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599B1 -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599B1
KR102323599B1 KR1020190142098A KR20190142098A KR102323599B1 KR 102323599 B1 KR102323599 B1 KR 102323599B1 KR 1020190142098 A KR1020190142098 A KR 1020190142098A KR 20190142098 A KR20190142098 A KR 20190142098A KR 102323599 B1 KR102323599 B1 KR 10232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wall
present
insulato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215A (ko
Inventor
류지춘
류종현
Original Assignee
류지춘
류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춘, 류종현 filed Critical 류지춘
Publication of KR2021004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3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단열재결합틀과 단열재를 적층하여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과 시공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벽체의 양면에 단열재를 구성하여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벽체의 내·외면에 단열재가 구성되어 단열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과 단열재를 적층한 후 단열재결합틀의 사이에 황토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가 시공되는 구조로 시공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공기간 및 시공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 사이에 간격유지철심을 구성하여 벽체의 두께가 일정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벽체의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with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단열재결합틀과 단열재를 적층하여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과 시공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벽체의 양면에 단열재를 구성하여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벽체의 시공구조는 내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벽체의 내부에 내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철근을 구성한 후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가 완성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벽체에 단열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980호와 같이 건축물 외측벽에 외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과 이격되도록 단열재를 설치하되, 상기 단열재는 측면에 단열재의 전면부 및 후면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합성연결재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합성연결재가 측면에 부착된 단열재를 서로 부착시켜 조립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합성연결재가 형성된 단열재와 이격되도록 건축물에 내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가 시공되는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내·외측 거푸집을 제거해야 함으로 시공기간과 시공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부의 온도로 인해 외부 벽체에서 내부로 외부의 온도가 전달되는 구조로 내부에 구성된 단열재가 외부의 온도를 완전히 막아줄 수 없으므로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460호와 같이 벽체의 외면에 단열재를 구성한 것으로, 벽체의 외면에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해 수개의 구성품으로 된 시공구조가 필요함으로 이 또한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시공기간과 시공단가를 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14980 B1 2013.01.09. KR 10-1224160 B1 2013.01.21.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벽체의 시공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내·외 벽체에 단열재를 구성하여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와 벽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시공구조를 간소화하여 시공기간 및 시공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에 단열재결합부를 형성하고, 측면에 끼움부를 형성한 한쌍의 단열재결합틀과; 상기 양측 단열재결합틀에 형성한 끼움부에 끼워지도록, 양단부에 끼움단부가 형성된 간격유지철심과; 상기 단열재결합틀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연결수단이 구성되는 단열재와; 단열재결합틀과 단열재결합틀을 간격유지철심으로 연결하고, 단열재결합틀의 단열재결합부에 단열재를 결합하여 황토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구성된 벽체설치공간부 및 벽체설치공간부에 황토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벽체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단열재의 전·후면의 상·하부에는 단열재결합틀의 두께에 부합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단열재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이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벽체의 시공구조는 벽체의 내·외면에 단열재가 설치된 구성으로 단열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에 단열재가 끼워지도록 적층한 후 단열재결합틀의 사이에 황토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가 시공되는 구조로 시공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공기간 및 시공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 사이에 간격유지철심을 구성하여 벽체의 두께가 일정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벽체의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의 측면에 끼움부를 형성하여 간격유지철심이 신속하게 끼워지도록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단열재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단열재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다른 구성을 보인 분리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다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코너·기둥결합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2는 코너·기둥결합틀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끼움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14는 끼움부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5와 도 16은 코너·기둥결합틀로 기둥부분을 시공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벽체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300)가 구성된 벽체(600)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열재(300)가 적층될 수 있도록 단열재결합틀(200)이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결합틀(200)은 한 쌍이 사용되며,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로 제작되는 것으로 좌·우로 연속반복되게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며, 단면상 'H'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부에 단열재(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열재결합부(210)를 형성하며, 내부에 관통된 중공(220)을 형성하고, 측면에 간격유지철심(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끼움부(230)를 형성한다.
상기 단열재결합틀(200)은 도 5와 같이 1개의 단열재(300)가 끼워지기 위해 2개의 단열재결합틀(200)이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단열재(30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한 개의 단열재결합틀(200)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끼움부(230)는 간격유지철심(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240)을 형성하여 간격유지철심(400)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철심(400)은 양측 단열재결합틀(200)에 형성된 끼움부에 끼워지며, 황토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철로 제작되고, 단열재결합틀(200)의 사이에 콘트리트가 타설될 수 있게 벽체설치공간부(5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단열재결합틀(2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에 끼움부(230)의 삽입공(2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굽어진 끼움단부(410)를 형성한다.
도 7은 단열재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단열재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단열재(300)는 일반적으로 단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티로폼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글라스 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단열재결합틀(200)에 끼워진 후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310)을 형성하고, 전·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선(340)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양측면에는 연결수단(340)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340)은 일 실시예로 도 7의 (a)와 같이 단열재(300)의 측면에 끼움돌기(320)를 형성하고, 반대쪽 단열재(300)의 측면에는 다른 단열재(300)의 끼움돌기(3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3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340)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b)와 같이 단열재(300)의 양측면에 결합돌기(350)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350)는 요홈의 형태로 2개의 단열재(300)의 측면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300)의 걸림턱(310)은 단열재결합틀(200)의 두께에 부합하도록 형성되어 단열재결합틀(200)에 단열재(30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이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다른 구성을 보인 분리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공구조의 다른 구성을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코너·기둥결합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코너·기둥결합틀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끼움부를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벽체(600)의 코너부분 또는 기둥부분을 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코너·기둥결합틀(200')은 도 10과 같이 벽체의 코너부분에 단열재결합틀(200)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기둥부분에 도 15 또는 도 16과 같이 코너·기둥결합틀을 서로 연결한 후 단열재결합틀(200)과 연결할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부에 단열재(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열재결합부(210)를 형성하며, 내부에 관통된 중공(220)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간격유지철심(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끼움부(230)를 형성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벽체를 완성한 후 벽체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코너·기둥결합틀(200')의 끼움부(230)가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이 돌출된 끼움부(230)를 도 9와 같이 절단하여 제거하면, 벽체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해당되는 코너·기둥결합부(200')의 측면이 평면이 된 상태인 건축물의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30)는 간격유지철심(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240)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의 양단부에는 도 13과 같이 간격유지철심이 내부로 신속하게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외부가 넓고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안내면(250)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14는 끼움부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코너·기둥결합틀(200')의 모서리에 형성된 끼움부(2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230)에 형성된 삽입공(240)을 1개, 3개, 5개, 7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공구조(100)는 단열재결합틀(200)과 단열재(300)가 벽체(600)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반복되게 결합되며, 벽체(600)의 높이에 따라 단열재결합틀(200)과 단열재(300)를 도 2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하고, 단열재결합틀(200)과 단열재결합틀(200) 사이에 간격유지철심(400)을 결합하면, 벽체(6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벽체설치공간부(500)가 형성되며, 이 벽체설치공간부(500)에 황토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벽체(600)가 완성되는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벽체(600)의 내외면에 단열재(300)가 구성되어 단열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200) 사이에 간격유지철심(400)을 구성하여 벽체(600)의 두께를 일정하게 시공할 수 있고, 간격유지철심(400)에 의해 벽체(6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결합틀(200)에 끼움부(230)를 형성하여 간격유지철심(400)이 신속하게 끼워지도록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공구조
200: 단열재결합틀 200': 코너·기둥결합틀
210: 단열재결합부 220: 중공
230: 끼움부 240: 삽입공
300: 단열재
310: 걸림턱 320: 끼움돌기
330: 끼움홈
400: 간격유지철심 410: 끼움단부
500: 벽체설치공간부 600: 벽체

Claims (10)

  1. 상·하부에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단열재결합부(210)를 형성하고, 내부에 관통된 중공(220)을 형성하며, 측면 끼움부(230)에 간격유지철심(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40)을 형성한 한쌍의 단열재결합틀(200)과
    상기 단열재결합틀(200)과 연결할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부에 단열재(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열재결합부(210)를 형성하며, 내부에 관통된 중공(220)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간격유지철심(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끼움부(230)를 형성하며, 외부면 또는 내부면의 끼움부(230)를 제거한 코너ㆍ기둥결합틀(200’)
    상기 양측 단열재결합틀(200)에 형성한 끼움부(230)에 끼워지도록, 양단부에 끼움단부(410)가 형성된 간격유지철심(400)과
    상기 단열재결합틀(200)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연결수단(340)이 구성되는 단열재(300)와
    단열재결합틀(200)과 단열재결합틀(200)을 간격유지철심(400)으로 연결하고, 단열재결합틀(200)의 단열재결합부(210)에 단열재(300)를 결합하여 황토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구성된 벽체설치공간부(500) 및 벽체설치공간부(500)에 황토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벽체(600)로 구성된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300)의 전·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선(340)을 형성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는 단열재결합틀(200)의 두께에 부합하도록 걸림턱(310)을 형성하여 단열재(30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이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42098A 2019-10-21 2019-11-07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 KR102323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08 2019-10-21
KR20190131008 2019-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215A KR20210047215A (ko) 2021-04-29
KR102323599B1 true KR102323599B1 (ko) 2021-11-09

Family

ID=7572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98A KR102323599B1 (ko) 2019-10-21 2019-11-07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5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598A (ja) * 1998-03-12 2003-05-08 Hitachi Chem Co Ltd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335A (ja) * 1997-09-10 1999-03-26 Emoto Kogyo Kk 布基礎の施工方法
KR20090106914A (ko) * 2008-04-07 2009-10-12 정광모 이중 단열 거푸집
KR101214980B1 (ko) 2011-08-16 2013-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224160B1 (ko) 2012-11-28 2013-01-21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구조물의 벽체와 외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시공구조 및 방법
KR101464073B1 (ko) * 2013-03-11 2014-11-21 남궁영환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598A (ja) * 1998-03-12 2003-05-08 Hitachi Chem Co Ltd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215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497B1 (en) Web for insulated concrete form
KR19990087395A (ko) 단열벽 및 이를 위한 부품
US5339592A (en) Insulated building blocks and composite walls having stackable half-bond symmetry
US8443560B2 (en) Concrete form block and form block structure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KR101372874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200440000Y1 (ko) 벽체 구성용 조립식 단열 블록
AU2014366090A1 (en) Precast modular concrete wall panel,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60010827A1 (en) Formwork element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20090106914A (ko) 이중 단열 거푸집
KR102323599B1 (ko) 단열재가 구성된 벽체의 시공구조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0961795B1 (ko) 거푸집형 블럭
US6796094B1 (en) Mortarless concrete wall system
JP2868996B2 (ja) 壁構造
KR200203651Y1 (ko) 벽체성형 블록
KR102304465B1 (ko) 단열재가 구성된 지붕의 시공구조
KR200258518Y1 (ko) 건축용 단열재 조립패널
JPH1046713A (ja) コンクリート壁用または基礎用型枠
CN216429040U (zh) 一种空心楼盖内模
CN210482669U (zh) 一种建筑模块转角结构墙
JP3069042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JPH0227048Y2 (ko)
ITBO20070712A1 (it) Pannello e pannello composi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ostru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