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833B1 - Food Garbage Box - Google Patents
Food Garbage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3833B1 KR102323833B1 KR1020200005981A KR20200005981A KR102323833B1 KR 102323833 B1 KR102323833 B1 KR 102323833B1 KR 1020200005981 A KR1020200005981 A KR 1020200005981A KR 20200005981 A KR20200005981 A KR 20200005981A KR 102323833 B1 KR102323833 B1 KR 102323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crushing
- food waste
- sieve
- cylindrical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0613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0 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맷돌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은 통형상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통형상의 거름망(2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40) 및 상기 커버(40)에 결합되어 상하운동하면서 거름망(2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하기 위한 압착분쇄유닛(30)을 포함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separation container capable of separating moisture while crushing and crushing food waste using a millstone method.
The food wast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case 10 and a tubular strainer 20 that is built into the case 10 and separates and discharges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when the food waste is put in. ), a cover 4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and a compression crushing unit 30 for crushing and crushing the food waste input to the sieve 20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ver 40 and moving up and down. contai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분리수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맷돌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container capable of separating moisture by crushing and crushing food waste using a millstone metho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음식물을 먹다 남긴 잔반이나 조리과정 및 조리후 발생된 오물 등의 이른바 음식물 쓰레기는 소량씩 발생되어 한꺼번에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에는 쓰레기 봉투의 낭비와 번거로움이 초래되었으므로, 쓰레기용기 또는 비닐주머니에 일시적으로 담아 두었다가 일정량이 되었을 때 규격봉투에 담아서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버리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In general, so-called food waste, such as leftover food left behind at home or filth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after cooking, is generated in small amounts, resulting in waste and inconvenience of garbage bags to be disposed of at once. Most of the methods were to put it in a pocket temporarily, put it in a standard bag when it reached a certain amount, and throw it away in a designated place outdoors.
근래에 다가구 공동주택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실외의 일정장소에 음식물 쓰레기만 한정하여 투기할 수 있도록 대형 용기를 비치하여 각 세대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버릴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대형 용기에 담긴 쓰레기는 처리업자로 하여금 필요시에 수거토록 하여 퇴비화 또는 사료화 처리하게 된 방법도 보편화되어 있다.In recent years, multi-family apartment houses provide a convenient way to dispose of food waste generated by each household by providing large containers so that only food waste can be disposed of in a certain outdoor place in order to jointly dispose of food waste. A method of composting or fodder processing by requiring a disposal company to collect waste in large containers when necessary is also common.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상태이므로 그 폐기처리과정에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됨과 아울러 쓰레기의 투기 및 수거과정에 누출되는 침출수로 인하여 주변환경을 크게 저해하게 되었으므로, 각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처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싱크대에서 걸러진 쓰레기를 압축시켜 착즙하거나 싱크대에 부설된 분쇄기를 통과시켜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한 처리장치가 제안되었다.Since the food was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moisture, it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in the disposal process and greatly impai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the leachate leaking during the dumping and collection process of the waste. A treatment device has been proposed that compresses and juices the garbage filtered in the sink so that it can be disposed of or discards the solid material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by passing it through a grinder attached to the sink.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894호(특허문헌 1)에는 싱크대에 직접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기어에 의해 1차로 분쇄되고, 스크류에 의해 2차로 분쇄되어 임의의 통속에 있는 비닐봉지에 일정량 모이게 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와 부피를 대폭 감량할 수 있게 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00894 (Patent Document 1), it is installed directly in the sink so that food waste is first crushed by a crushing gear, and secondly crushed by a screw to collect a certain amount in a plastic bag in an arbitrary barr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oisture and volume of the food waste, thereby providing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odor from being generated in advance.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싱크대에 직접 설치되어야 하고 전동방식으로 운영되어 유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must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sink and is operated in an electric way, resulting in maintenance costs.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742호(특허문헌 2)에는 수거통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고 팬으로 건조시킴으로 수거통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수거통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팬으로 소거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므로 수거통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교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14742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food waste collected in the container can be stirred and dried with a fan, so that the food wast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quickly dried, and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pose of the dried food waste, and since the fan sucks air inside the waste container, a food waste agita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odor inside the container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has been proposed.
상기 특허문헌 2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 건조/분리시킬 수 있고, 팬으로 소거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므로 수거통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나, 전동방식으로 운영되어 구입비용이 비싸고 유지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Patent Document 2 can also quickly dry/separate food waste, and can prevent the odor inside the container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by sucking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with a fan, but it is operated in an electric way to reduce the purchase co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large.
또한, 전동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는 그냥 버리거나 혹은 소쿠리나 양파망 등으로 탈수시켜 물기를 뺀 다음 별도로 모아서 쓰레기 봉지로 넣어 버려야 함으로 각각의 과정마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노동력이 필요한 번거로운 일이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t using the electric method, in the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either just throw it away or dehydrate it with a colander or onion net to drain the water, and then collect it separately and put it in a garbage bag, saving time, space and labor for each process. It was a necessary cumbersome task.
더욱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는 수거용기를 뒤엎어 털어버려야 함으로 번잡스럽고 힘드는 일이었고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통이 없으면 음식물 쓰레기가 일반 쓰레기와 뒤섞여 재생 가능한 일반 쓰레기마저 재생이 어렵게 되고 매립시 침출수가 발생하거나 소각 처리시 물기로 인하여 쓰레기 처리 비용이 높아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Moreover, when collecting food waste, it is cumbersome and difficult to shake off the collection container. If there is no separate food waste bin, food waste is mixed with general waste, making it difficult to recycle even recyclable general waste.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waste disposal due to water in the city.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6948호(특허문헌 3)에는 탈수홈이 파인 반 원통형의 탈수통이 부착된 지지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킨 후 회전 손잡이를 돌려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히 수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이 개시되어 있다.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56948 (Patent Document 3), food waste is dehydrated with a support bin with a semi-cylindrical dewatering bin with a dewatering groove, and then the dewatered food waste can be easily collected by turning the rotary knob. Disclosed is a food waste bin that can be used.
특허문헌 3은 일체화된 하나의 용기안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및 분쇄, 수거를 일관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개폐형 뚜껑에 안전판과 스크루형 칼날을 구비한 본체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물수거통, 분리통이 일체화된 지지통, 탈수통 등이 중첩 배치되어 조립된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시에 분쇄손잡이의 회전만으로 어느 정도 크기를 갖는 피분쇄물은 분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Patent Document 3 provides convenient and hygienic use by consistently processing dehydration, pulverization, and collection of food waste in an integrated container, but food waste inside a body having a safety plate and a screw-type blade in an open/close li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the container, the water container, the separation container are integrated, the support container, the dehydration container, etc. are overlapped and assembl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맷돌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량할 수 있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crush and crush food waste in a millstone method to separate moisture while crushing it, so that the volume of food was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odor is genera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eparation container that can minimize the amount of waste.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 분쇄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수동방식으로 작동시켜도 분쇄 효율이 우수하고 구입비용이 저렴하며 유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separation container having excellent crushing efficiency, low purchase cost, and no maintenance cost even when the user directly operates the crushing method by using the compression crushing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음식물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separation contain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by eliminating the cause of fail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분리수거통의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악취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실링 구조를 갖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container having a sealing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leakage of odors from the inside of the food waste container cas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은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통형 거름망;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갖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되어 압착손잡이의 회전시에 상하운동하면서 거름망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하기 위한 압착분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ood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case; a cylindrical sieve built in the cylindrical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separate and discharg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when the food waste is put in;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and having a screw coupling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compression crushing unit screwed to the screw coupling portion of the cover to crush and crush the food waste put into the sieve while moving up and down when the pressing handle is rotated.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은 맷돌방식으로 음식물을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맷돌방식으로 음식물을 압착 분쇄시킴에 따라 수박껍질과 같이 어느 정도 크기와 강도를 갖는 피분쇄물도 쉽게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a result. The food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eparating moisture by crushing and crushing food using a millstone metho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volume of food wast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ood is crushed and crushed by the millstone method, the crushed material having a certain size and strength, such as a watermelon peel, can be easily crushed.
상기 커버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외주부가 결합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내주부에는 압착분쇄유닛의 기둥부에 형성된 나사홈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 lower end to which an outer periphery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case; and a screw coupling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end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wherein a screw thread screwed with the screw groove formed in the column portion of the compression crushing unit may be protruding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
상기 압착분쇄유닛은, 상기 커버의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하도록 외주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압착손잡이가 구비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복수의 분쇄칼날이 구비된 분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의 직경은 기둥부보다 더 크고, 상기 거름망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crushing unit may include: a pillar portion having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o be screwed with the screw coupling portion of the cover and provided with a pressing handle at an upper end; and a crush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lla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on the lower surface, wherein the crushing unit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illar and may be se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ieve.
또한, 상기 압착분쇄유닛의 분쇄부는 중앙부가 라운드 형태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거름망은 중앙부가 라운드 형태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crushing unit may have a concave central portion in a round shape, and the sieve may have a convex central portion in a round shape.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벽면부 상단에는 거름망을 내부에 장착한 경우 거름망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단차부에 결합되는 환형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환형의 돌기부는 거름망의 플랜지를 고정시킬 수 있다.A step portion on which a flange of the strainer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and an annular protrusion coupled to the step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case, the annular protrusion may fix the flange of the sie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벽면부 상단에 설치되어 커버를 결합할 때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용 제1 O-링;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벽면부 상측 또는 커버에 설치되어 커버를 원통형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커버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커버잠금장치는 원통형 케이스와 커버 사이의 실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and is a sealing agent for blocking the odor from the food waste accommodated in the cas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coupled. 1 O-ring; and a plurality of cover locking device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or on the cover to selectively fix the cover to the cylindrical case, wherein the plurality of cover locking devices are configured to secure a sealing state between the cylindrical case and the cover. can keep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은 상기 압착분쇄유닛을 승강시키면, 상기 압착분쇄유닛의 분쇄부는 커버의 하부면 천정부와 접촉되며, 상기 분쇄부의 상부면과 커버의 하부면 천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용 제2 O-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food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ushing and crushing unit is raised and lowered, the crushing part of the crushing and crush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and the ceiling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ring for sealing installed in at least one to block the odor inside the cas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구조를 가지고 거름망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 배출될 때 자동으로 모이도록 안내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은 상기 바닥부의 최저점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통하여 상기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의 외부에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개폐 가능한 배출관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has an inclined structure inclined to one side, and guid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to be automatically collected when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a sieve, and the food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ottom part a drain port installed at the lowest poin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moistur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hole; and a discharge pipe control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ip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pe.
상기 복수의 분쇄칼날은 외주부를 따라 또는 복수의 동심원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may be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r in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맷돌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량할 수 있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맷돌방식으로 음식물을 압착 분쇄시킴에 따라 수박껍질과 같이 어느 정도 크기와 강도를 갖는 피분쇄물도 쉽게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can be crushed and crushed using a millstone method to separate moisture while crushing the food wast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and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odor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ood is crushed and crushed by the millstone method, the crushed material having a certain size and strength, such as a watermelon peel, can be easily crush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착 분쇄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수동방식으로 작동시켜도 분쇄 효율이 우수하고 구입비용이 저렴하며 유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ression crushing method is adopted, the crushing efficiency is excellent, the purchase cost is low, and the maintenance cost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user directly operates the crushing method manually.
더욱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excellent durability by eliminating failure facto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의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악취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춘 실링 구조의 채택에 따라 실내 보관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indoors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a sealing structure with durability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leakage of odors from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food separation container to the outside.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의 사시도, 정면도, 길이방향 단면도, 단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1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food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의 사시도, 정면도, 길이방향 단면도, 단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1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food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은 통형상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통형상의 거름망(2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40) 및 상기 커버(40)에 결합되어 상하운동하면서 거름망(2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하기 위한 압착분쇄유닛(30)을 포함하고 있다.1 to 6 , the
제1실시예인 경우 케이스(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 원통형 케이스(10)는 원형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벽면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1)의 바닥면(18)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구조를 가지고 거름망(20)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 배출될 때 자동으로 배수구(19)로 모이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상기 배수구(19)는 바닥부(11)의 최저점에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통하며, 배수구(19)의 외부에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19b)이 연결되고, 배출관(19b)의 선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19a)가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개(19a)는 수도꼭지와 같은 밸브를 채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마개(19a)와 수도꼭지와 같은 밸브는 모두 배출관제어부를 형성한다.The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의 벽면부(12) 상단에는 커버(40)를 결합할 때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용 제1 O-링(14)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실링용 제1 O-링(14)은 케이스(10)의 벽면부(12) 상단 대신에 이와 접하는 커버(4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의 벽면부(12) 상단에는 거름망(20)을 내부에 장착한 경우 플랜지(22)가 안착되는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더욱이,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의 벽면부(12) 상측에는 커버(4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커버잠금장치(15)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원통형 케이스(10)의 벽면부(12) 상측에는 음식물 분리수거통(100) 전체를 운반할 때 필요한 수거통손잡이(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커버잠금장치(15)는 원통형 케이스(10)의 벽면부(12) 상측 대신에 커버(40)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의 내부공간(16)에는 거름망(20)이 수용되고, 바닥부(11)에는 복수의 지지대(17)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방식으로 결합된다.The
상기 거름망(20)은 원통형 케이스(10)의 내주부에 대응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부와 벽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23)이 천공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거름망(20) 외부로 분리 배출한다.The
또한, 상기 거름망(20)은 하단부에 환형 돌기부(25)가 돌출되어 바닥부가 케이스(10)의 바닥부(11)와 어느 정도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기타 이물질을 배출하는 데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 거름망(20)은 하단 바닥부는, 라운드 형태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압착분쇄유닛(30)의 하단 중앙부(37)와 대응한 형상을 갖도록, 중앙부(26)가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이 하강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할 때 압착분쇄유닛(30)의 하단 중앙부(37)와 라운드 형태로 돌출된 중앙부(26)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압착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Moreover, the bottom bottom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거름망(20)은 압착분쇄유닛(30)이 하강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할 때 분쇄칼날(32)과 접촉할지라도 내구성을 가지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이나 화학물질에도 녹이슬지 않는 금속재질, 예를 들어, SUS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 거름망(20)의 상단에는 거름망(2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되는 거름망 손잡이(24)가 부착되어 있다.Moreover, a
상기 커버(40)는 원통형 케이스(10)에 외주부가 결합되는 하단부(41); 및 상기 하단부(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나사결합부(44)를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나사결합부(44)의 내주부에는 압착분쇄유닛(30)의 기둥부(33)에 형성된 나사홈(34)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4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A
상기 커버(40)에는 하단부(41)에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의 단차부(13)에 결합되는 환형의 돌기부(42)가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스(10)에 커버(40)가 결합될 때, 거름망(20)의 플랜지(22)를 고정시킨다.An
상기 커버(40)의 환형의 돌기부(42)의 내주부는 원통형 케이스(10)의 내주부와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periphery of the
또한, 상기 커버(40)의 하부면 천정부(47)는 후술하는 압착분쇄유닛(30)의 분쇄부(31) 상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42)의 하부면 천정부(47)에는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용 제2 O-링(46)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2 O-링(46)은 하부면 천정부(47) 대신에 분쇄부(3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또한, 상기 커버(40)의 하단부(41) 내측에는 커버잠금장치(15)의 걸쇄부분(15a)이 결합되는 요홈(4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은 외주에 나사홈(34)이 형성되고 상단에 압착손잡이(35)가 구비된 기둥부(33) 및 상기 기둥부(33)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복수의 분쇄칼날(32)이 구비된 분쇄부(31)를 포함하고 있다. The
상기 분쇄부(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쇄칼날(32)은 외주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동심원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rushing
상기 기둥부(33)와 분쇄부(31)의 결합 고정은 복수의 고정나사 또는 고정볼트(3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쇄부(31)는 기둥부(33)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거름망(2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and fixing of the
상기 압착손잡이(35)의 외주에는 이를 잡고 회전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보완하도록 복수의 돌기(36)가 돌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의 분쇄부(31)는 중앙부(37)가 라운드 형태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이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할 때 덩어리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rushing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은 양측에 설치된 커버잠금장치(15)를 해제하여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이 중앙에 결합된 커버(40)를 상기 원통형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한다.The
그 후, 원통형 케이스(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거름망(2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이 중앙에 결합된 커버(40)를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에 덮고 커버잠금장치(15)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Thereafter, food waste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이어서,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의 압착손잡이(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둥부(33)가 커버(40)에 나사결합된 압착분쇄유닛(30)은 하강이 이루어지며, 분쇄부(31)도 하강하여 하단부의 분쇄칼날(32)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면서 압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게 된다. 이 경우, 압착분쇄유닛(30)의 하강길이는 거름망(20)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when the compression handle 35 of the crushing crushing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쇄가 이루어지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포함한 액상 성분은 거름망(20)의 관통구멍(23)을 통하여 케이스(10)의 내부 바닥으로 모이고 고형분은 거름망(20) 내부에 남게 된다.When the food waste is crushed and crushed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component including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케이스(10)의 내부 바닥에 모인 수분을 포함한 액상 성분은 바닥부(11)의 경사구조를 따라 흘러서 자동으로 배수구(19)를 통하여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liquid component including moisture collected at the inner bottom of the
이 경우, 배출관(19b)의 선단부에 설치된 마개(19a)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케이스(10)의 내부 바닥에 모인 수분을 포함한 액상 성분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selectively opening the
그 결과, 상기 거름망(20)의 내부에 남겨진 음식물 쓰레기는 압착 분쇄되면서 잘게 쪼개지고 압착되면서 수분 등이 빠져나간 상태이므로 수분과 부피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food waste remaining inside the
그 후, 상기 거름망(20)의 내부에 남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거나, 또는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을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대형 용기가 위치한 야외로 들고 나간 후 거름망(20)을 꺼내어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처리할 수 있다.After that, the solids of the food waste remaining inside the
상기 거름망(20)을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압착손잡이(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압착분쇄유닛(30)을 승강시킨 상태에서 커버장금장치(15)를 해제하고 커버(40)를 열면 거름망(2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한편,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쇄 후 거름망(20) 내부에 남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바로 배출하지 않는 경우는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으로부터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olids of the food waste remaining inside the
이 경우는 우선,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쇄를 완료한 후에 압착손잡이(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압착분쇄유닛(30)을 승강시킨다. 압착분쇄유닛(30)의 승강에 따라 압착분쇄유닛(30)의 분쇄부(31) 상면이 커버(40)의 하부면 천정부(47)와 접하도록 상태를 설정하면 실링용 제2 O-링(46)이 케이스(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first, after the crushing of the food waste is completed, the crushing
이 경우, 압착분쇄유닛(30)의 분쇄부(31) 상면이 커버(40)의 하부면 천정부(47)와 접하는 상태는 기둥부(33)가 커버(40)의 나사결합부(44)에 나사결합된 상태이므로 견고하게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실링용 제2 O-링(46)이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본 발명에서는 압착분쇄유닛(30)의 분쇄부(31)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시키는 맷돌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 등을 분리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량할 수 있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is crushed and crushed by crushing the food waste in a millstone method that crushes and crushes the food waste with the crush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착 분쇄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수동방식으로 작동시켜도 분쇄 효율이 우수하고 구입비용이 저렴하며 유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mpression crushing method is adopted, the crushing efficiency is excellent, the purchase cost is low, and the maintenance cost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user directly operates the crushing method manually.
더욱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excellent durability by eliminating failure facto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분리수거통(100)의 케이스 내부로부터 외부로 악취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춘 실링 구조의 채택에 따라 실내 보관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indoors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a sealing structure with durability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leakage of odors from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상기한 제1실시예 설명에서는 상기 압착분쇄유닛(30)이 기둥부(33)와 분쇄부(31)가 고정볼트(38)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기둥부(33)와 분쇄부(31)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대신 압착손잡이(35)를 별도로 제작한 후 기둥부(33)에 조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examples of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본 발명은 맷돌방식으로 음식물을 압착 분쇄시켜 잘게 부수면서 수분을 포함한 액상 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분리수거통에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od separation container capable of separating liquid components including moisture by crushing and crushing food by a millstone method.
10: 케이스 11: 바닥부
12: 벽면부 13: 단차부
14: O-링 15: 커버장금장치
16: 내부공간 17: 지지대
18: 바닥면 15a: 걸쇄부분
19:배수구 19a: 마개
19b: 배출관 20: 거름망
22: 플랜지 23: 관통구멍
24: 거름망 손잡이 25: 받침돌기부
26: 중앙부 30: 압착분쇄유닛
31: 분쇄부 32: 분쇄칼날
33: 기둥부 34: 나사홈
35:압착손잡이 36: 돌기
37: 중앙부 38: 고정볼트
40: 커버 41: 하단부
42: 돌기부 43: 요홈
44: 나사결합부 45: 나사산
46: O-링 47: 천정부
50: 수거통손잡이 100: 음식물 분리수거통10: Case 11: Bottom
12: wall part 13: step part
14: O-ring 15: cover lock
16: inner space 17: support
18:
19:
19b: discharge pipe 20: sieve
22: flange 23: through hole
24: sieve handle 25: support protrusion
26: central part 30: compression crushing unit
31: crushing unit 32: crushing blade
33: pillar 34: screw groove
35: crimping handle 36: protrusion
37: central part 38: fixing bolt
40: cover 41: lower part
42: protrusion 43: groove
44: threaded portion 45: thread
46: O-ring 47: ceiling
50: container handle 100: food waste container
Claims (9)
상기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 배출하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통형 거름망;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되어 압착손잡이의 회전시에 상하운동하면서 거름망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하기 위한 압착분쇄유닛;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벽면부 상단에 설치되어 커버를 결합할 때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용 제1 O-링;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벽면부 상측 또는 커버에 설치되어 커버를 원통형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커버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커버잠금장치는 원통형 케이스와 커버 사이의 실링상태를 유지시키는 음식물 분리수거통.cylindrical case;
a cylindrical sieve built in the cylindrical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separate and discharg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when the food waste is put in;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and having a screw coupling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 compression crushing unit screwed to the screw coupling part of the cover to crush and crush the food waste put into the sieve while moving up and down when the pressing handle is rotated;
a first O-ring for sealing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all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and for blocking odor from the food waste accommodated in the cas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coupled; and
a plurality of cover locking device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or on the cover to selectively fix the cover to the cylindrical case; and
The plurality of cover locking devices maintain a sealing state between the cylindrical case and the cover.
상기 커버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외주부가 결합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내주부에는 압착분쇄유닛의 기둥부에 형성된 나사홈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 분리수거통.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s
a lower end to which an outer periphery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case; and
and a screw coupling par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end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art;
A food separation container having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pillar of the crushing crushing unit and a screw thread to be screw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crew coupling unit.
상기 압착분쇄유닛은,
상기 커버의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하도록 외주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압착손잡이가 구비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복수의 분쇄칼날이 구비된 분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의 직경은 기둥부보다 더 크고, 상기 거름망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음식물 분리수거통.According to claim 1,
The compression crushing unit,
a pillar part having a screw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screw coupling part of the cover and provided with a pressing handle at the upper end; and
It includes a;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and the grind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on the lower surface;
The diameter of the crushing part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lumn part, and the food separation container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ieve.
상기 압착분쇄유닛의 분쇄부는 중앙부가 라운드 형태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거름망은 중앙부가 라운드 형태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음식물 분리수거통.4. The method of claim 3,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crushing unit has a concave shape in the central part of the round shape,
The sieve is a food separation container having a convex central portion in a round shape.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벽면부 상단에는 거름망을 내부에 장착한 경우 거름망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단차부에 결합되는 환형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환형의 돌기부는 거름망의 플랜지를 고정시키는 음식물 분리수거통.3. The method of claim 2,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a step portion on which the flange of the sieve is seated is formed when the sieve is mounted therein,
An annular protrusion coupled to the step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e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case, the annular protrusion fixes the flange of the sieve to the food separation container.
상기 압착분쇄유닛을 승강시키면, 상기 압착분쇄유닛의 분쇄부는 커버의 하부면 천정부와 접촉되며,
상기 분쇄부의 상부면과 커버의 하부면 천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용 제2 O-링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분리수거통.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rushing crushing unit is raised and lowered,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crush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second O-ring for sealing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and a ceiling por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to prevent odors inside the cas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바닥부의 바닥면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구조를 가지고 거름망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 배출될 때 자동으로 모이도록 안내하며,
상기 바닥부의 최저점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통하여 상기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의 외부에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개폐 가능한 배출관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분리수거통.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has an inclined structure inclined to one side and guid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to be automatically collected when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a sieve,
a drain port install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bottom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moistur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hole; and
and a discharge pipe control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ip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pe.
상기 복수의 분쇄칼날은 외주부를 따라 또는 복수의 동심원상으로 배열되는 음식물 분리수거통.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are arrang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r in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981A KR102323833B1 (en) | 2020-01-16 | 2020-01-16 | Food Garbage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981A KR102323833B1 (en) | 2020-01-16 | 2020-01-16 | Food Garbage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501A KR20210092501A (en) | 2021-07-26 |
KR102323833B1 true KR102323833B1 (en) | 2021-11-10 |
Family
ID=7712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5981A KR102323833B1 (en) | 2020-01-16 | 2020-01-16 | Food Garbage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383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8024B1 (en) * | 2013-08-21 | 2014-09-04 | (주)바른건강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KR101821272B1 (en) * | 2011-05-06 | 2018-01-23 | 김경중 | The compressed type of food garbage baske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1849Y1 (en) | 1997-01-27 | 1999-06-01 | 곽상호 | Food waste container |
KR200300894Y1 (en) | 2002-09-16 | 2003-01-24 | 고정순 | Food Waste Crushing Ejector |
KR20140014742A (en) | 2012-07-26 | 2014-02-06 | 주식회사 한미프렉시블 | Agitator of food waste disposer |
-
2020
- 2020-01-16 KR KR1020200005981A patent/KR1023238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1272B1 (en) * | 2011-05-06 | 2018-01-23 | 김경중 | The compressed type of food garbage basket |
KR101438024B1 (en) * | 2013-08-21 | 2014-09-04 | (주)바른건강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501A (en) | 2021-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3011856C (en) | Organic waste separator for under a sink | |
KR100963659B1 (en) |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in the sink | |
KR20180112233A (en) | foodwaste shredder for sink | |
KR101438024B1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200440415Y1 (en) | An apparatus for grinding garbage of sink | |
KR101792113B1 (en)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in sink with dehydration function | |
KR102323833B1 (en) | Food Garbage Box | |
KR10184709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KR20150074442A (en) | Device for disposing food garbage in the sink and apparatus to process food garbage manufactured therefrom | |
CN2317942Y (en) | Life garbage treatment machine | |
KR101474291B1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100776021B1 (en) | Processing system of food wastes | |
KR101345231B1 (en) | Food waste disposer in collection | |
KR20140004299U (en) | Food waste pulverizing and reducing apparatus | |
KR200191297Y1 (en) | Wet food waste automatic processor | |
JPH10235218A (en) | Garbage disposer | |
KR200360329Y1 (en) | Food rifuse disposal apparatus | |
KR102530299B1 (en) | Automatic food waste disposer combined and assembled with sink | |
KR101149365B1 (en) | Tophd | |
KR102201037B1 (en) | Food waste discharging device composed of floating type | |
KR101184297B1 (en)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kitchen | |
US20230038346A1 (en) | Organic waste separator for under a sink | |
KR200141849Y1 (en) | Food waste container | |
KR100624006B1 (en) |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 |
KR20220112919A (en) | Automatic food waste disposer combined and assembled with s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