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65B1 -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65B1
KR102323165B1 KR1020150093098A KR20150093098A KR102323165B1 KR 102323165 B1 KR102323165 B1 KR 102323165B1 KR 1020150093098 A KR1020150093098 A KR 1020150093098A KR 20150093098 A KR20150093098 A KR 20150093098A KR 102323165 B1 KR102323165 B1 KR 102323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ousing
vehicle
tailgate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786A (ko
Inventor
조명남
주성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테일게이트 주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과,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와, 렌즈를 지지하고 렌즈를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단순한 구조로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LIGHTING MODULE FOR TAILGA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 주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승차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장치와 조명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최근에는 실용적이고 각종 편의성이 제공되는 RV(recreational vehicles)나 MPV(multi-purpose vehicles)와 같은 다목적 차량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다목적 차량의 후방에는 사람 및 화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테일게이트가 설치된다.
차량의 테일게이트는 차체 후면에서 상단에 설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하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테일게이트는 차체 양측에 설치된 리프터(lifter)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 각도로 개폐되며, 아울러 테일게이트의 개폐는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닫힘 방향 모멘트와 리프터 내부에 충전된 기체의 팽창력의 상쇄/극복에 따라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의 하부 외측면에는 테일게이트의 개폐시 테일게이트를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설치된다.
테일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 물건을 싣거나 물건을 내리는 경우,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이 야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조명장치가 테일게이트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테일게이트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차량에 설치된 조명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조명장치는 차량의 실내 루프의 중앙이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내 조명장치로는 개방된 테일게이트 주변을 밝혀 사용자의 야간 작업을 지원하기가 어렵다.
또한 최근 캠핑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종래의 테일게이트 장착 차량은 테일게이트 개방시 조명 기능이 약하여 텐트 등 캠핑 장비의 설치에 도움이 못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36308호 (2005. 12. 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0898호 (2013. 02. 0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49379호 (1998. 10. 07)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고 수하물을 싣거나 내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차량의 후방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에 간단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지지하고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지지체는 그 회전 변위에 따라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는 광 굴절 특성이 다른 것이 복수로 상기 가동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지지체는 그 변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 중 하나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하기 위해 상기 가동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지지체의 변위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는 광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필터는 자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다.
상기 가동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지지체는 그 회전 변위에 따라 상기 렌즈와 상기 광필터 중 하나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광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상기 광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회로기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광원을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광원을 오프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상기 가동 지지체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디텐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디텐트 홈과, 상기 디텐트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디텐트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디텐트 홈과, 상기 디텐트 홈에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디텐트 수용홈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티텐트 볼과, 상기 디텐트 볼에 대해 상기 디텐트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디텐트 수용홈에 설치되는 디텐트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하는 광필터와, 상기 광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광필터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광필터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필터 지지체는 상기 광필터를 상기 렌즈 위에 포개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시키는 광필터와, 상기 광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광필터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단순한 구조로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 사용자가 차량용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고 수하물을 싣거나 내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공간을 밝혀 줌으로써 사용자의 야간 작업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렌즈 또는 광필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광조사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다양한 야간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이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이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은 하우징(110)과, 광원(125)과, 회로기판(140)과, 조작 버튼(155)과, 렌즈 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은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조명함으로써 사용자의 야간 작업을 도울 수 있고, 다양한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차량용 테일게이트(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설치홈에 간단하게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바디(111)와, 받침 커버(118)를 포함한다. 바디(111)는 받침 커버(118)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후크 고정홈(112)을 갖는다. 복수의 후크 고정홈(112)은 바디(111)의 측면에 복수로 구비된다. 바디(111)의 상면에는 장착홈(113)이 구비된다. 장착홈(113)에는 조작 버튼(155)과 렌즈 유닛(170)이 배치된다. 조작 버튼(155)과 렌즈 유닛(170)은 장착홈(113)에 수용되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불필요하게 조작되거나 파손되는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바디(111) 상면의 장착홈(113) 속에는 광 출사 구멍(114)과, 버튼 설치홈(115) 및 축 결합홈(116)이 마련된다. 광 출사 구멍(114)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125)에서 발생하는 빛을 하우징(110)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한 것이고, 버튼 설치홈(115)은 조작 버튼(155)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조작 버튼(15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 설치홈(115)에 삽입된다. 축 결합홈(116)은 렌즈 유닛(17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받침 커버(118)는 바디(111)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바디(111)의 하측에 결합된다. 받침 커버(118)는 바디(111)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후크(119)를 갖는다. 복수의 후크(119)가 바디(111)의 복수의 후크 고정홈(112)에 각각 결합되는 방식으로 바디(111)와 받침 커버(118)가 결합된다. 받침 커버(118)의 내측에는 지지부(120)가 구비된다. 지지부(120)는 광원(125)의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재(135)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120)에는 방열부재(135)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21)이 마련된다. 받침 커버(118)의 바닥면에는 관통구멍(122)이 마련된다. 관통구멍(122)은 후술할 커넥터(145)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하우징(110)의 바디(111)와 받침 커버(118)가 후크 결합식으로 설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디와 받침 커버의 결합 구조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111)와 받침 커버(118)가 조립식으로 결합된 구조 이외에, 광원(125)과, 회로기판(140)과, 렌즈 유닛(170) 등의 구성 부품을 지지하면서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마련되는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 이외에,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광원(125)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광원(125)으로는 저전력 고효율의 LED가 바람직하나, LED 이외에 빛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광원(125)에서 발생하는 빛은 광 가이드부재(130) 및 하우징(110)의 광 출사 구멍(114)을 거쳐 렌즈 유닛(170)에 구비되는 렌즈(171)(172)나 광필터(180)(181)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광 가이드부재(130)는 하우징(110)의 광 출사 구멍(114)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 내측에 설치된다. 광 가이드부재(130)는 광원(125)에 발생하는 빛이 통과하는 관통구멍(131)을 구비한다. 관통구멍(131)의 둘레에는 반사면(132)이 마련된다. 반사면(132)은 렌즈 유닛(170)의 렌즈(171)(172)나 광필터(180)(181)에서 반사되는 빛을 렌즈 유닛(170)의 렌즈(171)(172)나 광필터(180)(181)로 재반사시킴으로써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출사되는 빛의 광량을 증가시켜준다.
광원(125)이 작동할 때 열이 발생하게 되고, 광원(125)의 온도가 높아지면 광원(125)의 효율이 떨어지고 열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원(125)의 열을 지속적으로 방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방열부재(135)가 설치된다. 방열부재(135)는 도시된 것과 같이 광원(125)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광원(125)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켜준다. 방열부재(135)는 받침 커버(118)의 지지부(120)에 마련된 삽입구멍(121)에 삽입된다. 방열부재(135)의 일단은 광원(125)에 접하고 방열부재(135)의 타단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하우징(110)이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결합될 때, 방열부재(135)의 타단이 차량용 테일게이트(10)나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에 접함으로써 광원(125)에 대한 방열부재(135)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방열부재(135)는 도시된 원기둥 형상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로기판(140)은 광원(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회로기판(140)은 광원(125)의 온/오프 동작 등 광원(125)의 동작을 제어한다. 회로기판(140)에는 커넥터(145)가 결합된다. 커넥터(145)는 그 일단이 받침 커버(118)의 관통구멍(122)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하우징(110)이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결합될 때, 커넥터(145)가 차량용 테일게이트(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에 접속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배터리의 전원을 회로기판(140)에 공급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용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차량용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회로기판(140)은 광원(125)을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광원(125)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용 배터리의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회로기판(140)은 광원(125)을 점멸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을 정지시키게 할 수 있다. 경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하우징(110)에는 부저 등 다른 경고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회로기판(140)은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광원(125)을 오프시키도록 광원(125)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의 사용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회로기판(140)에는 스위치(150)가 설치된다. 스위치(150)는 광원(125)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150)는 조작 버튼(155)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 버튼(155)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위치(15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조작 버튼(155)은 하우징(110)의 버튼 설치홈(115)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다. 조작 버튼(155)은 가동부재(160)와 결합되어 가동부재(160)를 통해 스위치(150)를 작동시킨다. 가동부재(160)는 회로유닛(130)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부재(16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165)에 의해 가이드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버튼(155)의 누름 조작에 의해 하우징(110) 내에서 움직인다.
조작 버튼(155)은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가동부재(160)를 통해 스위치(150)를 작동시키는 구조 이외에, 스위치(15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작 버튼은 다른 이동식 구조나 회전식 구조 등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여 스위치를 작동시키거나, 터치식 구조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도 누름식 구조 외이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렌즈 유닛(17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장착홈(113)에 설치된다. 렌즈 유닛(170)은 한 쌍의 렌즈(171)(172)와, 가동 지지체(173)와, 한 쌍의 광필터(180)(181)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렌즈(171)(172) 중에서 하나의 렌즈(171)는 볼록 렌즈이고 다른 하나의 렌즈(172)는 오목 렌즈이다. 볼록 렌즈 구조의 렌즈(171)를 이용하면 광원(125)에서 발생하는 빛을 일정 부분에 집중시켜 출사할 수 있다. 그리고 오목 렌즈 구조의 렌즈(172)를 이용하면 광원(125)에서 발생하는 빛을 퍼트려서 더욱 넓은 부분을 조명할 수 있다.
가동 지지체(173)는 한 쌍의 렌즈(171)(172)와 한 쌍의 광필터(180)(181)를 지지하고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지지체(173)는 지지축(178)을 구비하여 그 지지축(178)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지지축(178)은 하우징(110)의 축 결합홈(116)에 삽입된다. 가동 지지체(173)는 한 쌍의 렌즈 결합홈(174)(175)과 한 쌍의 필터 결합홈(176)(177)을 갖는다. 한 쌍의 렌즈 결합홈(174)(175)은 렌즈(171)(172)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한 쌍의 필터 결합홈(176)(177)은 광필터(180)(181)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한 쌍의 렌즈(171)(172)는 렌즈 결합홈들(174)(175) 각각에 끼움 결합되고, 한 쌍의 광필터(180)(181)는 필터 결합홈들(176)(177) 각각에 끼움 결합된다.
가동 지지체(17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하고, 그 회전 변위에 따라 한 쌍의 렌즈(171)(172)와 한 쌍의 광필터(180)(181) 중에서 어느 하나를 광 가이드부재(130) 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가동 지지체(173)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렌즈(171)(172)와 한 쌍의 광필터(180)(18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렌즈(171)(172) 또는 광필터(180)(181)의 광학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광필터(180)(181)는 광필터 지지부재(182)로 연결된 상태로 가동 지지체(173)에 결합된다. 광필터들(180)(181)은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하는 것이다. 이들 광필터(180)(181)로는 다양한 광 필터링 특성을 갖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광필터(180)(181)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는 자외선 차단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알려진 것과 같이, 자외선 차단 필터는 하루살이나 나방, 모기 등의 해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캠핑시 사용자가 차량을 텐트 근처에 세워두고 차량용 테일게이트(10)를 열고, 자외선 차단 필터를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배치시킨 상태로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을 작동시키면 텐트 근처로 해충이 모여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 광필터(180)(181)로는 다양한 광조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광필터(180)(181)는 광필터 지지부재(182)와 함께 압출 성형될 수 있다. 광필터 지지부재(182)의 중간에는 가동 지지체(173)의 지지축(178)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183)이 마련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은 단순한 구조로 차량용 테일게이트(10)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 사용자가 차량용 테일게이트(10)를 개방하고 수하물을 싣거나 내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공간을 밝혀 줌으로써 사용자의 야간 작업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은 캠핑시 차량의 후방에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 텐트 등 캠핑 장비를 설치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은 다양한 종류의 렌즈(171)(172)와 광필터(180)(181)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명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야간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은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이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전용 배터리를 구비하는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배터리를 주전원으로 사용하고 별도의 배터리를 보조전원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렌즈 유닛(170)이 두 개의 렌즈(171)(172)와 두 개의 광필터(180)(181)를 구비한 것으로 나타냈으나, 렌즈 유닛에 구비되는 렌즈나 광필터의 개수 및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렌즈 유닛은 하나 이상의 렌즈만 구비하거나, 하나 이상의 광필터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렌즈 유닛(170)의 가동 지지체(173)가 하우징(110)에 회전형으로 설치되어 가동 지지체(173)의 회전 변위에 따라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광원(125)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가동 지지체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즉, 가동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렌즈 또는 하나 이상의 광필터를 지지하고 그 변위에 따라 렌즈 또는 광필터를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가동형 구조로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동 지지체는 하우징에 직선 이동 구조, 또는 틸팅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동 지지체와 렌즈 또는 광필터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200)은 하우징(110)과, 조작 버튼(155)과, 렌즈 유닛(170)과, 디텐트부(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2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과 비교하여 디텐트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광원(125)과, 광 가이드 부재(130)와, 방열부재(135)와, 회로기판(140)과, 커넥터(145)와, 스위치(150)와, 가동부재(160) 등이 설치된다.
렌즈 유닛(170)은 한 쌍의 렌즈(171)(172)와, 가동 지지체(173)와, 한 쌍의 광필터(180)(181)를 포함한다. 렌즈 유닛(170)의 가동 지지체(173)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 변위에 따라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광 출사 구멍(114) 위에 위치시킨다.
디텐트부(210)는 가동 지지체(173)의 움직임을 단속함으로써,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을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해준다. 즉, 디텐트부(21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동 지지체(173)에 가해질 때만 가동 지지체(173)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가동 지지체(173)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텐트부(210)는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디텐트 홈(211)과, 렌즈 유닛(170)의 가동 지지체(173)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텐트 돌기(212)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텐트 홈(211)은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바디(111)의 장착홈(113) 둘레에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복수의 디텐트 돌기(212)는 가동 지지체(173)의 가장자리 둘레에 복수의 디텐트 홈(211)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사용자가 가동 지지체(173)를 회전시켜 가동 지지체(173)의 디텐트 돌기(212)가 하우징(110)의 디텐트 홈(211)에 삽입되면 가동 지지체(173)는 쉽게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해야만 가동 지지체(173)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동 지지체(173)를 회전시켜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때, 가동 지지체(173)의 디텐트 돌기(212)가 하우징(110)의 디텐트 홈(211)에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이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디텐트부(2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텐트부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돌기와, 가동 지지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홈을 포함하는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디텐트부는 가동 지지체가 일정 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가동 지지체의 움직임을 단속하거나, 가동 지지체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하는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렌즈 유닛의 가동 지지체가 회전형 구조가 아닌 다른 형태의 가동형 구조로 하우징에 설치되는 경우, 디텐트부는 가동 지지체의 움직임 형태에 따라 가동 지지체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300)은 하우징(110)과, 조작 버튼(155)과, 렌즈 유닛(310)과, 광필터(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3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100)과 비교하여 렌즈 유닛(310)의 구조가 변경되고 렌즈 유닛(310)과 별도로 설치되는 광필터(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광원(125)과, 광 가이드 부재(130)와, 방열부재(135)와, 회로기판(140)과, 커넥터(145)와, 스위치(150)와, 가동부재(160) 등이 설치된다.
렌즈 유닛(310)은 복수의 렌즈(311)와, 가동 지지체(312)를 포함한다. 렌즈 유닛(310)의 가동 지지체(312)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 변위에 따라 복수의 렌즈(3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킨다. 복수의 렌즈(311)로는 볼록 렌즈나 오목 렌즈 등 광 굴절 특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이용될 수 있다.
광필터(320)는 광필터 지지체(330)에 지지되어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광필터 지지체(330)는 광필터 설치구멍(331)과 개구부(332)를 갖는다. 광필터(320)는 광필터 설치구멍(331)에 끼움 결합된다. 개구부(332)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조작 버튼(155)의 외곽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광필터 지지체(330)가 렌즈 유닛(310)을 덮을 때 조작 버튼(155)이 광필터 지지체(330)의 개구부(33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개구부(332)를 통해 노출된 조작 버튼(155)을 조작하여 광원(125)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광필터 지지체(330)는 이에 지지된 광필터(320)를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조인트 기구(340)에 의해 하우징(110)에 조인트 결합된다. 조인트 기구(340)는 회전축(341)을 구비하며, 광필터 지지체(330)가 이 회전축(34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광필터 지지체(330)가 하우징(110)의 상면을 덮을 때, 광필터(320)가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한 렌즈(311) 위에 포개짐으로써 렌즈(311)를 통과한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시키게 된다.
광필터(320)로는 하루살이나 나방, 모기 등의 해충을 막아줄 수 있는 자외선 차단 필터, 또는 그 밖에 다양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광필터 지지체(33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조인트 기구(340)에 의해 하우징(110)에 피봇 결합되는 구조 이외에, 광필터를 지지하고 광필터를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하우징에 가동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필터 지지체가 생략되고, 광필터가 직접 조인트 기구를 통해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가동 지지체(312)에 복수의 렌즈(311)가 설치되고, 광필터(320)가 렌즈(311) 위에 포개져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렌즈와 광필터의 설치 위치가 바뀐 구성도 가능하다. 즉, 가동 지지체에 복수의 광필터가 지지되고, 렌즈가 별도의 지지체에 의해 광필터 위에 포개져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앞선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과 렌즈 유닛(310)의 가동 지지체(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가동 지지체(312)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디텐트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400)은 하우징(110)과, 조작 버튼(155)과, 렌즈 유닛(170)과, 디텐트부(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400)은 도 5에 나타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200)과 비교하여 디텐트부(410)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광원(125)과, 광 가이드 부재(130)와, 방열부재(135)와, 회로기판(140)과, 커넥터(145)와, 스위치(150)와, 가동부재(160) 등이 설치된다.
디텐트부(410)는 가동 지지체(173)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텐트 홈(411)과,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디텐트 볼(412)을 포함한다. 복수의 디텐트 홈(411)은 가동 지지체(173)의 가장자리 둘레에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디텐트 볼(412)은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바디(111)의 장착홈(113) 둘레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디텐트 수용홈(413)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디텐트 수용홈(413)에는 디텐트 탄성부재(414)가 설치되어 디텐트 볼(412)에 대해 디텐트 수용홈(413)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사용자가 가동 지지체(173)를 회전시켜 가동 지지체(173)의 디텐트 홈(411)에 하우징(110)의 디텐트 볼(412)이 삽입되면 가동 지지체(173)는 쉽게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해야만 가동 지지체(173)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동 지지체(173)를 회전시켜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때, 가동 지지체(173)의 디텐트 홈(411)에 하우징(110)의 디텐트 볼(412)이 삽입된다. 따라서 복수의 렌즈(171)(172)와 복수의 광필터(180)(181)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이 광원(125)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동 지지체(173)가 회전하여 디텐트 볼(412)이 디텐트 홈(411)에서 벗어날 때, 디텐트 볼(412)은 디텐트 탄성부재(414)를 압축하면서 후퇴함으로써 가동 지지체(173)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텐트 볼(412)이 디텐트 홈(411)의 위치로 이동하면 디텐트 볼(412)은 디텐트 탄성부재(414)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여 그 일부분이 디텐트 홈(411) 속에 삽입된다.
디텐트부(2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텐트부의 디텐트 홈이 하우징에 구비되고 디텐트 볼이 가동 지지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텐트 탄성부재는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은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야간 작업을 도울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10...차량용 테일게이트
100, 200, 300, 400...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10...하우징 111...바디
112...후크 고정홈 113...장착홈
114...광 출사 구멍 115...버튼 설치홈
116...축 결합홈 118...받침 커버
119...후크 120...지지부
121...삽입구멍 125...광원
130...광 가이드부재 132...반사면
135...방열부재 140...회로기판
145...커넥터 150...스위치
155...조작 버튼 160...가동부재
170, 310...렌즈 유닛 171, 172, 311...렌즈
173, 312...가동 지지체 178...지지축
180, 181, 320...광필터 182...광필터 지지부재
210, 410...디텐트부 211, 411...디텐트 홈
212...디텐트 돌기 330...광필터 지지체
340...조인트 기구 341...회전축
412...디텐트 볼 413...디텐트 수용홈
414...디텐트 탄성부재

Claims (19)

  1.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지지하고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하기 위해 상기 가동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지지체의 변위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는 광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지지체는 그 회전 변위에 따라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광 굴절 특성이 다른 것이 복수로 상기 가동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지지체는 그 변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 중 하나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는 자외선 차단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지지체는 그 회전 변위에 따라 상기 렌즈와 상기 광필터 중 하나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7.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지지하고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하고,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광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9.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지지하고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회로기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광원을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광원을 오프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4.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지지하고 상기 렌즈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지지체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디텐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디텐트 홈과, 상기 디텐트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디텐트 홈과, 상기 디텐트 홈에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동 지지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디텐트 수용홈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텐트 볼과, 상기 디텐트 볼에 대해 상기 디텐트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디텐트 수용홈에 설치되는 디텐트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필터링하여 출사하는 광필터; 및
    상기 광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광필터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광필터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 지지체는 상기 광필터를 상기 렌즈 위에 포개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조인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19. 삭제
KR1020150093098A 2015-06-30 2015-06-30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KR102323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98A KR102323165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98A KR102323165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86A KR20170003786A (ko) 2017-01-10
KR102323165B1 true KR102323165B1 (ko) 2021-11-08

Family

ID=5781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098A KR102323165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282B1 (ko) 2018-12-17 2020-08-1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식 터치 센서 방식의 suv 테일게이트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59B1 (ko) * 2004-10-08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필터를 구비한 카메라폰
JP2012049127A (ja) * 2010-08-27 2012-03-08 Tyco Electronics Corp 光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154B1 (ko) 1996-12-19 1999-08-02 윤종용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KR100536308B1 (ko) 2003-09-01 2005-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 구조
KR101230898B1 (ko) 2010-11-30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의 아웃도어용 패키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59B1 (ko) * 2004-10-08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필터를 구비한 카메라폰
JP2012049127A (ja) * 2010-08-27 2012-03-08 Tyco Electronics Corp 光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86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2257C (zh) 车辆用控制装置
US7534018B2 (en) Illuminated visor vanity
KR101314937B1 (ko)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JP6629998B2 (ja) 車両の安全警告灯及び火災感知機能を有するキャンピングレジャー兼用照明装置
JP2000211369A (ja) 自動車のスライディングヘッドライナ―
US10029611B2 (en) Retractable truck bed lighting system
WO2006067460A1 (en) Removable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luggage compartment
EP2179890B1 (fr) Module d'identifica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KR10232316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EP1564567A1 (en)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US20100225248A1 (en) Illuminated visor vanity
US20180170252A1 (en) Light bar for a motor vehicle
KR100682095B1 (ko) 휴대용 전등
JP5084040B2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US7481548B2 (en) Portable case
EP1452394B1 (fr) Console coulissante commandable
KR101951287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60048340A (ko) 자동차의 통합형 룸램프
KR101125242B1 (ko) 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손잡이
FR2933167A1 (fr) Dispositif d'eclairement de l'environn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JP7012214B2 (ja) 携帯電灯
US11639781B1 (en) Vehicle trailer hitch illumination system
US20220170620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torage units
KR200371146Y1 (ko) 차량용 선바이저
WO2013121688A1 (ja) 車室内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