 이루는 고정판(51)의 개방된 단부가 도 7에서와 같이, 끼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판(51)과 연결된 덮개판(52)의 관통공(52a)을 통하여 연결구(20)와 핸드바(2)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51)의 내경에 구비된 탄성판(51a)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연결구(20)의 걸림홈(22)에 삽입된 걸림돌기(12a)의 외측을 가압함으로써, 걸림돌기(12a)와 걸림홈(22)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벽체(1)에 설치되는 벽체고정수단(10)의 고정구(11b), 고정바(12), 연결구(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덮개판(52)과 대응되는 테두리 영역에 복수개의 고정공(23)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덮개판(52)은 상기 고정공(23)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삽입공(52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삽입공(52b)에는 상기 고정공(23)에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6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기 덮개(50)가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될 시, 상기 삽입홈(52b)으로 가이드핀(60)을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핀(60)의 단부가 고정공(23)에 끼움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덮개(50)의 설치 위치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연결구(20)와 덮개(5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덮개(5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홈(11b-1)에 결합되는 연결구(2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연결구의 결합공(21)에 삽입되는 핸드바(2)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핀(60)을 통하여 설치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수단에 결합되는 연결구의 설치 위치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핸드바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가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난간을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공간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으며, 불필요한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수단 없이도 벽체고정수단, 연결구, 핸드바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핸드바
10: 벽체고정수단 11: 설치판
11a: 체결공 11b: 고정구
11b-1: 삽입홈 11c: 끼움홈
12: 고정바 12a: 걸림돌기
12b: 고정홈 20: 연결구
21: 결합공 21a: 안착홈
22: 걸림홈 23: 고정공
30: 결합링 40: 고정링
50: 덮개 51: 고정판
51a: 탄성판 52: 덮개판
52a: 관통공 52b: 삽입공
60: 가이드핀 P: 볼트
S: 스프링
10: 벽체고정수단 11: 설치판
11a: 체결공 11b: 고정구
11b-1: 삽입홈 11c: 끼움홈
12: 고정바 12a: 걸림돌기
12b: 고정홈 20: 연결구
21: 결합공 21a: 안착홈
22: 걸림홈 23: 고정공
30: 결합링 40: 고정링
50: 덮개 51: 고정판
51a: 탄성판 52: 덮개판
52a: 관통공 52b: 삽입공
60: 가이드핀 P: 볼트
S: 스프링
Claims (4)
-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내측에 삽입홈(11b-1)을 갖는 원통 형상의 고정구(11b)가 돌출 구비된 설치판(11)과,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판(11)의 전면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12a)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11b)의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구(11b)의 외경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바(12)로 구성된 벽체고정수단(10)과,
상기 삽입홈(11b-1)에 일단이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11b-1)과 대응되는 내측 중심 부위에는 핸드바(2)가 결합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걸림홈(22)이 배치되게 형성된 연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21)의 내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바(2)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홈(21a)에 외경이 결합되는 결합링(30)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 간 결합 시, 상기 삽입홈(11b-1)의 내측으로 연결구(20)의 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바(12)의 걸림돌기(12a)가 걸림홈(22)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2)의 외측에는 고정홈(12b)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2b)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 간 결합 시, 걸림돌기(12a)와 걸림홈(22)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링(4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11)의 전면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10)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끼움홈(11c)이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c)에는 상기 벽체고정수단(10)과 연결구(20)의 외측을 감싸는 덮개(50)가 더 결합되며,
상기 덮개(50)는
상기 끼움홈(11c)에 개방된 단부의 테두리가 끼움 결합되며, 내경에는 탄성판(51a)이 돌출 구비된 원통 형상의 고정판(51)과, 상기 벽체(1)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판(51)의 단부에서 상기 핸드바(2)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핸드바(2)가 관통되는 관통공(52a)이 형성된 덮개판(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덮개판(52)과 대응되는 테두리 영역에 복수개의 고정공(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52)은 상기 고정공(23)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삽입공(52b)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52b)에는 상기 고정공(23)에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6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354A KR102323023B1 (ko) | 2020-12-23 | 2020-12-23 |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354A KR102323023B1 (ko) | 2020-12-23 | 2020-12-23 |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3023B1 true KR102323023B1 (ko) | 2021-11-09 |
Family
ID=7861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354A KR102323023B1 (ko) | 2020-12-23 | 2020-12-23 |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302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6881B1 (ko) * | 2021-12-23 | 2022-11-14 |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
KR102475899B1 (ko) * | 2021-11-22 | 2022-12-08 |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KR102601030B1 (ko) * | 2023-08-09 | 2023-11-16 |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장치 |
KR102620249B1 (ko) * | 2023-06-02 | 2024-01-03 |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3230B1 (ko) | 2005-01-26 | 2005-09-13 |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
KR102118536B1 (ko) * | 2019-07-01 | 2020-06-2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 공동주택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KR102180547B1 (ko) * | 2020-05-15 | 2020-11-18 | (주)선경엔지니어링 |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
KR102184897B1 (ko) * | 2020-11-02 | 2020-12-01 |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2020
- 2020-12-23 KR KR1020200182354A patent/KR1023230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3230B1 (ko) | 2005-01-26 | 2005-09-13 |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
KR102118536B1 (ko) * | 2019-07-01 | 2020-06-2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 공동주택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KR102180547B1 (ko) * | 2020-05-15 | 2020-11-18 | (주)선경엔지니어링 |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
KR102184897B1 (ko) * | 2020-11-02 | 2020-12-01 |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5899B1 (ko) * | 2021-11-22 | 2022-12-08 |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KR102466881B1 (ko) * | 2021-12-23 | 2022-11-14 |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 교체가 용이한 건축물용 안전난간 |
KR102620249B1 (ko) * | 2023-06-02 | 2024-01-03 |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KR102601030B1 (ko) * | 2023-08-09 | 2023-11-16 |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3023B1 (ko) |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
KR102221239B1 (ko) |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1985204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 |
KR102249951B1 (ko) |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1993607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 |
KR101937374B1 (ko) |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 |
KR102184897B1 (ko)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2278283B1 (ko) |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
KR102244767B1 (ko) | 건축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
AU2010270516B2 (en) | Device for fixing the edge of a floor covering to a profiled structure | |
KR102225868B1 (ko) |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 |
CN110285121B (zh) | 家具系统 | |
KR102286752B1 (ko) |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 |
US11414873B2 (en) | Wall attachment device for handrail and handrai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KR20160109033A (ko) | 착탈식 안전난간대 | |
WO2005124226A2 (en) | Improved small profile hanger system for ceiling suspended lighting fixtures | |
KR102330111B1 (ko) |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 |
US20180149307A1 (en) | Support assembly | |
US7597460B1 (en) | Tri-baffle ceiling fixture reflector including snapper assembly | |
KR20120005555U (ko) | 난간 고정구 | |
KR101898213B1 (ko) | 원터치 다보 및 원터치 다보 세트 | |
KR102369458B1 (ko) |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2601030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장치 | |
KR102475899B1 (ko)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2326281B1 (ko) |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