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12B1 -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 Google Patents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112B1
KR102324112B1 KR1020200150193A KR20200150193A KR102324112B1 KR 102324112 B1 KR102324112 B1 KR 102324112B1 KR 1020200150193 A KR1020200150193 A KR 1020200150193A KR 20200150193 A KR20200150193 A KR 20200150193A KR 102324112 B1 KR102324112 B1 KR 10232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material
salt damage
salt
concrete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혁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허브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허브콘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12B1/ko
Priority to CN202180022385.XA priority patent/CN115427371A/zh
Priority to PCT/KR2021/004758 priority patent/WO202210288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01Living organisms, e.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4Sea wate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4Underwater applic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해양환경에서 염해(Cl-)에 의한 화학적 열화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재료로서 기존 유기계 재료를 배제한 신개념의 생태학적 염해 저항 보수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EVA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결합재, 폴리에틸렌 섬유 및 잔골재를 포함하는 염해 저항 보수재;와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가 고정된 다공질 구조의 캐리어;가 혼합된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Halophilic slime forming bacterium base section repair material}
본 발명은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에 관한 것이다.
염해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열화 및 철근 부식 등의 이유로 그 내구연한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선박정박시설, 방파제 및 해상 플랜트 등은 염해에 대응한 보수·보강 공사의 급속한 시공 및 경화가 빠른 재료를 요구한다.
염해에 의한 열화를 받는 해양 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재료로서 활용되는 에폭시계, 비닐에스테르계, 아크릴고무계 등의 유기계 재료(도료)들은 초기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강도는 우수하지만, 열팽창계수나 건조, 수축 등으로 발생하는 변형 특성이 콘크리트와 상이하여 장기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계면에서 탄성 피막의 탈락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염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수 시공 대상면인 콘크리트 모체 표면에서의 완벽한 표면 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 콘크리트와의 접착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며, 바탕 콘크리트의 수분 상태에 의해서도 접착강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보수 시공 대상인 해양 구조물의 경우 해수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 및 해양생물 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파울링을 말끔히 제거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함에 따라 유기계 코팅재 시공 시 부분적인 들뜸 및 채움 불량 등의 현상으로 쉽게 탈락·박리될 수 있다. 또한 유기계 재료의 경우 도료의 형태로서 각각 성능이 다른 도료를 사용하여 상도, 중도 및 하도의 3단계로 도막을 실시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3단계 도료 중 어느 한 단계의 도막에 하자가 발생하면, 전체 성능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인 내구성능 확보에 매우 불리하다. 이와 함께 유기계 코팅재는 환경오염 및 유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용 원료 및 제조 공정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어 중금속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포함하지 않은 친환경 코팅재가 개발되고 있지만 고도화 기술 재료 사용에 따른 재료비 상승 및 시공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무기계 재료를 사용한 해양 구조물 보수의 경우에는 유기계 재료와 달리 보수 대상 구조물인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성의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염분 제거제, 구체 강화제 등의 화학적 첨가제의 시공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수 시공면은 여전히 염해에 의한 열화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존 염해 보수를 위한 무기재료에서 열화저항성 향상의 기능성 부여를 위한 재료의 사용은 다소 한정적이기 때문에 빈번한 재시공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한다.
[선행특허문헌]
- 한국 등록특허 제1779935호(2017.09.13.)
- 한국 등록특허 제1355392호(2014.01.20.)
본 발명은 해양환경에서 염해(Cl-)에 의한 화학적 열화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재료로서 기존 유기계 재료를 배제한 신개념의 생태학적 염해 저항 보수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EVA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결합재, 폴리에틸렌 섬유 및 잔골재를 포함하는 염해 저항 보수재;와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가 고정된 다공질 구조의 캐리어;가 혼합된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해 저항 보수재는 상기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90 내지 95 중량%, 상기 EVA계 폴리머를 5 내지 10 중량%,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를 상기 보수재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0.3 부피부 포함하고, 상기 잔골재는 평균 입경이 0.25 내지 0.7 mm인 규사로서, 잔골재-결합재비(sand to binder ratio, S/B)가 1.8 내지 2.2 중량비이고, 물-결합재비(water to binder ratio, W/B)가 28 내지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는 팽창질석이고, 상기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가 음압 조건에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는 할로모나스 베누스타(Halomonas venusta)이고, 상기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는 설피토박터 메디테라네우스(Sulfitobacter mediterran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염해 보호의 기능을 갖는 슬라임 및 염화화합물에서 염소 이온을 분해하는 호염 균주들을 기반으로 하는 생태학적 염해 저항 보수재로서, 염해(Cl-)에 의한 화학적 열화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콘크리트 염해에 의한 열화 제어 기능을 가진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의 생태학적 염해 열화 보호 효과에 의해 구조물의 유지관리 효율성이 향상되고, 흡수성 방지제, 프라이머 도포 등의 보수 공정 생략에 의한 공사원가 절감 및 공기 단축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염해의 화학적 열화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콘크리트 염해에 의한 열화 제어 기능을 가진 재료로서, 염해 저항 보수재 및 박테리아가 고정된 다공질 구조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개시한다.
상기 염해 저항 보수재('Herb-con C'라 명명함)는 박테리아 생장 및 접착강도 등을 고려하여 개발된 혼합물로서,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EVA(Ethylene Vinyl Acetate)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결합재, 폴리에틸렌 섬유 및 잔골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재 조성은 상기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가 90 내지 95 중량%이고, EVA계 폴리머 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콘크리트 염해에 의한 열화 제어 기능 구현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상기 염해 저항 보수재에 강도 및 강성 강화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평균 직경이 5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인 폴리에틸렌 섬유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의 함량은 상기 보수재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0.3 부피부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콘크리트 염해에 의한 열화 제어 기능이 향상된 상태에서 보수재의 강도 및 강성 강화 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잔골재로는 평균 입경이 0.25 내지 0.7 mm인 규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잔골재 함량은 잔골재-결합재비(sand to binder ratio, S/B)가 1.8 내지 2.2 중량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콘크리트 염해에 의한 열화 제어 기능 구현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물-결합재비(water to binder ratio, W/B)는 28 내지 35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염소화합물에서 염소 이온 분해 능력을 갖는 호염 균주로서 상기 보수재와 혼합되어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염해 보호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선별하였다.
콘크리트의 염해에 의한 열화 메커니즘은 염소 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 및 확산되면서 염소 이온(Cl-)이 해수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시멘트 수화물인 Ca(OH)2와 결합하여 CaCl2가 형성되는데, CaCl2는 가용성의 다공성 화합물로 해수에 용해되어 콘크리트의 공극을 증가시켜 내구성 감소(염화 부식)의 원인이 된다. 해수 중 염소 이온에 의해 형성된 CaCl2 화합물은 다시 모노설페이트와 반응하여 프리델염 및 클로로페라이트 수화물로 결합되는데, 콘크리트의 탄산화와 함께 pH가 낮아지면 프리델염이 분해되어 콘크리트 내부 공극 중의 염화물 이온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다시 CaCl2 화합물 형성을 가속화 시켜 악순환적인 염해침식 기구가 형성된다. 더불어 콘크리트 내부 공극 중의 염화물 이온이 증가하게 되면 철근은 염화물과 결합하여 FeCl2가 생성되고, 이는 물과 반응함으로써 부식의 활성화 환경이 된다. 철근의 부식은 부피 팽창을 유발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의 확장과 박리를 유발함에 따라 내구성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다양한 호염 균주(해양 미생물)에 대해 염해에 의한 열화 제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염소 이온 분해 능력을 갖는 혐기성의 호염균인 할로모나스 베누스타(Halomonas venusta)가 해양환경에서 생장하며 염소 이온을 분해할 수 있는 효모를 배출하여 콘크리트의 염해 열화 및 내구성 저하의 유발 인자인 Cl 화합물(CaCl2 및 FeCl2)을 소모시키는 기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Strain Species
MH60115 Sulfitobacter mediterraneus
HY72501 Bacillus licheniformis
1GJ1_9 Tenacibaculum litoreum
G2M2_14 Phaeobacter italicus
1GJ1_2 Erythrobacter flavus
1GJ1_1 Kordiimonas gwangyangensis
3-561 Halomonas venusta
상기 균주들에 대한 분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시료 채취
전남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소재 완도항에서 해수와 홍합을 채취하고, 채취한 시료는 아이스박스에 보관하여 운반하였다.
(2) 미생물 분리 및 배양조건
채취한 홍합의 껍질 및 홍합살은 vortex 하여 미생물을 탈리시켰다. 해수 및 홍합으로부터 탈리된 미생물을 여과를 통해 여과지에 모은 후 vortex 하여 여과지로부터 미생물을 탈리시킨 후 3.5% NaCl 용액으로 10-4까지 연속 희석하고 배지(50% marine + 50% R2A agar (3.5% NaCl) pH 7.6)에 도말하여 30℃ 호기 조건으로 1주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나타난 colony는 특징적인 형태별로 순수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각 배양된 미생물을 16S rDNA 염기서열 분석법으로 분리하고 동정한 결과 각각 표 1의 공지된 미생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표면에서 호염 슬라임 형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다양한 호염 균주에 대해 해양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호염 슬라임 형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염분 농도가 3 내지 5 중량% 수준인 해수에서 생장 가능한 호염균으로서 설피토박터 메디테라네우스(Sulfitobacter mediterraneus)가 해당 환경에서 생장 및 증식을 통해 콘크리트 표면 점질의 슬라임 막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염소 이온 침투 및 확산에 저항하기 위한 보호막(Barrier)으로서 작용하는 기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박테리아가 형성하는 슬라임 막은 콘크리트 표면에서 염소 이온 침투 및 확산에 대한 차단막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극 증가 및 내구성 저하의 영향을 미치는 CaCl2 화합물 및 FeCl2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는 다공질 구조의 캐리어('Healing+ C'라 명명함) 에 고정된다.
염해 열화된 콘크리트의 보수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발굴된 박테리아와 이의 생장증식을 위한 배양액을 포함하는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는 Yeast extract, Ferric citrate 등을 포함하는 배지에 접종되어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환경의 인큐베이터에서 108 내지 1010 cell/㎖의 농도로 배양된 염소 분해능 호염 박테리아 및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배양액을 무수한 기공의 다공질의 구조를 갖는 재료에 고정한 캐리어이며, 이러한 재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해양환경에서의 콘크리트 염해 보호의 기능을 고려할 때 팽창질석이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기 염소이온 분해 박테리아로서 할로모나스 베누스타(Halomonas venusta)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로서 설피토박터 메디테라네우스(Sulfitobacter mediterraneus)의 생장증식에 효과적인 배지 조성(Distilled water up to 1 ℓ 기준)은 펩톤 3 내지 7 g, Yeast extract 0.5 내지 1.5 g, Ferric citrate 0.05 내지 0.2 g, Sodium chloride 17 내지 23 g, Magnesium chloride 3 내지 9 g, Magnesium sulfate 2 내지 5 g, Calcium chloride 1 내지 3 g, Pottasium chloride 0.3 내지 1 g, Sodium biarbonate 0.1 내지 0.5 g, Potassium bromide 0.05 내지 0.15 g, Strontium chloride 20 내지 50 mg, Boric acid 15 내지 30 mg, Sodium silicate 2 내지 6 mg, Sodium fluoride 1 내지 5 mg, Ammonium nitrate 1 내지 5 mg, Disodium phosphate 5 내지 15 mg일 수 있다.
상기 팽창질석에서 염해 열화 보호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박테리아 및 이의 배지는 염해 열화 환경(해양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서 자가 생장·증식하며, 콘크리트 열화 침식에 의한 보호체로서 작용한다. 고정화 재료로의 박테리아 배양액 고정은 멸균 음압 컨테이너에서 10 내지 30 torr, 10 내지 60분 조건으로 흡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박테리아 배양액의 고정화가 완료된 팽창질석은 박테리아 세포뿐만 아니라 다량의 수분과 배지 영양분을 포함하게 된다.
이상의 염해 저항 보수재 및 박테리아가 고정된 다공질 구조의 캐리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의 혼합은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의 첨가량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이때,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의 첨가량은 보수재 중 골재 부피의 10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표 2에는 생태학적 염해 저항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 1 ㎡ 시공 시 두께별 염해 저항 보수재 및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소요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구 분
(보수 두께)
염해 저항 보수재
재료 소요량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재료 소요량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혼합비율
T=10mm 13 kg/㎡ 0.4 kg/㎡ 염해 저항 보수재의 골재 부피 대비 10% 혼합
T=20mm 26 kg/㎡ 0.8 kg/㎡
T=30mm 39 kg/㎡ 1.2 kg/㎡
T=40mm 52 kg/㎡ 1.6 kg/㎡
T=50mm 65 kg/㎡ 2.0 kg/㎡
구 분
(보수 두께)
염해 저항 보수재
재료 소요량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재료 소요량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혼합비율
T=10mm 12 kg/㎡ 0.8 kg/㎡ 염해 저항 보수재의 골재 부피 대비 20% 혼합
T=20mm 24 kg/㎡ 1.6 kg/㎡
T=30mm 36 kg/㎡ 2.4 kg/㎡
T=40mm 48 kg/㎡ 3.2 kg/㎡
T=50mm 60 kg/㎡ 4.0 kg/㎡
구 분
(보수 두께)
염해 저항 보수재
재료 소요량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재료 소요량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혼합비율
T=10mm 10 kg/㎡ 1.4 kg/㎡ 염해 저항 보수재의 골재 부피 대비 35% 혼합
T=20mm 21 kg/㎡ 2.8 kg/㎡
T=30mm 32 kg/㎡ 4.2 kg/㎡
T=40mm 42 kg/㎡ 5.6 kg/㎡
T=50mm 53 kg/㎡ 7.0 kg/㎡
상기 표 2에서는 후술하는 시공 방법에 관계 없이 생태학적 염해 저항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 시공 시 두께별 염해 저항 보수재 및 호염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의 소요량을 나타낸 것이며, 시공 두께(T)는 10 내지 50 mm로 제시될 수 있고,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 혼합비율에 따라 염해 저항 보수재가 10 내지 65 kg/㎡, 호염 박테리아 기반 캐리어가 0.4 내지 7.0 kg/㎡ 일 수 있다.
생태학적 염해 저항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의 시공은 기계 스프레이 타설에 의해 시공될 수 있고, 이하,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재료 혼합 시 믹서, 핸드믹서 등을 이용하여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3 내지 5분 동안 혼합한다. 1단계 스프레이 작업은 하지면의 공극 제거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5 mm로 얇게 스프레이 시공한다. 2단계 스프레이는 1단계 두께를 포함하여 설계 두께의 90% 이내로 한다. 스프레이 시공 후 표면의 평탄 작업 시에는 연결 시공부위나 하지면과의 연결 부위 등에서 주의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가 92 중량% 및 EVA계 폴리머 8 중량% 조성으로 결합재를 준비하고, 폴리에틸렌 섬유(평균 직경 120 ㎛)를 전체 보수재 100 부피부에 대하여 0.2 부피부가 되도록 준비하고, 잔골재로서 규사(평균 입경 0.25 내지 0.7 mm)를 잔골재-결합재비(sand to binder ratio, S/B)가 2 중량비가 되도록 하고, 물-결합재비(water to binder ratio, W/B)가 28 내지 35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여 염해 저항 보수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염소이온 분해 박테리아로서 할로모나스 베누스타(Halomonas venusta)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로서 설피토박터 메디테라네우스(Sulfitobacter mediterraneus)를 동일 함량으로 하기 표 3의 조성의 배지에 접종 후 인큐베이터(30 내지 40℃)에서 109 cell/㎖의 농도가 되도록 7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내부 교반형 멸균 음압 컨테이너에 박테리아 배양액을 투입하고, 박테리아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함량의 팽창질석을 상기 배양액에 침지시킨 후 도어를 닫고, 10 내지 30 torr의 음압 환경이 되도록 밸브를 조절하고, 30분 동안 흡착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박테리아가 고정된 팽창질석을 회수하였다.
이후, 제조된 염해 저항 보수재의 골재 부피 대비 20% 혼합비율로 박테리아가 고정된 팽창질석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최종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를 제조하였다.
Source Amount
Peptone 5.0 g
Yeast extract 1.0 g
Ferric citrate 0.1 g
Sodium chloride 19.45 g
Magnesium chloride 5.9 g
Magnesium sulfate 3.24 g
Calcium chloride 1.8 g
Pottasium chloride 0.55 g
Sodium biarbonate 0.16 g
Potassium bromide 0.08 g
Strontium chloride 34.0 mg
Boric acid 22.0 mg
Sodium silicate 4.0 mg
Sodium fluoride 2.4 mg
Ammonium nitrate 1.6 mg
Disodium phosphate 8.0 mg
Distilled water up to 1 ℓ
시험예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에 대하여 각종 시험규격에 따른 성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부착강도(N/㎟) : 표준 압축강도(N/㎟) 중성화 저항성(mm) 투수량
(g)
물흡수계수
(kg/(㎡·h0.5)
길이변화율
(%)
28일 28일
기준 1.0 이상 20.0이상 2 이내 20.0이하 0.5이하 ±0.15이내
결과 2.1 48.2 0 6.5 0.22 - 0.02
시험방법 KS F 4042 : 2012
시험항목 염화물 확산계수 (×10-12 ㎡/s) 통과 전하량 (Coulombs)
28일 28일
일반 보수재 7.2 590
생태학적 염해 저항 보수재 0.6 130
시험방법 NT BUILD 492 KS F 2711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태학적 염해 저항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는 KS F 4042(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착강도(1.0 MPa 이상) 및 압축강도(20 MPa)의 요구 성능에 비해 2.1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중성화 깊이는 0 mm, 길이변화율은 0.04%로 KS F 4042에서 요구하는 품질 기준의 성능을 만족하였다. 이와 함께 NT BUILD 492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의 평과 결과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학적 염해 저항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의 경우 일반 보수재 대비 90% 낮은 수준이며, KS F 2711에 따른 총통과전류량은 일반 보수재 대비 88% 낮은 수준으로 모든 평가항목에 있어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EVA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결합재, 폴리에틸렌 섬유 및 잔골재를 포함하는 염해 저항 보수재;와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가 고정된 다공질 구조의 캐리어;가 혼합된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로서,
상기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는 할로모나스 베누스타(Halomonas venusta)이고, 상기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는 설피토박터 메디테라네우스(Sulfitobacter mediterran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해 저항 보수재는 상기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90 내지 95 중량%, 상기 EVA계 폴리머를 5 내지 10 중량%,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를 상기 보수재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0.3 부피부 포함하고,
상기 잔골재는 평균 입경이 0.25 내지 0.7 mm인 규사로서, 잔골재-결합재비(sand to binder ratio, S/B)가 1.8 내지 2.2 중량비이고,
물-결합재비(water to binder ratio, W/B)가 28 내지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팽창질석이고, 상기 염소 이온 분해 박테리아 및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가 음압 조건에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해 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단면 보수재.




삭제
KR1020200150193A 2020-11-11 2020-11-11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KR10232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93A KR102324112B1 (ko) 2020-11-11 2020-11-11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CN202180022385.XA CN115427371A (zh) 2020-11-11 2021-04-15 基于嗜盐粘液形成细菌的断面修复材料
PCT/KR2021/004758 WO2022102882A1 (ko) 2020-11-11 2021-04-15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93A KR102324112B1 (ko) 2020-11-11 2020-11-11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12B1 true KR102324112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193A KR102324112B1 (ko) 2020-11-11 2020-11-11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24112B1 (ko)
CN (1) CN115427371A (ko)
WO (1) WO202210288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08B1 (ko) * 2007-12-31 2008-03-27 정래국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신규 내염성 할로모나스 속 균주,이를 함유하는 임해매립지 토양 개량제 및 이를 이용한식물의 생장촉진 방법
KR101096513B1 (ko) * 2011-08-08 2011-12-20 이동우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속경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보수 보강하는 방법
KR101743042B1 (ko) * 2016-01-20 2017-06-15 (주)대우건설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2173957B1 (ko) * 2020-02-11 2020-11-05 콘스타주식회사 내산 기능을 가진 미생물과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961A (ja) * 1998-12-15 2000-08-29 Obanaya Sangyo:Kk モルタル組成物
CN106045400B (zh) * 2016-06-03 2018-03-09 太原理工大学 使用好氧嗜碱微生物的裂缝自修复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8947380B (zh) * 2017-05-18 2021-02-12 京畿大学校产学协力团 使用多孔材料固定化菌剂和近中性粘结剂用于细菌粘液基涂覆材料的制造方法
CN109133704A (zh) * 2018-08-09 2019-01-04 姜香 一种微生物修复水泥基材料的制备方法
CN110078462A (zh) * 2019-05-20 2019-08-02 山西晟科微生物建材科技有限公司 建筑用微生物自修复保温砂浆及其制备方法
CN111138107B (zh) * 2020-01-15 2021-11-23 浙江海洋大学 一种混凝土裂缝自修复的微生物固载方法
CN111606596A (zh) * 2020-06-11 2020-09-01 东北大学 一种混凝土抗裂与自修复的组合物及制备与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08B1 (ko) * 2007-12-31 2008-03-27 정래국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신규 내염성 할로모나스 속 균주,이를 함유하는 임해매립지 토양 개량제 및 이를 이용한식물의 생장촉진 방법
KR101096513B1 (ko) * 2011-08-08 2011-12-20 이동우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속경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보수 보강하는 방법
KR101743042B1 (ko) * 2016-01-20 2017-06-15 (주)대우건설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2173957B1 (ko) * 2020-02-11 2020-11-05 콘스타주식회사 내산 기능을 가진 미생물과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882A1 (ko) 2022-05-19
CN115427371A (zh)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Muynck et al.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s: a review
Wang et al.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in concrete: a promising sustainable strategy to improve concrete durability
Gu et al. Biodeterioration of concrete by the fungus Fusarium
De Belie Application of bacteria in concrete: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us
Gutiérrez-Padilla et al. Biogenic sulfuric acid attack on different types of commercially produced concrete sewer pipes
De Belie Microorganisms versus stony materials: a love–hate relationship
George et al. Current understanding and future approaches for controlling microbially influenced concrete corrosion: a review
De Belie et al. Bacteria-based concrete
KR102173957B1 (ko) 내산 기능을 가진 미생물과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45339B1 (ko) 박테리아 기반 생태학적 열화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CN104630126A (zh) 污水处理用微生物营养剂
CN114921117B (zh) 一种无机防腐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rsan Overlooked strategies in exploit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field of building materials
De Muynck et al. Bacterial carbonate precipitation reduces the permeability of cementitious materials
Makul et al. Advanced interactions of cement-based materials with microorganisms: A review and future perspective
CN112680015B (zh) 腻子材料
KR102324112B1 (ko)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CN207193178U (zh) 一种具有杀菌防腐功能的海洋钢筋混凝土块
KR102482786B1 (ko) 호염 슬라임 형성 박테리아 기반 단면 보수재
CN112760266B (zh) 水工混凝土用芽孢杆菌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Olonade A review of the effects of wastewater o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Nigeria
CN106186973B (zh) 一种光催化抑菌防腐涂料及其涂覆工艺
KR20100115644A (ko) 분체상 무기항균제와 고순도 순환잔골재를 이용한 친환경 보수ㆍ보강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KR101188100B1 (ko) 미생물 복합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수질정화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817B1 (ko) 폐목분 유래 탄화분말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수질정화 콘크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