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834B1 -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834B1
KR102325834B1 KR1020200180426A KR20200180426A KR102325834B1 KR 102325834 B1 KR102325834 B1 KR 102325834B1 KR 1020200180426 A KR1020200180426 A KR 1020200180426A KR 20200180426 A KR20200180426 A KR 20200180426A KR 102325834 B1 KR102325834 B1 KR 10232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tensile
movable block
block
anch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석
명재왕
남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8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mantling a strand introduced with a tensile force, which minimizes noise generated during an operation, and to a device for dismantling a strand used there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chor block installation step; a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a tensile jack operation step; an external strand cutting step; a tensile jack release step; and an external strand separation step.

Description

인장력이 도입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강연선 해체 장치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Disassembling method for stranded wire with tensile force introduced and a device for disassembling stranded wire used therefor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해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 보강을 위하여 구조물의 외부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된 강연선이나 강연선으로 지지되어 있는 케이블 교량에 사용되는 강연선(케이블)을 안전하면서도 짧은 시간 내에 해체할 수 있는 강연선의 해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강연선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mantling a strand in which tensile force is introduced and a dismantling apparatus use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bridge supported by a strand or strand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tructure. It relates to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ed wire (cable) used for the purpose of disassembling it safely and within a short time, and a strand dismantling device used therefor.

일반적으로 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widely used as a structure.

도1에 도시된 교량(8)은 교각이나 교대 등의 하부 구조에 거더(10)가 거치되고, 거더(10)의 상측에 바닥판(20)을 합성하고, 바닥판(20)의 상면을 포장하여 차량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이다. In the bridge 8 shown in FIG. 1 , the girder 10 is mounted on a lower structure such as a pier or abutment, the deck plate 20 is synthesized on the upper side of the girder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 is formed. It is a structure that is paved so that vehicles, etc. can pass through it.

최근 동일한 양의 철근과 콘크리트를 사용하면서도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얻기 위하여, 거더(10)의 내부에 강연선을 삽입하여 인장력을 도입한 상태로 정착하여 거더(1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내하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교량(8)이 가설된 이후에도, 거더(10)의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게 강연선(30)을 외부에 설치하고, 강연선(30)에 인장력을 도입한 상태로 정착하여, 교량의 내하 능력을 높이는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Recently, in order to obtain a higher load-bearing capacity while using the same amount of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a stranded wir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girder 10 and settl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introduced, and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girder 10 to increase the load-bearing capacity. Improvement techniques are widely applied. And, even after the bridge 8 is erected, the strand 30 is installed to the outsid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girder 10, and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strand 30, which is fixed to increase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Technology is also applied.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이외의 구조물로서, 원기둥 형태의 사일로(9)의 외벽에 강연선(70)이 밀착되게 설치되고, 강연선(70)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사일로(9)의 구조 안전성을 높이도록 시공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as a structure other than a bridge, the strand 7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silo 9, and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strand 70. It is construct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ilo 9, which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그러나, 구조물의 사용 연한이 경과하여 구조물 자체를 폐기하거나,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된 강연선(30, 70)을 교체하고자 하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된 강연선(30, 70)을 구조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강연선(30, 70)에 인장력이 도입되어 있으므로, 아무조치를 취하지 않고 강연선(30, 70)을 절단하면, 강연선(30, 70)이 절단되는 순간에 높은 속도로 주변으로 튀어 이동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이 수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However, if the useful life of the structure has elapsed and the structure itself is discarded or if the strands 30 and 70 installed outside the structure are to be replaced, it is recommended to separate the strands 30 and 70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introduced from the structure. necessary. However, sinc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strands 30 and 70, if the strands 30 and 70 are cut without taking any action, the strands 30 and 70 will bounce around at a high speed at the moment they are cut and move around safely. Problems with the risk of accidents arise.

이에 따라, 강연선(30, 70)의 절단부 근처에 복잡하고 무거운 방호 장치를 설치하고서 강연선(30, 70)을 절단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지만, 이 역시도 강연선(30, 70)의 절단 순간에 순간적으로 높은 속도로 튀어 방호 장치에 부딪히는 등 소음이 크게 발생되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복잡하고 무거운 방호 장치를 설치하는 부담이 수반되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Accordingly, a method of cutting the strands 30 and 70 by installing a complex and heavy protective device near the cut portion of the strands 30 and 70 has been used, but this is also instantaneous at the moment of cutting of the strands 30 and 70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re was a lot of noise such as splashing at high speed and hitting the protective device, there w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and it was accompanied by the burden of installing a complex and heavy protective device.

이와 같은 문제는 강연선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교량으로부터 케이블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된다. 따라서, 다양한 구조물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외부에 설치되는 강연선(30, 70)을 안전하고 소음없이 해체하는 방식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 same problem also occurs when the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able bridge supported by the stranded wir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afe and noiseless method of dismantling the strands 30 and 70 installed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various structures.

본 발명은, 구조물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외부에 설치되는 강연선을 구조물로부터 안전하게 해체하는 강연선 해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강연선 해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nd dismantling method for safely dismantling a strand installed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a structure from a structure, and a strand dismantling apparatus used therefor.

즉,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담보하면서 복잡한 방호 시설의 설치를 배제하면서 강연선을 해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mantle the strand while excluding the installation of complex protective facilities while ensuring the safety of workers.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강연선을 제거하는 공정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tranded wire of the structure to be performed quickly.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물의 강연선을 제거하는 공정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사실상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rtually remove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tranded wir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앵커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앵커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가동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가동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앵커 블록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앵커 블록에 인장 강재를 고정시키는 인장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노출된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잭으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겨,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작동단계와;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외부강연선 절단단계와; 상기 인장잭에 의해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인장 강재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해제단계와; 상기 강연선을 상기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외부강연선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placed on a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An anchor block installation step of preparing the formed anchor block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anchor block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trand whil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receiving part; A movable block having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epar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in the second position;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of fixing a tensile steel material to the anchor block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anchor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movable block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tensile jack is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material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the tensile steel material is pulled with the tensile jack,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rand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operation step of removing the introduced tensile force; an external stranded wire cutting step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releasing step of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tensile jack to remov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an external stranded wir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tranded wire from the structure; It provides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for reinforcing a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장치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위치에서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켜 수용하되, 제1고정쐐기에 의해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앵커 블록과;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켜 수용하되, 제2고정쐐기에 의해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가동 블록과;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장 강재와; 상기 앵커 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인장 강재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 블록이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여 상기 인장 강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구속쐐기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도입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smantling a strand disposed in a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 which a first receiving part penetrating in an axial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an axial direction are formed, and the strand is formed in a first position. an anchor block penetrating and receiving the first receiving part, the movement of which is restrict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by a first fixing wedg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and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ed. , a movable block in which movement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is constrained by a second fixed wedge; a tensile steel material installe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a restraining wedge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from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to constrain the anchor block to move together with the tensile steel toward the movable block; a hydraulic jack for introducing a tensile force for pulling the tensile steel from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It provides a dismantling device for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일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이 서로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타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이 서로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One side' and similar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face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and similar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refer to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t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blocks face each other and opposite direction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상하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강연선의 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구조물의 벽면을 따르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구조물의 벽면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에 '하측'은 중력 방향을 지칭한다. 'Up and down' and similar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to refer to a direction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and. For example, when the wall of a structure is erected vertically, 'lower side' refers to the direction of gravity.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부 강연선'에서 '외부'는 구조물의 '바깥'에 위치한 강연선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중공 내부 공간에서 '드러나도록 위치'한 강연선을 포함한다. 즉, '외부 강연선'은 매립된 형태의 강연선을 제외한 비매립 강연선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교량의 중공 거더의 내부에 배치된 강연선도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부 강연선'의 범주에 속한다. In the 'external strand'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outside' includes not only strands located 'outside' of the structure, but also strands 'located to be exposed' in the hollow interior space of the structure. That is, 'external strand' includes all non-buried strands except for embedded strands. Accordingly, the strands arranged inside the hollow girder of the bridge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external strand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을 강연선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장잭을 이용하여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간격을 좁혀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강연선을 절단함으로써, 강연선을 절단하는 순간에 강연선이 순간적으로 튀어 요동함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을 완전히 배제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re fixed to the str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s narrowed using a tension jack, and the strand is cut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is removed, At the moment of cutting the str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completely exclud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udden bouncing and shaking of the strand.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되어 있는 강연선을 구조물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reliabl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str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from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된 강연선을 절단하는 순간에 강연선의 절단부위가 튀어 요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호 시설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뛰어나고 종래에 비하여 훨씬 더 짧은 시간에 강연선을 구조물로부터 제거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xclude the installation of a protection facility that physically blocks the bouncing and oscillation of the cut portion of the strand at the moment of cutting the str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so it is excellent in constructability and cuts the strand in a much shorter time than in the prior art. An advantageous effect of removal from the structure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는 인장력을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을 이용하여 제거한 상태에서 강연선을 절단하므로, 절단 과정에서 강연선이 요동치지 않게 되므로, 절단 공정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nd is cut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is removed using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the strand does not fluctuate during the cutting process, so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cutting process can be obtained. have.

본 발명은, 강연선이 구조물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끝단이 뾰족한 가위 형태인 틈새 형성기를 이용하여 강연선을 구조물의 외벽으로부터 1차로 이격시키고, 1차 이격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틈새 확장기를 이용하여 강연선을 구조물의 외벽으로부터 2차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해체하므로, 다양한 환경의 강연선을 해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trand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the strand is first separ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by using a gap former in the form of scissors with a sharp tip, and the primary separation distance is insufficient. By using a gap expander to dismantle the stranded wire from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pplying the stranded wire in various environments to dismantling.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된 강연선으로부터 인장력을 해제하기 위하여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이동 거리가 유압잭의 가동 스트로크에 비하여 더 큰 경우에도,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타측에 보조쐐기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위치를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모두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압잭의 스트로크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셋 공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유압잭으로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간격을 줄이는 공정을 추가로 반복하는 것이 가능해져, 인장력에 의한 강연선의 신장량이 크더라도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lease the tensile force from the strand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even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s larger than the movabl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the position of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by using an auxiliary wedge on the other side of the Since the position of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s fixed in both the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the reset process of returning th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is possible, and the hydraulic jack allows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t becomes possible to further repeat the process of reducing the gap, so that even if the amount of elongation of the strand by tensile force is larg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it.

도1은 일반적인 교량에 강연선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2는 사일로의 외벽에 강연선이 밀착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의 해체 공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4a 내지 도4f는 도2의 'A'부분인 구조물의 외벽에 밀착된 강연선을 미리 정해진 틈새가 발생되도록 벌리는 틈새 형성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강연선에 앵커 블록과 인장 강재를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B'부분인 앵커 블록의 확대 사시도,
도7은 강연선에 가동 블록을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C'부분인 가동 블록의 확대 사시도,
도9는 가동 블록에 인장잭을 설치하여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간격을 좁힌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절단 영역에서 절단기로 강연선을 절단하는 구성을 강연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11은 절단기에 의해 강연선이 절단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인장잭에 의해 인장 강재에 도입된 인장력을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3a 내지 도13c는 유압잭으로 인장력을 인장 강재에 도입한 상태에서, 앵커 블록과 가동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켜 유압잭을 리셋시켜, 추가적인 인장력을 인장강재에 도입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trand is installed on a general bridg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tr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silo;
3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F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gap forming process of widening a strand adhered to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which is part 'A' of FIG. 2, so that a predetermined gap is generat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nchor block and a tensile steel are installed on a stranded wi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anchor block, which is part 'B'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vable block is installed on a stranded wi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block which is part 'C'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s narrowed by installing a tension jack on the movable block;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utting the strand with a cutter in the cutting area based on the stran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trand is cut by a cutter;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by the tensile jack;
13A to 1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ydraulic jack is reset by fixing the positions of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with the hydraulic jack, so that additional tensile for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의 해체 공법(S100)을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dismantling the str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의 해체 공법(S100)은 강연선(30, 70)이 구조물의 외벽으로부터 이격 설치된 구성(예를 들어, 도1의 교량)과 외벽에 밀착 설치된 구성(예를 들어, 도2의 사일로)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강연선(30)이 구조물인 거더(10)의 외벽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틈새 이상으로 이격 설치된 경우에는 강연선(30)을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공정을 생략하면 되므로, 이하에서는 강연선(70)이 구조물인 사일로(50)의 외벽(50s)에 밀착 설치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Dismantling method (S100) of the str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rands 30 and 70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for example, the bridge in FIG. 1) and the configuration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for example, in FIG. silos). When the strand 3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girder 10, which is a structure,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gap,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trand 30 from the outer wall can be omitted. )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50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해체장치(10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강연선(70)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2)가 마련되고 제1고정쐐기(116)로 구조물의 바깥에 설치된 외부 강연선(70)에 대한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강재 재질의 몸체(111)로 형성된 앵커 블록(110)과,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강연선(70)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122)가 마련되고 제2고정쐐기(125)로 강연선(70)에 대한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강재 재질의 몸체(121)로 형성된 가동 블록(120)과,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에 형성된 관통공(114, 124)에 관통 설치되되 가동 블록의 타측에서 구속쐐기(115)에 의해 앵커 블록(110)에 대하여 일측으로 이동이 구속되는 인장 강재(99)와,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서 인장 강재(99)에 인장력(F3)을 작용시켜 인장 강재(99)를 매개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간격(LL)을 좁히는 인장잭(130)과, 인장잭(130)에 의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간격이 좁혀져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이 제거되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절단 영역(CA)에서 강연선(70)을 절단하는 절단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1 , the strand dismant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accommodating part ( An anchor block 110 formed of a body 111 of steel material 112 is provided and the movement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stranded wire 70 installed outside the structure is constrained by the first fixing wedge 116, and the axis line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formed through in the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strand 70 is provided, and movement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and 70 is restricted by the second fixing wedge 125, and the body 121 made of steel material. ),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anchor block 110 are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14 and 124 formed in the movable block 120 by the restraint wedge 115 from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 with respect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the movement of which is constrained to one side, and the tensile force F3 appli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from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to the anchor block 110 through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The tension jack 130 that narrows the gap LL between the movable block 120 and the tension jack 130 narrows the gap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nd was introduced into the strand 70 . When the tensile force is remov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tter 140 for cutting the strand 70 in the cutting area CA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강연선의 해체 장치(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의 해체 공법(S100)은, 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된 외부 강연선을 구조물의 외벽으로부터 이격시켜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형성단계(S110)와, 틈새를 유지하도록 틈새 블록을 설치하는 틈새블록 설치단계(S120)와, 절단하고자 하는 강연선의 주변에 위치한 제1위치에 앵커 블록(110)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설치단계(S130)와, 제1위치와 이격된 제2위치에서 강연선(70)에 가동 블록(120)을 설치하는 가동블록 설치단계(S140)와,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관통공(112, 122)을 관통하도록 인장 강재(99)를 설치하는 인장강재 설치단계(S150)와,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인장잭(130)을 설치하여 인장 강재(99)를 잡아당겨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간격(LLi)을 정해진 간격(LL)이 되도록 좁히는 인장잭 작동단계(S160)와,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절단 영역(CA)에서 강연선(70)을 절단하는 외부강연선 절단단계(S170)와, 인장잭(130) 등을 해체하는 해체 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using the strand dismantling apparatus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rand dismantl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external strand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from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to create a gap. Anchor block for installing a gap forming step (S110) to form a gap, a gap block installation step (S120) for installing a gap block to maintain a gap, and an anchor block 110 to a first position located around the strand to be cut The installation step (S130) and the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S140) of installing the movable block 120 on the strand 70 at the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S140),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S150) of installing a tensile steel material 99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112 and 122 of the, and a tensile steel material 99 by installing a tensile jack 130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The tension jack operation step (S160) of pulling and narrowing the gap (LLi)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to a predetermined distance (LL), and the cutting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rnal stranded wire cutting step (S170)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70 in the area CA, and a dismantling step (S180) of disassembling the tension jack 130 and the like.

이하, 각 단계별로 상술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계 1: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외벽(50s)에 밀착 배치되고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된 강연선(70)에 틈새 형성기(200)를 설치한다. Step 1 : First, as shown in FIG. 4A , a gap former 200 is installed on the stranded wire 70 tha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and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여기서, 틈새 형성기(200)는, 하방을 향하는 뾰족한 제1선단(211)과 제1작동 단부(121)를 구비한 제1부재(210)와, 상방을 향하는 뾰족한 제2선단(221)과 제2작동단부(222)를 구비한 제2부재(220)와, 제1부재(210)의 제1선단(211)과 제1작동 단부(212)의 사이에 배치되고 동시에 제2부재(220)의 제2선단(221)과 제2작동단부(222)의 사이에 배치된 힌지(230)를 포함한다. 즉, 틈새 형성기(200)는, 제1선단(211)과 제2선단(221)이 힌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위 형태로 형성되고, 힌지(230)를 중심으로 선단(211, 221)까지의 거리(L1)에 비하여 작동 단부(212, 222)까지의 거리(L2)를 더 길게 형성하여, 지렛대 원리로 제1선단(211)과 제2선단(221)을 오무리는 힘을 작동단부(212, 222)를 통해 도입한다. Here, the gap former 200 includes a first member 210 having a first tip 211 and a first operation end 121 that are pointed downward, and a second tip 221 and a second tip that are pointed upwards. A second member 220 having two operating ends 222 and a second member 2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tip 211 and the first operating end 212 of the first member 210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a hinge 230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ip 221 and the second operating end 222 of the. That is, the gap former 200 is formed in a scissors shape in which the first tip 211 and the second tip 221 rotate around the hinge 230 , and the tips 211 and 221 around the hinge 230 . ), the distance L2 to the working ends 212 and 222 is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L1 to It is introduced through the actuating end (212, 222).

작동 단부(212, 222)의 사이 간격을 오무리는 힘을 도입하기 위하여, 유압잭(290)이 사용되며, 유압잭(290)으로부터 작동 케이블(77)이 작동 단부(212, 222)에 설치된 고정 블록(291, 29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작동 단부 중 하측에 위치한 제1부재(210)의 하측 고정 블록(291)에는 고정용 쐐기(291a)가 형성되고, 작동 단부 중 상측에 위치한 제2부재(220)의 상측 고정 블록(292)은 유압잭(290)의 하단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In order to introduce a force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actuating ends 212 and 222, a hydraulic jack 290 is used, and an actuating cable 77 from the hydraulic jack 290 is a fixed block installed at the actuating ends 212 and 222. It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291, 292). A fixing wedge 291a is formed in the lower fixing block 291 of the first member 210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end, and the upper fixing block 292 of the second member 220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ng end is I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hydraulic jack (290).

이에 따라,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잭(290)이 작동 케이블(77)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하측 고정 블록(291)이 작동 케이블(77)과 일체로 상측(77d)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제1부재(210)의 제1작동단부(212)는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이에 따라, 제1부재(210)의 제1단부(211)와 제2부재(220)의 제2단부(221)는 도4c 및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무려진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b, when the hydraulic jack 290 pulls the actuating cable 77 upward, the lower fixing block 291 is lifted to the upper side 77d integrally with the actuating cable 77. The first operating end 212 of the first member 210 is lifted upward, and accordingly, the first end 211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end 221 of the second member 220 are lifted upward. ) is truncated as shown in FIGS. 4C and 4D.

이 때, 제1부재(210)의 제1단부(211)와 제2부재(220)의 제2단부(221)는 선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이 확대된 형상이므로, 제1작동단부(212)와 제2작동단부(222)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제1단부(211)와 제2단부(221)의 오무려지는 정도가 증가하면, 강연선(70)은 구조물(50)의 외벽(50s)으로부터 도면부호 79로 표시된 방향으로 점점 멀어지면서 틈새(x)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end 211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end 221 of the second member 220 are gradually enlarged in cross section as they move away from the front end, the first operating end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212 and the second operating end 222 increases, the degree of constriction of the first end 211 and the second end 221 increases, the strand 70 forms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50 . ), a gap (x) is formed as it gradually moves away from the direc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9.

그러나, 틈새 형성기(200)를 이용하여 강연선(70)을 구조물의 외벽(50s)으로부터 'x'로 표시된 간격만큼 이격시켰더라도, 강연선 해체장치(100)를 설치하는 데 부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4d에 도시된 틈새 확장기(300)를 이용하여 외벽(50s)으로부터 강연선(70)을 정해진 간격(xx)이 되도록 틈새를 확장시키는 틈새 형성단계(S110)를 행한다. However, even if the strand 70 is spaced apart by the interval indicated by 'x' from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using the gap former 200 , it may be insufficient to install the strand dismantling device 100 . In this case, a gap forming step (S110) of expanding the gap between the strands 70 from the outer wall 50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xx using the gap expander 300 shown in FIG. 4D is performed.

구체적으로는, 틈새 형성기(300)에 의해 외벽(50s)으로부터 이격된 강연선(70)에 대하여, 강연선(70)과 외벽(50s)의 사이에 견인 부재(311)를 삽입시키고, 견인 부재(311)와 인장 부재(312)를 볼트봉(312)으로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유압잭(33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320)를 설치한 후, 유압잭(330)의 플런저(332)의 선단부에 인장 부재(311)를 연결봉(340)으로 연결한다.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stranded wire 70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50s by the gap former 300, the traction member 311 is inserted between the stranded wire 70 and the outer wall 50s, and the traction member 311 ) and the tension member 31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a bolt rod 312 . Then, after installing the support member 320 for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330 , the tension member 311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332 of the hydraulic jack 330 with a connecting rod 340 .

그 다음, 유압잭(330)의 본체부(331)를 제어하여 플런저(332)를 도면부호 332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332)의 인출 방향으로 견인 부재(311)가 연결봉(340)에 의해 외벽(50s)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틈새 확장기(300)를 이용하여 강연선(70)을 구조물(50)의 외벽(50s)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xx)으로 충분히 멀어지도록 틈새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Then, by controlling the main body 331 of the hydraulic jack 330, the plunger 332 is drawn out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332d. Accordingly, the traction member 311 is moved away from the outer wall 50s by the connecting rod 340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plunger 332 . In this way, a gap can be formed so that the strand 70 is sufficiently far from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5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xx by using the gap expander 300 .

단계 2: 단계 1에서, 틈새 형성기(200)와 틈새 확장기(300)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강연선(70)과 외벽(50s) 사이의 간격이 정해진 값(xx)에 도달하면,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외벽(50s)과 강연선(70)의 사이에 틈새(xx)를 유지하는 틈새 블록(33)을 설치한다(S120). Step 2 : In step 1, when the gap between the strand 70 and the outer wall 50s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xx) using the gap former 200 and the gap expander 300 sequentially, the As shown, a gap block 33 for maintaining a gap xx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and the strand 70 (S120).

여기서, 틈새 블록(33)의 돌출 높이(xx)는 후술하는 강연선 해체장치(100)의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설치가 용이한 정도로 결정되며, 인장 강재(99)에 인장력(F3)을 도입하는 인장잭(130)의 단면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Here, the protrusion height (xx) of the gap block 33 is determined to the extent that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of the strand dismantling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are easily installed, and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ensile jack 130 to introduce (F3).

틈새 블록(33)은 강연선 해체장치(100)의 설치를 위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y)을 두고 이격된 2군데에 설치한다. 여기서, 틈새 블록(33)을 2군데 설치하는 공정은, 단계 1에서 틈새 확장기(300)로 강연선(70)을 외벽(50s)으로부터 정해진 간격(xx)이 되도록 이격시킨 상태에서 2개의 틈새 블록(33)을 한번에 설치할 수도 있고, 단계 1을 서로 다른 2개 위치에서 각각 반복하면서 틈새 확장기(300)에 인접한 위치에서 각각 틈새 블록(33)을 설치할 수도 있다. The gap block 33 is installed in two pl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trand dismantling device 100 . Her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gap block 33 in two places, in step 1, the strand 7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50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xx) by the gap expander 300, and the two gap blocks ( 33) may be installed at once, or the interstitial blocks 33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interstitial expander 300 while repeating step 1 at two different positions.

틈새 블록(33)은 강연선(70)과 접하는 표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70)의 일부 단면을 수용하는 요홈(33a)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nterstitial block 33 may have a fla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trand 70, or a recess 33a for accommodat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strand 70 as shown in FIG. 4F may be formed.

구조물에 설치된 강연선(70)을 보호하는 보호 튜브(70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강연선(70)이 드러나도록 보호 튜브(70a)를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틈새 블록(33)의 사이 영역에서 보호 튜브(70a)를 제거할 수 있다. When the protection tube 70a to protect the strand 70 installed in the structure is formed, the protection tube 70a is removed so that the strand 70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Remove. Preferably, the protective tube 70a can be removed in the area between the interstitial blocks 33 .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30)이 구조물인 거더(10)로부터 충분한 간격 이상을 두고 설치된 경우에는, 단계 1 및 단계 2는 생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strand 30 is installed at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girder 10 as a structure, steps 1 and 2 may be omitted.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10)을 강연선(70)의 제1위치에 설치한다(S130). 경우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강재(99)를 앵커 블록(110)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Step 3 : Then, as shown in Fig. 5, the anchor block 110 is install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trand 70 (S130). In some cases, as shown, the tensile steel 99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anchor block 110 .

앵커 블록(11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70)이 관통하는 제1수용부(112)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1수용부(112)의 상하측에 각각 인장 강재(99)를 관통시키는 제1관통공(114)이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 the anchor block 110 ha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through which the strand 70 penetrat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tens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hole 114 penetrating the steel material 99 is formed through in the axial direction.

여기서, 제1수용부(112)는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112a)가 형성되어, 이미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강연선(70)을 앵커 블록(110)의 제1수용부(112)에 쉽게 삽입(112d)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개구(112a)가 구조물 외벽(50s)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구조물 외벽(50s)에 경사진 방향이면서 강연선(70)의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has an opening 112a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strand 70 already installed in th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of the anchor block 110 . It can be easily inserted (112d). Although the opening 112a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in the drawing,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to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and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and 70 .

제1수용부(112)의 개구(112a)에는 고정 볼트(113)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마련되어 고정 볼트(113)에 의해 개구(112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개구(112a)를 통해 강연선(70)이 제1수용부(112)에 관통하는 형태로 수용되면, 고정 볼트(113)로 개구(112a)를 막아 강연선(70)의 이탈을 물리적으로 억제한다. A bolt hole into which the fixing bolt 113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opening 112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12a by the fixing bolt 113 . Accordingly, when the strand 70 is received in a form penetrating through the opening 112a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the opening 112a is blocked with the fixing bolt 113 to physically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strand 70. restrain

앵커 블록(110)은 가동 블록(120)을 향하는 일측에 강연선(70)을 감싸고 제1수용부(112)에 일부 이상 삽입되는 제1고정쐐기(116)를 포함한다. 이 때,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12)의 일측 단면은 제1고정쐐기(116)의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경사진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쐐기(116)와 강연선(70)이 일체화되고, 앵커 블록(110)의 제1수용부(112)는 일측 방향으로 제1고정쐐기(116)과 간섭되므로, 앵커 블록(110)은 가동 블록(120)을 향하여 강연선(7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는 구속 상태가 된다. The anchor block 110 includes a first fixed wedge 116 that wraps the strand 70 on one side facing the movable block 120 and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 a cross-section of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may be formed in a slanted cross-section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wedge 116 .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wedge 116 and the strand 70 are integrated,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112 of the anchor block 110 interferes with the first fixing wedge 116 in one direction, so the anchor block ( 110) is in a restrained state that cannot slide and move on the strand 70 toward the movable block 120.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쐐기(116)의 외주면에는 원주 홈이 형성되고, 그 원주홈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링(116x)을 끼우는 것에 의해, 분할 형태의 제1고정쐐기(116)를 강연선(7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1고정쐐기(116)에 의해 앵커 블록(110)과 강연선(70)이 슬라이딩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circumferential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wedge 116, and by inserting an elastic ring 116x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the circumferential groove, the first fixing wedge in a divided form ( By attaching 116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nded wire 70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stranded wire 70 do not slide and slide by the first fixing wedge 116 and move integrally in one direction. can be more reliably guaranteed.

앵커 블록(110)은 인장 강재(99)를 감싸면서 제1관통공(114)에 비하여 단면이 더 크게 형성된 구속 블록(115b)과, 강연선(70)을 감싸고 구속 블록(115b)의 강연선 관통공(미도시)에 일부 이상 삽입되는 구속쐐기(115)를 포함한다. 이 때, 강연선 관통공의 타측 단면은 구속쐐기(115)의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경사진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속쐐기(115)와 인장 강재(99)가 일체화되고, 구속 블록(115b)의 강연선 관통공은 타측 방향으로 구속쐐기(115)와 간섭되므로, 인장 강재(99)를 일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면, 앵커 블록(110)은 인장 강재(99)와 함께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The anchor block 110 includes a constraint block 115b having a larger cross-section than the first through hole 114 while surrounding the tensile steel 99, and a strand through hole of the constraint block 115b surrounding the strand 70 and (not shown) includes a constraint wedge 115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nd through-hole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cross-section in the form of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restraint wedge 115 . Accordingly, the restraint wedge 115 and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are integrated, and the strand through-hole of the restraint block 115b interferes with the restraint wedge 115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pulled to one side.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he anchor block 1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gether with the tensile steel 99 .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앵커 블록(110)의 제1관통공(114)은 제1수용부(112)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12)의 상하측에 각각 2개 이상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인장잭(130)으로 인장 강재(99)를 매개로 앵커 블록(110)을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시키면, 강연선(77)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앵커 블록(110)이 회전하는 변위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앵커 블록(110)이 강연선(77)을 물고 있는 상태로 가동 블록(120)에 근접하는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hrough-hole 114 of the anchor block 1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2, b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wo or more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 Through this,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anchor block 110 through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with the tensile jack 130 , the displacement of the anchor block 110 is rotated arou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and 77 . While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occurrence is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stably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anchor block 110 close to the movable block 120 while biting the strand 77 .

한편, 인장 강재(99)는 인장력을 수용하는 다양한 단면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 강재(9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강봉이나 임의 단면을 갖는 형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may be formed of various cross-sections and materials for accommodating tensile force. For example,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may be formed of a stranded wire as shown in the drawings, or may be formed of a steel bar or a section steel having an arbitrary cross-section.

단계 4: 단계 2가 행해지고 나서, 단계 3의 이전 또는 이후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120)을 앵커 블록(110)으로부터 제1방향(1d)으로 도면부호 LLi로 표시된 거리만큼 이격된 강연선(70)의 제2위치에 설치한다(S140). 제1위치와 제2위치는 2군데에 위치한 틈새 블록(33)의 사이로 정해진다. Step 4 : After Step 2 is performed, before or after Step 3, as shown in FIG. 7 , move the movable block 120 away from the anchor block 110 in the first direction 1d at a distanc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LLi. It is installed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stranded wire 70 spaced apart by as much as (S140).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determined between the gap blocks 33 located in two places.

가동 블록(12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70)이 관통하는 제2수용부(122)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2수용부(212)의 상하측에 각각 인장 강재(99)를 관통시키는 제2관통공(124)이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 the movable block 120 has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through which the strand 70 penetrat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respectively tens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2 . A second through hole 124 penetrating the steel material 99 is formed through in the axial direction.

여기서, 제2수용부(122)는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122a)가 형성되어, 이미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강연선(70)을 가동 블록(120)의 제2수용부(122)에 쉽게 삽입(122d)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개구(122a)가 구조물 외벽(50s)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구조물 외벽(50s)에 경사진 방향이면서 강연선(70)의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has an opening 122a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strand 70 already installed in th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of the movable block 120 . It can be easily inserted (122d). Although the opening 122a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in the drawing,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to the outer wall 50s of the structure and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and 70 .

제2수용부(122)의 개구(122a)에는 고정 볼트(123)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마련되어 고정 볼트(123)에 의해 개구(122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개구(122a)를 통해 강연선(70)이 제2수용부(122)에 관통하는 형태로 수용되면, 고정 볼트(123)로 개구(122a)를 막아 강연선(70)의 이탈을 물리적으로 억제한다. A bolt hole into which the fixing bolt 123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opening 122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2a by the fixing bolt 123 . Accordingly, when the strand 70 is received in the form of penetra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through the opening 122a, the opening 122a is blocked with the fixing bolt 123 to physically prevent the strand 70 from leaving. restrain

가동 블록(120)은 앵커 블록(120)을 향하는 일측에 강연선(70)을 감싸고 제2수용부(122)에 일부 이상 삽입되는 제2고정쐐기(126)를 포함한다. 즉, 제2고정쐐기(126)는 전술한 제1고정쐐기(116)가 앵커 블록(110)에 설치되는 것과 흡사하게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부(122)의 일측 단면은 제2고정쐐기(126)의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경사진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쐐기(126)와 강연선(70)이 일체화되고, 가동 블록(120)의 제2수용부(122)는 일측 방향으로 제2고정쐐기(126)과 간섭되므로, 가동 블록(120)은 앵커 블록(110)을 향하여 강연선(7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는 구속 상태가 된다. The movable block 120 includes a second fixed wedge 126 that wraps the strand 70 on one side facing the anchor block 120 and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part 122 . That is, the second fixing wedge 126 is installed similarly to that the above-described first fixing wedge 116 is installed in the anchor block 110 . Likewise, as shown in FIG. 11 , a cross-section of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may be formed in a slanted cross-sectional form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wedge 126 . Accordingly, the second fixed wedge 126 and the strand 70 are integrated,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122 of the movable block 120 interferes with the second fixed wedge 126 in one direction, so the movable block ( 120 is in a restrained state that cannot slide and move on the strand 70 toward the anchor block 110 .

앵커 블록(110)과 마찬가지로, 제2고정쐐기(126)의 외주면에는 원주 홈이 형성되고, 그 원주홈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링을 끼우는 것에 의해, 분할 형태의 제2고정쐐기(126)를 강연선(7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2고정쐐기(126)에 의해 가동 블록(120)과 강연선(70)이 슬라이딩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Similar to the anchor block 110, a circumferential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wedge 126, and by insert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elastic ring into the circumferential groove, the second fixing wedge 126 of the divided form is formed. By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nded wire 70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it is more certain that the movable block 120 and the stranded wire 70 move integrally in one direction without sliding and sliding by the second fixed wedge 126 . can be guaranteed

가동 블록(120)은, 앵커 블록(110)과 달리, 인장 강재(99)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에 구속쐐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동 블록(120)은 인장 강재(99)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설치된 인장잭(130)이 인장 강재(99)를 잡아당기면, 가동 블록(120)의 제2관통공(124)을 통해 인장 강재(99)가 이동(도9의 99d1)하게 된다. The movable block 120, unlike the anchor block 110, does not include a constraint wedge in the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passes. Accordingly, since the movable block 120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freely move with respect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 when the tensile jack 13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pulls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 the movable block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moved (99d1 in FIG. 9)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124 of 120.

전술한 앵커 블록(11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동 블록(120)의 제2관통공(124)은 제2수용부(122)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부(122)의 상하측에 각각 2개 이상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인장잭(130)으로 인장 강재(99)를 매개로 앵커 블록(110)을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시키면, 강연선(77)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가동 블록(120)이 회전하는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Like the above-described anchor block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hrough-hole 124 of the movable block 1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22, but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two or more are formed to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2 . Through this,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anchor block 110 through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with the tensile jack 130,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block 120 arou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and 77 is reduced.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단계 5: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관통공(114, 124)에 인장 강재(99)를 삽입 설치한다(S150). Step 5 :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hrough-holes 114 and 124 of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S150).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강재(99)는 앵커 블록(110)의 설치 시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가동 블록(120)의 설치 시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에 강연선(70)을 설치한 이후에 설치될 수도 있다. 5 to 8,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may be installed together when the anchor block 110 is installed, or may be installed together when the movable block 120 is installed, and the anchor block (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may be installed after the stranded wire 70 is installed.

단계 3 및 단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 강재(99)는 앵커 블록(110)의 제1관통공(114)을 관통하고 가동 블록(120)의 제2관통공(12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가동 블록(120)에 대해서는 상호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지만, 앵커 블록(110)에 대해서는 구속 블록(115b)과 구속쐐기(115)에 의해 제1방향(1d)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As described in steps 3 and 4,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114 of the anchor block 110 and penetrate the second through hole 124 of the movable block 120, and , with respect to the movable block 120, mutual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but for the anchor block 110, it is moved together in the first direction 1d by the restraining block 115b and the restraining wedge 115.

단계 3, 단계 4 및 단계 5는 순차적으로 행해질 필요는 없으며, 단계 3, 단계 4 및 단계 5는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고 임의의 순서에 따라 행해질 수도 있다. Step 3, Step 4 and Step 5 need not be performed sequentially, and Step 3, Step 4 and Step 5 may be performed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any order.

단계 6: 그리고 나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노출된 인장 강재(99)에 인장잭(130)을 설치하고, 인장잭(130)으로 인장 강재(99)를 잡아당기는 인장력(F3)을 작용시킨다(S160). Step 6 : Then, as shown in FIG. 9 , the tensile jack 130 is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 and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used with the tensile jack 130 . A tensile force (F3) to pull is applied (S160).

인장잭(130)으로 인장 강재(99)에 인장력(F3)을 작용시키면, 인장 강재(99)는 인장잭(130)에 의해 도면부호 99x1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앵커 블록(110)은 구속 부재(115b) 및 구속쐐기(115)에 의해 인장 강재(99)와 제1방향(1d)에 대해서는 이동이 구속되어 있어서 인장력(F3)에 의한 반력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에 모두 작용하므로, 앵커 블록(110)은 제1방향(1d)으로 이동하고 가동 블록(120)은 도면부호 120d1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사이 거리가 정해진 거리(LL)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이 모두 제거되고, 인장 강재(99)에는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가 된다. When a tensile force F3 is appli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with the tensile jack 130,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mov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9x1 by the tensile jack 130, and the anchor block 110 is Movement is restricted in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and the first direction 1d by the constraining member 115b and the constraining wedge 115, so that the reaction force by the tensile force F3 is generated by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 so that the anchor block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1d and the movable block 120 mov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0d1,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The distance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LL. Through this, all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 70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is removed, and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

여기서, 정해진 거리(LL)는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이 모두 제거되는 상태에서의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거리를 지칭하며, 인장잭(130)으로 인장력(F3)을 도입하기 전에 미리 정해져 있는 치수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의 강연선은 꼬여진 소선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인장력이 모두 제거된 순간에 강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서 미동이 일어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이를 감지하여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는 인장력이 모두 제거된 상태를 현장에서 알 수 있다. 즉,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정해진 거리(LL)는 현장에서 인장력이 모두 제거된 것으로 감지되는 상태에서의 거리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강연선(70)에 도입된 인장력이 모두 제거되면, 유압잭(130)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위치한 강연선에 과도한 인장력이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LL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in a state in which all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 70 is removed, and the tensile force F3 with the tensile jack 130 . ) is not limited as a pre-determined dimension before the introduction. For example, in a strand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he twisted strands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t the moment when all the tensile force is removed,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strands constituting the strand, and fine movement may occur. By sensing this, it can be seen in the field that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ed wire 70 is all removed. That is, the predetermined distance LL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includes a distance in a state in which it is sensed that all tensile forces are removed in the field. When all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 70 is removed, the operator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jack 130 to prevent excessive tensile force from being introduced to the str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 do.

작업자는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는 인장력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압잭(130)의 스트로크로부터 강연선의 신장량 및 도입된 인장력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고, 이로부터 인접한 다른 강연선(70)을 제거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거나, 해체 대상인 강연선(70)이 구조물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구조물을 추후 보강 여부나 구조물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ed wire 70, the operator can accurately know the amount of extension of the stranded wire and the introduced tensile force from th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130, and the basis for removing the adjacent other stranded wire 70 therefrom It may be used as data or may be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inforce the structure later or whether to discard th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the stranded wire 70 to be dismantled on the structure.

한편, 강연선(70)에 도입된 인장력을 해제하기 위하여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거리가 유압잭(130)의 가동 스트로크에 비하여 더 큰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스트로크'는 유압잭(130)으로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플런저가 이동하는 최대 이동 거리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강연선의 설치 길이가 길고, 강연선에 도입된 인장력이 큰 경우에는, 강연선에 도입한 인장력에 의해 강연선이 인장된 신장량이 유압잭(130)의 가동 스트로크에 비하여 더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leas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ed wire 70, the moving distance for moving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in one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movabl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130. have. Here, the 'moving stroke' refers to the maximum moving distance the plunger moves in order to introduce a tensile force to the hydraulic jack 130 . For example, when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strand is long and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is large, the amount of elongation in which the strand is tensioned by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may be greater than the movabl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130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3a 내지 도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10)의 제1수용부(112)의 타측과 가동 블록(120)의 제2수용부(122)의 타측에 추가적인 보조쐐기(119, 129)를 설치할 수 있다.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3a to 13c,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2 of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the movable block 120 ( An additional auxiliary wedge (119, 129)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122).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10)의 타측에 제1보조쐐기(119)를 설치해두어, 앵커 블록(110)이 강연선(70)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두고, 동시에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제2보조쐐기(129)를 설치해두어, 앵커 블록(110)이 강연선(70)에 대하여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둔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A , by installing a first auxiliary wedge 119 on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110 , the anchor block 110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and 70 . An environment that can be restrained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auxiliary wedge 129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 so that the anchor block 110 can constrain the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and 70 . Set up an environment where

여기서,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2, 122)에 비하여 보다 큰 단면의 걸림 블록(119b, 129b)을 설치해두고, 걸림 블록(119b, 129b)의 관통공이 보조쐐기(119, 129)의 일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 블록(119b, 129b)을 매개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고정쐐기(116) 및 제2고정쐐기(126)와 마찬가지로, 제1보조쐐기(119)와 제2보조쐐기(129)가 각각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수용부(112, 122)의 타측에 일부 이상을 수용되도록 수용부(112, 122)의 타측 단면 형상을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 제1보조쐐기(119)와 제2보조쐐기(129)를 각각의 수용부(112, 122)에 직접 삽입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Here, as shown in FIG. 13A , the engaging blocks 119b and 129b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at of the receiving portions 112 and 122 are installed,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engaging blocks 119b and 129b are formed by the auxiliary wedges 119 and 129. )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o accommodate more than a portion of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via the interlocking blocks 119b and 129b to constrain the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like the first fixed wedge 116 and the second fixed wedge 126 , the first auxiliary wedge 119 and the second auxiliary wedge 129 are movable with the anchor block 110 , respectivel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units (112, 122)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so as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units (112, 122) of the block 120, the first auxiliary wedge 119 and the second auxiliary The wedge 129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inserted into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112 and 122 .

그 다음,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최초의 설정 간격(LLi)인 상태에서, 유압잭(130)으로 인장 강재(99)를 잡아당기는 1차 인장력(F31)을 유압잭의 가동 스트로크만큼 도입하여,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강재(99)는 유압잭(130)이 잡아당겨지는 방향(99x1)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1차 이동(110x1, 120x1)하여, 앵커 블록(110)과 가동 거리(120)의 간격은 보다 좁혀진 중간 간격(LLx1)이 된다. 여기서, 최초 간격(LLi)과 중간 간격(LLx1)의 차이가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신장량에 비하여 더 작으면, 중간 간격(LLx1) 상태에서도 강연선(70)에 인장력이 남아 있는 상태가 된다. Next, in the state of the first set interval (LLi)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the first tensile force F31 pulling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with the hydraulic jack 130 is applied to the movable stroke of the hydraulic jack. As shown in Fig. 13b,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ydraulic jack 130 is pulled (99x1), and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first By moving (110x1, 120x1),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distance 120 becomes a narrower intermediate distance LLx1. Her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interval LLi and the intermediate interval LLx1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elongation introduced into the strand 70, the tensile force remains in the strand 70 even in the state of the intermediate interval LLx1. .

이에 따라, 제1보조쐐기(119)를 제1걸림블록(119b)과 함께 앵커 블록(110)의 타측에 밀착하도록 이동시켜 설치하고, 제2보조쐐기(129)를 제2걸림블록(129b)과 함께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밀착하도록 이동(88)시켜 설치한다. 이를 통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은 제1보조쐐기(119)와 제2보조쐐기(129)에 의하여 강연선(70)에 대하여 타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고정 상태가 된다. 동시에, 단계 3 및 단계 4에서 설치한 제1고정쐐기(116)와 제2고정쐐기(126)에 의하여,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은 강연선(70)에 대하여 일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고정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은 강연선(70)에 대하여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모두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강연선(70)에 완전히 위치 고정된다. Accordingly, the first auxiliary wedge 119 is moved and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110 together with the first locking block 119b, and the second auxiliary wedge 129 is attached to the second locking block 129b. It is installed by moving (88)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together. Through this,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in a fixed state that cannot be moved to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70 by the first auxiliary wedge 119 and the second auxiliary wedge 129 . At the same time, by the first fixed wedge 116 and the second fixed wedge 126 installed in steps 3 and 4,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can move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70 . It is kept in a fixed state. Therefore,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completely fixed to the strand 70 in a state where they cannot slide in both the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and 70 .

이 상태에서, 유압잭(130)의 신장되어 있던 플런저를 다시 수축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셋 공정이 행해진다. In this state, a reset process of returning the extended plunger of the hydraulic jack 130 to its contracted original position is performed.

그리고 나서, 도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잭(130)으로 인장 강재(2차 인장력(F32)을 도입하여, 인장 강재(99)는 유압잭(130)이 잡아당겨지는 방향(99x2)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2차 이동(110x2, 120x2)하여, 앵커 블록(110)과 가동 거리(120)의 간격은 보다 좁혀진 최종 간격(LLx)이 되도록 조절된다. 여기서, 최종 간격(LLx)은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모두 제거하는 간격으로 강연선(70)의 신장량에 따라 현장마다 다르게 정해지며,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최초 간격(LLi)과 미리 정해진 최종 간격(LLx)의 차이는 강연선(70)의 신장량 또는 인장 거리에 비하여 더 크게 정해진다. Then, as shown in Fig. 13c, by introducing a tensile steel (secondary tensile force F32) to the hydraulic jack 130, the tensile steel 99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ydraulic jack 130 is pulled (99x2) and ,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secondarily moved (110x2, 120x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distance 120 is adjusted to become a narrower final distance LLx. Here, the final interval LLx is an interval for removing all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 70 , and is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site according to the elongation amount of the strand 70 , and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spacing LLi and the predetermined final spacing LLx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elongation amount or the tensile distance of the strand 70 .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압잭(130)으로 1차 인장력(F31)과 2차 인장력(F32)에 의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사이 간격을 최종 간격(LLx)에 도달하게 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조쐐기(119, 129)에 의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여 유압잭(130)의 스트로크를 수축시키는 리셋 공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3차 이상의 인장력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모두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앵커 블록(110)의 타측에 제1보조쐐기(119)를 설치하여 앵커 블록(110)의 타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고, 가동 블록(120)의 타측에 제2보조쐐기(129)를 설치하여 가동 블록(120)의 타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블록이동 구속단계를 행하고, 전술한 인장잭 작동단계(S160)를 추가로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by the first tensile force F31 and the second tensile force F32 with the hydraulic jack 130 reaches the final gap LLx.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aining the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by the auxiliary wedge (119, 129) of the hydraulic jack (130) It may be configured to remove all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ed wire 70 by repeating the reset process for contracting the stroke two or more times to introduce a third or higher tensile force. That is, the first auxiliary wedge 119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110 to constrain the movement to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110 , and the second auxiliary wedge 129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block movement constraint step for restricting movement to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by installing it, and additional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tension jack operation step (S160).

단계 7: 단계 6이 행해지고 나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절단 영역(CA)에서 절단기(140)를 이용하여 강연선(70)을 절단한다. 절단기(140)는 금속 재질을 절단하는 다양한 기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라인더 형태의 커터나 가위형태의 커터가 사용될 수 있다. Step 7 : After Step 6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10 , the strand 70 is cut using the cutter 140 in the cutting area CA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 . As the cutter 140 , various tools for cutting metal materials may be used, for example, a cutter-type cutter or a scissors-type cutter may be used.

이 때, 강연선(70)에는 이미 인장력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강연선(70)이 절단되더라도 외부로 절단 부위가 외부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금속 절단 공정에서 절단 소음만 발생될 뿐, 절단 부위가 튀어 요동 중에 발생되는 충격음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주변에 소음의 영향을 사실상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tensile force has already been removed from the stranded wire 70,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ut portion is momentarily moved to the outside even if the strand 70 is cut, and thus only cutting noise is generated in the metal cutting process. However, the impact sound generated during the shaking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cutting part is not generated at all, so that the influence of noise around it can be virtually completely excluded.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70)은 절단 영역(CA)에서 절단 부위(70x)가 드러난 상태로 절단된다. 이 때까지도 인장잭(130)에는 인장력(F3)이 도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 the strand 70 is cut in a state where the cut portion 70x is exposed in the cut area CA. Until this time, the tensile force F3 is maintained in the tensile jack 130 .

단계 8: 단계 7이 행해지고 나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잭(13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F3)을 서서히 제거한다. Step 8 : After step 7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12, the tensile force F3 introduced into the tensile jack 130 is gradually removed.

이에 따라, 인장 강재(99)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이 제거되면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110d2, 120d2)하여, 단계 7에 비하여 보다 넓어진 간격(LLx)으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벌어지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99 is removed, as shown in FIG. 13 ,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110d2, 120d2), step 7,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widened with a wider spacing LLx.

인장잭(130)으로부터 인장력(F3)을 제거한 상태에서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더이상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인장 강재(99)에 도입되었던 인장력이 거의 제거된 상태이므로, 인장잭(130)과 인장 강재(99)를 해체하고, 강연선(70)으로부터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을 해체한다(S180).Wh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no longer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F3 is removed from the tensile jack 130,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99 is almost removed. The tensile jack 130 and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are disassembled, and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disassembled from the stranded wire 70 (S180).

단계 9: 그리고 나서, 절단 영역(CA)에서 절단된 강연선(70)에도 인장력이 도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구조물(50)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한다(S190). Step 9 : Then, since the tensil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trand 70 cut in the cut area CA, it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50 and removed (S19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70)의 해체 공법(S100)은,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의 강연선(70)에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이 모아지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을 하도록 구속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장잭(130)을 이용하여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간격을 좁혀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절단 영역(CA)에서 강연선(70)을 절단함으로써, 강연선(70)을 절단하는 순간에 강연선이 순간적으로 튀는 요동이 억제되므로, 종래의 강연선 절단 시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에 의한 반력으로 절단 부위가 급작스럽게 요동하면서 안전 사고가 발생되었던 위험을 완전히 배제시키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종래의 방호 시설의 설치를 배제하여 시공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mantling method (S100) of the strand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moved toge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nd 70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 the state of being restrained and fixed so as to be fixed, the distance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is narrowed using the tension jack 130 to remov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to the strand 70, and the strand in the cutting area CA. By cutting the (70), the sudden bouncing fluctuation of the strand is suppressed at the moment of cutting the strand (70). By completely eliminating the risk that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ous effect of simultaneously improving work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by ensuring worker safety and excluding the installation of conventional protection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은, 강연선(70)에 도입되어 있는 인장력을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제거한 상태에서 강연선(70)을 절단하므로, 절단 과정에서 강연선이 요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 강연선의 해체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nd 70 is cut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70 is removed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the strand is oscillated during the cutting process. By removing the generated nois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enabling the dismantling of the stranded wire without causing noise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는 사일로(50)의 외벽(50s)에 밀착되고 인장력이 도입된 강연선(70)의 해체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교량의 외부 및 중공 거더의 내부에 설치된 강연선의 제거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강연선)을 제거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dismantling process of the strand 7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50s of the silo 50 and tensile force is introduced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even in the removal of the strand installed outside the bridge and inside the hollow girder It can be utilized, and it can also be used to remove cables (stranded wires) of cable bridges.

한편,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을 강연선(70)이나 인장 강재(99)에 대하여 쐐기(115, 116, 119, 126, 129)로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은, 쐐기의 일부 이상을 수용하도록 관통 구멍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쐐기가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고정쐐기(116, 126))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앵커 블록(110)과 가동 블록(120)의 측면에 관통공에 비해 더 큰 단면을 갖는 블록(115b, 119b, 129b)의 관통 구멍에 쐐기가 일부 이상 삽입되는 형태(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구속쐐기(115) 및 보조쐐기(119, 129))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도면에 예시된 형태와 달리, 본 발명은 쐐기의 설치 형태와 방향을 적절히 변형하면서 강연선(70) 또는 인장 강재(99)와 일체화시키는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nchor block 110 and the movable block 120 are fixed in position with the wedges 115, 116, 119, 126, and 129 with respect to the stranded wire 70 or the tensile steel material 99 is more than a part of the wedge. I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by forming the through hole inclined to accommodate it (eg, the fixed wedges 116 and 126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anchor block 110 and movable A form in which some or more wedge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of the blocks (115b, 119b, 129b)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through-holes on the side of the block 120 (for example, the constraining wedg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115) and auxiliary wedges (119, 129)), different from the form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deforms the installation form and direction of the wedge with the stranded wire 70 or tensile steel 99 and I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to be integrated.

8: 교량 9: 사일로
50s: 외벽 100: 외부강연선 해체장치
110: 앵커 블록 112: 제1수용부
112a, 122a: 개구 113: 고정 볼트
114: 제1관통공 115: 구속쐐기
115b: 구속 블록 116: 제1고정쐐기
119: 제1보조쐐기 120: 가동 블록
122: 제2수용부 123: 고정 볼트
124: 제2관통공 126, 126': 제2고정쐐기
129: 제2보조쐐기 130: 인장잭
140: 절단기 200: 틈새 형성기
210: 제1부재 211: 제1선단
212: 제1작동단부 220: 제2부재
221: 제2선단 222: 제2작동단부
230: 힌지 300: 틈새 확장기
8: Bridge 9: Silo
50s: outer wall 100: external steel wire dismantling device
110: anchor block 112: first receiving unit
112a, 122a: opening 113: fixing bolt
114: first through hole 115: constraint wedge
115b: constraint block 116: first anchoring wedge
119: first auxiliary wedge 120: movable block
122: second receiving part 123: fixing bolt
124: second through hole 126, 126': second fixing wedge
129: second auxiliary wedge 130: tension jack
140: cutter 200: crevice former
210: first member 211: first tip
212: first operating end 220: second member
221: second tip 222: second operating end
230: hinge 300: crevice expander

Claims (21)

삭제delete 삭제delete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앵커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앵커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되, 가동 블록을 향하는 상기 앵커 블록의 일측에 제1고정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강연선에 대한 상기 앵커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 블록의 타측에 제1보조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강연선에 대한 상기 앵커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가동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가동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앵커 블록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앵커 블록에 인장 강재를 고정시키는 인장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노출된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잭으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겨,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작동단계와;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외부강연선 절단단계와;
상기 인장잭에 의해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인장 강재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해제단계와;
상기 강연선을 상기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외부강연선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placed on a structure with tensile force applied,
Prepare an anchor block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anchor block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trand constrain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strand with respect to the str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chor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by using a first fixing wedge on one side of the anchor block facing the movable block,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chor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on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An anchor block installation step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chor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using an auxiliary wedge;
Prepare the movable block having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first direction a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of restricting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at a second spaced apart position;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of fixing a tensile steel material to the anchor block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anchor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movable block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tensile jack is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material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the tensile steel material is pulled with the tensile jack,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rand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operation step of removing the introduced tensile force;
an external stranded wire cutting step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releasing step of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tensile jack to remov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an external stranded wir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tranded wire from the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of strand reinforcement f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앵커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앵커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가동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되, 상기 앵커 블록을 향하는 상기 가동 블록의 일측에 제2고정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강연선에 대한 상기 가동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제2보조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강연선에 대한 상기 가동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동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앵커 블록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앵커 블록에 인장 강재를 고정시키는 인장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노출된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잭으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겨,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작동단계와;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외부강연선 절단단계와;
상기 인장잭에 의해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인장 강재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해제단계와;
상기 강연선을 상기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외부강연선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placed on a structure with tensile force applied,
Prepare an anchor block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anchor block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trand An anchor block installation step of constrain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strand;
A movable block having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epar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second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is constrained, and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is fixed by using a second fixing wedge on one side of the movable block facing the anchor block. and a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using a second auxiliary wedge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of fixing a tensile steel material to the anchor block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anchor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movable block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tensile jack is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material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the tensile steel material is pulled with the tensile jack,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rand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operation step of removing the introduced tensile force;
an external stranded wire cutting step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releasing step of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tensile jack to remov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an external stranded wir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tranded wire from the structure;
Dismantling method of strand reinforcement f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앵커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앵커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가동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가동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앵커 블록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앵커 블록에 인장 강재를 고정시키는 인장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노출된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잭으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겨,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작동단계와;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외부강연선 절단단계와;
상기 인장잭에 의해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인장 강재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해제단계와;
상기 강연선을 상기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외부강연선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장잭 작동단계 이후에,
상기 앵커 블록의 타측에 제1보조쐐기를 설치하여 상기 앵커 블록의 타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고,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제2보조쐐기를 설치하여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블록이동 구속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잭 작동단계를 추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placed on a structure with tensile force applied,
Prepare an anchor block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anchor block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trand An anchor block installation step of constrain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strand;
A movable block having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epar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in the second position;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of fixing a tensile steel material to the anchor block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anchor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movable block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tensile jack is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material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the tensile steel material is pulled with the tensile jack,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rand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operation step of removing the introduced tensile force;
an external stranded wire cutting step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releasing step of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tensile jack to remov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an external stranded wir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tranded wire from the structure;
Constructed to include, after the tension jack operation step,
Block for restricting movement to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by installing a first auxiliary wedge on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and installing a second auxiliary wedge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to restrict movement to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move constraint step;
Further comprising, the method of dismantling the strand reinforcement f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erforming the operation step of the tension jack.
제 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블록의 제1수용부와 상기 가동 블록의 제2수용부에는 상기 강연선을 출입하는 개구가 상기 제1관통공의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강연선을 각각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7. The method of claim 3 or 5 or 6,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of the anchor block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f the movable block, an opening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str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opening, respectively.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for reinforcing a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강연선이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개구 폐쇄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 opening closing step of closing the opening with a fixing bolt while the str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Dismantling method of strand reinforcement f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additionally comprises.
제 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수용부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수용부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인장 강재는 상기 강연선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7. The method of claim 3 or 5 or 6,
The first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ensile steel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rand, respectively. Dismantling method of strand reinforcement for structure characterized by its characteristics.
제 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잭 작동 단계는,
상기 강연선에 도입된 인장력이 모두 제거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인장잭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7. The method of claim 3 or 5 or 6,
The tensile jack operation step is,
When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is all removed, the method of dismantling the stran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tension jack is immediately stopp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에 도입된 인장력이 모두 제거된 상태인지 여부는 상기 강연선의 소선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여부를 통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ther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strand is all removed is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cted through whether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trands of the strand.
제 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강재는 강연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7. The method of claim 3 or 5 or 6,
The tensile steel is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for reinforcement of a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strand.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공법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앵커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앵커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된 가동 블록을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가동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앵커 블록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앵커 블록에 인장 강재를 고정시키는 인장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 노출된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잭으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겨, 상기 인장 강재에 인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작동단계와;
상기 앵커블록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의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외부강연선 절단단계와;
상기 인장잭에 의해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여 상기 인장 강재에 도입되어 있던 인장력을 제거하는 인장잭 해제단계와;
상기 강연선을 상기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외부강연선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강연선이 상기 구조물과 밀착하거나 충분한 간극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하방을 향하는 뾰족한 제1선단과 제1작동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선단과 상기 제1작동 단부의 사이에 배치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1부재와, 상방을 향하는 뾰족한 제2선단과 제2작동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선단과 상기 제2작동단부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부재를 포함하는 틈새 형성기를 준비하여, 상기 강연선과 상기 구조물의 사이에 상기 제1선단과 상기 제2선단을 위치시키는 틈새형성기 설치단계와;
상기 제1작동단부와 상기 제2작동단부 사이의 간격을 벌려 상기 구조물과 상기 강연선 사이의 미리 정해진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 형성 단계와;
상기 구조물과 상기 강연선 사이에 상기 틈새를 유지하는 틈새블록을 설치하되, 상기 틈새 블록은 서로 이격된 2개 위치에 설치하는 틈새블록 설치단계를;
더 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A method of dismantling a strand placed on a structure with tensile force applied,
Prepare an anchor block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art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anchor block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trand An anchor block installation step of constrain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strand;
A movable block having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epar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 movable block installation step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in the second position;
A tensile steel installation step of fixing a tensile steel material to the anchor block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anchor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movable block whi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tensile jack is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material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the tensile steel material is pulled with the tensile jack,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sile steel material,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trand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operation step of removing the introduced tensile force;
an external stranded wire cutting step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between the anchor block and the movable block;
a tensile jack releasing step of remov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tensile jack to remove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sile steel;
an external stranded wir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tranded wire from the structure;
In the case where the str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 or a sufficient gap is not provided,
A first member having a first pointed end and a first operating end that are pointed downward and are rotatable based on a hing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first operating end; Prepare a gap former having a second operating end and including a second member rotatable based on the hing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ip and the second operating end, between the strand and the structure installing a gap former for locating the first tip and the second tip;
a gap forming step of forming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rand by widening a gap between the first working end and the second working end;
A gap bloc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gap block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rand, wherein the gap block is installed at two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apsule also to demolition method of the strand for the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을 상기 구조물과의 틈새를 정해진 값으로 벌리는 틈새 확장 단계를;
상기 틈새 형성 단계와 상기 틈새 블록 설치단계의 사이에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강연선의 해체 공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 gap expansion step of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stranded wire and the structure to a predetermined value;
Dismantling metho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dditionally between the gap forming step and the gap block installation step.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의 해체 장치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위치에서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관통시켜 수용하되, 제1고정쐐기에 의해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앵커 블록과;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와 축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강연선을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시켜 수용하되, 제2고정쐐기에 의해 상기 강연선에 대한 일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가동 블록과;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장 강재와;
상기 앵커 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인장 강재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 블록이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여 상기 인장 강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구속쐐기와;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인장 강재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도입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앵커 블록의 타측에는 제1보조쐐기로 상기 강연선에 대한 상기 앵커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가동 블록의 타측에는 제2보조쐐기로 상기 강연선에 대한 상기 가동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
A device for dismantling a strand placed on a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introduced,
A first accommodating part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and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t a first position and accommodated, but with a first fixing wedge for the strand. An anchor block constrained to move to one sid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and the stra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t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ed. , a movable block in which movement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trand is constrained by a second fixed wedge;
a tensile steel material installe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a restraining wedge installed on the tensile steel from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to constrain the anchor block to move together with the tensile steel toward the movable block;
a hydraulic jack for introducing a tensile force for pulling the tensile steel from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chor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with a first auxiliary wedge at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block,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lock with respect to the strand with a second auxiliary wedge at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block Dismantling device for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쐐기와 상기 제2고정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강연선과 밀착을 보조하는 탄성 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Dismantling device for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wedges is surrounded by an elastic ring that assist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an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블록의 제1수용부와 상기 가동 블록의 제2수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강연선을 출입하는 개구가 상기 제1관통공의 축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Dismantling of a strand, characterized in that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of the anchor block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of the movable block, an opening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str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Devic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강연선이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고정 볼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fixing bolt for closing the opening while the str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강재는 강연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ensile steel material is a dismantling device for a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stranded wire.
제 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1수용부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2수용부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인장 강재는 상기 강연선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해체 장치.



2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9,
The first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ensile steel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rand, respectively. Dismantling device for stranded wire characterized.



삭제delete
KR1020200180426A 2020-12-22 2020-12-22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KR102325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26A KR102325834B1 (en) 2020-12-22 2020-12-22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26A KR102325834B1 (en) 2020-12-22 2020-12-22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834B1 true KR102325834B1 (en) 2021-11-11

Family

ID=7851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426A KR102325834B1 (en) 2020-12-22 2020-12-22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83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126A (en) * 1995-12-06 1997-06-17 Mitsui Constr Co Ltd Cutting method of existing pc structure
JP2011190616A (en) * 2010-03-15 2011-09-29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ing force of tendon
KR101685387B1 (en) * 2016-04-20 2016-12-13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Removal and Replacement Method of External Tendon in Box Girder
KR20180138443A (en)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포스코 Fixing device for cutting cable and method for repairing anchorage of cable using same
KR101924069B1 (en) * 2017-10-16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edge anchorage with separable bolt and tendon anchoraging method therewi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126A (en) * 1995-12-06 1997-06-17 Mitsui Constr Co Ltd Cutting method of existing pc structure
JP2011190616A (en) * 2010-03-15 2011-09-29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ing force of tendon
KR101685387B1 (en) * 2016-04-20 2016-12-13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Removal and Replacement Method of External Tendon in Box Girder
KR20180138443A (en)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포스코 Fixing device for cutting cable and method for repairing anchorage of cable using same
KR101924069B1 (en) * 2017-10-16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edge anchorage with separable bolt and tendon anchoraging method therewi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4180A (en)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KR101877971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arthquake resistant file with the moving function in all directions for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25834B1 (en) Method of disassembling external tend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KR101971274B1 (en) Bridge lifting apparatus and lifing method using it
KR101135076B1 (en) Method for removing the tention member of temporary anchor
CN108425506A (en) To the method that punches of existing prestressed structure plate
KR20060040997A (en) Bridge slab construction method and lattice bar deck-shaped precast concrete plate applied therein
JP7031970B2 (en) How to repair PC structures
KR101075157B1 (en) Temporary anchor
KR100564732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KR200403638Y1 (en) Ground anchor of removal wire
KR10083561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crashing of gang-form buit-in type
JPH0249816A (en) Manufacture of tensile part capable of being fixed to land and tensile part thereof
KR200313709Y1 (en) Ground Anchor
KR100843166B1 (en) Ground anchor of removal wire
JP6872384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isting skeleton
JPS6319649B2 (en)
KR102002989B1 (en) System for removing steel strand and method thereof
JP2006112189A (en)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tool
KR200235876Y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beam of single clear span bridge
JP7220312B1 (en) How to dismantle an existing building
JPH04238905A (en) Breaking of bridge floor panel
KR102599396B1 (en) Automatic release device for lifting gangform safely and gangform system having the same
KR100375500B1 (en) Free-Edge Wall Ends with Interlocking Spiral Reinforcement
JP2005068711A (en) Bearing sid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