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259B1 -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259B1
KR102326259B1 KR1020200103519A KR20200103519A KR102326259B1 KR 102326259 B1 KR102326259 B1 KR 102326259B1 KR 1020200103519 A KR1020200103519 A KR 1020200103519A KR 20200103519 A KR20200103519 A KR 20200103519A KR 102326259 B1 KR102326259 B1 KR 10232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inner cylinder
supply unit
uni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259B1/ko
Priority to JP2023511914A priority patent/JP2023538070A/ja
Priority to CN202080103178.2A priority patent/CN115989097A/zh
Priority to PCT/KR2020/016293 priority patent/WO2022039325A1/ko
Priority to EP20950405.9A priority patent/EP4176986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C21D9/5735Details
    • C21D9/5737Rolls; Drums; Rol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선재 권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 권취장치는 외통과, 외통과 이격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내통을 갖는 드럼부와, 외통과 내통 사이에 형성된 챔버에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 및 내통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내통과 연결되며 선재를 권취하도록 타측이 내통의 내측에 이격되는 포크핀부를 포함하고, 포크핀부는 일단에 챔버와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통의 내측과 연통하는 출구가 형성되는 유로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WIRE COILING UNIT AND WIRE MANUFACTURING APPARA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압연은 제강공정 또는 강편공정에서 만들어진 빌렛(Billet) 소재를 열간 압연이 가능한 상태로 가열하고, 일련의 압연 과정을 거치면서 그 단면이 점차 감소하여 원하는 치수의 선재 코일(Coil)을 얻는 공정을 말한다.
이러한 선재압연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선재는 전장길이가 약 500m ~ 10km에 달하여 직선형태로는 보관할 수 없으므로 원형으로 말아감은 코일(Coil)의 형태로 제품을 얻게되며 이를 권취(winding)라 한다.
권취공정은 릴러(Reeler)라 불리는 원통형 설비에 선재 코일을 감는 과정이며, 릴러의 외경을 형성하는 드럼부(Drum)와 내경을 형성하는 포크핀부(Fork Pin)로 구성되어 그 사이의 공간에 선재 코일이 진입하여 감기게 된다.
또한 선재 코일을 감기 위해서, 릴러는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드럼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기 포크핀부는 회전시에 자유단인 상단부의 흔들림에 의해서 편심되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크핀부는 선재 코일과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선재 코일에 긁힘을 형성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릴러는 권취공정 초반에 진입하는 선재 코일의 선단부는 드럼부의 아래쪽에 깔리는 반면, 권취공정 후반에 진입하는 선재 코일의 후단부는 드럼부의 위쪽에 권취되기 때문에 상단부가 개방된 드럼부 상측에서의 대류 열손실에 의하여 선재 코일의 상부측과 하부측간의 온도차이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러한 릴러 내부에서의 열손실량 차이에 의한 선재 코일의 위치별 냉각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선재 코일의 재질 인장강도 및 미세조직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098499호(2020.04.07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재 권취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설비의 복잡한 구조적 문제를 간소화시킴과 아울러 선재 권취 시 발생하는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통과, 상기 외통과 이격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내통을 갖는 드럼부와,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형성된 챔버에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 및 상기 내통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내통과 연결되며, 선재를 권취하도록 타측이 상기 내통의 내측에 이격되는 포크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핀부는 일단에 상기 챔버와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내통의 내측과 연통하는 출구가 형성되는 유로홀을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내통의 축부는 상기 외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는 상기 내통의 축부와 상기 외통 사이의 축지지부를 향해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부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내통과 상기 포크핀부 사이공간에 선재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드라이아이스에서 기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상기 포크핀부의 상기 출구와 연통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를 통해 상기 유로홀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흡입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는 드라이아이스를 저장하고 배출하는 펠릿 공급부와, 상기 펠릿 공급부에서 배출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이송시키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공기를 통해 이송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상기 챔버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는 액화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액화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액화탄산가스 공급부에서 공급된 액화탄산가스를 단열 팽창시키는 단열팽창부와, 상기 단열팽창부에서 생성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이송시키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공기를 통해 이송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상기 챔버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는 상기 드럼부 내측 상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위치되는 하부 전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서 외기에 노출되는 상부 방출부와, 상기 하부 전도부와 상기 상부 방출부를 연결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전도부는 상기 포크핀부의 상단을 수용하는 편심방지홈을 포함한다.
상기 내통 내측에서 선재를 지지하며 내측에 냉각유로가 마련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내통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챔버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공된 빌렛을 가열하는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의 출측에 배치되어 가열된 상기 빌렛을 압연하는 압연유닛 및 상기 압연유닛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렛이 압연되어 형성된 선재를 권취하는 전술한 선재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선재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재 권취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시킴과 아울러 권취장치와 선재 코일 간에 발생하는 표면흠 및 권취장치에 감기는 선재 코일의 위치별 온도 차이에 따른 선재 코일의 재질편차 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선재 권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포크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축지지부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의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커버부의 흡입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의 커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받침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선재 제조장치(10)는 제공된 빌렛(B)을 가열하는 가열로(11)와, 가열로(11)의 출측에 배치되어 가열된 빌렛(B)을 압연하는 압연유닛(12) 및 압연유닛(12)의 출측에 배치되어 압연된 선재(W)를 권취하는 선재 권취장치(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선재 제조장치(10)에 의해 선재(W)를 제조하는 선재 압연공정은 제강공정 또는 강편공정에서 만들어진 빌렛(Billet: B)소재를 가열로(11)로 전달하여 열간 압연이 가능한 상태로 가열하고, 조압연기 및 사상압연기 등으로 구성된 압연유닛(12)에서 일련의 압연 과정을 거치면서 그 단면이 점차 감소하여 원하는 치수의 선재 코일로 형성한 후 선재 권취장치(20)로 전달하여 권취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선재 권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포크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재 권취장치(20)는 이중 통 형상의 드럼부(30)와, 드럼부(30) 내측에 구비되는 포크핀부(40)와, 드럼부(30) 상부를 덮는 커버부(50)와, 드럼부(30)를 냉각하기 위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60)와, 드럼부(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70)와, 보관된 선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리프팅부(80)를 포함한다.
드럼부(3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이고, 외통(31)과 내통(32)으로 이루어진 이중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통(31)은 내통(32)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내통(32)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외통(31)과 내통(3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챔버(33)에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60)에서 공급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분사된다.
내통(32)은 구동부(7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내통(32)의 하단에는 구동부(70)와 연계되는 축부(34)가 마련되고, 축부(34)는 외통(31)을 관통하여 외통(31)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축부(34)의 하단은 바닥에 지지된 지지대(7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71)와 축부(34) 하단 사이에는 축부(3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부재(72)가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72)는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시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한다.
외통(31)의 외부로 노출된 축부(34)의 외면에는 종동 베벨기어(73)가 결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35)가 마련되고, 종동 베벨기어(73)는 구동모터(74)의 축에 결합된 구동 베벨기어(75)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외통(31)을 관통하는 축부(34)의 외면에는 축부(34)의 회전 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축지지부(36)가 마련될 수 있다. 축지지부(36)는 상대 회전하는 부재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슬리브 베어링, 구름 베어링 등과 같은 베어링 부재를 포함한다.
포크핀부(40)는 내통(32)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포크핀부(40)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중공의 유로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포크핀부(40)는 내통(32)과 일체로 결합되어 내통(32)과 함께 회전하면서 선재의 권취를 유도할 수 있다. 내통(32) 내부로 유입된 선재는 내통(32)과 포크핀부(40) 사이에 권취되면서 보관될 수 있다.
포크핀부(40)에 형성된 유로홀(41)은 챔버(33)와 내통(32)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유로홀(41)의 하단에 개구된 입구(42)는 챔버(33) 내부에 위치되고, 유로홀(41)의 상단에 개구된 출구(43)는 내통(32)의 상단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유로홀(41)의 입구(42)는 챔버(33)에 분사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유로홀(41) 내부로 흡입시키는 흡기구 역할을 수행하고, 유로홀(41)의 출구(43)는 유로홀(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화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의 봉 형태로 이루어진 포크핀부(40)의 상단부는 연결림(4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림(44)은 포크핀부(40)와 결합하기 위한 링크 결합탭 또는 볼팅 결합탭 등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크핀부(40)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냉각핀(45)이 구비될 수도 있다.
커버부(50)는 내통(3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선재 권취 시 내통(32) 상부에서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50)는 이동식 보열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50)의 하면에는 포크핀부(40)의 회전 시 편심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편심방지홈(51)이 형성되고, 포크핀부(40)의 상단은 편심방지홈(51)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커버부(50)에는 선재 권취 시 선재가 내통(32) 내부로 진입되는 위한 가이드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52)은 선재가 내통(32) 내부에 권취되면서 수용되도록 선재의 진입 방향에 대응되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 공급부(60)는 외통(31)과 내통(32) 사이의 챔버(33)에 드라이아이스 입자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 공급부(61), 펠릿 공급부(62) 및 복수의 분사노즐(63)을 포함한다.
압축공기 공급부(61), 펠릿 공급부(62) 및 복수의 분사노즐(63)은 드라이아이스 공급라인(64)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공기 공급부(61)는 공기 압축기(61a)와 리시버 탱크(61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61a)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펌프 등을 포함하고, 공기 압축기(61a)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리시버 탱크(61b)에 공급될 수 있다.
리시버 탱크(61b)는 공기 압축기(61a)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하여 버퍼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펠릿 공급부(62) 쪽으로 안정적으로 가압된 압축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펠릿 공급부(62)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드라이아이스 공급라인(64)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드라이아이스가 저장되는 호퍼(62a)와, 호퍼(62a)에서 공급되는 드라이아이스를 드라이아이스 공급라인(64)에 제공하는 피더(62b)를 포함한다.
피더(62b)는 드라이아이스를 펠릿 형태로 파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회전식 디스크 방식을 포함할 수 있고, 피더(62b)로부터 드라이아이스 공급라인(64)에 제공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압축공기 공급부(61)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복수의 분사노즐(63)로 이송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노즐(63)은 드라이아이스 공급라인(64)과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노즐헤더(63a)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노즐(63)은 챔버(33)에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드럼부(30)의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분사노즐(63)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63b)은 축지지부(36)를 향해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축지지부(36)에 분사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축지지부(36)에 부착된 오염입자의 온도를 급격히 떨어뜨리게 되고 물리적 충격과 급냉으로 인해 점착력이 떨어진 오염입자는 균열이 생기게 되면서 축지지부(36)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축지지부(36)에 부착된 오염입자로 인하여 드럼부(30)가 원활히 회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라이아이스 공급부(60a)는 액화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액화탄산가스 공급부(65)와, 액화탄산가스 공급부(65)에서 공급된 액화탄산가스를 단열 팽창시키는 단열팽창부(66)와, 단열팽창부(66)에서 생성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이송시키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공급부(61)와, 압축공기를 통해 이송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챔버(33)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63)을 포함한다.
액화탄산가스 공급부(65)에서 공급된 액화탄산가스는 단열팽창부(66)에서 단열팽창하면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생성되고, 생성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압축공기 공급부(61)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사노즐(63)을 통해 챔버(3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선재 권취장치(20)가 선재를 감는 과정에서 복수의 분사노즐(63)을 통해 분사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챔버(33)로 유입된 후 챔버(33)와 연통된 포크핀부(40)의 입구(42)를 통해 포크핀부(40)의 유로홀(41)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33)와 유로홀(41) 내부로 유입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승화되면서 드럼부(30)와 포크핀부(40)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낮추어 냉각 시킨 후 포크핀부(40)의 출구(4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를 통해, 드럼부(30)와 포크핀부(4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이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냉각수 배출을 위한 별도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냉각수 누수로 인한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구조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선재 권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에 연결되는 흡입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커버부(50)에는 챔버(33)에 채워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유로홀(41) 쪽으로 원활히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장치(90)가 연결될 수 있다.
흡입장치(90)는 드럼부(3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유로홀(41) 쪽으로 유입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부(50)에 형성된 배기유로(91)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92)과, 흡입팬(92)과 배기유로(91)를 연결하는 흡입호스(93)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유로(91)의 입구(91a)는 포크핀부(40)의 출구(43)와 연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배기유로(91)의 출구(91b)는 흡입호스(93)와 연결될 수 있다.
배기유로(91)의 입구(91a)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포크핀부(40)의 상단에 위치된 출구(43)와 연결림(44)이 입구(91a)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유로(91)의 입구(91a)는 전술한 편심방지홈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커버부(50)의 하측에는 드럼부(30) 내측 상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100)이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판(100)은 선재가 드럼부(30)에 감기는 동안 드럼부(3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선재는 드럼부(3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선재보다 나중에 보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게 되므로 드럼부(30) 상부쪽 열의 일부를 신속히 커버부(50)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선재가 감기는 동안 드럼부(30) 내측에서 상하방향의 온도편차를 줄임에 의해 선재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방열판(100)은 알루미늄 소재와 같이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열판(100)은 커버부(50)의 하면에 위치되어 드럼부(30) 내측 상부의 열을 전달받는 하부 전도부(101)와, 커버부(50)의 상면에서 외기에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열을 방출하는 상부 방출부(102)와, 하부 전도부(101)에서 전도되는 열을 상부 방출부(102)로 전달하도록 상부 방출부(102)와 하부 전도부(101)를 연결하는 열전달부(103)를 포함한다.
상부 방출부(102)에는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방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열돌기(10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50)에 방열판(100)이 구비된 경우에는 하부 전도부(101)에는 포크핀부(40)의 상단을 수용 가능한 편심방지홈(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드럼부(30)의 내측 상부의 열은 하부 전도부(101) 및 열전달부(103)를 통해 상부 방출부(102)로 전도된 후 방열돌기(104)를 통해 외부에 방출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팅부(80)는 내통(32) 내부에서 권취되는 선재의 안착을 유도하거나, 권취되어 보관된 선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선재를 지지하는 받침대(81)와, 받침대(8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82)를 포함한다. 승강부재(82)는 신축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와 연계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받침대(81)에는 챔버(33)와 연통하는 냉각유로(83)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83)는 내통(32)에 형성된 홀(37)을 통해 챔버(33)와 연통될 수 있다.
내통(32)에 형성된 홀(37)은 받침대(81)가 내통(32)의 하단에 위치될 때 받침대(81)의 냉각유로(83)와 연통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챔버(33)에 투입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냉각유로(83)에 공급되어 승화됨에 따라 받침대(81)는 냉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내통(32)에 하나의 홀(37)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나, 받침대(81)가 선재를 안착하기 위해 이동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위치에서 냉각유로(83)와 챔버(33)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홀은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선재 제조장치, 11: 가열로,
12: 압연유닛, 20: 선재 권취장치,
30: 드럼부, 31: 외통,
32: 내통, 33: 챔버,
40: 포크핀부, 41: 유로홀,
50: 커버부, 60: 드라이아이스 공급부,
70: 구동부, 80: 리프팅부,
90: 흡입장치, 91: 배기유로,
100: 방열판.

Claims (13)

  1. 외통과, 상기 외통과 이격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내통을 갖는 드럼부;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형성된 챔버에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 및
    상기 내통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내통과 연결되며, 선재를 권취하도록 타측이 상기 내통의 내측에 이격되는 포크핀부; 및
    상기 드럼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핀부는,
    일단에 상기 챔버와 연통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내통의 내측과 연통하는 출구가 형성되는 유로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드라이아이스에서 기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상기 포크핀부의 상기 출구와 연통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내통의 축부는 상기 외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는 상기 내통의 축부와 상기 외통 사이의 축지지부를 향해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통과 상기 포크핀부 사이공간에 선재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를 통해 상기 유로홀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흡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는 드라이아이스를 저장하고 배출하는 펠릿 공급부와, 상기 펠릿 공급부에서 배출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이송시키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공기를 통해 이송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상기 챔버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는 액화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액화탄산가스 공급부와, 상기 액화탄산가스 공급부에서 공급된 액화탄산가스를 단열 팽창시키는 단열팽창부와, 상기 단열팽창부에서 생성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이송시키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공기를 통해 이송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상기 챔버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는 상기 드럼부 내측 상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마련되는 선재 권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위치되는 하부 전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서 외기에 노출되는 상부 방출부와, 상기 하부 전도부와 상기 상부 방출부를 연결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도부는 상기 포크핀부의 상단을 수용하는 편심방지홈을 포함하는 선재 권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내측에서 선재를 지지하며 내측에 냉각유로가 마련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내통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선재 권취장치.
  13. 제공된 빌렛을 가열하는 가열로;
    상기 가열로의 출측에 배치되어 가열된 상기 빌렛을 압연하는 압연유닛; 및
    상기 압연유닛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빌렛이 압연되어 형성된 선재를 권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선재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선재 제조장치.
KR1020200103519A 2020-08-18 2020-08-18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KR10232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19A KR102326259B1 (ko) 2020-08-18 2020-08-18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JP2023511914A JP2023538070A (ja) 2020-08-18 2020-11-18 線材巻取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線材製造装置
CN202080103178.2A CN115989097A (zh) 2020-08-18 2020-11-18 线材卷绕装置和包括该线材卷绕装置的线材制造设备
PCT/KR2020/016293 WO2022039325A1 (ko) 2020-08-18 2020-11-18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EP20950405.9A EP4176986A4 (en) 2020-08-18 2020-11-18 WIRE MACHINE WINDING DEVICE AND WIRE MACHIN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19A KR102326259B1 (ko) 2020-08-18 2020-08-18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259B1 true KR102326259B1 (ko) 2021-11-16

Family

ID=7871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19A KR102326259B1 (ko) 2020-08-18 2020-08-18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76986A4 (ko)
JP (1) JP2023538070A (ko)
KR (1) KR102326259B1 (ko)
CN (1) CN115989097A (ko)
WO (1) WO202203932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833A (ja) * 1996-03-29 1997-10-07 Showa Alum Corp 押出形材の冷却方法
KR102098499B1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권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9651B (de) * 1965-01-28 1967-05-03 Verwaltungsgesellschaft Moelle Drahthaspel mit Wasserkuehlung
DE2435830C3 (de) * 1974-07-25 1981-11-05 ARBED-F & G Drahtwerke Köln GmbH, 5000 Köl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tahldraht
JPH0689412B2 (ja) * 1988-04-04 1994-11-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線の伸線方法
JP3400116B2 (ja) * 1994-07-14 2003-04-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巻取装置
KR200275554Y1 (ko) * 1997-12-24 2002-10-3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생산라인의바인코일권취장치
KR100685047B1 (ko) * 2005-12-12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용 송풍 및 수분 냉각장치
KR101207735B1 (ko) * 2010-05-26 2012-12-0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장치
KR101197808B1 (ko) * 2010-11-12 2012-11-05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833A (ja) * 1996-03-29 1997-10-07 Showa Alum Corp 押出形材の冷却方法
KR102098499B1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권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89097A (zh) 2023-04-18
EP4176986A1 (en) 2023-05-10
JP2023538070A (ja) 2023-09-06
EP4176986A4 (en) 2023-12-20
WO2022039325A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914A (ko) 노즐 헤더
US20070228596A1 (en) Hot isostatic pr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326259B1 (ko) 선재 권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재 제조장치
KR101236123B1 (ko) 연속 주조 장치용 냉각대 구조체
KR101693617B1 (ko) 프리저 장치
KR100465406B1 (ko) 압출용 빌렛트 가스가열로에서의 테이퍼 히팅장치 및테이퍼히팅방법
KR102098499B1 (ko) 선재권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제조장치
CN111432948B (zh) 穿孔机、芯棒、以及使用了它们的无缝金属管的制造方法
US6471509B2 (en) Strip guiding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struction for changing supporting rolls having cooling means
KR101610817B1 (ko) 지열파이프 성형시스템
JP6923000B2 (ja) 穿孔機、及びそれを用いた継目無金属管の製造方法
KR102250326B1 (ko) 씰포트용 동결방지장치
KR102136011B1 (ko) 터널식 프리저
EP0659907A2 (en) Oil removing apparatus and oil removing method for a pipe coil
KR101207735B1 (ko) 선재 권취 장치
KR101309943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JPH04313417A (ja) 線材・棒鋼類の浸漬冷却装置
KR101716963B1 (ko) 지열파이프 성형시스템
KR101228755B1 (ko) 선재압연의 공기분사식 곡선가이드 장치
JP3686594B2 (ja) 食品・薬品類の凍結乾燥装置における液材料の分注装置
JPH08281317A (ja) 線材巻取りドラムの冷却装置
CA2119994A1 (en) Rotary tunnel freezer
KR20060103728A (ko) 선재 냉각대의 양방향 회전 수냉장치
EP1521513B1 (fr) Dispositif de support d'un détecteur
CN113894934B (zh) 一种热带混凝土保温运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