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083B1 -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083B1
KR102325083B1 KR1020200025715A KR20200025715A KR102325083B1 KR 102325083 B1 KR102325083 B1 KR 102325083B1 KR 1020200025715 A KR1020200025715 A KR 1020200025715A KR 20200025715 A KR20200025715 A KR 20200025715A KR 102325083 B1 KR102325083 B1 KR 10232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power
unit
switch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373A (ko
Inventor
신영설
Original Assignee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0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용 전등 스위치는,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2선식으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용 전등 스위치로서, 교류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전등이 온/오프 되게 하는 IoT전등스위칭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IoT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IoT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IoT 통신부; IoT 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입력부; IoT통신부로부터 수신된 IoT전등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IoT 전등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IoT전등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IoT 통신부로 전송하는 IoT스위치 제어부; IoT전등스위칭부가 온(ON)상태 일 때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을 입력으로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IoT통신부 및 IoT스위치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및 IoT전등스위칭부가 오프(OFF)상태 일 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IoT통신부 및 IoT스위치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Switch for Internet of Thing}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란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 예를 들어 사물, 사람, 장소, 프로세스 등 유/무형의 사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별 객체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물들(things)'이 '서로 연결된(Internet)' 것 혹은'사물들로 구성된 인터넷'을 말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들이 연결되어 구성된 인터넷이라 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사물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개별적인 사물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각종 사물에는 센서와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인터넷에 연결된다.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는 사물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IoT)를 돕는 기술로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NFC), 센서 데이터 등이 있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홈 구축이 빠르게 실현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조명이다. 조명 장치 그 자체, 스마트 스위치 또는 스마트 조명 소켓 등의 이름과 형태를 갖는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원활한 원격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하여, 상기 제품들은 조명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 없이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여야 한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위한 통신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전원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가정은 상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선 작업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배터리를 내장하거나 건전지를 교체하는 방식은 제품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켜 경량화와 소형화를 어렵게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00096호(2013.08.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작은 공간에서 소형화된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는 사물인터넷용 통신모듈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는,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2선식으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용 전등 스위치(IoT전등스위치)로서,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ON/OFF)에 의해 전등이 온/오프(ON/OFF) 되게 하는 IoT전등스위칭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ON/OFF)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IoT 통신부; 상기 IoT 전등스위칭부의 ON/OFF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입력부; 상기 IoT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IoT전등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IoT 전등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상기 IoT전등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IoT 통신부로 전송하는 IoT스위치 제어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가 온(ON)상태 일 때 상기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을 입력으로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IoT통신부 및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에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IoT전등스위칭부가 오프(OFF)상태 일 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IoT통신부 및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원공급부는 상기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 상기 IoT전등스위칭부, 상기 전등 및 상기 교류전원의 제2전원선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일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 및 상기 직렬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입력콘덴서로 구성되고, 상기 직렬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 양단의 전위차에 의해 소정의 교류전압 (교류입력전압)을 생성하는 입력전압생성부; 상기 교류입력전압을 증폭하는 변압기(Transformer); 상기 증폭된 교류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제1정류부; 및 상기 제1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생성하여 상기 IoT통신부 및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전원공급부는 상기 전등이 상기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전등과 병렬로 연결된 교류전원콘덴서; 상기 교류전원 콘덴서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IoT전등스위칭부가 OFF상태일 때 상기 교류전원 콘덴서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제한하며, 저항과 커패시터의 직렬회로로 구성되는 RC직렬회로부; 및 상기 RC직렬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정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IoT 전등스위칭부는 상기 교류전원을 ON/OFF 하는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의 ON/OFF를 구동하는 스위치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는 IoT스위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가 장착되는 파워보드; 상기 파워보드 상부에 장착되어 소켓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IoT전등스위칭부, 상기 IoT제어부 및 상기 IoT통신부가 장착되는 제어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 상부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입력전압생성부는 3개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전위차 생성부 2개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위차생성부는 서로 연결 극성을 달리하여 일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입력전압생성부를 구성하는 변압기는 1 : 5 턴비(turn ratio)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에 의하면, 협소한 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소형화된 모듈로서 누설전원을 이용하여 고전류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사물인터넷용 통신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서 추가적인 배선 작업이나 배터리 설치 작업 없이도 전자식 스위치 구조 및 IoT를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등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1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1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2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2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IoT 스위칭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릴레이스위치가 3개인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스위칭구동부가 3개인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파워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어보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는 교류전원(170)을 입력으로 하여 2선식으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용 전등 스위치(이하, IoT전등스위치라 한다)로서, IoT전등 스위칭부(110), IoT 통신부(120), 터치입력부(130), IoT스위치 제어부(140), 제1전원공급부(150) 및 제2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oT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IoT전등스위칭부(110)의 온/오프(ON/OFF)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터치입력부(130)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IoT전등스위칭부(110)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원격제어부(190)로 전송한다.
터치입력부(130)는 IoT 전등스위칭부(110)의 ON/OFF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받아들인다.
IoT스위치 제어부(140)는 IoT통신부(120)로부터 수신된 IoT전등 스위칭부(110)의 온/오프 제어명령 또는 터치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IoT 전등스위칭부(110)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IoT전등스위칭부(110)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IoT 통신부(120)로 전송한다.
제1전원공급부(150)는 IoT전등스위칭부(110)가 온(ON)상태 일 때 교류전원(170)의 제1전원선을 입력으로 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IoT통신부(120) 및 IoT스위치 제어부(140)에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1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1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전원공급부(150)는 입력전압생성부(210), 변압기(Transformer, 220), 제1정류부(230) 및 정전압공급부(240)를 포함한다. 입력전압생성부(210)는 교류전원(170)의 제1전원선, IoT전등스위칭부(110), 전등(180) 및 교류전원의 제2전원선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일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IoT전등스위칭부(110)에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D1~D3, D4~D6) 및 직렬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D1~D3, D4~D6)와 병렬로 연결된 입력콘덴서(C1)로 구성된다. 입력전압생성부(210)는 직렬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D1~D3, D4~D6) 양단의 전위차에 의해 소정의 교류전압(교류입력전압)을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원공급부(150)의 입력전압생성부(210)는 3개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전위차 생성부(212, 214) 2개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위차생성부(212, 214)는 서로 연결 극성을 달리하여 일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110)에 연결된다. 전위차 생성부(212, 214)는 3개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략 2.1V의 전위차를 생성한다.
변압기(Transformer, 220)는 입력전압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교류입력전압을 증폭한다. 변압기(220)의 1차권선(N1)과 2차권선(N2)의 비가 1 : 5 를 가질 수 있다. 변압기(220)의 입력전압이 2.1V 이고, 권선비가 1:5 이면 변압기(220)의 출력전압은 10.5V의 전압이 유기된다.
제1정류부(230)는 상기 증폭된 교류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브리지 다이오드(BD1)으로 구성된다. 정전압공급부(240)는 제1정류부(23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생성하여 IoT통신부(120) 및 IoT스위치 제어부(140)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제너다이오드(ZD)와 콘덴서(C2)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전원공급부(160)는 IoT전등스위칭부(110)가 오프(OFF)상태 일 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IoT통신부(120) 및 IoT스위치 제어부(14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2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2전원공급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2전원공급부(160)는 교류전원콘덴서(410), RC직렬 회로부(420), 및 제2정류부(430)를 포함하고, RC병렬회로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교류전원콘덴서(410)는 전등(180)이 교류전원(170)의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전등(180)과 병렬로 연결된다. RC직렬회로부(420)는 교류전원콘덴서(410)와 직렬로 연결되며, IoT전등스위칭부(110)가 OFF상태일 때 교류전원콘덴서(41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제한하며, 저항(R1)과 커패시터(C4)의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제2정류부(430)는 RC직렬회로부(42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며, 브리지 다이오드(BD2)로 이루어지며, IoT통신부(120) 및 IoT스위치 제어부(14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RC병렬회로부(440)는 제2정류부(430)에서 출력되는 DC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스위치DC전원을 출력하며, 저항과 커패시터(C5)가 병렬(R2)로 연결된다.
IoT전등스위칭부(110)는 교류전원(170)의 온/오프(ON/OFF)에 의해 전등(180)이 온/오프(ON/OFF) 되게 하며, IoT전등스위칭부(110)는 릴레이스위치(610) 및 스위치구동부(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IoT 스위칭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일 예를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릴레이스위치(610)는 상기 교류전원을 ON/OFF 하며, 바람직하게는 래치 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구동부(620)는 IOT스위치제어부(140)로부터 스위치ON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릴레이 스위치(610)를 ON(set)이 되도록 구동하고, IOT스위치제어부(140)로부터 스위치OFF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릴레이 스위치(610)를 OFF(reset)이 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도 7은 3개의 전등을 각각 ON/OFF 하는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가 3개 있을 때 IoT 전등 스위칭부의 릴레이스위치가 3개(710, 720, 730)인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3개의 릴레이스위치(710, 720, 730)를 ON/OFF 구동하하는 스위치구동부가 3개인 경우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위치 ON 제어신호 구동부(810) 및 스위치 OFF 제어신호 구동부(820)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는 IoT 전등스위칭부(110)가 온(ON) 상태일 경우에는 제1전원공급부(150)가 IoT 스위치 제어부(140) 및 IoT 통신부(120)에 DC전원을 공급하고, IoT 전등스위칭부(110)가 오프(OFF) 상태일 경우에는 제2전원공급부(160)가 IoT 스위치 제어부(140) 및 IoT 통신부(120)에 DC전원을 공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는 IoT 스위치 케이스(910), 파워보드(920), 제어보드(930), 제어보드지지대(940), 터치패드(950), 접착부(960), 판넬(970) 및 플레이트(9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oT 스위치 케이스(910)는 IoT스위치 모듈(920~970)을 수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파워보드(92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파워보드(920)는 상기 IoT 스위치 케이스(910)에 수납되며, 도 1의 제1전원공급부(150) 및 제2전원공급부(160)가 장착된다. 파워보드 윗면(920a)에는 제1전원공급부(150)의 6개의 다이오드(D1~D6, 1010) 및 입력콘덴서(C1, 1020)이 실장되고, 제어보드(930)과 연결되는 암커넥터(female connector, 1030)이 위치한다. 파워보드 밑면(920b)에는 제1전원공급부(150)의 변압기(Trans, 220, 1040), 정전압공급부(240)를 구성하는 전해콘덴서(C2, 1050), 제2전원공급부(160)의 RC병렬회로부(440)를 구성하는 전해콘덴서(C5, 1060), RC직렬회로부(420)를 구성하는 전해콘덴서(C4, 1070), IoT 전등 스위칭부(110)의 릴레이(RELAY, 1080) 및 접속단자(1090)가 실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용 전등 스위치의 제어보드(9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보드(930)는 IoT 스위칭제어부(140) 및 IoT 통신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보드 윗면(930a)에는 IoT 스위칭제어부(MCU, 140, 1110), IoT 통신부(120, 1120), 부저(1130) 및 리모콘 수신 IR단자(1140) 등이 실장된다. 제어보드 밑면(930a)에는 파워보드(920)와 연결되는 수커넥터(Male connector, 1160)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위치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부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1전원공급부(150)의 전위차생성부(212, 214)를 구성하는 다이오드는 3개의 직렬연결 다이오드(D1~D3, D4~D6)이고, 변압기(220)의 권선비는 1:5로 한정될 수 있다. 그리고 IoT전등스위칭부(110)의 릴레이스위치(610)는 래치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IoT전등스위칭부 120 : IoT 통신부
130 : 터치입력부 140 : IoT 스위치 제어부
150 : 제1전원공급부 160 : 제2전원공급부
170 : AC상용전원 180 : 전등
190 : 원격제어부 210 : 입력전압생성부
212 : 전위차생성부 214 : 전위차생성부
220 : 변압기 230 : 제1정류부
240 : 정전압공급부 410 : 교류전원 콘덴서
420 : RC직렬회로부 430 : 제2정류부
440 : RC병렬회로부 610 : 릴레이 스위치
620 : 스위치구동부 710, 720, 730 : 릴레이 스위치
810 : 스위치 ON 제어신호 구동부
820 : 스위치 OFF 제어신호 구동부
910 : IoT 스위치 케이스 920 : 파워보드
920a : 파워보드 윗면 920b : 파워보드 밑면
930 : 제어보드 930a : 제어보드 윗면
940 : 제어보드 밑면 940 : 제어보드 지지대
950 : 터치패드 960 : 접착부
970 : 판넬 980 : 플레이트
1010 : 다이오드(D1~D6) 1020 : 입력콘덴서(C1)
1030 : 암커넥터(female connector) 1040 : 변압기(Trans)
1050 : 전해콘덴서(C2) 1060 : 전해콘덴서(C5)
1070 : 전해콘덴서(C4) 1080 : 릴레이(RELAY)
1090 : 접속단자 1110 : IoT 스위칭제어부(MCU)
1120 : IoT 통신부 1130 : 부저
1140 : 리모콘 수신 IR단자 1160 : 수커넥터(Male connector)

Claims (5)

  1.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2선식으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용 전등 스위치(IoT전등스위치)로서,
    상기 교류전원의 온/오프(ON/OFF)에 의해 전등이 온/오프(ON/OFF) 되게 하는 IoT전등스위칭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ON/OFF)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IoT 통신부;
    상기 IoT 전등스위칭부의 ON/OFF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입력부;
    상기 IoT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IoT전등 스위칭부의 온/오프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IoT 전등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한 상기 IoT전등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IoT 통신부로 전송하는 IoT스위치 제어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가 온(ON)상태 일 때 상기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을 입력으로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IoT통신부 및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에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IoT전등스위칭부가 오프(OFF)상태 일 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IoT통신부 및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IoT스위치 케이스;
    상기 Iot 스위치 케이스에 수납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가 장착되는 파워보드;
    상기 파워보드 상부에 장착되어 소켓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IoT전등스위칭부,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 및 상기 IoT통신부가 장착되는 제어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 상부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입력전압생성부는 3개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전위차 생성부 2개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위차생성부는 서로 연결 극성을 달리하여 일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입력전압생성부를 구성하는 변압기는 1 : 5 턴비(turn ratio)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부는
    상기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 상기 IoT전등스위칭부, 상기 전등 및 상기 교류전원의 제2전원선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일단은 상기 제1전원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IoT전등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직렬 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 및 상기 직렬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입력콘덴서로 구성되고, 상기 직렬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 양단의 전위차에 의해 소정의 교류전압 (교류입력전압)을 생성하는 입력전압생성부;
    상기 교류입력전압을 증폭하는 변압기(Transformer);
    상기 증폭된 교류입력전압을 정류하는 제1정류부; 및
    상기 제1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생성하여 상기 IoT통신부 및 상기 IoT스위치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부는
    상기 전등이 상기 교류전원의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전등과 병렬로 연결된 교류전원콘덴서;
    상기 교류전원 콘덴서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IoT전등스위칭부가 OFF상태일 때 상기 교류전원 콘덴서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제한하며, 저항과 커패시터의 직렬회로로 구성되는 RC직렬회로부; 및
    상기 RC직렬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정류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전등스위칭부는
    상기 교류전원을 ON/OFF 하는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의 ON/OFF를 구동하는 스위치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5. 삭제
KR1020200025715A 2020-03-02 2020-03-02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KR10232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15A KR102325083B1 (ko) 2020-03-02 2020-03-02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15A KR102325083B1 (ko) 2020-03-02 2020-03-02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73A KR20210111373A (ko) 2021-09-13
KR102325083B1 true KR102325083B1 (ko) 2021-11-12

Family

ID=7779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15A KR102325083B1 (ko) 2020-03-02 2020-03-02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090B1 (ko) 2021-11-02 2024-04-26 김원호 하이브리드 스위치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96B1 (ko) 2006-11-10 2013-08-30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공정챔버의 가스 공급 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2014089B1 (ko) * 2017-04-20 2019-08-26 비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전등 스위치의 IoT 구현을 위한 DC 전원공급시스템
KR20200002712A (ko) * 2019-08-26 2020-01-08 여운남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IoT 조명 스위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73A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4533B (zh) 用于发光装置的驱动器系统
CN101796703B (zh) 智能设备和功率源交互
CN100359750C (zh) 由电器主机电源供电的备用电池座
TWI454026B (zh) 電源供應器
US9774217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powering a batteryless device
JP2015213081A (ja) 照明システム
KR102325083B1 (ko) 사물인터넷(IoT)용 전등 스위치
KR101594699B1 (ko) 교류 전력선 통신 장치
GB2388454A (en) Wireless remote-control light adjuster
EP2579691B1 (en) Intelligent switch modu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10070494B1 (en) Dimming switch device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operation events thereof
CN108966407B (zh) 驱动系统
KR20200079719A (ko) 전자식 전등스위치의 전원공급장치
US11480324B2 (en) Controllable modular luminaire driver
US20190019486A1 (en) Doorbell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for
TW201808055A (zh) 照明系統及其燈源模組
CN203416452U (zh) Led灯具及存储卡
CN208029152U (zh) 用于led灯调光的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11049384A (zh) 用于控制面板的低功耗电力转换电路
TWI577364B (zh) 應用於電動裝置之控制系統及其控制方法
KR200339774Y1 (ko) 적외선 방식의 원격 전원개폐장치
CN211557583U (zh) 调光电源及调光电源监控装置
KR100806830B1 (ko) 스위칭 장치
US10353372B2 (en) Modularized electric combination device
CN212374640U (zh) 手机无接触乘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