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975B1 -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 Google Patents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975B1
KR102323975B1 KR1020200054258A KR20200054258A KR102323975B1 KR 102323975 B1 KR102323975 B1 KR 102323975B1 KR 1020200054258 A KR1020200054258 A KR 1020200054258A KR 20200054258 A KR20200054258 A KR 20200054258A KR 102323975 B1 KR102323975 B1 KR 10232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electromagnet
drone
flying
f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선
Original Assignee
손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선 filed Critical 손영선
Priority to KR102020005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simple or augmented images from one or more cameras located onboard the vehicle, e.g. tele-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늘을 비행하여 원하는 목적지 현장을 신속히 도착하기 위해 다수와 다엽인 프로펠라(20)과 대형프로펠라(130)를 구성하여, 비행시 양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빠르고 오랜시간 비행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늘을 비행할 경우, 다수의 프로펠라(20)와, 대형 프로펠라(130)의 깃은 다엽으로 구성하여, 상승, 하강,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등의 비행을 할 경우, 높은 추력으로 신속하고 빠른 비행을 하고, 원하는 목적지에 조기에 도착하여 촬영을 할 수 있는 것과, 리듐폴리머 바테리(30)는 대용량을 사용하여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것과, 겨울철 보온을 위해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30)와 카메라(60)에 커버를 한 것과, 콘트롤라(90) 둘레에 구성되어 있는 모니타(100)는, 옥외에선 스마트폰과 테블릿으로, 옥내에선 컴퓨타와 텔레비젼으로 선택한 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다리(170)는 접을 수 있게 다리회전부(160)와 제1 전자석(150)과 제2 전자석(151)이 구성되어 비행 시에 바람의 저항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카메라(60)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fast and long flying drone}
본 발명은 상공에서 빠른 비행과 오랜 시간으로 하늘을 비행하면서 촬영한 동영상을 통신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상공을 비행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면 한정된 짧은 시간에 촬영 등의 임무를 마치고 다시 되돌아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현대사회는 사건과 사고 등 행사가 지역별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드론은 조금 먼 지역의 사건과 사고를 촬영하기에는 거리가 멀어 접근하기에 시간의 한계가 있어, 그 목적 달성이 힘들뿐만 아니라 비행 속도가 느려 실제 현장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으며, 현장에 도착 하더라도 촬영 전에 이미 바테리를 많이 소진하여 그냥 되돌아오는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원하는 목적지의 현장촬영은 분, 초를 다투는 급박한 상황에서 보다 빨리 접근하여 현장촬영을 하는 것이 중요한 핵심사항 이었으나, 종래의 드론은 속도가 느린 비행으로 실제 현장의 접근에도 어려운 경우가 많고, 중요한 현장 촬영을 놓치는 경우가 많아 이용자들이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상공을 비행하는 경우, 저온으로 인한 바테리의 방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저온의 영향으로 바테리가 작동이 되지않아 비행을 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드론이 상공을 비행하면서 촬영할 경우, 드론의 다리 사이에 놓여있는 카메라의 회전각도에 따라, 촬영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또한 비행 시에 뻗어있는 다리가 바람의 영향을 받아 비행 추진력에 많은 저항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드론이 상공을 비행하면서 촬영한 영상은, 좁은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어, 여러 사람이 회의나 토론을 하면서 모니타를 볼 때 작은 화면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리모컨을 통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드론이 개발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드론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프로펠러와 바테리와 카메라와 기판과 센스와 별도의 콘트롤라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비행은 상공에서 자유롭게 비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과, 상승 및 하강운동과 한 자리에서 머물면서 비행하는 제자리 비행 등과 같은 다른 비행체가 할 수 없는 것도 할 수 있는 장점과 특징이 있다.
등록특허 10-183699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행 시에 추진력과 회전력 등은 드론의 프로펠라에서 발생하는 양력이 주동력인데, 다수의 프로펠라를 장착하여 높은 양력으로 빠른 비행을 하여, 원하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는 것과, 오랜 시간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높은 용량의 바테리를 장착한 것과, 콘트롤라와 연결된 다양한 크기의 모니타를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한 것과, 겨울철 저온에 바테리와 카메라를 보호 할 수 있도록 커버를 한 것과, 드론의 비행 시에 카메라의 촬영을 방해하는 다리는, 접어서 비행하므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주위에는 복수의 프로펠라(20)와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와 모타(40)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암(arm)(110)과 대형모타(120)와 대형프로펠라(130)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10)의 아래쪽에는 짐벌(gimbal)(140)과 카메라(60)와 다리(170)와 다리회전부(160)가 제공되고. 상기 다리(170)의 옆쪽과 양쪽 끝 단 내부에 각각 제1 전자석(150)이 제공되며, 상기 본체(10) 아래쪽에 제2 전자석(151)이 제공되고, 상기 본체(10)의 둘레에는 전자변속기(50)와 센스(70)와 제어수단(80)이 제공되고, 드론을 조정하고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라(90)가 별도로 제공되며, 상기 콘트롤라(90)에는 연결 커넥타(91)와 모니타(10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프로펠라(20)와 대형프로펠라(130)는, 강력한 양력을 발생하기 위해 깃 수를 다엽으로 제공된 것과, 깃의 날개 골 모양의 단면 시위선에 회전면과 이루는 깃 각을 최대 17도까지 비틀리게 제공된 것과, 상기 본체(10)의 위쪽과 아래쪽인 상하 단에 상기 프로펠라(20)가 각각 제공된 것과, 상기 본체(10)의 위쪽 상기 암(110)의 상단에, 상기 대형프로펠라(130)를 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의 용량은 30,000mAh에서 200,000mAh까지 다양한 용량 등으로 제공된 것과, 겨울철 저온에 대비하여 밀착 커버를 한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아래쪽에 상기 카메라(60)는 겨울철 저온에 대비하여 비닐 등으로 커버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타(40)와 프로펠라(20)와 대형모타(120)와 대형프로펠라(130)는 상기 본체(10)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제공된 것과, 상기 프로펠라(20)와 대형프로펠라(130)는 다엽으로 제공된 것 중에서 선택하여 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트롤라(90)와 연결 커넥타(91)로 연결되는 상기 모니타(100)는 옥외에선 핸드폰과 테블릿 중에서 선택하여 연결되는 것과, 옥내에선 컴퓨터와 텔레비젼 중에서 원하는 것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 아래에 있는 제2 전자석(151)과 제1 전자석(150)은 전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호 반응하여 밀어주는 자력과 당겨주는 자력이 발생되도록 제공된 것과, 상기 다리(170)을 아래로 내려갈 경우, 상기 제2 전자석(151)에서 밀어주는 자력이 발생하는 것과, 상기 밀어주는 자력은 상기 다리(170)를 밀어내는 힘으로 변하는 것과, 상기 다리(170)에 전달된 밀어내는 자력과 상기 다리(170)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다리(170)가 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과, 한편, 상기 다리(170) 옆에 제공된 제3 전자석(152)은 아래로 회전하면서 접근하는 상기 다리(170)를 끌어 당겨주는 자력이 발생되어 상기 다리(170)는 아래까지 내려오는 것과, 아래로 내려온 상기 다리(170)는 상기 제3 전자석(152)의 자력영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은, 다수와 다엽의 프로펠라로 높은 추력을 발생하고 보다 빠른 비행을 하여 현장에 도착하는 것과, 고용량 바테리를 제공하여 동영상을 오래 촬영을 할 수 있는 것과, 촬영한 동영상을 옥외에선 콘트롤라와 연결된 이동이 편리한 작은 모니타로 볼 수 있는 것과, 옥내에선 콘트롤라와 연결된 큰 모니타로 볼 수 있는 것과, 겨울철 저온에 보호하기 위하여 바테리와 카메라에 커버를 한 것과, 본체 아래와 다리 옆에 제3 전자석과 제2 전자석을 구성하여 다리를 접고 비행할 수 있어 공기 저항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비행하면서 촬영 시에 카메라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을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2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정면도.
도 3은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다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평면도.
도 5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깃의 엽수에 따른 예시도.
도 6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대형 깃의 엽수에 따른 예시도.
도 7은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내지 도 3 내지 도 4 내지 도 5 내지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을 도시한 것으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주위에는 복수의 프로펠라(20)와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와 모타(4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암(110)과 대형모타(120)와 대형프로펠라(13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아래쪽에는 짐벌(gimbal)(140)과 카메라(60)와 다리(170)와 다리회전부(160)가 구성되고. 상기 다리(170)의 옆쪽과 상기 다리(170)의 양쪽 끝 단 내부에 각각 제1 전자석(150)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10) 아래에 제2 전자석(151)이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둘레에는 전자변속기(50)와 센스(70)와 제어수단(80)이 구비되고, 드론을 조정하고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라(90)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콘트롤라(90)에는 연결 커넥타(91)와 모니타(10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에 부착되는 상기 프로펠라(20)와 대형프로펠라(130)은 깃 각이 최대 17도까지 비틀린 것과, 깃은 다엽인 2엽, 3엽, 4엽, 5엽, 6엽 등으로 구성된 것 중에서 선택하여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과, 상기 본체(10)의 위쪽과 아래쪽 상하 단에 각각 상기 프로펠라(20)를 구성한 것과, 상기 본체(10) 위쪽 상기 암(110)의 상단에 상기 대형프로펠라(13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의 용량은 30,000mAh에서 200,000mAh까지 다양한 용량으로 구성된 것과, 비행시간을 고려하여, 선택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과, 겨울철 저온에 대비하여 비닐 등으로 커버를 한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아래쪽에는 겨울철 저온에 대비하여 비닐 등으로 커버를 한 상기 카메라(60)가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라(90)와 연결되는 상기 모니타(100)는 옥외에선 이동이 편리한 스마트폰과 테블릿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되고, 옥내에선 대형화면으로 볼 수 있게 컴퓨타와 텔레비젼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연결 커넥타(91)로 연결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리(170)는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다리회전부(160)가 구성되고, 상기 다리(170)을 안으로 접은 상태에서 제2 전자석(151)에 전기를 흘리면, 강한 자력이 발생하게 구성되고, 상기 발생된 자력으로 접은 상기 다리(170)을 붙잡은 상태에서 드론을 날리면, 비행 시에 상기 다리(170)에서 공기와 마찰하여 발생하는 공기저항이 줄어드는 것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다리(170)로 인한 촬영에 방해가 없도록 구성한 것과, 비행하면서 촬영한 후 돌아오면, 착륙 직전에 상기 콘트롤라(90)를 눌러 송신하면, 상기 제어수단(80)을 통해 전기 흐름이 반대로 되어, 상기 제2 전자석(151)과 상기 다리(170) 끝 단 내부의 상기 제1 전자석(150)은 서로 같은 극이 되어, 밀어내는 자력이 발생되게 구성되고, 상기 다리(170)의 자체무게와 상기 밀어내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다리(170)는 아래로 회전되게 구성된 것과, 아래로 회전하여 본체(10)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상기 다리(170) 옆에 구성된 제3 전자석(152)이 가까이 내려오는 상기 다리(170)를 끌어당기는 자력이 발생되어, 상기 다리(170) 옆의 제3 전자석(152)과 상기 다리(170)는 붙게 구성된 것으로, 결국 상기 다리(170)은 상기 제3 전자석(152)의 자력에 의해 고정 상태가 되어 지면에 착륙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라(90)에서 무선으로 송신하면, 상기 본체(10)에 구성된 상기 제어수단(80)을 통해 상기 모타(40)와 대형모타(120)를 작동하게 구성된 것과, 상기 다수와 다엽으로 구성된 프로펠라(20)와 대형프로펠라(130)가 회전을 하면서 비행하는 추력이 가속되도록 구성된 것과, 비행하는 추력이 가속되면, 빠른 속도로 비행을 하여 목적지에 빨리 도착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어수단(80)을 통해 상기 콘트롤라(90)로 무선 송신하면, 상기 모니타(100)를 통해 동영상을 볼 수 있게 구성된 것과, 또한, 상기 콘트롤라(90)에서 송신한 신호는 상기 제어수단(80)을 통해 상기 모타(40)와 대형모타(120)와 카메라(60)와 제1 전자석(150)과 제2 전자석(15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스(70)는 제어수단(80)과 연결되어 닥아 오는 물체를 감지하여,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하와 좌우와 전후에 구성된다.
상기 전자변속기(50)은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수단(80)을 통해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상기 모타(40)와 대형모타(120)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짐벌(140)은 상기 본체(10) 사이에 고무 등 진동방지를 위해 댐프를 구성하여 완충작용을 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부착된 카메라(60)의 떨림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것과, 드론의 이동 시에 화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카메라(60)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 본체(10)에 구비되는 드론의 부품은 종래의 구비된 것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수와 다엽으로 구성된 프로펠라(20)와 대형프로펠러(130)는 높은 추력을 발생하여 보다 빠른 비행으로 현장에 도착하는 것과, 고용량의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30)를 제공하여 동영상을 오래 촬영을 할 수 있는 것과, 촬영한 동영상을 옥외에선 상기 콘트롤라(90)와 연결된 이동이 편리한 작은 상기 모니타(100)로 볼 수 있는 것과, 옥내에선 상기 콘트롤라(90)와 연결된 큰 모니타(100)로 볼 수 있는 것과, 겨울철 저온에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30)와 카메라(60)에 커버를 한 것과, 상기 본체(10) 아래에 상기 제2 전자석(151)과 다리(170) 옆에 상기 제3 전자석(152)을 구성하여, 상기 다리(170)를 접고 비행할 수 있는 것과, 상기 다리(170)을 접고 비행하므로 인해 공기 저항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촬영 시에 상기 카메라(60)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본 드론은, 건설업, 농업, 교통, 정보, 측량, 부동산, 폐기물 관리, 재난사고, 국방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본 드론의 발명으로 먹거리 산업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국가 경제에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드론의 국내 제품은, 세계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제품에 비해 기술과 성능은 유사한 수준이지만, 가격 경쟁력이 낮아, 고객의 요구에 따른 보다 높은 기술과 전문성이 집약된 맞춤형 사업으로 전략화가 필요하며, 특히 미국, 영국, 중국, 일본, 이스라엘,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다각적인 개발과 높은 세계시장 점유율로, 한국의 위상은 미약한 상태에 있고, 더욱이 장래 2025년이 되면 200억 달러의 거대한 시장이 될 것이란 전망과, 각국의 특허 건수도 미국과 중국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서, 한국에서도 분발하여 높은 기술개발의 전문성과 국내의 특허 건수도 높여, 국내 및 세계시장 도전에 조그마한 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10. 본체 20. 프로펠라 30. 리듐폴리머 바테리 40. 모타 50. 전자변속기 60. 카메라 70. 센스 80. 제어수단
90. 콘트롤라 91. 연결 커넥타
100. 모니타 110. 암
120. 대형모타 130. 대형프로펠라
140. 짐벌 150. 제1 전자석
151. 제2 전자석 152. 제3 전자석
160. 다리회전부 170. 다리

Claims (4)

  1. 본체(10);
    복수의 프로펠라(20);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
    모타(4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암(110);
    상기 암(110)의 일단에 위치하는 대형모타(120) 및 대형프로펠라(13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짐벌(gimbal)(140);
    상기 짐벌(140)에 연결되는 카메라(6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10)와 다리회전부(160)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다리(170);
    상기 다리(170)의 내부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제1 전자석(15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전자석(151);
    상기 다리(170)의 옆에 위치하는 제3 전자석(152);
    전자변속기(50);
    센스(70);
    제어수단(80);
    드론을 조정하고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콘트롤라(90); 및
    상기 콘트롤라(90)와 연결 커넥타(91)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모니타(100)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라(90)는 핸드폰, 테블릿, 컴퓨터, 텔레비젼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연결 커넥타(91)로 연결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주위에 다수의 상기 프로펠라(20)와, 대형프로펠라(130)는 깃 수가 다엽인 2엽, 3엽, 4엽, 5엽, 6엽 등으로 구성된 것과, 깃의 날개 골 모양의 단면 시위선에 회전면과 이루는 깃 각을 최대 17도까지 비틀리게 구비된 것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의 용량은 30,000mAh에서 200,000mAh까지 다양한 용량으로 구비된 것과, 겨울철 저온에 대비하여 밀착 커버를 한 리듐폴리머 바테리(lithium polymer battery)(30)와 카메라(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시간 비행하는 드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70)는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다리회전부(160)가 구성된 것과, 상기 다리(170)를 안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전자석(151)에 전기를 흘리면 강한 자력이 발생하는 것과, 상기 발생된 자력으로 접은 상기 다리(170)를 붙잡은 상태에서 드론을 날리면, 비행 시에 상기 다리(170)에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력이 줄어드는 것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다리(170)로 인한 촬영에 방해하지 않게 구성된 것과, 비행하면서 촬영한 후 돌아오면, 착륙 직전에 상기 콘트롤라(90)를 눌려 송신하면, 상기 제어수단(80)을 통해 상기 제2 전자석(151)과 제1 전자석(150)은 같은 극이 되어 서로 밀어내는 자력이 발생되는 것과, 상기 다리(170)의 자체무게와 상기 밀어내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다리(170)는 아래로 회전하는 것과, 아래로 회전하여 본체(10)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상기 다리(170) 옆쪽의 제3 전자석(152)이 가까이 내려오는 상기 다리(170)를 끌어당기는 자력이 발생하여 서로 붙게 구성된 것으로, 결국 상기 다리(170)은 상기 제3 전자석(152)의 자력에 의해 고정 상태가 되어 지면에 착륙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하는 드론.
KR1020200054258A 2020-05-07 2020-05-07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KR10232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58A KR102323975B1 (ko) 2020-05-07 2020-05-07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58A KR102323975B1 (ko) 2020-05-07 2020-05-07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975B1 true KR102323975B1 (ko) 2021-11-09

Family

ID=7861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58A KR102323975B1 (ko) 2020-05-07 2020-05-07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97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71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하이브리드 드론 시스템
KR20170064399A (ko) * 2015-12-01 2017-06-09 모터웰 주식회사 프롭가드 겸용형 랜딩스키드를 구비한 멀티콥터형 드론
US20170197714A1 (en) * 2016-01-13 2017-07-13 Wolf-Tek, Llc Drone capable of operating in an aqueous environment
US20170217571A1 (en) * 2016-01-29 2017-08-03 SZ DJI Technology Co., Ltd Uav with transformable arms
KR101836999B1 (ko) 2016-09-21 2018-03-12 (주)하늘과기술 양력 재생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드론
US20190009925A1 (en) * 2014-06-20 2019-01-10 Colorado Seminary, Which Owns And Operates The University Of Denver Mobile self-leveling landing platform for small-scale uavs
KR20190116748A (ko) * 2018-04-05 2019-10-15 (주)비씨디이엔씨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US20190322365A1 (en) * 2018-04-18 2019-10-2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Aircraft having M-Wing and Gull Wing Configurations
US20200172231A1 (en) * 2018-11-29 2020-06-04 Saudi Arabian Oil Company Articulated magnet-bearing legs for uav landing on curved surface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09925A1 (en) * 2014-06-20 2019-01-10 Colorado Seminary, Which Owns And Operates The University Of Denver Mobile self-leveling landing platform for small-scale uavs
KR20170018671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하이브리드 드론 시스템
KR20170064399A (ko) * 2015-12-01 2017-06-09 모터웰 주식회사 프롭가드 겸용형 랜딩스키드를 구비한 멀티콥터형 드론
US20170197714A1 (en) * 2016-01-13 2017-07-13 Wolf-Tek, Llc Drone capable of operating in an aqueous environment
US20170217571A1 (en) * 2016-01-29 2017-08-03 SZ DJI Technology Co., Ltd Uav with transformable arms
WO2017128318A1 (en) * 2016-01-29 2017-08-03 SZ DJI Technology Co., Ltd. Uav with transformable arms
KR101836999B1 (ko) 2016-09-21 2018-03-12 (주)하늘과기술 양력 재생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드론
KR20190116748A (ko) * 2018-04-05 2019-10-15 (주)비씨디이엔씨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US20190322365A1 (en) * 2018-04-18 2019-10-2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Aircraft having M-Wing and Gull Wing Configurations
US20200172231A1 (en) * 2018-11-29 2020-06-04 Saudi Arabian Oil Company Articulated magnet-bearing legs for uav landing on curved surfa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467B2 (en) Self charging lightweight drone apparatus
US7104862B2 (en) Reduced visibility rotorcraft and method of controlling flight of reduced visibility rotorcraft
CN105242685B (zh) 一种伴飞无人机航拍系统及方法
CN105242684A (zh) 一种伴随拍摄飞行器的无人机航拍系统及方法
JP3224172U (ja) 無人航空機
CA3109626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GB2527736A (en) Tethered aerial platform and aerial observation system
KR102323975B1 (ko) 빠르고 오랜 시간 비행 하는 드론
Efaz et al. Modeling of a high-speed and cost-effective FPV quadcopter for surveillance
Diaz Lights, drone... action
US20200218265A1 (en) Mov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5837219U (zh) 一种多功能航拍飞行器
CN108860578A (zh) 一种无人机测绘数据采集装置
CN205239910U (zh) 一种可定点环绕的遥控飞行器
US20230033760A1 (en) Aerial Camera Device, Systems, and Methods
WO2021135824A1 (zh) 图像曝光方法及装置、无人机
WO2021093577A1 (zh) 高动态范围图像自动曝光方法及无人飞行器
KR20190044186A (ko) 멀티콥터 드론
CN116762354A (zh) 影像拍摄方法、控制装置、可移动平台和计算机存储介质
CN203504669U (zh) 基于四旋翼无人直升机的全景3d摄像装置
KR102134174B1 (ko) 무인 비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단말기
CN106516140B (zh) 一种具有航拍功能的飞行器
CN106882374A (zh) 仿真动物飞行器
CN215043709U (zh) 一种挂脖无人机
Sagar et al. Video capturing from radio controlled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