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109B1 - 바닥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닥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109B1
KR102325109B1 KR1020210092406A KR20210092406A KR102325109B1 KR 102325109 B1 KR102325109 B1 KR 102325109B1 KR 1020210092406 A KR1020210092406 A KR 1020210092406A KR 20210092406 A KR20210092406 A KR 20210092406A KR 102325109 B1 KR102325109 B1 KR 10232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dth
floor
heat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형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하이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하이하우징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하이하우징
Priority to KR102021009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05B3/565Heating cables flat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실내바닥을 난방하거나 또는 각종부스를 포함하는 간이시설물의 바닥 등을 난방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하게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와 철부가 복수 회 형성되고 요부의 바닥면과 철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된 열 전도성 난방패널과, 그 난방패널의 하부 설치바닥면에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난방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확산판과, 그 열확산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감재와, 상기 요부에 배열되어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닥난방 시스템{Floor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실내바닥을 난방하거나 또는 각종부스를 포함하는 간이시설물의 바닥 등을 난방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하게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을 난방할 때 각종 자재는 바닥에 붙이거나 적층하는 것으로, 이렇게 자재를 바닥에 고정하는 방법에 따라 습식시공법과 건식시공법 2가지로 나누어서 분류한다.
상기 건식시공법은, 미장 바닥에 보온단열재를 놓고 난방필름과 접착보호판을 배치하고 최종적으로 데코타일 같은 마감재를 설치하는 방식으로서, 난방필름과 온돌 패널의 시공법으로 평면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필름이나 패널을 자재의 기능에 맞추어 차례로 단순히 적층해 놓는 것이다.
습식시공법은, 바닥 슬라브에 일정두께의 기포콘크리트를 양생하고 그 위에 난방용전열관을 배치 후 모르타르를 다시 양생하며 최종적으로 마감재로 마무리한다. 둥글거나 긴 줄 형태를 가지고 있는 엑셀관, 금속관, 케이블 등의 난방용 전열관을 배치한 후 시멘트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영구 고정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건식시공법과 습식시공법은 한번 설치하면 해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1-0077605호의 요철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요부(31)와 철부(32)가 반복되게 절곡 형성되어 마감재(60)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바닥슬래브로 전달하며, 상기 요부(31)는 선형의 발열체(40)와 하면 및 좌우측면에서 접촉하면서 상기 선형의 발열체(40)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부(31)의 하부 또는 상기 철부(32)의 상부 중 어느 하나는 평평한 면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요부(31)는 선형의 발열체(40)의 좌우측면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요철 금속판(30)은 요부(31)와 철부(32)가 양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 금속판(30)은 철판, 컬러강판, 합성수지 코팅강판, 아연도금철판, 갈바륨강판, 갈바강판, 주석도금철판, 알루미늄, 듀랄미늄, 알루미늄합금판, 동판, 황동, 청동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 상기 요철 금속판(30)은 기어포밍, 롤러포밍, 프레스성형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성형되고, 상기 발열체(40)로부터의 열이 바닥슬래브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10);
상기 단열재(10) 상부에 위치하고 발열체(40)로부터 전도된 열이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하부 열확산판(20);
상기 하부 열확산판(20)의 상부에 위치하고 발열체(40)가 수납되는 요철 금속판(30);
상기 요철 금속판의 상기 요부에 수납되는 발열체(40);
상기 요철 금속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체로부터 전도된 열을 수평방향 및 마감재(10)로 전달하는 상부 열확산판;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바닥난방 시스템은, 한번 설치하면 해체작업이 어려워 바닥난방에 필요한 구성품들의 회수가 어렵고 또 그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바닥난방 시스템은, 시공과정이 난해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은 물론, 행사부스나 회의실 및 간이 시설물 등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고 철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1-0077605(공개일:2021.06.25.)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실내바닥을 난방하거나 또는 각종부스를 포함하는 간이시설물의 바닥 등에 난방이 필요할 때에 이미 시공된 바닥면 상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하여 바닥난방을 할 수 있고, 또 바닥 난방이 필요 없을 때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해체하여 그 해체된 바닥난방 구성품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난방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와 철부가 복수 회 형성되고 요부의 바닥면과 철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된 열 전도성 난방패널(100)과, 그 난방패널의 하부 설치바닥면(A)에 설치되는 단열재(200)와, 상기 난방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확산판(300)과, 그 열확산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감재(400)와, 상기 요부에 배열되어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700)로 구성되는 바닥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의 철부(120) 폭은, 요부(110)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형성되고 상기 요부와 요부의 사이 철부의 하부와 단열재 간에는 상기 요부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큰 열기저장공간(S-1)이 마련되며,
상기 난방패널의 양 외곽 철부 길이방향 단부에는 인접하는 난방패널의 양 외곽 철부 길이방향 단부와 상호 맞대기 접촉되었을 때 상기 요부(110)의 폭보다 큰 폭의 요부(110a)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연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난방패널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발열체를 배열하는 요부(510)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연장부(530)와 열기를 저장하는 열기저장공간(S-2)을 형성하는 철부(520)를 형성시켜 된 마감패널(500)이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각 요부를 따라 연이어지게 배열되는 것으로,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 탄소섬유발열선(710)이 위치되고 그 탄소섬유발열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플랙시블와이어(720)를 위치시켜 연질의 난연 수지, 난연 실리콘, 난연섬유 중 어느 하나 또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인서트부재(730)로 인서트 몰딩하여 된 납작한 띠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거공간의 실내바닥을 난방하거나 또는 각종부스를 포함하는 간이시설물의 바닥 등에 난방이 필요할 때에 이미 시공된 바닥면 상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하여 바닥난방을 할 수 있고, 또 바닥 난방이 필요 없을 때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해체하여 그 해체된 바닥난방 구성품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난방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닥난방 시스템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에서 난방패널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에서 마감패널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에서 발열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종 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횡 방향 단면도.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실내바닥을 난방하거나 또는 각종부스를 포함하는 간이시설물의 바닥 등을 난방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하게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 구성은,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와 철부가 복수 회 형성되고 요부의 바닥면과 철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된 열 전도성 난방패널(100)과, 그 난방패널의 하부 설치바닥면(A)에 설치되는 단열재(200)와, 상기 난방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확산판(300)과, 그 열확산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감재(400)와, 상기 요부에 배열되어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700)로 구성되는 바닥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의 철부(120) 폭은, 요부(110)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형성되고 상기 요부와 요부의 사이 철부의 하부와 단열재 간에는 상기 요부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큰 열기저장공간(S-1)이 마련되며,
상기 난방패널의 양 외곽 철부 길이방향 단부에는 인접하는 난방패널의 양 외곽 철부 길이방향 단부와 상호 맞대기 접촉되었을 때 상기 요부(110)의 폭보다 큰 폭의 요부(110a)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연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난방패널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발열체를 배열하는 요부(510)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연장부(530)와 열기를 저장하는 열기저장공간(S-2)을 형성하는 철부(520)를 형성시켜 된 마감패널(500)이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각 요부를 따라 연이어지게 배열되는 것으로,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 탄소섬유발열선(710)이 위치되고 그 탄소섬유발열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플랙시블와이어(720)를 위치시켜 연질의 난연 수지, 난연 실리콘, 난연섬유 중 어느 하나 또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인서트부재(730)로 인서트 몰딩하여 된 납작한 띠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 구성에서 난방패널(100)의 철부(120) 상부 표면 폭은, 요부(110)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형성되고, 상기 요부(110)와 요부(110)의 사이 철부(120)와 설치바닥면(A)에 설치되는 단열재(200) 간에는 상기 요부(110)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큰 열기저장공간(S-1)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철부(120)의 폭을 요부(110)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열기저장공간(S)을 크게 확보하여 많은 양의 열기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열기저장공간(S-1)에 열기가 저장된 상태에서 발열체(700)의 전기공급을 차단하여 발열체(700)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아도 열기가 오랜 시간 동안 열기저장공간(S)에 저장되어 바닥난방의 지속시간을 연장함으로써 발열체(700)의 전기공급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기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난방패널(100)의 하부 설치바닥면(A)에는 단열재(200)가 설치됨으로써 난방패널(100)의 열기가 설치바닥면(A)을 통하여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열기저장공간(S)에 저장된 열기의 지속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철부(120)의 상부 폭은 요부(110)의 폭보다 큰 5cm 내지 20cm의 폭을 갖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철부(120)의 폭이 5cm 미만이면 열기저장 면적이 좁아 열기저장공간(S)에 저장된 열기의 지속시간을 오래 지속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 철부(120)의 폭이 20cm를 초과하면 난방패널(100)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철부(120) 부분의 내구성이 약하여 철부(120)에 압이 가해졌을 때 난방패널(100)의 상부 표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철부(120)의 상부 폭은 5cm 내지 20cm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난방패널(100)은, 0.8 - 1.5mm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난방패널(100)의 두께를 사용했을 철부(120)의 상부 폭은 5cm 내지 20cm의 폭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5cm 내지 20cm의 폭을 유지하는 철부(120)의 폭은 5cm, 10cm, 15cm, 20cm 단위로 형성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난방패널(10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자 형상의 연장부(130)를 형성시켜 인접하는 난방패널(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 자형 연장부(130)의 단부와 상호 맞대기 접촉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요부(110)의 폭보다 큰 요부(110a)를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인접하는 난방패널(100)의 연장부(130)와 연장부(130)의 단부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었을 때 요부(110)의 폭보다 큰 요부(110a)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발열체(700)의 경우 일정 길이단위로 생산되기 때문에 발열체(700)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해야 하고 그 연결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 그 두꺼워진 부분의 발열체(700)를 요부(110a)에 용이하고 긴밀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연장부(130)와 연장부(130)의 단부를 상호 고정하지 않고 맞대기 접촉시켜 의지되게 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을 설치하고 해체할 때에 그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해체된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 구성인 난방패널(100)을 변형 및 훼손 없이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 자형 연장부(130)의 단부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었을 때 요부(110a)가 형성되는 원리는, 최 외곽 철부(120)의 측면이 수직면이고, 연장부(130)는 철부(120)의 측면 하단에서 "-" 자형으로 절곡하여 연장 형성시킴으로 철부(120)의 측면이 "ㄴ" 자 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ㄴ" 자 형상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맞대기 접촉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凹)부(110a)가 형성되는 것이다.
단 상기 "-"자형 연장부(130)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며 발생하는 요부(110a)의 폭을 난방패널(100)의 철부(120)와 철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요부(110)의 폭보다 큰 폭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체(700)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함에 따라 두꺼워지는 발열체(700)를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자형 연장부(130)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며 발생하는 요부(110a)의 폭이 철부(120)와 철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요부(110)의 폭보다 큰 폭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 자형 연장부(130)의 폭이 상기 철부(120)와 철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요부(1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하여 "-"자형 연장부(130)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며 발생하는 요부(110a)의 폭을 상기 철부(120)와 철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요부(110)의 폭보다 2배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형 연장부(130)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며 발생하는 요부(110a)의 폭이 철부(120)와 철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요부(110)의 폭보다 2배 크게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발열체(700)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함에 따라 두꺼워지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요부(110)의 폭보다 요부(110a) 폭을 크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 재질은, 알루미늄, 동, 아연도금강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재질은 열전달이 잘 이루어져 난방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난방패널(100)의 폭 방향 양단부에 철부(520)와 그 철부의 길이방향 하단에 "-" 자 형상의 연장부(530)를 형성시켜 그 연장부(530)의 단부가 상기 난방패널(100)의 폭 방향 끝단부와 접촉되었을 때 요부(510)를 형성하는 마감패널(500)을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은 마감패널(500)은, 난방패널(100)의 폭 방향 양 끝단부와 벽의 사이 설치바닥면(A) 상에 설치된 단열재(200) 상에 설치하여 마감하기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요부(510)에는 발열체(700)를 배열하여 마감패널(500)을 통한 마감부위를 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발열체(700)는, 상기 각 요부(110,110a,210)를 따라 연이어지게 배열되어 발열과 함께 바닥을 난방하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탄소섬유발열선(710)가 위치하고, 상기 탄소섬유발열선(7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는 플랙시블와이어(7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 상태에서 난연 수지, 난연 실리콘, 난연 섬유 중 어느 하나 또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인서트부재(730)로 인서트 몰딩하여 절곡 가능한 납작한 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체(700)를 납작한 띠 형태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각 요부(110,110a,210)에 세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탄소섬유발열선(710)을 중심으로 양측에 플랙시블와이어(720)를 위치시키는 이유는, 상기 각 요부(110,110a,210)를 따라 발열체(700)를 배열할 때에 방향전환을 위한 절곡되는 부분의 탄소섬유발열선(710)을 보호함과 동시에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 절곡된 부분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각 요부(110,110a,210)에 발열체(700)를 세워 결합하는 이유는, 발열체(700)를 납작한 띠 형태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종/횡 방향의 각 요부(110,110a,210)를 따라 발열체(700)를 배열할 때에 발열체(700)의 방향전환 즉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열체(700)가 각 요부(110,110a,210)에 세워 결합하지 않고 눕혀 결합한 경우에는 각 요부(110,110a,210)를 따라 발열체(700)를 배열하는 과정에서 발열체(700)의 방향전환 즉 절곡해야 하는 부분이 용이하게 절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론 물론, 억지로 절곡하는 경우에는 탄소섬유발열선(710)에 훼손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플랙시블와이어(720)는 굴곡성을 갖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를 합체하여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랙시블와이어(720)를 복수 가닥의 와이어를 합체하여 형성시킨 이유는, 플랙시블와이어(720)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방향전환을 위한 굴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탄소섬유발열선(710)과 플랙시블와이어(720)를 난연 수지, 난연 실리콘, 난연 섬유 중 어느 하나 또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인서트부재(730)로 인서트 몰딩하는 이유는, 상기 탄소섬유발열선(710)은 난방을 위한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열로부터 화제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각 요부와 철부의 높이는, 요부에 띠 형태의 발열체(700)를 새워 위치시켰을 때 상기 발열체(700)의 높이와 준하거나 발열체(7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시켜 열확산판(300)에 의한 발열체(700)에 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체(700)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난방패널(100)과 마감패널(500)의 상부 표면에는 열 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 동, 아연도금강판 중 어느 하나인 열확산판(300)을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발열체(7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난방패널(100)과 마감패널(200)을 통하여 열확산판(300)으로 골고루 분포 확산되며 난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난방패널(100)과 마감패널(200)의 상부를 평면을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또 상기 열확산판(300)의 상부 표면에는 난연소재로 이루어지고 방습성과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완충부재(600)를 설치하여 마감재(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여 난방패널(100)과 마감패널(200)을 보호함과 동시에 수분이 난방패널(100)과 마감패널(200)로 유입되어 발열체(700)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 길이방향 단부와 벽 사이에도 그 난방패널(100) 길이방향 단부와 벽 사이의 폭을 감안하여 난방패널(100)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거나 또는 마감패널(500)을 이용하여 마감처리 할 수 있고, 상기 난방패널(100) 길이방향 단부와 마감처리 되는 사이에 발열체(700)를 위치시키는 요부를 형성시켜 난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방패널(100)과 마감패널(500)의 각 요부에 발열체(700)를 배열하고, 그 발열체(700)의 일측 단부에는 발열체(700)에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난방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부가 형성된 제어기(800)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난방 시스템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거공간의 실내바닥을 난방하거나 또는 각종부스를 포함하는 간이시설물의 바닥 등에 난방이 필요할 때에 이미 시공된 바닥면 상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하여 바닥난방을 할 수 있고, 또 바닥 난방이 필요 없을 때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해체하여 그 해체된 바닥난방 구성품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난방패널 110,110a : 요부
120 : 철부 130 : 연장부
200 : 단열재 300 : 열확산판
400 : 마감재 500 : 마감패널
510 : 요부 520 : 철부
530 : 연장부 600 : 충격완충부재
700 : 발열체 710 : 탄소섬유발열선
720 : 플랙시블와이어 800 : 제어기
A : 설치바닥면 S-1,S-2 : 열기저장공간

Claims (9)

  1.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와 철부가 복수 회 형성되고 요부의 바닥면과 철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된 열 전도성 난방패널(100)과, 그 난방패널의 하부 설치바닥면(A)에 설치되는 단열재(200)와, 상기 난방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확산판(300)과, 그 열확산판의 표면에 설치되는 마감재(400)와, 상기 요부에 배열되어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700)로 구성되는 바닥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의 철부(120) 폭은, 요부(110)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형성되고 상기 요부와 요부의 사이 철부의 하부와 단열재 간에는 상기 요부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큰 열기저장공간(S-1)이 마련되며,
    상기 난방패널의 양 외곽 철부 길이방향 단부에는 인접하는 난방패널의 양 외곽 철부 길이방향 단부와 상호 맞대기 접촉되었을 때 상기 요부(110)의 폭보다 큰 폭의 요부(110a)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연장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난방패널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발열체를 배열하는 요부(510)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연장부(530)와 열기를 저장하는 열기저장공간(S-2)을 형성하는 철부(520)를 형성시켜 된 마감패널(500)이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각 요부를 따라 연이어지게 배열되는 것으로,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 탄소섬유발열선(710)이 위치되고 그 탄소섬유발열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플랙시블와이어(720)를 위치시켜 연질의 난연 수지, 난연 실리콘, 난연섬유 중 어느 하나 또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인서트부재(730)로 인서트 몰딩하여 된 납작한 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판과 마감재의 사이에는 마감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난방패널을 보호하고 방습성을 가지며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난연소재의 충격완충부재(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과 열확산판(300)은, 알루미늄, 동, 아연도금강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의 폭은 5cm 내지 20cm의 폭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의 "-"자형 연장부가 상호 맞대기 접촉되며 형성되는 요부(110a)의 폭은, 난방패널의 철부와 철부 사이에 형성되는 요부(110)의 폭보다 큰 폭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철부의 높이는, 요부에 띠 형태의 발열체를 새워 위치시켰을 때 상기 발열체의 높이와 준하거나 발열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와이어는, 굴곡성을 갖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를 합체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자형 연장부(130)의 폭은, 요부(1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 시스템.
  9. 삭제
KR1020210092406A 2021-07-14 2021-07-14 바닥난방 시스템 KR10232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06A KR102325109B1 (ko) 2021-07-14 2021-07-14 바닥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406A KR102325109B1 (ko) 2021-07-14 2021-07-14 바닥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109B1 true KR102325109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406A KR102325109B1 (ko) 2021-07-14 2021-07-14 바닥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1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00B1 (ko) * 2012-04-05 2013-10-15 상 혁 이 황토 방바닥의 난방장치
KR20140124140A (ko) * 2013-04-16 2014-10-24 홍성표 바닥 충격음 차단용 온수 온돌 및 그 시공방법
KR102266284B1 (ko) * 2019-12-18 2021-06-17 주식회사 방앤방 친환경 타일형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 구조
KR20210077605A (ko) 2019-12-17 2021-06-25 이호영 요철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00B1 (ko) * 2012-04-05 2013-10-15 상 혁 이 황토 방바닥의 난방장치
KR20140124140A (ko) * 2013-04-16 2014-10-24 홍성표 바닥 충격음 차단용 온수 온돌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77605A (ko) 2019-12-17 2021-06-25 이호영 요철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시스템
KR102266284B1 (ko) * 2019-12-18 2021-06-17 주식회사 방앤방 친환경 타일형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6092A (ko) 양면 호환이 가능한 난방용 바닥단열패널 및 그 바닥단열패널을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JP2010511851A (ja) 室内暖房用サイドパネル及び施工工程
JP2006336886A (ja) 複合式ヒータおよび該複合式ヒータを備えた暖房システム
KR20210077605A (ko) 요철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시스템
KR102325109B1 (ko) 바닥난방 시스템
US20080047946A1 (en) Heated floor board
CN102575855A (zh) 炕取暖板组装体
US8145047B2 (en) Self-regulating electric heating system
JP5411037B2 (ja) 鉄骨併用鉄筋コンクリート壁式構造建築物の断熱構造
JP4485844B2 (ja) 床暖房装置の施工方法
KR20210012106A (ko) 난방용 바닥재
JP6352569B1 (ja) 熱伝達パネル
KR20160110720A (ko)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CN213334600U (zh) 龙骨式地暖安装结构
NL8601351A (nl) Mineraalvezelproduct als isolatieplaat of isolatiebaan.
GB2321302A (en) Modular heat exchanger
CN215716898U (zh) 一种可装配式地面保温系统
CN105115019A (zh) 一种地暖结构体及其铺设方法
CN219121067U (zh) 复合隔热层及窑炉
KR101190668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KR20070019016A (ko) 원적외선 난방용 판넬
CN218523629U (zh) 一种辐射供热供冷用地面加热供冷管均热固定架
KR200325331Y1 (ko)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CN216428918U (zh) 一种装配式地暖保温板
KR200436713Y1 (ko) 전열선이 내장된 나무 마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