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83B1 -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983B1
KR102325983B1 KR1020200018091A KR20200018091A KR102325983B1 KR 102325983 B1 KR102325983 B1 KR 102325983B1 KR 1020200018091 A KR1020200018091 A KR 1020200018091A KR 20200018091 A KR20200018091 A KR 20200018091A KR 102325983 B1 KR102325983 B1 KR 10232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light blocking
jig
dispenser
receiv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665A (ko
Inventor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트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트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트론텍
Priority to KR102020001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막 형성 장치는, 프리즘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며, 프리즘들을 배열하기 위한 프리즘 지그;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를 프리즘 지그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APPARATUS FOR FORMING LIGHT BLOCKING LAYER ON PRISM AND METHOD OF FORMING LIGHT BLOCKING LAYER ON PRIS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및 랩톱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틸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캡쳐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팩트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는 통상 화상을 확대할 수 있는 줌(zoom) 기능을 갖는다.
줌은 그 방식에 따라 크게 디지털식 줌과 광학식 줌으로 나뉠 수 있다. 디지털식 줌은 렌즈의 이동 없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기술이다. 디지털식 줌을 이용하여 확대할 경우, 실제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대하는 것이므로, 화질이 손상될 수 있다.
한편, 광학식 줌은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기술이다. 광학식 줌은 빛의 굴절도를 변화시켜 피사체를 크게 인식하는 기술이므로, 해상도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화질은 손상되지 않는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기 어렵고, 이 때문에 디지털 줌 기능을 주로 탑재하였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에 광학식 줌을 가능하게 한 것이 폴디드 카메라 모듈이다. 폴디드 카메라 모듈은 프리즘과 같은 폴딩 요소를 채택하여 피사체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수직하게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모바일 장치에 평행하게 바꾼다. 이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를 모바일 장치의 폭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광학식 줌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폴디드 카메라 모듈의 렌즈 설계에 대해서는 예컨대 국제공개번호 WO2018/154421호를 참고할 수 있다.
프리즘 상에는 일반적으로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성된다. 프리즘의 다양한 면에 광 차단막이 형성되며, 이를 위해 45도 및 90도 인쇄기가 사용된다. 이들 인쇄기는 프리즘을 진공 흡착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프리즘 면을 잉크에 찍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프리즘 면에 잉크를 찍어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프리즘의 동일면에 모두 광 차단막이 형성된다.
그런데 하나의 면에서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을 때, 종래의 프리즘 인쇄기로는 광 차단막을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리즘의 동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한 광 차단막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프리즘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막 형성 장치는, 프리즘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며, 프리즘들을 배열하기 위한 프리즘 지그;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및 상기 디스펜서를 상기 프리즘 지그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프리즘 지그 상에 배열된 프리즘들에 라인 형상으로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광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즘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지그는,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들; 및 상기 수용홈들 내에 각각 형성된 프리즘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프리즘들을 단일의 프리즘 지그 내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들 프리즘들에 함께 광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리즘 지그는 이웃하는 수용홈들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홈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들은 행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홈들은 같은 행에 배치된 수용홈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디스펜서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디스펜서가 복수의 수용홈들 및 연통홈들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홀더의 수평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행에 배치된 프리즘들에 광 차단 물질이 도포되면 스테이지가 이동하여 다음 행에 배치된 프리즘들에 광 차단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 물질은 블랙 프린팅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 차단 물질은 경화제 및 솔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 차단막 형성 방법은, 프리즘 지그에 복수의 프리즘들을 배열하되, 프리즘들의 동일한 면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프리즘 지그에 배치되고, 디스펜서를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프리즘들의 노출된 면들 상에 광 차단 물질을 라인 형상으로 도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펜서를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일렬로 배열된 프리즘들에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하는 동안, 디스펜서는 수직 방향 이동 없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프리즘과 프리즘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도 광 차단 물질을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 상에만 광 차단 물질을 토출할 필요가 없어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광 차단물질을 경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리즘의 동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는 광 차단막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간단한 방법에 의해 프리즘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차단막이 형성된 프리즘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막 형성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지그(5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광 차단막 형성 장치(100)는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워크 스테이션(21), 지지대(23), 홀더 레일(25), 홀더 지지기(27), 홀더(29), 디스펜서(30), 스테이지(40) 및 프리즘 지그(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리즘은 폴디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특히, 모바일 폰이나 태블릿에서 폴디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프리즘일 수 있다.
워크 스테이션(21)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한정하며, 그 위에 스테이지(40)가 배치된다. 워크 스테이션(21)은 스테이지(40)가 수평 방향, 특히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 예컨데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3)는 워크 스테이션(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홀더 레일(25)을 지지한다. 지지대(23)는 워크 스테이션(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대(23)는 또한, 홀더 레일(25)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대(23)는 홀더 레일(25)과 워크 스테이션(21)의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홀더 레일(25)은 워크 스테이션(21) 상부에서 워크 스테이션(21)의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홀더 레일(25)은 홀더 지지기(27)가 워크 스테이션(21)의 상면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홀더 지지기(27)는 홀더(29)를 지지한다. 홀더 지지기(27)는 홀더 레일(25)을 따라 수평 방향, 예컨대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 지지기(27)는 또한 홀더(29)를 수직 방향, 예컨대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29)는 디스펜서(30)를 보유한다. 홀더(29)는 홀더 지지기(2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홀더(29)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펜서(30)는 프리즘 상에 도포될 광 차단막 형성용 슬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30)는 노즐, 예컨대, 니들을 포함하며, 노즐을 통해 슬러리를 토출할 수 있다. 노즐의 입구는 원하는 크기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노즐의 크기는 형성하고자 하는 광 차단막의 폭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디스펜서(30)는 공압 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압 장치의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디스펜서(30) 내의 슬러리를 노즐을 통해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30) 내에 보유되는 슬러리는 광을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러리는 블랙계열 인쇄용 잉크와 경화제 및 솔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슬러리는 종래의 S면이나 AC면 또는 BC면에 형성되는 광 차단물질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지(40)는 워크 스테이션(21) 상에 배치된다. 스테이지(40)는 워크 스테이션(21)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지(40)는 예를 들어, 워크 스테이션(21) 상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리즘 지그(50)는 스테이지(4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테이지(40)의 이동에 의해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리즘 지그(50)는 복수의 프리즘들을 정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지그(50)는 지그 몸체(51), 프리즘 수용홈(53), 프리즘 받침대(55) 및 연통홈(57)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몸체(51)에 복수의 프리즘 수용홈(53)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지그 몸체(51)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 수용홈들(53)을 갖는다.
프리즘 받침대(55)가 각각의 프리즘 수용홈(53)에 배치된다. 프리즘 받침대(55)는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한 프리즘 면(예를 들어, C면)이 워크 스테이션(21)의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프리즘 받침대(55)는 단일 경사면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즘을 원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연통홈(57)은 이웃하는 프리즘 수용홈들(53)을 연결한다. 연통홈(57)은 일렬로 형성된 수용홈들(53)을 선형으로 연결한다. 연통홈(57)은 디스펜서(30)의 니들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하에서,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우선, 프리즘(60)이 제공된다. 프리즘(60)은 입사된 광의 방향을 90도 또는 그에 가깝게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 수직으로 입사된 광의 방향을 모바일 장치에 평행하게 변경할 수 있다. 광은 예를 들어, A면으로 입사하고, B면에서 반사되며, C면을 통해 나간다.
프리즘(60)은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 차단막들(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면들은 광 차단막으로 덮일 수 있다. 또한, 프리즘(60)은 A면과 C면 사이의 모서리에 커팅된 면(즉, AC면)을 가질 수 있고, B면과 C면 사이의 모서리에 커팅된 면(즉, BC면)을 가질 수 있으며, A면과 B면 사이의 모서리에 커팅된 면(즉, AB면)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커팅된 면들(AC면, BC면, AB면) 중 AC면 및 BC면은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 차단막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면들에 형성되는 광 차단막들은 종래의 45도 및 90도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AC면 및 BC면 전체에 광 차단막들이 형성된다. 이들 광 차단막은 블랙 프린팅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프리즘들(60)이 프리즘 지그(50) 상에 배열된다. 프리즘(60)은 프리즘 받침대(55) 상에 배치되어 프리즘 받침대(55)에 의해 지지된다. 프리즘(60)의 B면이 프리즘 받침대(55)에 접하며, 프리즘의 C면이 워크 스테이션(21)의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리즘의 C면이 수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면은 수평면 또는 워크 스테이션(21)의 상면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다만, 프리즘 지그(50)에 배열된 프리즘들(60)은 C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즘 지그(50)의 수용홈들(53)에 프리즘들(60)이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수용홈(53)의 입구 크기는 프리즘(60)의 C면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그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수용홈들(53)의 입구 형상은 C면과 유사한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즘(60)의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기 위해 수용홈(53)의 적어도 일 방향 최소 폭이 프리즘(60)의 C면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30)를 이용하여 프리즘(60) 상에 정밀하게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프리즘(60)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프리즘 지그(50)의 수용홈들(53)은 프리즘들(60)을 일 방향, 예컨대 x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즘들(60)은 일 방향, 예컨대 x 방향으로 배치되는 폭이 수용홈(53)의 x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즘(60)을 프리즘 지그(50)의 수용홈(53) 내에 배치하거나 그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간편하다. 이 경우, 디스펜서(30)는 프리즘(60) 상에 광 차단 물질을 토출하기 전에 프리즘 지그(50)의 연통홈(57)에서 미리 광 차단 물질을 토출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프리즘(60) 상에 토출이 완료된 후에도 적어도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 광 차단 물질을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들(60) 사이에서 토출되는 광 차단 물질은 연통홈(57) 내에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프리즘 지그(50)는 스테이지(40) 상에 배치되며, 스테이지(40)는 워크 스테이션(21) 상에서 설정된 작업 위치에 배치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프리즘(60)의 C면에 광 차단막(35)이 형성된다. 광 차단막(3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펜서(30)를 이용하여 광 차단물질을 프리즘(60)의 C면에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광 차단 물질을 경화하기 위한 경화 장치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펜서(30)는 홀더(29)의 이동에 의해 프리즘 지그(50)에 배열된 프리즘(60)에 가깝게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펜서(30)의 니들은 프리즘 지그(50)의 일측에 배치된 프리즘(60) 상에 정렬된다. 니들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공압 장치가 작동하여 디스펜서(30) 내의 광 차단물질이 토출된다. 니들이 프리즘(60)의 AC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광 차단물질을 토출하여 프리즘(60) 상에 광 차단 물질을 라인 형상으로 도포한다. 하나의 프리즘(60)에 광 차단물질 도포가 완료되면, 니들은 프리즘 지그(50)의 연통홈(57)을 따라 이동하여 이웃하는 수용홈(53)에 배치된 프리즘(60) 상에 도달하고, 프리즘(60) 상에 다시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한다. 광 차단 물질은 니들로부터 연속적으로 토출될 수도 있으며, 프리즘들(60) 사이에서 토출되는 광 차단 물질은 연통홈(57) 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홀더(29)의 이동 속도, 프리즘들(6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광 차단 물질이 토출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연통홈(57) 내로 광 차단 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도 있다.
하나의 열 내에 배치된 프리즘들(60)에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하는 동안 니들의 수직 방향 높이는 일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프리즘(60)에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한 후에 니들은 수직 방향 이동 없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광 차단 물질이 형성되는 폭은 니들의 내경, 공압기의 토출 압력, 홀더(29)의 이동 속도 및 니들과 프리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차단 물질은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0.6mm 이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프리즘(60) 상에 형성된 광 차단 물질을 경화시킴으로써 광 차단막(35)이 형성될 수 있다. 광 차단막(35)은 AC면에 미리 형성된 광 차단막과 접할 수 있다. 광 차단막(35)의 폭은 대략 0.25 내지 1mm, 나아가, 0.3 내지 0.7mm 범위 내일 수 있으며, 광 차단막의 두께는 약 0.1 mm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S면들, AC면 및 BC면에 광 차단막이 미리 형성된 프리즘(60)의 C면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35)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면들, AC면 및 BC면에 형성되는 광 차단막이 부분적인 광 차단막(35)을 형성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차단 물질(35')이 형성된 프리즘(60)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즘(60)은 프리즘 받침대(55) 상에 배치되며, 광 차단 물질(35')은 프리즘(60)의 일면, 즉 C면 상에 부분적으로 라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광 차단 물질(35')의 폭은 위치에 따라 편차가 클 수 있다. 특히, 프리즘(60)의 S면들에 가까운 부분에서 광 차단 물질(35')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잉크가 배치된 판에 프리즘을 찍어서 45도 또는 90도 인쇄를 수행하던 종래 방식으로는 프리즘의 일 면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흑색 인쇄 잉크를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프리즘의 일면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연통홈들(57)이 형성된 프리즘 지그(50)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프리즘들(60)에 광 차단막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AC면에 인접하여 프리즘의 C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35)을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플래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0)

  1. 프리즘의 일면 상에 부분적으로 광 차단막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며, 프리즘들을 배열하기 위한 프리즘 지그;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및
    상기 디스펜서를 상기 프리즘 지그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지그는,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들; 및
    상기 수용홈들 내에 각각 형성된 프리즘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지그는 이웃하는 수용홈들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홈들을 갖되,
    상기 수용홈들은 행렬로 배열되고,
    상기 연통홈들은 같은 행에 배치된 수용홈들을 서로 연결하는 광 차단막 형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디스펜서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디스펜서가 복수의 수용홈들 및 연통홈들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광 차단막 형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홀더의 수평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 차단막 형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 물질은 블랙 프린팅 잉크를 포함하는 광 차단막 형성 장치.
  7. 프리즘 지그에 복수의 프리즘들을 배열하되, 프리즘들의 동일한 면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프리즘 지그에 배치되고,
    디스펜서를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프리즘들의 노출된 면들 상에 광 차단 물질을 라인 형상으로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프리즘 지그는,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들; 및
    상기 수용홈들 내에 각각 형성된 프리즘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지그는 이웃하는 수용홈들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홈들을 갖되,
    상기 수용홈들은 행렬로 배열되고,
    상기 연통홈들은 같은 행에 배치된 수용홈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프리즘과 프리즘 사이의 상기 연통홈에서도 광 차단 물질을 토출하는 광 차단막 형성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디스펜서를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일렬로 배열된 프리즘들에 광 차단 물질을 도포하는 동안, 디스펜서는 수직 방향 이동 없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광 차단막 형성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물질을 경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차단막 형성 방법.
KR1020200018091A 2020-02-14 2020-02-14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KR10232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91A KR102325983B1 (ko) 2020-02-14 2020-02-14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91A KR102325983B1 (ko) 2020-02-14 2020-02-14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665A KR20210103665A (ko) 2021-08-24
KR102325983B1 true KR102325983B1 (ko) 2021-11-15

Family

ID=7750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091A KR102325983B1 (ko) 2020-02-14 2020-02-14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9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762B1 (ko) * 1999-01-20 2001-02-15 윤종용 광학 프리즘 제조용 지그 및 지그를 이용한 광학
KR100660587B1 (ko) * 2003-06-04 2006-12-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렌즈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30008374A1 (en) 2010-03-30 2013-01-10 Hoya Corporation Dye applying apparatus for plastic lens
KR101766742B1 (ko) * 2016-04-11 2017-08-23 (주)유한엔씨아이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762B1 (ko) * 1999-01-20 2001-02-15 윤종용 광학 프리즘 제조용 지그 및 지그를 이용한 광학
KR100660587B1 (ko) * 2003-06-04 2006-12-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렌즈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30008374A1 (en) 2010-03-30 2013-01-10 Hoya Corporation Dye applying apparatus for plastic lens
KR101766742B1 (ko) * 2016-04-11 2017-08-23 (주)유한엔씨아이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665A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5166B2 (en) Camera module
US7946669B2 (en) Aligning apparatus
US7525096B2 (en) Miniature camera module with lens containing image sensor
CN111323899B (zh) 用于通过子像素对准使高密度生化阵列成像的方法和系统
US10101555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non-circular lens
US8670055B2 (en)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image pickup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US20090185291A1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unit
JPH05154923A (ja) 基板組立装置
CN109922236A (zh) 纤薄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US20140118834A1 (en) Compound-Eye Unit
JP2009107922A (ja) 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レンズアレイ、照明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102325983B1 (ko)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여 프리즘 상에 광 차단막 형성 방법
US80165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elements
KR101490066B1 (ko) 렌즈 유닛의 제조 방법, 렌즈 어레이 및 렌즈 유닛
US11570346B2 (en) Multi-aperture imaging device having a low installation height and a switchable viewing direction,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aperture imaging device
US7367374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20200005191A (ko) 카메라 모듈
TWM621021U (zh) 轉移設備
US202303451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US202303451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US202303451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thereof
KR100835627B1 (ko)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렌즈가 부착된 카메라 모듈
US20200041747A1 (en) Lens module
US9726986B2 (en) Tray for an exposure machine
CN110542969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