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544B1 -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544B1
KR102323544B1 KR1020190165932A KR20190165932A KR102323544B1 KR 102323544 B1 KR102323544 B1 KR 102323544B1 KR 1020190165932 A KR1020190165932 A KR 1020190165932A KR 20190165932 A KR20190165932 A KR 20190165932A KR 102323544 B1 KR102323544 B1 KR 10232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rane
main
main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836A (ko
Inventor
장여천
설융석
Original Assignee
장여천
설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여천, 설융석 filed Critical 장여천
Priority to KR102019016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5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은, 육면체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메인 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에 의하면, 제작 및 운반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작업자가 상해를 입지 않고 편리하게 발판을 운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CRANE SUPPORT SCAFFOLD MADE OF ALUMINUM}
본 발명은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에 대한 지지력을 보장하면서 제작 및 보관/운반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강철과 같이 무거운 금속이 아닌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되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거치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메인 홈을 관통 형성한 크레인 지지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즉 기중기는 건축현장과 같은 작업 환경에 기립 설치되어 작업물이나 자재를 소정 높이로 올리거나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타워크레인, 앵글 크레인, 하이드로 크레인, 카고 크레인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그 종류에 상관없이 지주가 공통적으로 작업 공간의 지반이나 바닥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 구조를 바닥에 고정시키거나 바닥이 침하되거나 꺼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 다지기 작업을 수행한다. 아니면 최소한 기울거나 파이지 않고 편평한 상태의 바닥에 크레인의 하부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크레인의 기립 상태를 안정하게 보장하기 위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암반이 아닌 토사로 이루어진 작업 환경의 바닥은 비가 많이 오거나 고중량의 크레인의 하중에 의해 토사가 가라앉거나 주변으로 쓸리면서 초기의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 측으로 기우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따르게 된다.
국내 특허 제 1819166호인 교량용 타워 크레인 지지 브라켓은 일단은 교각의 일 측면의 상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타워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프레임; 일단은 상기 교각의 상기 일 측면의 하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기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제2 프레임; 상기 교각의 상기 일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교각의 상기 상부에 부착하는 제1 지지대; 일단은 상기 제1 지지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타단과 결합되는 제2 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기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교각의 상기 상부와 다른 면에 부착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대에 형성된 홈 및 상기 교각의 상기 일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을 통과하는 강봉에 의해 상기 교각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크레인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교각용 타워 크레인과 같이 대형 크레인이 아니라 일반 건물 건축용 크레인에서는 이같은 브라켓을 활용하기에 번거로울 뿐 아니라 브라켓 구조 자체도 복잡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을 바닥에 지지한 상태에서 일부 부위가 파인 곳에 임시적으로 파인 곳을 메꿀 수 있는 간편한 용도로 활용하기에는 과도한 구조를 제공한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크레인의 바닥을 임시로 다지거나 크레인이 기립 지지되어 활용되고 있는 중에 바닥의 일부 부위가 파이거나 꺼져 해당 부위만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편평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크레인 지지용 발판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작 및 보관/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크레인의 레그를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 일 측에 작업자가 손을 끼워 들어올리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메인 홈을 구비한 크레인 지지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발판을 차량 등에 탑재하여 운반할 때 차량 내에서 불필요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리를 장착할 수 있는 서브 홈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발판의 일 측을 보다 편리하게 들어 올린 다음 메인 홈에 손을 끼울 수 있도록 측면에서 저면 측 부위에 그립 홈을 추가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그립 홈에 미끄럼 방지부를 추가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암모늄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포함함으로써 강도는 물론 탄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은, 육면체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메인 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홈의 일 측에서 상기 제 1 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것으로, 고리가 장착되는 서브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측면에서 저면 측으로 일정 높이 함입된 그립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그립 홈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거칠기를 부여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에 의하면,
1) 제작 및 운반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작업자가 상해를 입지 않고 편리하게 발판을 운반할 수 있고,
2) 차량을 통해 운반할 때 차량 일 측에 장착된 고리를 서브 홈에 매달아 운반 및 이동 시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3) 발판을 들어서 올릴 때 그립 홈을 통해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발판의 일 측을 파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그립 홈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5) 미끄럼 방지부에 암모늄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포함함으로써 그립 홈 주변의 강도 및 탄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에 메인 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 홈 주변에 서브 홈이 추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 그립 홈이 추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그립 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 홈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부에 포함되는 보조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에 메인 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발판은 일정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육면체 내지 판상체 내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발판의 형상을 본체(10)라 명명한다. 본체(10)는 반드시 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면이나 하면이 크레인이 지지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 경사진 형태를 가지거나 평면 형상이 육각, 평행사변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10)는 크레인의 하부 구조가 바닥에 지지될 때 바닥이 편평하지 못하고 파여 있거나 기울어져 있어 크레인이 바닥에 역시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어 안전성을 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본체(10)는 크레인의 하판이나 레그와 같은 하부 구조와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 내지 지지대, 또는 발판과 같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바닥이 균일하지 못해 크레인이 안전하게 기립되지 못하고 일 측으로 기울게 되거나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크레인의 이동과 함께 편리하게 바닥에 깔거나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크레인의 하판이 닿은 바닥의 오른쪽이 다른 부위에 비해 파여 있거나 하향 경사진 상태를 가질 때 바로 이 오른쪽 바닥 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을 받친 다음 크레인의 하부 구조가 이 발판 상에 안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발판이 크레인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이 본체(10)의 사이즈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현재 건축현장에서 활용되는 크레인의 하부 구조의 모서리 부위 등의 일부 부위를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가로/세로가 500 내지 800mm, 바람직하게는 600 mm에 150 내지 250 mm, 바람직하게는 200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바, 알루미늄은 철과 비교하자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고 부식에 강한 것은 물론 성형의 용이성으로 다양한 형상을 제작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알루미늄은 크레인의 하부 구조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어 철은 물론 기타 금속이나 합금에 비해 우수한 성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본체(10)의 일 측에는 메인 홈(20)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메인 홈(20)은 본체(10)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관통된 그루브(groove)로서,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 홈(20)은 본체(10)를 운반하거나 바닥에 장착 또는 분리할 때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본체(10)의 위치를 설정하거나 본체(1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만일 본체(10)에 아무런 홈이 없이 육면체로 형성된 경우 바닥에서 이를 들어 올릴 때 손가락에만 힘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쉽사리 들어 올리지 못하거나 들러 올리는 과정에서 자칫 본체(10)가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놓쳤을 때 손가락에 상해를 주는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메인 홈(20)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손, 특히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손을 이 메인 홈(20)에 끼워 쉽사리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에 안착시키거나 들어 올릴 때에도 메인 홈(20)에 손가락을 끼워 이 부위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쉽사리 별다른 안전사고 발생 없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인 홈(20)은 작업자의 손가락 길이에 상응한 너비 내지 폭을 가질 수 있는데, 본체(10)의 중앙 부위보다는 본체(10)의 측면에서 작업자의 손가락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의 내측 위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모서리 주변 부위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측면을 잡으면서 자연스럽게 메인 홈(20)에 손가락을 끼우거나 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인 홈 주변에 서브 홈이 추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메인 홈(20)이 본체(10)의 모서리 주변 일 측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2에서는 메인 홈(20)이 본체(10)의 일 측면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라인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2에 따른 메인 홈(20)은 본체(10)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특정되지 않고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일정 길이로 연장된 상태를 가져 작업자의 양 손을 끼울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거나 아니면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의 특성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의 손을 끼울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도 1,2에서는 메인 홈(20)이 1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본체(10)의 하부 왼쪽 모서리 주변 및 오른쪽 모서리 주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총 2개의 개수 또는 본체(10)의 사이즈에 따라 그 이상의 복수 개로서 관통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메인 홈(20)의 일 측에는 서브 홈(30)이 추가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 홈(30)은 차량에 매달 수 있는 끈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가 걸리는 부위로서, 이 서브 홈(30)은 메인 홈(20)과 내통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거나 아니면 메인 홈(20)과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즉, 서브 홈(30)은 차량 등의 이동 수단의 적재 공간에 본 발명의 발판을 탑재시킨 다음 이동할 때 적재 공간에서 본체(10)가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적재 공간의 측벽이나 기타 부위에 끈을 건 다음 대향 측 단부에 고리를 장착하여 고리가 서브 홈(3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본체(10)의 불필요한 유동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고리라 함은 반드시 링 형상이나 C 형상의 걸림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듭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의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수단에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는 상술한 메인 홈(20)에 체결될 수도 있으나 메인 홈(20)의 체적은 최소한 작업자의 4개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적지 않은 사이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리를 이 메인 홈(20)에 걸 경우 메인 홈(20) 내에서도 고리가 유동되어 불필요한 소음을 내면서 유동될 수 있다.
반면, 서브 홈(30)은 고리를 타이트하게 체결할 수 있는 체적, 즉 메인 홈(20)보다 작은 체적으로 이루어진 상태로 메인 홈(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이에 체결된 고리가 서브 홈(30)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손가락을 끼우는 용도가 아닌 고리 체결 용도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메인 홈(20)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체(10)의 측면 주변 상면 일 측에서 하면 일 측 부위에 관통 형성되기 때문에 서브 홈(30) 역시 고리를 체결하는 편의성, 즉 고리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지 않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본체(10)의 측면(둘레) 주변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본체(10) 둘레 주변 부위에 메인 홈(20)이 관통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메인 홈(20)을 기반으로 메인 홈(20)의 일 측 부위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브 홈(30)은 메인 홈(20)의 양 측 각각에 총 2개로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고리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동 수단에 1개만 장착할 경우 어느 일 측으로 쏠릴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동 수단의 양 측에 2개로 장착하되 그 장착 위치를 메인 홈(2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 또는 대칭 위치, 예를 들어 왼쪽 상부 모서리와 오른쪽 하부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이들에 고리를 장착하였을 때 본체(10)가 어느 일 측으로 쏠리지 않고 균형을 가지면서 이동 수단 내에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 그립 홈이 추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에는 그립 홈(40)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립 홈(40)은 메인 홈(20)이 형성된 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본체(10)의 일 측면의 하부에서 저면 측으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함입된 홈으로서, 이 그립 홈(40)은 본체(10)가 바닥에 밀착되어 있을 때 작업자가 메인 홈(20)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도입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체(10)가 공사장 등의 바닥에 밀착되어 메인 홈(20)에 손가락을 진입시키기 여의치 않을 때 작업자의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립 홈(40)에 손가락을 진입시키면 그립 홈(40) 자체가 바닥과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공간으로 손쉽게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고, 손가락을 안쪽으로 마는 동작과 함께 손가락의 끝단을 메인 홈(20)에 진입시키면 메인 홈(20)과 그립 홈(40) 사이 부위를 잡으면서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본체(10)를 파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파지한 이후에 본체(10)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그립 홈(40)은 특히 본체(10)가 작업장의 바닥이나 이동 수단의 적재 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을 때 별다른 힘을 쓰거나 손가락이 다치는 문제를 차단시키면서 본체(10)를 쉽게 들어 올리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립 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립 홈(40)을 통해 메인 홈(20)까지 손가락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도록 그립 홈(40)의 변형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그립 홈(40)은 제 1,2 함입부(41,42)를 포함한다.
제 1 함입부(41)는 본체(10)의 측면 하부 및 저면의 경계 부위인 도입 측에서 제 1 곡률반경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된 부위이고, 제 2 함입부(42)는 제 1 함입부(41)의 단부에서 제 1 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2 곡률반경으로 메인 홈(20)의 하부 측으로 라운딩지도록 함입된 부위를 말한다.
즉, 제 1 함입부(41)는 손가락이 안쪽으로 말리는 형상에 상응하도록 본체(10)의 저면에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으로, 통상의 성인 손가락이 말리는 형상에 상응한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본체(10)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제 2 함입부(42)는 제 1 함입부(41)의 단부에서 보다 첨예한 곡도, 즉 제 1 함입부(41)보다 작은 원을 이루도록 변곡되어 메인 홈(20)의 하부 측으로 급격히 라운딩지도록 말린 부위로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제 1 함입부(41) 내로 어느 정도 진입하였을 때 손가락의 끝단이 엉뚱한 부위에서 헤매지 않고 즉각적으로 메인 홈(20)을 향할 수 있도록 손가락의 끝 부위를 메인 홈(20) 측으로 신속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그립 홈(40)은 단순히 바닥과의 이격 공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손가락에 상응하는 인체공학적인 함입 구조를 제공하여 본체(10)의 파지 시 보다 안정적인 작업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여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현장에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메인 홈(20)에 작업자의 손을 거치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손을 안내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 홈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그립 홈(40)은 작업자의 손이 메인 홈(20)으로 진입되는 도입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립 홈(40)의 표면이 바닥의 진흙이나 이물질에 의해 미끄러워질 경우 작업자가 일정 높이만큼 본체(10)를 들어 올린 다음 자칫 본체(10)를 놓쳐 작업자의 발을 다치게 할 위험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그립 홈(40)의 표면에는 다른 부위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거칠기를 부여한 미끄럼 방지부(5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미끄럼 방지부(5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본체(10) 표면의 마찰계수보다 높은 재질을 그립 홈(40)의 표면에 별도로 부착하거나 아니면 그립 홈(40)의 표면 자체에 일반적인 알루미늄 표면보다 거친 거칠기를 가질 수 있도록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50)는 그립 홈(40)의 표면은 물론 그립 홈(40)의 도입 부위 주변의 본체(10) 측면 부위에도 형성되어 이 측면 부위가 지렛대의 중심점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본체(10)를 파지하거나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부에 포함되는 보조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미끄럼 방지부(50)는 1 내지 10중량%의 암모늄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포함함으로써 미끄럼 방지부(50)에 의해 그립 홈(40) 주변 부위의 강도가 저해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여 작업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보조제는 1차 용액 제조 단계(S220), 2차 용액 제조 단계(S221), 3차 용액 제조 단계(S222), 보조제 완성 단계(S223)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용액 제조 단계(S220)는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과 아디프산(Adipic acid)을 포함하는 베이스 물질 55 내지 80중량%, 암모늄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 5 내지 20중량%, 멜라민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 5 내지 20중량%, 나노클레이 5 내지 20중량%를 혼합한 뒤 100 내지 200분 동안 교반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디에틸렌글리콜은 용매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베이스 물질은 탄성 및 찢김 강도, 탄성이 우수한 물질로서 그립 홈(40) 주변 부위의 견고함을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더하여, 암모늄폴리포스테이트와 멜라민포스페이트, 나노클레이는 고온 및 고열이 저항하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서 특히 여름철에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가 불필요하게 태양열이나 지열을 흡수하여 뜨거워짐으로 작업자가 쉽사리 본체(10)를 파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2차 용액 제조 단계(S221)는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1차 용액 90 내지 99중량%, 옥토산주석(Tin(II)-2-ethylhexanoate)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뒤 질소 분위기 하에서 140 내지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정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혼합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하며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옥토산주석은 첨가한 물질들의 반응 속도를 촉진하는 촉매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3차 용액 제조 단계(S222)는 전체 3차 용액 중량 대비, 2차 용액 60 내지 75중량%, 물 5 내지 20중량%, 포타슘 2-에틸 헥사노에이트(Potassium-2-ethylhexanoate) 5 내지 20중량%, 실리콘 계면활성제 1 내지 20중량%를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30 내지 90초 동안 교반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물은 발포제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보조제의 재질에 영향을 주며, 포타슘 2-에틸 헥사노에이트는 발포제의 완성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L-690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들의 유화 및 혼합을 보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조제 완성 단계(S223)는 전체 보조제 중량 대비, 3차 용액 60 내지 80중량%, MDI(4,4-Diphenylmethane diisocynate) 20 내지 40중량%를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5 내지 20초 동안 교반한 뒤 40 내지 6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가열한 뒤 분쇄하여 보조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MDI는 폴리올 형태의 베이스 물질과 반응하여 폼(foam) 형태의 보조제를 완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폼 형태의 보조제는 분쇄되어 분쇄물의 형태로 미끄럼 방지부(50)의 제조 과정 시 첨가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보조제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으로 전도성이 우수한 본체 자체의 고온 친화적인 성질에 열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베이스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그립 홈(40) 주변 부위의 강도 및 탄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상술한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과 아디프산(Adipic acid)을 포함하는 베이스 물질은 중간 용액 제조 단계, 베이스 물질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중간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아디프산(Adipic acid) 30 내지 70중량%,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30 내지 70중량%을 혼합한 뒤 130 내지 170℃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아디프산과 디에틸렌글리콜은 베이스 물질 제조를 위한 주재료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두 물질이 함께 중합 반응하여 폴리올(polyol)형태의 베이스 물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제 제조 과정에 투입되어 결정을 형성하여 우수한 탄성 및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베이스 물질 완성 단계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전체 베이스 물질 중량 대비, 중간 용액 90 내지 99중량%, 옥토산주석(Tin(II)-2-ethylhexanoate) 1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뒤 100 내지 3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베이스 물질을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혼합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하며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50)에 추가되는 보조제에 의하여 기계적 성질 보강은 물론 열 저항성으로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는 것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20: 메인 홈
30: 서브 홈 40: 그립 홈
41: 제 1 함입부 42: 제 2 함입부
50: 미끄럼 방지부

Claims (10)

  1.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으로서,
    판상으로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 측에서 하면 일 측으로 관통된 메인 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메인 홈에 형성된 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측면의 하부에서 저면 측으로 일정 높이 함입된 그립 홈을 포함하되,
    상기 그립 홈은,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 및 저면의 경계 부위인 도입 측에서 제 1 곡률반경으로 상기 저면 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된 제 1 함입부와, 상기 제 1 함입부에서 상기 제 1 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2 곡률반경으로 상기 메인 홈의 하부 측으로 라운딩지도록 함입된 제 2 함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지지용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홈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지지용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메인 홈의 일 측에서 상기 메인 홈의 체적보다 작은 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것으로, 고리가 장착되는 서브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지지용 발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홈은,
    상기 메인 홈의 양 측 각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지지용 발판.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홈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거칠기를 부여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지지용 발판.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65932A 2019-12-12 2019-12-12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KR10232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32A KR102323544B1 (ko) 2019-12-12 2019-12-12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32A KR102323544B1 (ko) 2019-12-12 2019-12-12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36A KR20210074836A (ko) 2021-06-22
KR102323544B1 true KR102323544B1 (ko) 2021-11-05

Family

ID=7660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932A KR102323544B1 (ko) 2019-12-12 2019-12-12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5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544B2 (ja) * 1990-08-21 2000-05-29 シェブロン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第二段階の水素化分解のために中間細孔サイズのシリコアルミノ燐酸塩分子ふるい触媒及び水素化分解触媒の組合せを使用して中間留分を製造する方法
JP3135699B2 (ja) * 1992-09-24 2001-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電解金めっき液の濃縮保存液
JP2012012173A (ja) * 2010-07-01 2012-01-19 Tadano Ltd アウトリガジャッキの敷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544U (ja) * 1997-07-23 1998-02-03 株式会社関電工 アウトリガー脚部支持用ジャッキベース
JP3133170U (ja) * 2007-03-30 2007-07-05 雄一 平井 クランプ用パ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544B2 (ja) * 1990-08-21 2000-05-29 シェブロン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第二段階の水素化分解のために中間細孔サイズのシリコアルミノ燐酸塩分子ふるい触媒及び水素化分解触媒の組合せを使用して中間留分を製造する方法
JP3135699B2 (ja) * 1992-09-24 2001-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電解金めっき液の濃縮保存液
JP2012012173A (ja) * 2010-07-01 2012-01-19 Tadano Ltd アウトリガジャッキの敷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36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8223A (en) Scaffold support
EP3334889B1 (en) An extendable work platform
CN207959867U (zh) 一种带有翻板式便捷型脚手架
US20200102789A1 (en) Ladder lifting assembly
KR102323544B1 (ko) 알루미늄 재질의 크레인 지지용 발판
JP4713266B2 (ja) 梯子用足踏み台
CN205476420U (zh) 一种组合式钢爬梯
US1743371A (en) Roof jack
CN110254486A (zh) 多功能理货车及其使用方法
CN204754199U (zh) 模板托架及与该模板托架配合使用的托架支座
CN210087219U (zh) 一种多功能的滑移式人字梯
RU141326U1 (ru) Лестница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лесов
CN218971089U (zh) 一种安全型折叠梯
CN207863427U (zh) 一种t梁脚手架
CN203514752U (zh) 一种定型化电梯井操作平台
CN203905451U (zh) 一种结构特别加强防滑脚手板
CN219355143U (zh) 一种用于铁塔脚钉的防坠落挂板装置
KR200483677Y1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US20160265238A1 (en) Support Apparatus
CN103938851A (zh) 结构特别加强防滑脚手板
CN218234333U (zh) 一种双层楼板同时支设的模板支架底部支腿垫块
CN219638744U (zh) 一种曲屋面施工用折叠梯
CN220522466U (zh) 一种安装稳固的井下巷道顶眼凿岩折叠钢架台梯
CN216034437U (zh) 一种建筑用的支撑装置
CN210713750U (zh) 一种工程建筑施工用安全型吊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