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154B1 -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154B1
KR100212154B1 KR1019960068087A KR19960068087A KR100212154B1 KR 100212154 B1 KR100212154 B1 KR 100212154B1 KR 1019960068087 A KR1019960068087 A KR 1019960068087A KR 19960068087 A KR19960068087 A KR 19960068087A KR 100212154 B1 KR100212154 B1 KR 10021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video
top box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379A (ko
Inventor
권주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6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1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teletext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셋톱 박스에 부가된 기능들에 따른 디플레이의 처리를 위한 OSD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기 원하는 특정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가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소정의 압축방법에 따라 압축한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부가정보 저장수단; MPEG알고리즘에 따라 비디오/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수단; 상기 비디오/오디오신호 및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수행하여 이들을 임시저장 및 독출하기 위한 메모리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신호와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 및 상기 디코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부가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화면에 표시될 영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영상신호 발생수단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며, 부가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추가의 OSD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의 날짜나 문자정보를 화면에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본 발명은 디지탈 셋톱 박스(DIGITAL SET TOP BOX)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셋톱 박스에 부가된 기능들에 따른 디플레이의 처리를 위한 OSD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셋톱 박스는 정보 전송 수단이 위성인 경우 위성방송 수신기, 케이블인 경우 케이블 셋톱 박스, 전화선인 경우 VOD 셋톱 박스 등 유선계와 무선게에 따라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디지탈 셋톱 박스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위성수신기는 최근 디지탈 위성방송이 전세계적으로 활성화되면서 미국의 DirecTV, 한국의 무궁화 위성 방송, 일본의 Perfect TV 등 서비스를 이미 개시하였거나 그 준비 중에 있다.
디지탈 셋톱 박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위성방송 수신기와는 달리 수신기 내부의 기능블록 거의 대부분이 디지탈 로직들로 구성된 장치인데, 마치 개인용 컴퓨터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DRAM 그리고 주변장치 등으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MPEG TS DEMUX, MPEG 비디오 오디오 디코더, DRAM, 채널부 등으로 구성된 집적도가 높은 디지탈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디지탈 셋톱 박스에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부가하여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부가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추가의 OSD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SD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탈 셋톱 박스의 구성블럭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셋톱 박스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기 원하는 특정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가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소정의 압축방법에 따라 압축한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부가정보 저장수단; MPEG알고리즘에 따라 비디오/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수단; 상기 비디오/오디오신호 및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수행하여 이들을 임시저장 및 독출하기 위한 메모리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신호와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 및 상기 디코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부가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화면에 표시될 영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영상신호 발생수단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디지탈 셋톱 박스에 적용되는 기술은 소스 디코딩부에서 MPEG을 사용하고 8M-32M 비트 정도의 DRAM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탈 데이타 처리에 기본이 되는 DRAM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부가 기능을 위하여 이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기억해야 할 기념일과 같은 날짜를 기억시키고 이를 그 날짜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와 같은 문자정보를 기억시켜 놓고 나중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기본적인 계산기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SD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탈 셋톱 박스의 구성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부가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리모콘(1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기 원하는 특정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고, ROM(13) 또는 SRAM(14)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소정의 압축방법에 따라 압축한 다음 이를 저장한다. MPEG디코더(15)는 MPEG알고리즘에 따라 비디오/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고, DRAM(16)은 MPEG디코더(15)의 비디오/오디오신호 및 OSD제어기(18)의 부가정보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수행하여 이들을 임시저장 및 독출한다. NTSC/PAL 인코더(17)는 MPEG디코더(15)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OSD제어기(18)로부터 출력된 부가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화면에 표시될 영상신호를 발생한다.
OSD제어기(18)는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비디오/오디오신호와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시킨다. 즉,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소정의 압축방법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압축을 풀어서 출력하거나 그대로 통과시켜, 이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DRAM(16)의 특정 번지 범위에 저장하거나 NTSC/PAL 인코더(17)로 출력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1)는 호스트CPU(11)의 어드레스버스와 데이타버스에 연결되어, 호스트CPU(11)에 의하여 읽혀진 ROM(13) 또는 SRAM(14)에 저장된 압축 비트맵 데이타를 전송받는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전송된 압축 비트맵 데이타는 디컴프레서(decompressor)(23)로 전송된다. 디컴프레서(23)는 압축데이타의 헤더파일에 들어있는 압축방법에 해당하는 ID를 알아낸 뒤 그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압축을 풀어내거나 그대로 통과시킨다. 디컴프레서(23)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DMA부(24)로 전송되고, DMA부(24)는 DRAM제어기(22)에서 발생된 DRAM 구동용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DRAM(16)의 특정 번지 범위에 빠른 속도를 데이타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리모콘(12)을 통하여 셋톱 박스가 연결된 TV수상기나 모니터 앞에서 원하는 한글/영문 아스키문자를 입력한 뒤, 이것을 셋톱 박스에 저장하고 싶을 경우에는 호스트CPU(11)가 내부의 SRAM(14)에 라이트하게 되며, 필요할 때 이것을 억세스하여 OSD제어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NTSC/PAL인코더(17) 내에서 오버레이(overlay)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셋톱 박스에 의하면, 부가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추가의 OSD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의 날짜나 문자정보를 화면에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기 원하는 특정의 부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가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소정의 압축방법에 따라 압축한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부가정보 저장수단; MPEG알고리즘에 따라 비디오/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수단; 상기 비디오/오디오신호 및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리드/라이트를 수행하여 이들을 임시저장 및 독출하기 위한 메모리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신호와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수단; 및 상기 디코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부가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화면에 표시될 영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영상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셋톱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소정의 압축방법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압축을 풀어서 출력하거나 그대로 통과시키는 디컴프레스수단; 및 상기 디컴프레스수단에서 출력된 정보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수단의 특정 번지 범위에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신호 발생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셋톱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날짜에 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셋톱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전화번호를 포함한 문자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셋톱 박스.
KR1019960068087A 1996-12-19 1996-12-19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KR10021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087A KR100212154B1 (ko) 1996-12-19 1996-12-19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087A KR100212154B1 (ko) 1996-12-19 1996-12-19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79A KR19980049379A (ko) 1998-09-15
KR100212154B1 true KR100212154B1 (ko) 1999-08-02

Family

ID=1948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087A KR100212154B1 (ko) 1996-12-19 1996-12-19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618A (ko) * 1998-10-13 2000-05-06 구자홍 그래픽 오버레이 기능을 가지는 셋트톱 박스
KR100386429B1 (ko) * 2001-05-25 2003-06-02 채수익 멀티미디어 장치용 비디오 신호 처리 툴
KR20030013064A (ko) * 2001-08-06 2003-02-14 박경수 동영상 압축 프로토콜
KR102323165B1 (ko) 2015-06-30 2021-11-0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라이팅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7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7882B1 (en) Visual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oper image orientation
MX9606438A (es) Arreglo de despliegue en pantalla para un sistema de procesamiento de señal digital de video.
KR980007747A (ko) 텔레비전 수상기를 위한 메모리 관리 시스템
MY120196A (en) On screen display arrangement for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KR970019574A (ko)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MX9709061A (es) Provisiones de despliege visual en pantalla animado para un sistema de procesamiento de señal de video de mpeg.
JP4427599B1 (ja) 画像処理装置、受信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301487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rtial video frame data
KR100212154B1 (ko)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구비한 디지탈 셋톱 박스
JP200809088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20080281990A1 (en) Expansion device adapted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1184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true color mode
CN103581733A (zh) 远程显示装置
US8068179B2 (en) On-screen display device with compressed data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080055471A1 (en) Video integrated circuit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US6961382B1 (en)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ion display
US20070130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broadcast video with application graphic in DTV
KR100238312B1 (ko) 사용자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CN1067200C (zh) 视频即时回放系统
CN101166244B (zh) 屏幕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AU7379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true color mode
US20040051714A1 (en) Graphics display module and method
KR100294018B1 (ko) 엠펙시스템디코더의그래픽데이터처리방법
KR970004881A (ko) 동영상 압축 전송장치 및 그 방법과 압축 영상 복원장치 및 그 방법
JP4960433B2 (ja) 画像処理装置、受信装置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