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194B1 -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194B1
KR102326194B1 KR1020190165432A KR20190165432A KR102326194B1 KR 102326194 B1 KR102326194 B1 KR 102326194B1 KR 1020190165432 A KR1020190165432 A KR 1020190165432A KR 20190165432 A KR20190165432 A KR 20190165432A KR 102326194 B1 KR102326194 B1 KR 10232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management
facility
facilities
pollu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602A (ko
Inventor
홍석영
석희정
간종범
배연정
신선경
김영란
신수정
강필구
김가희
서경애
김은석
김영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1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 예에 따르면, 환경 관련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사업자의 통합공정도를 이용하여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오염 물질 배출 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허가에 필요한 여러 형태의 환경 오염 물질 데이터의 입력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가동 허가서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발급할 수 있고, 이에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USER TERMINAL, AND ENVIRONM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련 법규에 의해 정해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통합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합공정도에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입력하여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허가서를 통합환경 허가관리서버에 전달함에 따라,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통합 허가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 등 사업장의 가동 중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물질 등에 의한 환경문제를 규제하기 위해서, 공장의 배출물질을 관리하고, 환경 오염 물질을 배출하게 될 공정들을 사전 검토하여 해당 공장이 공정을 가동하는 것을 허가하는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공정 가동 허가 처리는 오염매체별로 이루어지고 있어, 행정 비용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환경문제 규제를 위한 법령 등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반영한 허가 처리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허가와 관련된 자료가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고,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원료 사용에서부터 생산공정, 처리기술 등이 상호 연계된 여러 형태의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의 통합 자료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오염배출 사업장 별 관련 법규에 의해 정해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통합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합공정도에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입력하여 통합환경관리 허가서를 통합환경 허가관리서버에 전달하는 통합 환경 허가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34185호 (통합 환경 허가 서버,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 오염 물질을 오염물질 배출 시설과 연계하여 통합공정도를 작성함에 따라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오염물질 배출 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합공정도를 이용하여 통합환경관리 허가서를 작성함에 따라, 통합환경관리 허가서 작성으로 인한 인적 및 시간적 손실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가동 허가서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발급할 수 있고,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기 정해진 절차 항목에 의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게 가동 허가서를 발급하는 통합환경관리서버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여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관련 법규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정도에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여 통합공정도를 작성하며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기반으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통합환경 관리 시스템은,
관련 법규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정도에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여 통합공정도를 작성하며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기반으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수신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에 의거 오염물질 배출사업자에 가동 허가서를 발급하는 통합환경허가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은 환경 관련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사업자의 통합공정도를 이용하여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오염 물질 배출 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허가에 필요한 여러 형태의 환경 오염 물질 데이터의 입력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가동 허가서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발급할 수 있고, 이에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오염물질 배출사업자의 공정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통합공정도의 설명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통합공정도 작성 절차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의 통합공정도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보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S)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환경허가서버(200)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마련된 사용자 단말(100)은 기 정해진 관련 법규에 의해 정해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통합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합공정도에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입력하여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며 작성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통합환경허가서버(200)로 전달한다.
통합환경허가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전달받아 이를 처리하거나, 처리결과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가동 허가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환경관리시스템(S)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환경허가서버(200)를 분리시켜 구성하고, 분리된 이들 구성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통합환경허가서버(1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 및 등록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사용자 단말(100)의 세부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각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마련되고, 관련 법규로 정해진 통합환경관리계획서를 기반으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공정도 상에 오염물질 등의 물질 이동 등을 표시하며, 표시된 오염물질의 물질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로 도출된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여 통합공정도를 작성하며, 통합공정도를 토대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통합환경관리서버(20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입력 및 출력부(110), 프로젝트 관리부(120), 인벤토리(inventory) 관리부(130), 공정도 관리부(140), 및 자료 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법규에 의거 정해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는,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원료 입고에서부터 최종제품이 생성되는 전 과정에서의 오염물질 배출과 이를 억제 방지하기 위한 시설 및 조치 내용이 기재된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현황과 설치 계획을 포함한다.
또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는, 물질흐름 추적으로 배출물질 예측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원료, 연료 첨가제 등의 투입물질 정보 및 배출물질 정보와 이들 간의 상관 관계인 물질수지를 포함하며, 이러한 투입물질 정보와 배출물질 정보 및 물질수지 각각은 대분류, 소분류, 및 소분류를 포함하는 대공정의 총 질량수지 및 단위 공정의 총 질량수지를 제시하는 각 물질에 대한 총 질량지수와, 연료, 원/부원료, 용수, 기타화학물질, 에너지 등으로 구분하여 투입되는 배출시설 또는 배출공정 별 용도 및 최대 사용량을 제시하는 사용물질정보와, 최종 생성되는 제품 또는 중간품의 일간 및 연간 최대 생산량을 제시하는 제품 생산계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엑셀 파일을 읽고 쓰기 위한 아파치 POI(Point of Interest) 라이브러리와, 공정도 및 배출/방지시설/굴뚝시설, 시설 간 연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라이브러리와, 공정도를 PDF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한 PDF(Portable Document Format) 라이브러리와, 공정도 작성을 위한 yWORK 라이브러리와, 그래프 자성을 위한 jfreechart 라이브러리와, 그래픽 사용자 환경에 유연하게 지원하기 위한 InfoNode Docking Window 라이브러리 등이 이용된다.
입력 및 출력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소정 파일 형태로 변환한 다음 프로젝트 관리부(120), 인벤토리(inventory) 관리부(130), 공정도 관리부(140), 및 자료 관리부(150) 중 하나로 전달하고, 프로젝트 관리부(120), 인벤토리(inventory) 관리부(130), 공정도 관리부(140), 및 자료 관리부(150)의 처리 결과를 그래픽 사용자 환경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및 출력부(110)는 입력장치로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과 같은 무선통신 규격을 갖는 리더기, USB 또는 CD와 같이 이동식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기 위한 저장장치 연결포트, 카메라장치, 지문인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입출력부(110)는 출력장치로 모니터, 스피커, LED 출력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에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120)는 관련 법규에 의거 정해진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정보 및 통합환경허가 절차서의 정보 갱신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생성/변경 관리부(121),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 관리부(122),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저장부(123), 및 통합환경관리계획서 호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생성/변경 관리부(121)는 입력 및 출력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설비의 정보를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입력 및/또는 수정한다. 여기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공정 설비가 유사한 경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생성/변경 관리부(121)는 기존의 통합환경관리계획서를 복사하여 새로운 통합환경관리계획서를 생성할 수 있고,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하위 레벨에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설비의 정보를 복사 및 저장한다.
즉,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120)의 메뉴 화면에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이름, 설명, 작성일, 작성자, 업데이트일자 등을 포함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관리 메뉴를 통해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열기(OPEN), 생성(NEW), 삭제(DEL), 다른 이름 저장(SAVE_AS), 불러오기(IMPORT)를 선택하면 해당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리스트 중 다른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선택 시 다른 통합환경관리계획서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 관리부(122)는 입력 및 출력부(110)에 의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 절차 및 통합환경허가 절차에 따른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생성/변경/삭제 명령 입력 시 입력된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생성된 새로운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에 저장한다. 이때 기존의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는 유지된다.
또한 대상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은 대공정 형태로 구분되고 각각의 대공정에 대해 독립적으로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 관리부(122)는 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의 하위 레벨로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저장한 후 별도로 관리한다. 이러한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의 하위 레벨 관리되는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합되어 하나의 통합환경관리계획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저장부(123)는 작성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XML 형식으로 저장/관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ZIP(ZIG-ZAG IN-LINE PACKAGE) 파일 형태로 외부에 저장할 수 있다.
외부에 저장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포함되는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과 오염물질 정보는 인터넷 등의 통신 프로토콜 및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관련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과 오염물질 정보는 복사될 수 있다.
통합환경관리계획서 호출부(124)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관리 기능에서 다른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또는 버전을 선택할 경우 메뉴 화면을 선택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버전 정보로 자동 변환하여 호출한다. 즉, 통합환경관리계획서가 변환될 경우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포함되는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과 오염물질 정보는 기존과 동일한 XML 형태로 저장되고 컴퓨터 메모리에서 삭제되며, 새로 선택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는 메모리에 탑재된다.
즉, 입력 및 출력부(110)로부터 사용자의 다른 기기로부터 통합환경관리계획서를 불러오면 새로운 통합환경관리계획서가 생성되고, 생성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입력된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과 오염물질 정보와 통합환경허가 절차서의 정보 갱신 자료가 자료 관리부(150)에 저장된다.
한편,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작성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상에 포함된 배출시설, 방지시설, 및 굴뚝시설의 배출구 정보를 관리하고 각 시설 간의 연결관계, 오염물질의 발생 및 저감처리 정보, 사용연료정보, 원/부원료 사용정보, 용수의 사용 및 이동정보, 기타화학물질의 저장/사용/이동정보 등을 관리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관리부(131), 시설연계관리부(132), 시설관리번호 부여부(133), 및 물질수지 분석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관리부(131)는 배출시설, 방지시설, 대기 및 폐수 배출구, 폐기물보관시설, 연로 저장시설, 비점오염 저감시설, 및 기타화학물질 저장시설 등의 시설관리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에 대한 시설관리부(131)는 시설의 정보를 포함하여 오염물질 발생정보, 오염물질 저감(처리)정보를 대기, 비산배출, 악취, 수질 등의 매체별로 관리하고 하위에 발생 및 처리 대상이 되는 세부 오염물질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대기 및 폐수 배출구에 대한 시설관리부(131)는 대상 배출구의 세부 정보 및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보 및 허가기준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저장한다.
비점오염저감시설에 대한 시설관리부(131)는 기본적으로 방지시설 정보와 유사하지만, 비점오염 처리 대상 면적 등의 세부 정보를 관리하고, 연료 및 기타화학물질 저장시설에 대해 저장물질의 세부 정보, 각 연계시설에서 사용하는 물질의 종류 및 수량 등의 세부 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시설연계관리부(132)는 배출시설, 방지시설, 배출구 등의 시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설연계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시설의 배관 연결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오염물질의 이동, 연료 및 용수의 이동, 화학물질의 이동, 폐기물의 이동, 원/부원료의 이동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연계정보는 후술된 공정도 관리부(140)에서 작성된 통합공정도 상에 화살표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시설연계정보는 오염물질 및 물질수지 분석부(134)로 전달되어 물질수지 분석에 이용된다.
시설관리번호 부여부(133)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상에서 규정된 배출 및 방지시설 번호 부여 방법에 따라 배출시설, 방지시설에 대한 시설관리번호를 부여하고, 발생 또는 저감(처리)되는 오염물질 매체별로 번호를 부여한다. 이때 시설관리번호 부여부(133)는 부여 번호의 체계, 중복여부의 검증, 누락 번호의 검증, 일련 부여번호의 재생성, 번호부여 규칙의 적합성 검증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오염물질 및 물질수지 분석부(134)는 시설관리부(131)의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관리부(132)의 시설연계정보를 분석하여 각 공정 또는 시설별로 오염물질의 발생 및 처리에 대한 분석, 오염물질/사용연료/용수/원부원료 등을 포함한 물질수지의 적합성 여부를 분석한다.
이러한 인벤토리 관리부(130)의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는 공정도 관리부(140)로 전달되며, 공정도 관리부(140)는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서 정한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에 대한 공정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정도 상에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기반으로 통합공정도를 자동생성/편집하는 구성으로 자동 생성부(141), 편집부(142), 및 최적화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생성부(141)는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서 정한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에 대한 공정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정도 상에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기반으로 통합공정도를 각 오염배출 사업자 별로 자동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자동 생성부(141)는 대공정-중공정-소공정-단위공정의 트리 형태로 공정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정도에 단위공정 이상의 대공정에 하위 모든 단위공정을 포함하는 전체 공정도로 생성한다. 인벤토리 관리부(130)에서 시설의 추가/수정/삭제가 있을 경우 통합 공정도에 이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수정된 공정도가 생성된다.
또한 자동 생성부(131)의 통합 공정도는 배출 및 방지시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설연계정보를 전달받아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 상에 화살표 형태로 표현하고, 이러한 공정도에 의거 전/후단 시설 및 화살표 상에서 오염물질 및 오염물질 배출, 물질의 이동, 및 배출구 및 최종처리 공정의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공정도를 자동 생성하기 위해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각 공정도는 대공정과 단위 공정으로 구분하고 공정의 범위는 공정 내의 첫번째 시설부터 다음 공정의 첫번째 시설 직전까지로 정하고, 최소 단위 공정은 배출시설보다 큰 규모로 설정된다. 일 례로, 단일 공정만으로 연계된 발전 시설인 경우 제품 제조공정(연료저장, 파쇄/선별, 연소, 발전, 열회수)-유틸리티 공정(온수공급)-환경오염물질 처리공정(폐수처리)로 구분된다
다른 례로, 다수의 대공정으로 구성되고, 각 대공정에 단위공정들이 포함되어 있는 기초유기화합물인 기초유기화합물 제조시설인 경우 PVC제조공정 내에 반응공정, 가열공정, 포장공정이 포함된다.
또 다른 례로 다수의 대공정, 중공정, 소공정으로 구성되고, 분류 별 각 공정에 단위공정들이 포함되어 있는 철강제조업의 코크스공정내 건조공정, 분쇄공정, 선별공정 등의 중공정이 존재하고, 그 하부에 저장, 이송, 혼합, 투입공정 등의 소공정이 포함된다.
여기서 공정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여건에 따라 대공정-중공정-소공정-단위공정 순으로 구비되고, 1단계의 단위공정과 2단계 및 3단계의 대공정을 '대분류 공정'으로 표기되며, 단위공정은 공통시설(폐수처리공정, 대기오염 저감공정, 폐기물처리 공정 등)과 공정시설(고체·액체·기체연료 연소, 폐기물 소각공정 등)로 구분되고, 물질의 흐름 순서에 따라 숫자로 부여하되, 대공정 번호와 조합하여 표기된다.
또한 공정은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표기되며, 예를 들어,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생산)공정, 환경오염물질처리공정으로 분류되고, 여기서, 유틸리티 공정 (PU)은 직접적인 제품 생산 제조 공정은 아니나, 제조공정에 투입되는 부자재 및 에너지원을 생산·저장하는 공정으로 제조 공정 상 원료 투입 직전까지의 모든 공정으로 예를 들어, 순수제조, 스팀공정, 원료 입고공정, 원료전처리, 사용물질저장공정을 포함하고, 대공정(PU-01, PU-02, PU-03 … )과 단위공정(PU-01-01, PU-01-02, PU-01-03 … )으로 표기된다.
그리고, 제품제조 (생산)공정 (P)는 원료 투입부터 최종 제품 생산까지 제품제조 전 공정으로, 예를 들어, 소각공정, 연소공정, 기타공정, 이화학실험공정 중 하나로 포함되며, 대공정(P-01, P-02, P-03 … )와 단위공정(P-01-01, P-01-02, P-01-03 …)로 표기된다.
환경오염물질 처리공정 (PW)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배출오염물질이 공정 밖 별도의 외부시설에서 차집 및 처리하는 공정으로, 폐수처리, 소각재처리, 폐기물보관/저장/처리, 비점오염저감 등의 공정이 포함되고, PW-01, PW-02, PW-03 … 의 대공정과 PW-01-01, PW-01-02, PW-01-03 … 의 단위공정으로 표기된다.
기타 공정(PE)는 유틸리티 공정 (PU)과 제품제조 (생산)공정 (P) 공정과 환경오염물질 처리공정(PW)으로 구분하기 애매한 공정, 예를 들어, 산재생시설이 포함된다.
도 3은 자동 생성부(141)의 공정도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통합공정도의 자동 생성부(141)는 (a)에 도시된 오염배출 사업자 전체 공정도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공정, 오염물질 처리공정 등 기능적으로 분류한 후, 각 공정을 1개 또는 여러 개의 대분류 공정으로 구분하여 공정도를 작성하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된 공정도에 각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공정, 오염물질 처리공정의 명칭(또는 번호) 및 공정상 투입 또는 배출되는 물질(연료, 원료, 제품 포함), 용수, 에너지 등을 표기하며, 각 시설연계정보를 표기하며, 각 공정 마다 세부 공정을 표기하여 통합 공정도를 작성한다. 여기서 각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공정, 오염물질 처리공정의 각 공정 별로 대분류 공정, 중분류 공정 및 소분류 공정 순의 하부 구조로 표시된다.
도 4는 통합 공정도의 각 공정 설명서를 보인 예시도로서, 설명서는 통합 공정도, 단위공정, 단위공정별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별 기재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설명서에 의해 공통시설 및 공정시설 각각에 대한 단위공정의 명칭 및 단위공정 종류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통합공정도 작성 절차서를 보인 예시도로서, 통합공정도 작성절차서는 공장도의 개요, 공정도 기재 내용. 및 공정도 작성순서,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에 더하여, 통합공정도는 작성된 공정도 상에 배기시설 및 발생 오염물질과, 방지시설 저감대책 및 발생오염물질과, 최종 처리 등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자동 생성부(141)에 의해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자동 생성부(141)의 통합공정도를 통해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각 공정 별 오염물질 등의 물질 이동, 오염물질의 물질수지 분석 등의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가 직관적으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
그에 더하여 통합공정도 작성 절차서에는 다양한 오류 사례들을 추가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부(142)는 자료 관리부(150)에 저장된 각 공정 별 설명서에 의거 각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공정, 오염물질 처리공정의 명칭(또는 번호) 및 공정상 투입 또는 배출되는 물질(연료, 원료, 제품 포함), 용수, 에너지 등의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이에 편집부(142)는 통합공정도 상에서 시설의 등록/수정/삭제 기능을 수행하며, 통합공정도 상에서 시설간 연결선을 생성할 경우 자동으로 인벤토리 관리부(130)에 관련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편집부(142)는 공정도 상의 시설 배치, 크기, 색상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 용수, 연료, 폐기물, 화학물질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물질을 제한 또는 확장할 수 있다.
편집부(142)의 공정도 편집기능을 통해 시설의 등록 및 연결관계를 구성할 경우 연결선이 겹치거나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 공정연계 및 물질흐름을 쉽게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최적화부(142)는 시설을 나타내는 노드와 시설간 연결관계를 표시하는 엣지가 최대한 겹치거나 중복되지 않게 시설을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상의 배치형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수평 배치형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수직 배치형태 등 다양한 자동배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자료 관리부(150)는 통합환경관리 계획서 및 통합환경허가 절차서에 의거 제작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별 공정 설명서와 통합공정도 작성 절차서가 저장되어 있으며, 각 공정 설명서는 유틸리티 공정, 제조공정, 환경오염물질 처리 공정 별 단위공정 용어 설명 및 각 단위공정의 입력 형식 등을 포함한다. 일 례로, 자료 관리부(150)는 통합공정도의 폐기물소각공정(P-01-01) 중 폐기물소각시설의 공정설명, 배기배출, 휘발성유지화합물배출, 폐기물, 및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공정 설명 및 오염물질 발생원리 등의 설명이 포함된다.
또한, 자료 관리부(150)는 폐기물소각공정(P-01-01) 중 폐기물소각시설의 폐열보일러의 공정설명, 폐수배출, 및 폐기물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그리고 자동생성부(141)에 의거 작성된 통합공정도 상에 법적으로 정해진 환경 오염 배출시설에 대한 공정 별 배출 및 방지시설과 오염물질 정보 등을 기 정해진 양식에 따라 입력하고 이러한 공정별 배출 및 방지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가 입력된 통합공정도는 자료 관리부(150)로 전달되며, 자료 관리부(150)는 통합공정도를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한편 입력 및 출력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접속된 통합환경허가 서버(200) 간의 호환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의 파일을 통합환경허가 서버(200)의 파일 형태로 변환한 다음 인벤토리 관리 및 통합공정도 작성을 수행하고, 반대로 인벤토리 관리 및 통합공정도 정보의 파일 형태를 통합환경허가 서버(200)에서 정의된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료 관리부(150)의 통합환경허가 서버(200)에서 정의된 파일 형태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파일 형태로 변환하고, 역으로 파일 형태의 변환이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 단말(100)과 접속된 통합환경허가 서버(200) 간의 호환성이 유지된다.
이때 자료 불러오기는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등의 배출구 정보가 입력되거나 정보가 완전한 입력 형태로 구성되어 아니한 경우 자료 관리부(150)로부터 불러올 수 있으며, 자료 분석 결과 부족한 정보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관련정보를 기본값으로 대체하여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공정분석 단계 별로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자료 관리부(150)의 다양한 정보는 통합공정도를 작성하는 전체의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고, 정보가 상세할수록 인벤토리 및 통합공정도가 구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9는 자료 관리부(150)에 저장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의 통합공정도 및 공정설명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자료 관리부(150)에 저장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는 폐기물 소각 공정 중 침사조, 유수분리조, 펌핑조, 유량조정조, 등을 등을 단위 공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료 내보내기는 각 통합공정도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통환환경허가 서버(200)의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통환환경허가 서버(200)에 전달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각각의 통합공정도의 배출 및 배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 및 오염 물질에 대한 물질수지 분석 결과 항목은 통합환경관리 시스템에서 이미 적용하고 있는 항목으로서, 본 명세서 상에서는 관련 법규에 의거 정해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의거 통합공정도 작성 절차서, 및 공정 별 설명서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명시하지 않지만 당업자에 수준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정해진 관련 법규에 의해 정해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통합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합공정도에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입력하여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며 작성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통합환경허가서버로 전달한다.
이에 일 실시예는 통합공정도에 의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오염물질 배출 현황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통합공정도를 이용하여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함에 따라 통합환경허가 절차서의 작성에 따른 인적 및 시간적 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이에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가동 허가서 발급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입력 및 출력부
120 : 통합환경관리 계획서 관리부
130 : 인벤토리 관리부
140 : 공정도 관리부
150 : 자료 관리부
200 : 통합환경관리서버

Claims (10)

  1. 기 정해진 절차 항목에 의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게 가동 허가서를 발급하는 통합환경관리서버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여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관련 법규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정도에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여 통합공정도를 작성하며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기반으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는,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공정을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 공정, 및 오염물질 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다음 각 기능적 공정 별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물질 흐름 순서에 따라 숫자를 부여하여 트리 구조의 그래픽 형태로 작성하고,
    오염물질 배출업장의 배출 및 방지시설에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설연계 정보를 전달받아 화살표로 표현하여 전후단 시설 및 오염물질 배출 물질의 이동, 및 배출구와 최종처리 공정의 연결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시설 추가, 수정 및 삭제 중 하나가 있을 경우 트리 구조의 공정도에 반영하여 수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로부터 제공된 파일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의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명령에 의거 저장된 정보를 요청된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 및 출력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의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포함된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각 공정에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여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도출하는 인벤토리 관리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정도 상에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표기하여 통합공정도를 생성하는 공정도 관리부; 및
    관련 법규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의거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저장하고 입력 및 출력부의 요청에 의거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의거 수행하여야 하는 절차를 추출하여 인벤토리 관리부 및 공정도 관리부 중 하나로 전달하고,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 인벤토리 관리부, 및 공정도 관리부의 수행 결과에 따라 도출된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는
    입력 및 출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 설비의 정보를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입력 및/또는 수정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생성/변경 관리부;
    입력 및 출력부에 의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 절차 및 통합환경허가 절차에 따른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생성/변경/삭제 명령 입력 시 입력된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생성된 새로운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에 저장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 관리부;
    작성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XML 형식으로 저장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저장부; 및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관리 기능에서 다른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또는 버전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버전 정보로 자동 변환하여 호출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호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벤토리 관리부는,
    배출시설, 방지시설, 대기 및 폐수 배출구, 폐기물보관시설, 연로 저장시설, 비점오염 저감시설, 및 기타화학물질 저장시설 등의 시설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시설관리부;
    배출시설, 방지시설, 배출구 등의 시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설연계정보를 관리하는 시설연계관리부;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상에서 규정된 배출 및 방지시설 번호 부여 방법에 따라 배출시설, 방지시설에 대한 시설관리번호와 발생 또는 저감(처리)되는 오염물질 매체별로 번호를 부여하는 시설관리번호 부여부; 및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분석하여 각 공정 또는 시설별로 오염물질의 발생 및 처리에 대한 분석, 오염물질/사용연료/용수/원부원료 등을 포함한 물질수지의 적합성 여부를 분석하는 오염물질 및 물질수지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도 관리부는,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서 정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에 대한 공정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정도 상에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기반으로 통합공정도를 각 오염배출 사업자 별로 자동 생성하는 자동 생성부;
    각 공정 별 설명서에 의거 각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공정, 오염물질 처리공정의 명칭(또는 번호) 및 공정상 투입 또는 배출되는 물질(연료, 원료, 제품 포함), 용수, 에너지 등의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부; 및
    시설을 나타내는 노드와 시설간 연결관계를 표시하는 엣지가 최대한 겹치거나 중복되지 않게 시설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최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관련 법규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정도에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여 통합공정도를 작성하며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기반으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를 작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수신된 통합환경허가 절차서에 의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가동 허가서를 발급하는 통합환경허가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는,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공정을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 공정, 및 오염물질 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다음 각 기능적 공정 별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물질 흐름 순서에 따라 숫자를 부여하여 트리 구조의 그래픽 형태로 작성하고,
    상기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배출 및 방지시설에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설연계 정보를 전달받아 화살표로 표현하여 전후단 시설, 및 오염물질 배출 물질의 이동, 및 배출구와 최종처리 공정의 연결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시설 추가, 수정 및 삭제 중 하나가 있을 경우 트리 구조의 공정도에 반영하여 수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로부터 제공된 파일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의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명령에 의거 저장된 정보를 요청된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 및 출력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의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포함된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각 공정에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여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도출하는 인벤토리 관리부;
    통합환경관리 계획서를 기반으로 해당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정도 상에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표기하여 통합공정도를 생성하는 공정도 관리부; 및
    관련 법규에 의거 작성된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의거 작성된 통합공정도를 저장하고 입력 및 출력부의 요청에 의거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 의거 수행하여야 하는 절차를 추출하여 인벤토리 관리부 및 공정도 관리부 중 하나로 전달하고,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 인벤토리 관리부, 및 공정도 관리부의 수행 결과에 따라 도출된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관리부는
    입력 및 출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공정 설비의 정보를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입력 및/또는 수정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생성/변경 관리부;
    입력 및 출력부에 의거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 절차 및 통합환경허가 절차에 따른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생성/변경/삭제 명령 입력 시 입력된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생성된 새로운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에 저장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 관리부;
    작성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시설 및 오염물질 정보를 XML 형식으로 저장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저장부; 및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버전관리 기능에서 다른 통합환경관리계획서 또는 버전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통합환경관리계획서의 버전 정보로 자동 변환하여 호출하는 통합환경관리계획서 호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벤토리 관리부는,
    배출시설, 방지시설, 대기 및 폐수 배출구, 폐기물보관시설, 연로 저장시설, 비점오염 저감시설, 및 기타화학물질 저장시설 등의 시설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시설관리부;
    배출시설, 방지시설, 배출구 등의 시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설연계정보를 관리하는 시설연계관리부;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상에서 규정된 배출 및 방지시설 번호 부여 방법에 따라 배출시설, 방지시설에 대한 시설관리번호와 발생 또는 저감(처리)되는 오염물질 매체별로 번호를 부여하는 시설관리번호 부여부; 및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분석하여 각 공정 또는 시설별로 오염물질의 발생 및 처리에 대한 분석, 오염물질/사용연료/용수/원부원료 등을 포함한 물질수지의 적합성 여부를 분석하는 오염물질 및 물질수지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도 관리부는,
    통합환경관리 계획서에서 정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에 대한 공정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정도 상에 시설관리정보 및 시설연계정보를 기반으로 통합공정도를 각 오염배출 사업자 별로 자동 생성하는 자동 생성부;
    각 공정 별 설명서에 의거 각 유틸리티 공정, 제품 제조공정, 오염물질 처리공정의 명칭(또는 번호) 및 공정상 투입 또는 배출되는 물질(연료, 원료, 제품 포함), 용수, 에너지 등의 환경 오염 물질 관련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부; 및
    시설을 나타내는 노드와 시설간 연결관계를 표시하는 엣지가 최대한 겹치거나 중복되지 않게 시설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최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0190165432A 2019-12-12 2019-12-12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32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32A KR102326194B1 (ko) 2019-12-12 2019-12-12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32A KR102326194B1 (ko) 2019-12-12 2019-12-12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02A KR20210074602A (ko) 2021-06-22
KR102326194B1 true KR102326194B1 (ko) 2021-11-16

Family

ID=7660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432A KR102326194B1 (ko) 2019-12-12 2019-12-12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1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57B1 (ko) * 2001-01-03 2005-03-30 주식회사 티오이십일 화학물질의 배출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7145A (ko) * 2001-05-14 2002-11-22 (주)한국팬지아 전사적 자원관리에 의한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35139B1 (ko) * 2003-02-25 2006-10-31 박기연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경 영향 평가 방법
KR101834185B1 (ko) 2017-06-16 2018-03-05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통합 환경 허가 서버, 통합 환경 허가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통합환경관리제도 백서, 환경부
통합환경허가시스템(사업장 사용자 매뉴얼 ver2.0), 국립환경과학원 (2017.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02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2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on of application source code
CN104133772B (zh) 一种自动生成测试数据的方法
CN101000671B (zh) 工作流管理系统
US20120054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 transform, and load workflow generation
CN102541521B (zh) 基于结构化查询语言的操作指令自动生成装置及方法
CN104111828A (zh) 人机交互界面自动生成方法及系统
CN101770363A (zh) 代码转换
CN101208660A (zh) 代码转换
US20080040125A1 (en) Apparatus for Revising Corporate Checklist
KR102365292B1 (ko) 복잡한 엔지니어링 객체의 수명주기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구현을 위한 시스템
CN104506628A (zh) 一种插件仓库管理方法与系统
CN101853163B (zh) 一种基于组装业务建模的行业应用软件系统构建方法
US20020188611A1 (en) System for managing regulated entities
CN115577883A (zh) 碳资产管理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umar et al. Conceptualizing “COBieEvaluator” A rule based system for tracking asset changes using COBie datasheets
Condotta et al. BIM-based method to inform opera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rough a simplified procedure
KR102326194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Sardarmehni et al. Solid waste optimization life‐cycle framework in Python (SwolfPy)
JP2007149087A (ja) 文書作成支援装置
JPWO2009011057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解析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解析方法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解析装置
Cignini et al. ENEA PAES: A Web Platform for Supporting Italian Municipalities in Sustainable Energy Action Plan
CN111277650B (zh) 一种结合功能指标和非功能指标的自动化微服务识别方法
JPWO2007049800A1 (ja) 文書作成支援装置
Belizario-Silva et al. The Sidac system: Streamlining the assessment of the embodied energy and CO2 of Brazilian construction products
Lucas et al. Using a case-study approach to explore methods for transferring BIM-based asset data to facility manage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