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91B1 - 스티로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91B1
KR102325391B1 KR1020190149551A KR20190149551A KR102325391B1 KR 102325391 B1 KR102325391 B1 KR 102325391B1 KR 1020190149551 A KR1020190149551 A KR 1020190149551A KR 20190149551 A KR20190149551 A KR 20190149551A KR 102325391 B1 KR102325391 B1 KR 10232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unit
grinding
saw bla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702A (ko
Inventor
문조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탑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탑니즈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탑니즈
Priority to KR102019014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ly elongat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 처리를 위한 스티로폼 분쇄시 1차적으로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기존 스티로폼의 입자를 최소화한 후 2차 분쇄공정을 통해 미세 입자로 가공하는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파쇄부(100); 파쇄부 하단에 배치되어 설정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부(200); 분쇄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분쇄부 공간과 계련되는 배출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쇄부(100)는 경사진 지붕을 가지면서 일측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인입부(110)와, 인입부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수용부(120)와,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개재되는 파쇄톱날부(130)와, 파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파쇄모터(14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200)는 수개의 블럭이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의 수평면상에 결합하는 분쇄톱날부(220)와, 분쇄톱날부의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타공판(230)과, 분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분쇄모터(240)와, 지지프레임의 상측 블럭에 결합하는 외부가림판(25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30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배출판(310)과, 각 배출판과 결합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형의 배출통(320)과, 각 배출통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배출기(3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티로폼 분쇄장치{Styrofoam crusher}
본 발명은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 처리를 위한 스티로폼 분쇄시 1차적으로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기존 스티로폼의 입자를 최소화한 후 2차 분쇄공정을 통해 미세 입자로 가공하는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은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포장재, 건축재, 부력재 및 절연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나 부패되지 않고 소각할 때 유해 가스가 발생되어 폐기하는 경우에는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원인이 되었으므로 재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스티로폼의 특성상 밀도가 작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거된 폐 스티로폼의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수거된 폐 스티로폼을 작게 파쇄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재활용 공장으로 운반하는 것이 중요하나, 종래에는 이를 위해 스티로폼을 용해시키거나 미리 작은 크기의 입자로 절단한 후 파쇄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국가로 수산업(양식업)이 활성화되어 스티로폼 사용량이 세계 2위에 달한다. 따라서, 최근 해양 폐기물의 주범인 양식장 스티로폼 처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가 존재하고 있는 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9680호에는 파쇄기 즉, 유입구로 투입되는 폐스티로폼을 회전축에 고정구비되어 회전되는 가압로드로 파쇄하는 파쇄기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가압로드에만 의존하므로 정확하게 스티로폼을 최소입자로 파쇄시키는 것에 제약사항이 존재할 수 있고, 지속적인 마찰열로 인해 가압로드의 변형이 올 수 있으며 결국 다른 공정을 별도로 진행하여야 하는 별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396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 처리를 위한 스티로폼 분쇄시 1차적으로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기존 스티로폼의 입자를 최소화한 후 2차 분쇄과정을 통해 미세 입자로 가공하는 스티로폼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티로폼 분쇄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파쇄부(100);와, 상기 파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부(200);와, 상기 분쇄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분쇄부의 공간과 계련되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부(100)는 경사진 지붕을 갖으면서 일측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인입부(110);와, 상기 인입부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를 갖는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개재되는 파쇄톱날부(130);와, 상기 파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파쇄모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부(200)는 수개의 블럭이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평면상에 결합하는 분쇄톱날부(220);와, 상기 분쇄톱날부의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타공판(230);과, 상기 분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분쇄모터(240);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 블럭에 결합하는 외부가림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30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배출판(310);과, 상기 각 배출판과 결합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형의 배출통(320)과, 상기 각 배출통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배출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톱날부(13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파쇄축(131);과, 상기 각 파쇄축에 등간격으로 교차 배열되는 다수개의 파쇄날(132);과, 상기 각 파쇄축 일측 최선단에 결합하는 파쇄기어(133);와, 상기 파쇄축의 타측 최선단에 구성되는 파쇄체인기어(134);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톱날부(220)는 선형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일단면을 둘러 요부와 돌출부가 반복 형성되는 분쇄날(221)과, 상기 분쇄날의 횡단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222)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중앙을 관통하는 분쇄축(223)과, 상기 분쇄축의 일측 최선단에 결합하는 분쇄체인기어(22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큰 부피를 갖는 스티로폼에 1차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기존 스티로폼의 입자를 최소화한 후 2차 분쇄과정을 통해 미세 입자로 가공함에 따라 스티로폼 처리 유지비용 및 운반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소정의 폐쇄된 작업 영역이 마련되어 스티로폼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 분진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부품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부품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결합 구조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파쇄부(100);와, 상기 파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부(200);와, 상기 분쇄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분쇄부의 공간과 계련되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파쇄부, 분쇄부 및 배출부가 상호 연계되어 폐쇄된 작업 경로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100)는 경사진 지붕을 갖으면서 일측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인입부(110);와, 상기 인입부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를 갖는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개재되는 파쇄톱날부(130);와, 상기 파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파쇄모터(14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200)는 수개의 블럭이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평면상에 결합하는 분쇄톱날부(220);와, 상기 분쇄톱날부의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타공판(230);과, 상기 분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분쇄모터(240);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 블럭에 결합하는 외부가림판(25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30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배출판(310);과, 상기 각 배출판과 결합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형의 배출통(320)과, 상기 각 배출통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배출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선형의 수직으로 구성된 블럭과 수평으로 구성되는 블럭이 교번되는 것으로 수용부가 최상단의 수직 블럭과 상단 수평블럭 사이에 안착되는 것이고 최하단의 수평블럭이 지면과 맞닿아 장치의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가림판(250)은 수용부가 접하는 수직블럭에 결합되어 외부로 부터 지지프레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쇄모터 및 분쇄모터를 포위함으로써 모터의 구동에 방해물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배출판(310)은 타공판(230)이 노출되는 지지프레임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타공판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고, 해당 배출판에 배출통의 직경과 대응된 배출공(311)이 더 포함되어 해당 배출공(311)에 배출통(320)이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하단부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하단에 하부가림판(26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지지프레임에 일체형 내지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톱날부가 결합되는 영역이자 구동시 공회전의 문제를 적극 방지하기 위해 수용부에는 후판으로 구성된 결합플레이트(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쇄톱날부(130)와 파쇄모터(140)가 체인 연결되는 일측의 결합플레이트에는 분리플레이트(136)가 결합될 수 있는 바, 이는 해당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파쇄톱날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간 간섭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연결된 체인의 탈락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모터(140)의 하부에 파쇄플레이트(141)가 더 구성되어 파쇄모터가 지지프레임(210)과의 결합시 수평을 유지하게끔 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고 상기 파쇄모터와 대등되는 면 상에 결합되는 분쇄모터(240)의 하부에 분쇄모터플레이트(241)가 더 구성되어 분쇄모터가 지지프레임(210)과의 결합시 수평 유지 및 견고한 결합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톱날부(13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파쇄축(131);과, 상기 각 파쇄축에 등간격으로 교차 배열되는 다수개의 파쇄날(132);과, 상기 각 파쇄축 일측 최선단에 결합하는 파쇄기어(133);와, 상기 파쇄축의 타측 최선단에 구성되는 파쇄체인기어(134);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기어와 파쇄체인기어가 수용부를 관통하여 해당 공간에 개재되어 있는 상태의 파쇄축에 결합하고 해당 파쇄기어는 파쇄축과 대응되게 구성되어 상호 간 연접하고 상기 파쇄체인기어는 하나의 파쇄축 상에서만 존재한다. 이때, 파쇄체인기어와 파쇄기어는 파쇄축 상에서 상반된 최선단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각 파쇄축에 파쇄날이 등간격으로 교차 배열되기 위해 다수개의 파쇄날 사이에 파쇄스페이서(138)가 개재될 수 있고 해당 파쇄스페이서는 파쇄축에 인입되어 파쇄날과 접한다. 즉, 상기 하나의 파쇄축 상에서 파쇄날과 파쇄스페이서가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간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또 다른 하나의 파쇄축에도 동일한 구성을 갖으나 상호 간 교차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순차적 결합이 실시된 후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개재될 수 있는 바, 이때 상기 파쇄축이 관통하는 영역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결합플레이트(135)가 그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수용부를 관통한 상태의 각 파쇄축에 고정브라켓(137)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브라켓(137)은 각 파쇄축이 수용부를 관통한 후 돌출되는 영역 각각에 결합되는 것으로 총체적 결합 구조로 보았을 때 상기 고정브라켓은 수용부와 파쇄체인기어 및 파쇄기어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고 해당 브라켓의 결합을 추가하여 파쇄축의 유동 및 탈락을 적극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다.
도 7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톱날부(220)는 선형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일단면을 둘러 요부와 돌출부가 반복 형성되는 분쇄날(221)과, 상기 분쇄날의 횡단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222)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중앙을 관통하는 분쇄축(223)과, 상기 분쇄축의 일측 최선단에 결합하는 분쇄체인기어(2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222)은 사방에 단턱이 구성되고 해당 단턱에 선형의 분쇄날의 탄탄한 면이 등간격으로 결합하고, 등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분쇄축에 분쇄스페이서(22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분쇄축 상에 지지브라켓과 분쇄스페이서가 순차적 결합됨에 따라 지지브라켓이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분쇄축 상에서 지지브라켓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쇄축고정기(227)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분쇄축고정기는 분쇄축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분쇄축 일측 최선단에는 해당 분쇄축이 지지프레임(21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분쇄축고정브라켓(2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국 분쇄축고정브라켓에 분쇄축고정기가 끼임 결합되어 분쇄축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그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티로폼 분쇄장치는 파쇄부(100)의 인입부(110)로 큰 부피를 갖는 스티로폼이 유입되고 수용부(120)가 갖는 내부 공간에서 1차 파쇄공정이 진행된다. 해당 공정에는 파쇄톱날부(130)가 주된 역할을 하는 바, 상기 파쇄톱날부의 각 파쇄축(131) 상에 배치된 파쇄날(132)이 회전하면서 큰 부피를 갖는 스티로폼의 입자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인입부의 지붕으로 인해 스티로폼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파쇄축(131)은 파쇄모터(140)의 회전력을 체인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며 해당 파쇄축의 회전과 대응되게 파쇄날(132)이 회전하면서 그 동작이 완성된다. 상기 각 파쇄축 상에 배치되는 파쇄날은 상호 교차 배치됨으로써 마찰열로 인한 파쇄축의 변형을 방지하여 유지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2개 1조로 구성된 파쇄축은 파쇄체인기어(134)의 하나의 회전으로 동시적으로 회전되는 바, 이는 상기 파쇄축에 결합된 파쇄기어(133) 상호 간의 연계 구동으로 가능한 것으로 이로 인해 불필요한 동작이 감소되어 장치 운용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100)에서 파쇄된 스티로폼을 미세한 입자로 가공하기 위해 분쇄부(200)가 연계된다.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톱날부(220)가 그 주된 역할을 하고, 해당 분쇄톱날부는 분쇄모터(2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스티로폼의 가공을 진행한다. 즉, 상기 분쇄부 상부에 배치되는 파쇄부로부터 유입되는 최소화 입자의 스티로폼이 타공판(230)에 안착되고 타공판의 상부에 회전되는 분쇄톱날부의 분쇄날(221)이 스티로폼 위로 지나가면서 미세 가공을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분쇄모터의 회전력을 분쇄체인기어(224)에 의해 분쇄축(223)이 전달받고 분쇄축이 관통하여 분쇄축 상에서 고정되는 지지브라켓(222)이 분쇄축과 대응하여 회전하고, 지지브라켓의 회전력에 의해 선형의 분쇄날이 타공판 위로 회전하면서 타공판에 안착된 스티로폼 입자를 더욱 더 미세하게 가공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의 구동으로 인해 미세 입자로 가공된 스티로폼을 배출부(300)가 외부로 배출한다. 이는 상기 타공판(230)의 수용력을 초과하여 스티로폼이 쌓이면 분쇄날(221)이 회전하면서 측방으로 밀어내고 밀어진 스티로폼 입자들은 배출부의 배출통(320)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상기 배출기(330)가 배출통에 유입된 미세 스티로폼 입자를 흡입한 후 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스티로폼 흡입을 위해 배출기에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배출시 미세 분진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배출통에 인입된 배출기 일측에는 분쇄물거름망(331)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연계 동작을 통해 기존 스티로폼을 미세 입자로 가공할 수 있어 스티로폼 처리 유지비용 및 운반비용이 절감되는 것이고, 이는 종래에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절감되는 궁극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계 동작시 소정의 폐쇄된 작업 영역이 마련되어 스티로폼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 분진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시켜 그 안정성 또한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계 동작들은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모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별개의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동작들은 상호 연속된 유기적 동작을 의미하는 것이지 선택적 동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된 실시 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100 : 파쇄부 110 : 인입부
120 : 수용부 130 : 파쇄톱날부
131 : 파쇄축 132 : 파쇄날
133 : 파쇄기어 134 : 파쇄체인기어
135 : 결합플레이트 136 : 분리플레이트
137 : 고정브라켓 138 : 파쇄스페이서
140 : 파쇄모터 141 : 파쇄모터플레이트
200 : 분쇄부 210 : 지지프레임
220 : 분쇄톱날부 221 : 분쇄날
222 : 지지브라켓 223 : 분쇄축
224 : 분쇄체인기어 225 : 분쇄고정브라켓
226 : 분쇄스페이서 227 : 분쇄축고정기
230 : 타공판 240 : 분쇄모터
241 : 분쇄모터플레이트 250 : 외부가림판
260 : 하부가림판 300 : 배출부
310 : 배출판 311 : 배출공
320 : 배출통 330 : 배출기
331 : 분쇄물거름망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파쇄부(100);
    파쇄부 하단에 배치되어 설정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부(200);
    분쇄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분쇄부 공간과 계련되는 배출부(300);
    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쇄부(100)는 경사진 지붕을 가지면서 일측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인입부(110)와, 인입부가 상부에 안착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수용부(120)와,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 개재되는 파쇄톱날부(130)와, 파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파쇄모터(140)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200)는 수개의 블럭이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의 수평면상에 결합하는 분쇄톱날부(220)와, 분쇄톱날부의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타공판(230)과, 분쇄톱날부와 체인 연결되는 분쇄모터(240)와, 지지프레임의 상측 블럭에 결합하는 외부가림판(25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30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배출판(310)과, 각 배출판과 결합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형의 배출통(320)과, 각 배출통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배출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톱날부(130)는,
    2개 1조로 구성되는 파쇄축(131);
    각 파쇄축에 등간격으로 교차 배열되는 다수 개의 파쇄날(132);
    각 파쇄축 일측 최선단에 결합하는 파쇄기어(133);
    파쇄축의 타측 최선단에 형성되는 파쇄체인기어(134);
    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톱날부(220)는,
    선형의 판상으로 구비되고 일단면을 둘러 요부와 돌출부가 반복 형성되는 분쇄날(221);
    분쇄날 횡단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브라켓(222);
    지지브라켓의 중앙을 관통하는 분쇄축(223);
    분쇄축의 일측 최선단에 결합하는 분쇄체인기어(22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22)은 사방에 단턱이 구성되고 해당 단턱에 선형의 분쇄날의 탄탄한 면이 등간격으로 결합하고, 등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분쇄축에 분쇄스페이서(226)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쇄부 상부에 배치되는 파쇄부로부터 유입되는 최소화 입자의 스티로폼이 타공판(230)에 안착되고 타공판의 상부에 회전되는 분쇄톱날부의 톱날 모양의 분쇄날(221)이 스티로폼 위로 지나가면서 미세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분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9551A 2019-11-20 2019-11-20 스티로폼 분쇄장치 KR10232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51A KR102325391B1 (ko) 2019-11-20 2019-11-20 스티로폼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51A KR102325391B1 (ko) 2019-11-20 2019-11-20 스티로폼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02A KR20210061702A (ko) 2021-05-28
KR102325391B1 true KR102325391B1 (ko) 2021-11-19

Family

ID=7614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551A KR102325391B1 (ko) 2019-11-20 2019-11-20 스티로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943B1 (ko) * 2022-05-04 2023-05-10 황성식 수거장치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751B1 (ko) 2021-08-06 2022-03-21 이경철 소음과 분진저감 기능을 갖는 폐발포수지 분쇄장치
KR20230052544A (ko) 2021-10-13 2023-04-20 박춘수 사축처리장치용 악취저감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979A (ja) 2001-03-15 2001-07-17 Taisei Jushi:Kk 高速回転粉砕機
JP2001293389A (ja) 2000-04-17 2001-10-23 Seiichi Tsunoda 破砕装置
KR100637676B1 (ko) * 2005-08-30 2006-10-24 오현용 분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용기
KR101762197B1 (ko) * 2016-08-19 2017-07-27 주식회사 하나그린 건설폐기물 골재 파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680B1 (ko) 2008-08-05 2010-02-03 최종호 폐스티로폼 파쇄기
KR101770881B1 (ko) * 2014-11-13 2017-09-05 최병국 반용융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폐수지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389A (ja) 2000-04-17 2001-10-23 Seiichi Tsunoda 破砕装置
JP2001190979A (ja) 2001-03-15 2001-07-17 Taisei Jushi:Kk 高速回転粉砕機
KR100637676B1 (ko) * 2005-08-30 2006-10-24 오현용 분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용기
KR101762197B1 (ko) * 2016-08-19 2017-07-27 주식회사 하나그린 건설폐기물 골재 파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943B1 (ko) * 2022-05-04 2023-05-10 황성식 수거장치가 적용된 문서 세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02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391B1 (ko) 스티로폼 분쇄장치
CN202590913U (zh) 卧式碎浆机
CN102698845A (zh) 卧式碎浆机
CN107059822A (zh) 一种湖面清污装置
JP2000093826A (ja) 破砕処理装置
CN202893420U (zh) 一种用于餐厨垃圾破碎制浆分选的装置
CN110681456A (zh) 一种节能环保用垃圾处理粉碎装置
CN108620199B (zh) 饲料粉碎装置
CN213102415U (zh) 一种用于道路维修的石子快速粉碎设备
CN103586109A (zh) 一种用于餐厨垃圾破碎制浆分选的装置
CN113232195A (zh) 一种水浸式筛分机
CN212018041U (zh) 一种固体废物处理装置
CN106003175A (zh) 一种水果切碎装置
CN110314745A (zh) 一种化工用物料研磨筛选机装置
CN207696849U (zh) 一种塑料回收粉碎机
KR101032541B1 (ko) 황토벽돌 제조장치
JP4787285B2 (ja) 粉化装置
JPH048998Y2 (ko)
CN214288585U (zh) 一种再生混凝土生产用螺旋上料装置
CN205084984U (zh) 一种筛选破碎装置
CN208427169U (zh) 一种废弃物破碎处理设备
US10363561B2 (en) Apparatus for shredding of waste
KR102267424B1 (ko) 폐목재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213468064U (zh) 一种粉碎机
CN220361267U (zh) 一种沥青生产用原料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