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82B1 -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 Google Patents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582B1
KR102325582B1 KR1020200166257A KR20200166257A KR102325582B1 KR 102325582 B1 KR102325582 B1 KR 102325582B1 KR 1020200166257 A KR1020200166257 A KR 1020200166257A KR 20200166257 A KR20200166257 A KR 20200166257A KR 102325582 B1 KR102325582 B1 KR 102325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lamp sheet
optical
optical fiber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건익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유씨엘스위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스위프트(주) filed Critical 유씨엘스위프트(주)
Priority to KR1020200166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광섬유 복수개를 상호간 융착하기 전에 단일개로 리본화시키는 것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다수 가닥이 길이방향을 향해 휘어지지 않으면서 직선 형태로 리본화가 가능토록 하여, 추후 융착시 정확한 정렬이 가능토록 한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fiber Ribbonizing applicator}
본 발명은 다수 가닥의 광섬유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직으로 직선화시키며 정렬함으로써, 광섬유 융착시 정확한 정렬이 가능토록 리본화시키는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 통신망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발달하고 음성이나 동영상 등과 같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정보의 처리량 및 처리속도의 증가가 요구되면서 통신망의 확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동축케이블 대신 광케이블(Optical Cable)을 사용하게 되며, 광케이블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여러가닥의 단심 광섬유로 이루어진 광케이블의 경우 단심 광섬유를 리본화하고, 리본화된 2개의 광섬유의 각 일단 부분의 피복을 탈피 및 시공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 후, 별도의 융착장치를 통해 상호간 융착하여 연결하는 시공을 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는 단심 광섬유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평의 단일화된 리본형으로 정렬해야 하지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광섬유의 다수 가닥에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리본화시키는 경우, 다수 가닥의 광섬유 상호간의 늘어나는 정도가 상이하여 길이가 달라지거나, 또는 접착제를 길이방향으로 도포하면서 잡아당길 시 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경우, 추후 융착장치를 통해 리본화된 2개의 광섬유 상호간을 융착할 시, 정확한 정렬이 되지 않아 융착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미국 특허출원공보 US2013/0240124(Sep.19,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광섬유를 융착수단을 통해 융착하기 전,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일단을 단일개로 리본화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수 가닥의 광섬유에 접착제를 도포 후 이를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 및 직선으로 잡아당겨, 리본화된 광섬유가 휘어지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화가 가능토록 하여, 추후 융착시 정확한 정렬이 가능토록 하는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전설정된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광섬유(10);
사전설정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직립설치될 수 있도록 파지부(21)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21) 하단의 몸체부(23)에는 파지부(21)와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광섬유 정렬부(26)가 절개형성되어, 광섬유(10)가 광섬유 정렬부(26)에 수평으로 끼워져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 시트(20);
상기 광섬유(10)가 수평투입되는 광섬유 정렬부(26)의 일측의 폭(D)은, 상기 광섬유(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광섬유 정렬부(26)로 투입된 광섬유(1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삽입턱(25); 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 시트(20)에 광섬유(10)를 위치고정시킨 후, 상기 클램프 시트(20) 일측의 광섬유(10)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 후, 광섬유(10)를 클램프 시트(20)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잡아당겨, 다수 가닥의 광섬유(10)가 휨 없이 직선형태로 정렬되면서, 단일개의 광섬유(10)로 리본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 가닥의 광섬유를, 휘지않고 직선형태를 가지는 단일개로 리본화함에 따라, 추후 광섬유간의 융착시 정확한 정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이 용이하고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동수단에 클램프 시트가 장착되어, 광섬유를 리본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동수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는, 클램프 시트(20)에 광섬유(10)를 위치고정시킨 후, 상기 클램프 시트(20) 일측의 광섬유(10)에 접착제를 도포 후, 광섬유(10)를 클램프 시트(20)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잡아당겨, 다수 가닥의 광섬유(10)가 휨 없이 직선형태로 정렬되면서, 단일의 광섬유(10)로 리본화되도록 함에 따라, 추후 단일개로 리본화된 광섬유(10)를 다른 광섬유와 융착할 시, 정확한 수평정렬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는 광섬유(10), 클램프 시트(Clamp Sheet, 20), 삽입턱(25), 수평이동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시트(20)는 다수 가닥의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광섬유(ex: 12심 Fiber)(10)를 단일개의 직선형태로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클램프 시트(20)는 판재 형태이며, 'ㄴ'자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클램프 시트(20)는 사용자가 클램프 시트(20)를 사전설정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직립설치될 수 있도록 파지부(21)(상기 파지부(21)에는 미끄럼방지 및 파지의 용이를 위한 돌출면(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21) 하단에는 파지부(21)보다 넒은 면적의 몸체부(23)를 형성하여, 이러한 몸체부(23)에 파지부(21)와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광섬유 정렬부(26)를 절개형성하여, 광섬유(10)가 광섬유 정렬부(26)에 수평으로 끼워져 위치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23)의 일측에서부터 삽입턱(25)까지는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 형상과 같은 빈공간의 투입부(24)를 형성하여, 상기 광섬유(10)의 광섬유 정렬부(26)를 향한 투입이 용이토록 한다. 즉 투입부(24)의 하단은 직선의 수평을 이루고, 상단은 사선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다수 가닥의 광섬유(10)가 수평투입되는 광섬유 정렬부(26)의 일측에는 삽입턱(25)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삽입턱(25)의 폭(D)은 광섬유(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광섬유 정렬부(26)로 투입된 광섬유(1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말해, 다수 가닥의 광섬유(10)는 투입부(24) -> 삽입턱(25) -> 광섬유 정렬부(26) 순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물론, 삽입턱(25)의 크기가 광섬유보다 작기 때문에, 클램프 시트(20) 전체는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투입부(24)과 삽입턱(25)을 통한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삽입이 용이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부(23)에서 투입부(24), 삽입턱(25), 광섬유 정렬부(26)의 테두리(T)의 두께는, 클램프 시트(20) 전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게 형성하여,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삽입이 용이토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수평이동수단(30)은 전술된 클램프 시트(20)가 수직으로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 시트(20)에 끼워진 다수 가닥의 광섬유(10)를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의 직선형태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평이동수단(30)은 지지부(31), 슬라이딩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1)는 상면 일측에 클램프 시트(20)가 수직으로 장착되는 고정홈(32)이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슬라이딩부(34)는 지지부(3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가이드홈(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시트(20)에 끼움고정되는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슬라이딩부(34)에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31)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수평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부(34)는 고정부(35), 안착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35)는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이 고정되는 부분이며, 상기 안착부(36)는 고정부(35)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장착공간(37)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에,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에 광커넥터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광커넥터 부분이 안착부(36)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것이고,
상기 광커넥터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 가닥의 광섬유(10)가 안착부(36)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광섬유 20: 클램프 시트
21: 파지부 22: 돌출면
23: 몸체부 24: 투입부
25: 삽입턱 26: 광섬유 정렬부
30: 수평이동수단 31: 지지부
32: 고정홈 33: 가이드홈
34: 슬라이딩부 35: 고정부
36: 안착부 37: 장착공간
D: 폭

Claims (7)

  1. 사전설정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직립설치될 수 있도록 파지부(21)가 형성되고, 몸체부(23)에는 광섬유 정렬부(26)가 절개형성되어, 광섬유(10)가 광섬유 정렬부(26)에 수평으로 끼워져 위치고정 되도록 하는 클램프 시트(20);
    상기 광섬유(10)가 수평투입되는 광섬유 정렬부(26)의 일측의 폭(D)은, 상기 광섬유(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광섬유 정렬부(26)로 투입된 다수의 광섬유(1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삽입턱(25); 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 시트(20)에 다수의 광섬유(10)를 위치고정시킨 후, 상기 클램프 시트(20) 일측 다수의 광섬유(10)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 후, 다수의 광섬유(10)를 클램프 시트(20)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잡아당겨, 다수 가닥의 광섬유(10)가 휨 없이 직선형태로 정렬되면서, 단일의 광섬유(10)로 리본화 되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 시트(20)는
    상기 몸체부(23)에 형성된 투입부(24), 삽입턱(25), 광섬유 정렬부(26)의 테두리(T)의 두께는, 클램프 시트(20) 전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게 형성하여,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삽입이 용이토록 하며,
    상기 클램프 시트(20)가 수직으로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 시트(20)에 끼워진 다수 가닥의 광섬유(10)를 길이방향을 향해 수평의 직선형태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수평이동수단(30);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이동수단(30)은
    상면 일측에 클램프 시트(20)가 수직으로 장착되는 고정홈(32)이 형성되는 지지부(31); 상기 지지부(3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가이드홈(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시트(20)에 끼움고정되는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딩부(34);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34)는
    상기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35);
    상기 고정부(35)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장착공간(37)을 형성하여, 다수 가닥의 광섬유(10) 일단에 광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커넥터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안착되고,
    상기 광커넥터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 가닥의 광섬유(10)가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시트(20)는
    상기 몸체부(23)의 일측에서부터 삽입턱(25)까지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광섬유(10)의 광섬유 정렬부(26)를 향한 투입이 용이토록 하는 투입부(24);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시트(20)는
    판재 형태이며, 'ㄴ'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66257A 2020-12-02 2020-12-02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KR102325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57A KR102325582B1 (ko) 2020-12-02 2020-12-02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57A KR102325582B1 (ko) 2020-12-02 2020-12-02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582B1 true KR102325582B1 (ko) 2021-11-15

Family

ID=7850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57A KR102325582B1 (ko) 2020-12-02 2020-12-02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5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522A (ja) * 1994-08-10 1996-02-27 Fujikura Ltd 単心光ファイバの集合方法及びテープ化装置
JP2013109269A (ja) * 2011-11-24 2013-06-06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用整列治具、光ファイバの整列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方法
US20130240124A1 (en) 2012-03-01 2013-09-19 Jillcha Fekadu Wakjira Loose Fiber Ribbonizing Tool and Method of Ribbonizing Optical Fibers
US20140003785A1 (en) * 2011-04-15 2014-01-02 Sei Optifrontier Co., Ltd. Optical fiber holder
KR101794610B1 (ko) * 2016-12-22 2017-11-08 일신테크(주) 광섬유 리본화 홀더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커넥터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522A (ja) * 1994-08-10 1996-02-27 Fujikura Ltd 単心光ファイバの集合方法及びテープ化装置
US20140003785A1 (en) * 2011-04-15 2014-01-02 Sei Optifrontier Co., Ltd. Optical fiber holder
KR101862901B1 (ko) * 2011-04-15 2018-05-31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홀더
JP2013109269A (ja) * 2011-11-24 2013-06-06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用整列治具、光ファイバの整列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方法
US20130240124A1 (en) 2012-03-01 2013-09-19 Jillcha Fekadu Wakjira Loose Fiber Ribbonizing Tool and Method of Ribbonizing Optical Fibers
KR101794610B1 (ko) * 2016-12-22 2017-11-08 일신테크(주) 광섬유 리본화 홀더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커넥터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532B2 (en) Protective caddy configured to receive a multiple optical fiber cable assembly
US9983366B2 (en) Field installed optical fiber connector for jacketed fiber cable and termination method
US8459880B2 (en) Fiber optic connector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998506B2 (en) Field terminable ST format optical fiber connector
US8875403B2 (en) Coating removal tool used for optical fiber and method of removing coating
US9459408B2 (en) Cable splicing fixture
EP0997756A2 (en) Fiber optic cable guide
JP2006500619A (ja) ファイバ端部の割断および研磨の間に光ファイバを保持するための物品
AU2009350495B2 (en) Fiber optic connectors,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70280619A1 (en) Multi-directional optical splice organizer
DE60214286D1 (de) Verfahren zur Schlaglängenbestimmung von SZ-verseilten Schutzröhren in Glasfaserkabeln während der Herstellung
JP4480579B2 (ja) ファイバスタブおよびスプライスチャネルを備えた光ファイバプラグ
KR102325582B1 (ko) 광섬유 리본화 접착 도포구
WO2019114462A1 (zh) 一种光纤箱内置理线盒装置
US20120125166A1 (en) Cleavers for cleaving optical fibers, and related blades, components, and methods
JPH01126601A (ja) 光フアイバの切断装置
JP5224413B2 (ja) 光ファイバの保持構造、光ファイバのリボン化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の融着方法
JP5875079B2 (ja) 光ファイバホルダ
JP2013109269A (ja) 光ファイバ用整列治具、光ファイバの整列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方法
US7862245B2 (en) Optical fibre connector
US20210382234A1 (en) Cable jacket cutting tool
JP5716007B2 (ja) 成端処理用キ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成端方法
EP2369387A1 (en) Cable attachment device, cable attachment means and panel for the cable attachment device
US8915656B2 (en) Taper-locking ferrule
JP2011048099A (ja) 光ファイバ把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