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83B1 -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183B1
KR102324183B1 KR1020210094162A KR20210094162A KR102324183B1 KR 102324183 B1 KR102324183 B1 KR 102324183B1 KR 1020210094162 A KR1020210094162 A KR 1020210094162A KR 20210094162 A KR20210094162 A KR 20210094162A KR 102324183 B1 KR102324183 B1 KR 10232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trehalose
erythritol
fruct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다정
강지훈
이청희
Original Assignee
엘앤피코스메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피코스메틱(주) filed Critical 엘앤피코스메틱(주)
Priority to KR102021009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Hai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sugar alcohol}
본 발명은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발에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 형성할 수 있으며, 스타일링 유지, 볼륨감 등의 우수한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천연물질을 코팅물질로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웰빙에 대한 요구 또한 충족시킬 수 있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신체의 털을 말하는 것으로, 일부 부위를 제외한 피부의 대부분에 존재한다. 모발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지며, 신체를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모를 돋보이게 하는데도 큰 역할을 한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모발(특히 두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 요인과 스트레스 등으로 젊은 연령도 탈모가 생기는 등 가늘고 탄력없는 모발이 고민인 소비자들은 볼륨감있고 생기있는 모발을 원하며, 펌을 한 소비자가 컬을 유지하거나, 짧은 헤어를 스타일링할 때 왁스 등 고정제를 사용하여 모발을 정돈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발을 코팅하여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효과와 미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제품들이 개발된 바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많아 보다 효과적인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또한 대부분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제품들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모발의 풍부한 볼륨감을 원하는 최근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19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에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우수한 모발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코팅물질로 합성 화합물이 아닌 천연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방지 및 웰빙에 대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특히 모발의 풍부한 볼륨감을 원하는 최근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가 1 : 1.5 내지 1 :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가 1 : 0.7 내지 1 :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이 4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3 : 1.5 내지 3 :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모발에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 형성할 수 있으며, 스타일링 유지, 볼륨감 등의 우수한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천연물질인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코팅물질로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웰빙에 대한 요구 또한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 합성물질의 사용에 따른 플레이크 현상을 개선 할 수 있으며, 소프트한 코팅으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제품 구매 시 고려요인 중 볼륨효과를 기대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이 모발에 코팅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가 포함되지 않은 조성물(대조군)과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가 포함된 조성물(1-1, 1-2 및 1-3)의 모발 코팅 효과, 그리고 에리스리톨과 트레할로오스의 비율 차이에 따른 모발 코팅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1,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가 1 : 1인 조성물; 1-2,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가 2 : 1인 조성물; 1-3,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가 1 : 2인 조성물.
도 4는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프룩탄과 덱스트란의 비율 차이에 따른 모발 코팅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2-1,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가 1 : 1인 조성물; 2-2,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가 2 : 1인 조성물; 2-3,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가 1 : 2인 조성물.
도 5는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의 전체 함량의 차이 및 이들 성분 사이의 비율 차이에 따른 모발 코팅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3-1, 4가지 성분을 합한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의 12%이며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1 : 1인 조성물; 3-2, 4가지 성분을 합한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의 5%이며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3 : 2인 조성물; 3-3, 4가지 성분을 합한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의 10%이며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3 : 2인 조성물.
도 6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조성물(4-1)과 합성 필름 형성제인 PVP(polyvinylpyrrolidone)를 포함하는 조성물(4-2)의 모발 코팅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조성물(4-1)의 사용 전후 모발 스타일링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조성물(4-1)과 PVP 함유 제품의 사용에 따른 모발 뭉침 현상 및 밀림 현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과일의 건조속도를 늦추기 위해 과일을 당류 용액에 침지한 후 건조하여 코팅된 과일을 제조하는 기술, 제약 쪽에서는 약이 입에 들어갔을 때 쓴맛을 감추거나 불쾌한 냄새를 없애기 위해 당류로 코팅하여 타블렛을 제조하는 제형 기술을 모발 관련 조성물에 접목시킨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은 모발을 코팅하는 코팅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에리스리톨(erythritol)은 천연 당알코올로서 포도당이 발효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과일이나 발효식품에 함유되어 있다. 분자식 C4H10O4로 표현되며 분자량은 122.12이다.
트레할로오스(trehalose)는 2분자의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이당류로서 일부 세균, 균류, 식물 등이 이를 에너지원으로 합성한다. 분자식 C12H22O11로 표현되며 분자량은 342.31이다.
프룩탄(fructan)은 D-프룩토오스의 중합에 의해 생긴 다당류로서 식물의 뿌리, 곡물 등에 포함되어 있다. 이눌린형과 레반형이 있으며, 이눌린형 프룩탄은 과당의 결합 구성이 beta-2,1 결합으로 구성된 반면, 레반형은 beta-2,6 결합이 공존하기 때문에 이눌린형 프룩탄이 레반형 프룩탄에 비해 분자량이 작으며, 분자량은 프룩토오스 사슬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분자량은 2,200 내지 17,000이고, 본 발명에 적합한 프룩탄의 분자량은 3,000 내지 5,000이다.
덱스트란(dextran)은 D-글루코스의 중합에 의해 생긴 다당류로서 세균(예를 들어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발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분자식 H(C6H10O5)xOH로 표현되며 천연 상태에서 분자량은 400만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작은 에리스리톨과 트레할로오스는 모발의 손상된 부분에 주로 침착되어 이후 건조를 통해 이 부분의 코팅층 형성을 담당하고,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큰 프룩탄과 덱스트란은 모발의 전체적인 부분에 침착되어 이후 건조를 통해 모발의 전체적인 코팅층 형성을 담당할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함유된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가 1 : 1.5 내지 1 : 3이다. 이러한 비율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플레이크(flake)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에리스리톨과 트레할로오스가 모발에 침착된 다음 건조를 통해 이들이 연결될 때 상기 비율로 인해 직쇄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함유된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는 1 : 1.7 내지 1 : 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9 내지 1 : 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함유된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가 1 : 0.7 내지 1 : 1.3이다. 이러한 비율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플레이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이들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함유된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는 1 : 0.8 내지 1 :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9 내지 1 : 1.1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이 4 내지 10%이다. 이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플레이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이들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비율은 조성물의 제조 용이성 및 사용성의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시된 최대 비율보다 높은 비율을 사용할 경우 당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당류의 용해가 어렵기 때문에 제조 용이성 및 사용시 끈적임으로 인해 사용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함유된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3 : 1.5 내지 3 : 2.5이다. 이러한 비율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이며 매끄러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플레이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이들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함유된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은 3 : 1.7 내지 3 : 2.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9 내지 3 : 2.1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에리스리톨을 0.8 내지 2중량%, 트레할로오스를 1.6 내지 4중량%, 프룩탄을 0.8 내지 2중량% 및 덱스트란을 0.8 내지 2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 이외에 희석제를 비롯하여 다른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예를 들어 모발용 화장품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함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글리세린, EDTA 2나트륨,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세테아레스-20, 세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카놀, 향료, 1,2-헥산다이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을 0.1 내지 1중량%로, 글리세린을 5 내지 15중량%로, EDTA 2나트륨을 0.01 내지 0.1중량%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를 0.5 내지 3.0중량%로, 세테아레스-20을 1 내지 5중량%로, 세테아릴 알코올을 1.0 내지 5.0중량%로, 옥틸도데카놀을 2 내지 10중량%로, 향료를 0.1 내지 1.0중량%로, 1,2-헥산다이올을 0.5 내지 2.0중량%로,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01 내지 0.1중량%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여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글리세린, EDTA 2나트륨,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세테아레스-20, 세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카놀, 향료, 1,2-헥산다이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한 나머지가 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발을 포함하여 두발 이외의 체모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발에 적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 사용에 따른 효과 및 에리스리톨과 트레할로오스의 비율 차이에 따른 효과 평가
사전 실험으로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포함시켜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대조군 조성물
1-1 1-2 1-3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0 0.30 0.30 0.30
글리세린 7.00 7.00 7.00 7.00
EDTA 2나트륨 0.03 0.03 0.03 0.03
에리스리톨 - 1.00 2.00 1.00
트레할로오스 - 1.00 1.00 2.00
프룩탄 - - - -
덱스트란 - - -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00 1.00 1.00 1.00
세테아레스-20 1.50 1.50 1.50 1.50
세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옥틸도데카놀 5.00 5.00 5.00 5.00
항료 0.20 0.20 0.20 0.20
1,2-헥산다이올 0.80 0.80 0.80 0.80
에틸헥실글리세린 0.02 0.02 0.02 0.02
(단위: g)
제조한 각 조성물을 소량 덜어 모발에 전체적으로 도포하고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스타일링한 다음 모발의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조성물의 모발 코팅 효과를 확인하였다.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하지 않은 조성물(대조군)과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한 조성물(조성물 1-1 내지 1-3)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도 3과 같이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하지 않은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모발에 안정적인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레할로오스와 에리스리톨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성물(조성물 1-1 내지 1-3)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도 3과 같이 에리스리톨과 트레할로오스가 1 : 2의 중량비인 경우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프룩탄과과 덱스트란의 첨가 및 이들의 비율 차이에 따른 효과 평가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에 더해,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시켜 다음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1과 같은 방법으로 모발 코팅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분 조성물
2-1 2-2 2-3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0 0.30 0.30
글리세린 7.00 7.00 7.00
EDTA 2나트륨 0.03 0.03 0.03
에리스리톨 1.00 1.00 1.00
트레할로오스 2.00 2.00 2.00
프룩탄 1.00 2.00 1.00
덱스트란 1.00 1.00 2.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00 1.00 1.00
세테아레스-20 1.50 1.50 1.50
세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옥틸도데카놀 5.00 5.00 5.00
항료 0.20 0.20 0.20
1,2-헥산다이올 0.80 0.80 0.80
에틸헥실글리세린 0.02 0.02 0.02
(단위: g)
프룩탄과 덱스트란을 사용하지 않고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 만을 사용한 경우(도 3)에 비해,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모두 사용한 경우(도 4) 보다 안정적인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룩탄과 덱스트란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성물(조성물 2-1 내지 2-3)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도 4와 같이 프룩탄과 덱스트란이 1 : 1의 중량비인 경우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덱스트란의 비율이 증가한 경우 약간의 플레이크(flake)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의 전체 함량 및 비율 차이에 따른 효과 평가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시켜 다음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1과 같은 방법으로 모발 코팅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분 조성물
3-1 3-2 3-3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0 0.30 0.30
글리세린 7.00 7.00 7.00
EDTA 2나트륨 0.03 0.03 0.03
에리스리톨 2.00 1.00 2.00
트레할로오스 4.00 2.00 4.00
프룩탄 3.00 1.00 2.00
덱스트란 3.00 1.00 2.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00 1.00 1.00
세테아레스-20 1.50 1.50 1.50
세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옥틸도데카놀 5.00 5.00 5.00
항료 0.20 0.20 0.20
1,2-헥산다이올 0.80 0.80 0.80
에틸헥실글리세린 0.02 0.02 0.02
(단위: g)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의 전체적인 첨가량 및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성물(조성물 3-1 내지 3-3)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도 5와 같이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의 전체적인 첨가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를 초과하고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1 : 1인 경우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의 전체적인 첨가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이하이고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3 : 2인 경우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는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합성 필름형성제를 사용한 조성물과의 비교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시키거나 합성 필름형성제인 PVP(polyvinylpyrrolidone) 을 포함시켜 다음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모발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1과 같은 방법으로 모발 코팅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분 조성물
4-1 4-2
up to
100
up to
1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0 0.30
글리세린 7.00 7.00
EDTA 2나트륨 0.03 0.03
에리스리톨 1.00 -
트레할로오스 2.00 -
프룩탄 1.00 -
덱스트란 1.00 -
PVP - 3.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00 1.00
세테아레스-20 1.50 1.50
세테아릴 알코올 2.00 2.00
옥틸도데카놀 5.00 5.00
항료 0.20 0.20
1,2-헥산다이올 0.80 0.80
에틸헥실글리세린 0.02 0.02
(단위: g)
이의 결과, 도 6과 같이 합성 필름형성제인 PVP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의 경우 플레이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의 경우 코팅 표면이 매끄럽게 안정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크도 발생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모발 스타일링 효과 평가
상기 조성물 4-1의 사용 전 및 후의 모발 스타일링 효과와 PVP 함유 제품과 비교한 모발 뭉침 현상 및 제형 밀림 현상을 평가하였다.
조성물 4-1을 소량 덜어 모발에 전체적으로 도포하고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스타일링한 다음 모발 정돈성, 볼륨감 및 뭉침 현상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PVP 함유 제품을 같은 방식으로 사용한 다음 모발의 뭉침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제형을 도포하였을 때 때처럼 뭉치는 현상 또한 확인하였다.
이의 결과 도 7 및 8과 같이 조성물 4-1은 모발의 컬링 효과와 볼륨감 형성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발의 뭉침 현상과 밀림 현상 또한 PVP 함유 제품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포함하며, 에리스리톨 : 트레할로오스의 중량비가 1 : 1.5 내지 1 : 3인, 모발 코팅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프룩탄 : 덱스트란의 중량비가 1 : 0.7 내지 1 : 1.3인, 모발 코팅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이 4 내지 10%인, 모발 코팅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에리스리톨 및 트레할로오스를 합한 중량 : 프룩탄 및 덱스트란을 합한 중량의 비율이 3 : 1.5 내지 3 : 2.5인, 모발 코팅용 조성물.
KR1020210094162A 2021-07-19 2021-07-19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KR10232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62A KR102324183B1 (ko) 2021-07-19 2021-07-19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62A KR102324183B1 (ko) 2021-07-19 2021-07-19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83B1 true KR102324183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162A KR102324183B1 (ko) 2021-07-19 2021-07-19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1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35B1 (ko) 2004-10-22 2007-01-19 선바이오(주)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코팅용 조성물
JP2021024807A (ja) * 2019-08-05 2021-02-22 日本精化株式会社 毛髪空洞修復剤、及び、これを用いた毛髪空洞修復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35B1 (ko) 2004-10-22 2007-01-19 선바이오(주)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코팅용 조성물
JP2021024807A (ja) * 2019-08-05 2021-02-22 日本精化株式会社 毛髪空洞修復剤、及び、これを用いた毛髪空洞修復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7728T2 (de) Kosmetiche Zusammensetzung, die stabilisierte, gegebenenfalls umhüllte Metallpartikel enthält
EP1878423A2 (de) Haarstylingzubereitungen mit besonderen Proteinhydrolysaten
DE102019201729A1 (de) Natural Hairstyling Gel
KR100673768B1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T391619B (de) Haarlege- und -festigungsmittel
KR102324183B1 (ko)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
FR3090341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corps gras, un polymere peg, un diol et un polysaccharide
US20100215607A1 (en) Cosmetic Composition
EP1366751A1 (fr) Dispositif aérosol à deux compartiments comprenant une composition aqueuse de coiffage et procédé de coiffage
JP2627706B2 (ja) 整髪料組成物
KR101650389B1 (ko) 지속력이 향상된 정발제 조성물
JP4136965B2 (ja) 毛髪化粧料
JPS61186306A (ja) 化粧料組成物
DE602004007727T2 (de) Kosmetisches Mittel enthaltend Teilchen mit Kern-Schale-Struktur
JP2003533433A (ja) 被膜形成ポリマーを含む良好な保持特性を有する毛髪用化粧品組成物
KR101314965B1 (ko) 파우더 타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EP4072506A1 (de) Mikroplastikfreie zusammensetzung
EP2651518B1 (en) Oral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DE102014225442A1 (de) Mittel und Verfahren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EP1537850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apillaire à base de trimellitate de tridécycle et d'isoeicosane
DE102017205556A1 (de) Sprühbares kosmetisches Mittel
FR3057164A1 (fr) Melanges de principes actifs pour agent de mise en forme
JP7406298B2 (ja) 頭皮毛髪化粧料
EP1488779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apillaire à base de trimellitate de tridécycle et de polymère fixant
KR101127948B1 (ko) 헤어 롤 메이커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