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51B1 -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51B1
KR102323151B1 KR1020210110724A KR20210110724A KR102323151B1 KR 102323151 B1 KR102323151 B1 KR 102323151B1 KR 1020210110724 A KR1020210110724 A KR 1020210110724A KR 20210110724 A KR20210110724 A KR 20210110724A KR 102323151 B1 KR102323151 B1 KR 10232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rear end
seat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박정현
Original Assignee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102021011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휠체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간격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앞바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뒷바퀴; 환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발판;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용변통;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AUTOMATED WHEELCHAIR FOR CRITICALLY-IMPAIRED PATIENTS}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휠체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노령 세대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휠체어가 우리 사회에서 더욱 주목되고 있다. 휠체어는 장애인과 부상자에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별도의 도움과 지원이 요구되는 노인에게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다.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을 정도의 중증 환자가 병실에 입원할 경우, 중증 환자가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 입원실에 커튼을 치고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주로 기저귀 등을 이용하여 용변을 처리하여야 하였는 바 불쾌한 악취 등으로 인해 방문자나 다른 입원 환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중증 환자가 화장실로 이동하여 용변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보호자 또는 요양사가 해당 환자를 좌/우로 돌리거나 하는 데에 많은 힘이 들어 중증 환자의 경우 요양사 또는 보호자가 간호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요양사의 이직률까지 높게 발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831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25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동으로 휠체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병실에 입원한 중증 환자가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 요양사 또는 간병인 등이 힘들이지 않고 중증 환자를 화장실로 옮기거나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용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를 제공한다.
또한, 중증 환자와 요양사 또는 간병인이 서로 얼굴을 맞주보면서 중증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대화를 하면서 중증환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중증환자가 남성인 경우 여성 요양사나 간병인인이 남성중증 환자의 용변처리를 기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는, 바닥면과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간격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앞바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뒷바퀴; 환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발판;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용변통;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회전 구동축이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는 좌우 수평 방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 구동 모터; 일측이 상기 제2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승하강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좌우 수평 방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후단에서 회전축이 상하 수직 방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서로 직각이 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2 구동 기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 기어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볼트형 바아; 및 상기 볼트형 바아와 대향하면서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내측을 따라 상기 볼트형 바아의 상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볼트형 바아의 기어산이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바아 삽입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는 승하강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파이프는, 상기 볼트형 바아가 상기 바아 삽입 공간의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형 바아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 기어는 나사형 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동 기어는, 웜휠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구동 기어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직선 베벨 기어로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하부 바아; 및 상기 하부 바아의 상부가 하측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상부 지지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환자의 둔부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착석 플레이트; 환자의 둔부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착석 플레이트; 환자 또는 간병인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손잡이; 환자 또는 간병인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손잡이; 환자의 등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의 후단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등받이; 환자의 등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의 후단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등받이; 및 의료 장비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손잡이 또는 상기 제2 손잡이에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단 프레임;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뒤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타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뒤 상기 제2 손잡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제2 체결 바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부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 절반을 덮을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일측을 상기 제1 체결 바아가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플레이트 바디;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타측에서 타원 형태로 일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타원형 공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 프레임; 및
상기 제1 체결 돌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체결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의 하측면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측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곡선형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등받이는,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걸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등받이는, 상기 걸고리가 걸리기 위한 걸쇠가 후단에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쇠는, 상기 걸고리가 걸린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림 방지 헤드가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앞바퀴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뒷바퀴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동으로 휠체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증 환자의 경우에도 손쉽게 휠체어에 착석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처리할 수 있어 간병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증 환자와 요양사 또는 간병인이 서로 얼굴을 맞주보면서 중증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대화를 하면서 중증환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증환자가 남성인 경우 여성 요양사나 간병인인이 남성중증 환자의 용변처리를 기피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승하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은 도 2의 제1 구동 기어와 제2 구동 기어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착석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제1 착석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구성) 설명에 앞서 기술사상을 설명하면, 중증환자를 병상침대 일측면에 앉게 한 후 중증환자의 착석 좌석부를 스위치로 작동하여 자동으로 휠체어를 들어올린 후 휠체어에서 용변을 보게 하거나 또는 화장실로 쉽게 쉽게 이동시켜 좌석부를 다시 하강시켜 용변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 휠체어의 작동원리는 먼저 본 발명의 휠체어를 중증환자가 있는 병상침대 상면의 높이에 맞추기 위해 자동으로 착석 좌석부 들어올린후 그 다음으로 중증환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휠체어에 중증환자를 탑승시키기 위해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제1, 2착석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킨후 제1, 2착석 플레이트를 슬라이딩홈(524)과 체결돌기(518)에 의해 제1, 2착석플레이트(520, 530)를 벌어지게 한 다음 요양사 또는 간병인이 중증환자의 좌, 우 둔부를 차례로 적은 힘으로 중증환자를 제1, 2착석플레이트(520, 530)에 앉힌 후 다시 제1, 2착석플레이트(520, 530)를 원래상태로 복귀 시키고, 그 다음으로 제1, 2등받이부(560, 570)에 형성된 걸쇠(571)에 걸고리(561)를 걸어서 안전하게 화장실로 이동시켜 용변을 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10)는, 메인 프레임(100), 두 개의 앞바퀴(200), 두 개의 뒷바퀴(300), 두 개의 발판(400), 착석부(500), 용변통(600) 및 승하강부(70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바닥면과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10)와 상부 프레임(120)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120)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착석부(500)가 설치되며, 일측 및 타측에 앞바퀴(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 일측 및 타측에 뒷바퀴(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두 개의 발판(40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 바퀴(800)가 설치될 수 있다.
앞바퀴(200)는, 뒷바퀴(300)보다 큰 휠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이동을 위해 하부 프레임(11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앞바퀴(200)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뒷바퀴(3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이동을 위해 하부 프레임(110)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뒷바퀴(300)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발판(400)은, 환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110)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400)은, 하부 프레임(110)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축(4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착석부(500)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1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용변통(600)은, 착석부(500)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착석부(5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승하강부(700)는,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10)는, 자동으로 휠체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10)는, 중증 환자의 경우에도 손쉽게 휠체어에 착석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용변을 처리할 수 있어 간병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승하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승하강부(700)는, 하부 지지 프레임(710), 상부 지지 프레임(72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730), 제2 측면 지지 프레임(740), 승하강 구동 모터(750), 제1 구동 기어(760), 제2 구동 기어(770), 볼트형 바아(780) 및 승하강 파이프(79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 프레임(710)은, 상부 지지 프레임(720)과 대향하면서 하부 프레임(110)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된다.
상부 지지 프레임(720)은, 하부 지지 프레임(710)과 대향하면서 상부 프레임(120)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며, 하측에 설치되는 승하강 파이프(79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측면 지지 프레임(730)은, 하부 프레임(110)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내측면에 제1 구동 기어(7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측면 지지 프레임(74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730)과 대향하면서 하부 프레임(110)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내측면에 승하강 구동 모터(750)가 설치된다.
승하강 구동 모터(750)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730)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740)의 내측면에서 회전 구동축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730)과 대향하는 좌우 수평 방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제1 구동 기어(76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구동 모터(750)는, 별도로 구비되는 콘트롤러(C)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요청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배터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760)는, 일측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740)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74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승하강 구동 모터(750)의 회전 구동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좌우 수평 방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승하강 구동 모터(750)의 회전 구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제2 구동 기어(77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제2 구동 기어(770)는, 제1 구동 기어(760)의 후단에서 회전축이 상하 수직 방향을 형성하도록 제1 구동 기어(760)와 서로 직각이 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1 구동 기어(76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상측에 설치되는 볼트형 바아(78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볼트형 바아(780)는, 바아 삽입 공간(791)의 나사산(791a)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나사산(780a)이 연장 형성되며, 제2 구동 기어(77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제2 구동 기어(77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승하강 파이프(79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승하강 파이프(790)는, 볼트형 바아(780)와 대향하면서 상부 지지 프레임(720)의 하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내측을 따라 볼트형 바아(780)의 상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볼트형 바아(780)의 기어산이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791a)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바아 삽입 공간(791)을 하부에 형성하며, 바아 삽입 공간(79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볼트형 바아(78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부 지지 프레임(72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파이프(790)는, 볼트형 바아(780)가 바아 삽입 공간(791)의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볼트형 바아(78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부 프레임(12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기어(760)는 나사형 웜(76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동 기어(770)는, 웜휠(770a)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도 4의 (a)).
이 경우, 제2 구동 기어(77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축(B)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 프레임(71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기어(760)와 제2 구동 기어(770)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직선 베벨 기어(760b, 770b)로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도 4의 (b)).
이 경우, 직선 베벨 기어(770b)는, 상측에 설치되는 볼트형 바아(780)가 승하강 파이프(79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제1 측면 지지 프레임(730)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74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프레임(130)은, 상부 지지 프레임(720)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본 발명이 기울어지는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 바아(131) 및 상부 지지 파이프(132)를 포함한다.
하부 바아(131)는, 하부 프레임(11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상부 지지 파이프(132)는, 하부 바아(131)의 상부가 하측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 프레임(120)의 하측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하강부(700)는, 환자의 신장에 대응하여 휠체어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휠체어의 형태를 변형시킬 필요 없이 콘트롤러(C)의 버튼을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손쉽게 휠체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시킴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착좌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착석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착석부(500)는, 슬라이더(510), 제1 착석 플레이트(520), 제2 착석 플레이트(530), 제1 손잡이(540), 제2 손잡이(550), 제1 등받이(560), 제2 등받이(570) 및 거치대(58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510)는, 상부 프레임(120)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에 제1 착석 플레이트(520)와 제2 착석 플레이트(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착석 플레이트(520)는, 환자의 둔부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5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에 제1 손잡이(540)가 설치되고, 후단에 제1 등받이(560)가 설치된다.
제2 착석 플레이트(530)는, 환자의 둔부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51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에 제2 손잡이(550)가 설치되고, 후단에 제2 등받이(570)가 설치된다.
제1 손잡이(540)는, 환자 또는 간병인이 파지할 수 있도록 제1 착석 플레이트(520)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거치대(580)가 설치된다.
제2 손잡이(550)는, 환자 또는 간병인이 파지할 수 있도록 제2 착석 플레이트(530)의 전단 상측에 설치된다.
제1 등받이(560)는, 환자의 등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손잡이(54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F1)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착석 플레이트(520)의 후단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등받이(560)는,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걸고리(56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등받이(570)는, 환자의 등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손잡이(55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 프레임(F2)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착석 플레이트(530)의 후단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등받이(570)는, 걸고리(561)가 걸리기 위한 걸쇠(571)가 후단에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쇠(571)는, 걸고리(561)가 걸린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림 방지 헤드(572)가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580)는, 의료 장비(예를 들어, 링거 등)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제1 손잡이(540) 또는 제2 손잡이(550)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착석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제1 착석 플레이트(520)와 제2 착석 플레이트(530)의 각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후단을 개방시킨 뒤 2) 슬라이더(510)를 후진시켜 개방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환자의 둔부가 배치되도록 한 뒤 3) 간병인에 의해 환자의 둔부가 착석하고 있는 침상으로부터 상승되면 4) 제1 착석 플레이트(520)와 제2 착석 플레이트(530)의 각 후단으로 서로 밀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 5) 환자의 둔부가 안착되어 휠체어에 손쉽게 탑승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21), 제2 프레임(122) 및 제3 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21)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에 제2 프레임(122) 및 제3 프레임(123)이 형성된다.
제2 프레임(122)은, 제1 프레임(121)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3 프레임(123)은, 제1 프레임(121)의 타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더(510)는, 전단 프레임(511), 제1 측면 프레임(512), 제2 측면 프레임(513), 제1 절곡 프레임(514), 제2 절곡 프레임(515), 제1 체결 바아(516), 제2 체결 바아(517), 제1 체결 돌기(518) 및 제2 체결 돌기(519)를 포함한다.
전단 프레임(511)은, 상부 프레임(120)의 전단, 즉 제1 프레임(121)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 및 타측의 각 상측에 제1 체결 바아(516)와 제2 체결 바아(517)가 설치되며, 일측 및 타측에 제1 측면 프레임(512) 및 제2 측면 프레임(513)이 형성된다.
제1 측면 프레임(512)은, 전단 프레임(511)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 프레임(120)의 일측, 즉 제2 프레임(122)의 상측에 연결 설치된다.
제2 측면 프레임(513)은, 전단 프레임(511)의 타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 프레임(120)의 타측, 즉 제3 프레임(123) 의 상측에 연결 설치된다.
제1 절곡 프레임(514)은, 제1 측면 프레임(512)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측에 제1 체결 돌기(518)가 돌출 형성된다.
제2 절곡 프레임(515)은, 제2 측면 프레임(513)의 후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측에 제2 체결 돌기(519)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체결 바아(516)는, 제1 착석 플레이트(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전단 프레임(511)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착석 플레이트(520)의 전단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뒤 제1 손잡이(54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된다.
제2 체결 바아(517)는, 제2 착석 플레이트(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전단 프레임(511)의 타측에 직립 설치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착석 플레이트(530)의 전단 타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뒤 제2 손잡이(55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바아(516)와 제2 체결 바아(517)는, 제1 손잡이(540)와 제2 손잡이(550)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전단 프레임(511)의 상측에서 베어링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기(518)는, 제1 절곡 프레임(514)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2 체결 돌기(519)는, 제2 절곡 프레임(515)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측면 프레임(512)은, 프레임 바디(5121), 하부 슬라이딩 돌기(5122) 및 측면 슬라이딩 돌기(5123)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5121)는, 전단 프레임(511)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 프레임(122)의 상측에 안착되며, 하측에 하부 슬라이딩 돌기(5122)가 설치되고, 타측에 측면 슬라이딩 돌기(5123)가 설치된다.
하부 슬라이딩 돌기(5122)는, 제2 프레임(122)의 상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5121)가 제2 프레임(122)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512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측면 슬라이딩 돌기(5123)는, 제3 프레임(123)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122)의 타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5121)가 제2 프레임(122)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5121)의 하부 타측에 돌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착석 플레이트(520)는, 플레이트 바디(521), 타원형 공간(522), 돌출 프레임(523) 및 곡선형 슬라이딩홈(524)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바디(521)는, 상부 프레임(120)의 일측 절반을 덮을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521a)을 통해 제1 체결 바아(516)가 관통하고 삽입되어 슬라이더(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타원형 공간(522)은, 플레이트 바디(521)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제2 착석 플레이트(530)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바디(521)의 타측에서 타원 형태로 일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돌출 프레임(523)은, 제1 절곡 프레임(514)과 대향하면서 플레이트 바디(52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곡선형 슬라이딩홈(524)은, 제1 체결 돌기(518)가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 바디(521)가 회동함에 따라 제1 체결 돌기(518)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 프레임(523)의 하측면과 플레이트 바디(521)의 하측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100: 메인 프레임
200: 앞바퀴
300: 뒷바퀴
400: 발판
500: 착석부
600: 용변통
700: 승하강부

Claims (12)

  1. 바닥면과 대향하면서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간격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앞바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뒷바퀴;
    환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발판;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환자의 둔부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착석 플레이트, 환자의 둔부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착석 플레이트, 환자 또는 간병인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손잡이, 환자 또는 간병인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손잡이, 환자의 등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의 후단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등받이, 환자의 등 타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의 후단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등받이. 및 의료 장비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손잡이 또는 상기 제2 손잡이에 설치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용변통;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회전 구동축이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는 좌우 수평 방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 구동 모터;
    일측이 상기 제2 측면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승하강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좌우 수평 방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후단에서 회전축이 상하 수직 방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서로 직각이 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2 구동 기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 기어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볼트형 바아; 및
    상기 볼트형 바아와 대향하면서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내측을 따라 상기 볼트형 바아의 상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볼트형 바아의 기어산이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바아 삽입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는 승하강 파이프;를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파이프는,
    상기 볼트형 바아가 상기 바아 삽입 공간의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형 바아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기어는
    나사형 웜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 기어는,
    웜휠로 형성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구동 기어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직선 베벨 기어로 각각이 형성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하부 바아; 및
    상기 하부 바아의 상부가 하측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상부 지지 파이프;를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단 프레임;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뒤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의 전단 타측을 관통하고 삽입된 뒤 상기 제2 손잡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제2 체결 바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체결 돌기;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부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 절반을 덮을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일측을 상기 제1 체결 바아가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플레이트 바디;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착석한 상태에서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착석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타측에서 타원 형태로 일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타원형 공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 프레임; 및
    상기 제1 체결 돌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체결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의 하측면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측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곡선형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받이는,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걸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등받이는,
    상기 걸고리가 걸리기 위한 걸쇠가 후단에 구비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KR1020210110724A 2021-08-23 2021-08-23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KR10232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24A KR102323151B1 (ko) 2021-08-23 2021-08-23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24A KR102323151B1 (ko) 2021-08-23 2021-08-23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151B1 true KR102323151B1 (ko) 2021-11-05

Family

ID=7850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724A KR102323151B1 (ko) 2021-08-23 2021-08-23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1641A (zh) * 2022-03-28 2022-06-10 浙江大学医学院附属第一医院 一种新型轮椅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KR102500638B1 (ko) 2022-10-31 2023-02-16 (주)금룡테크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KR20230065839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이동형 음압 휠체어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898A (ko) * 2004-12-14 2006-06-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착탈식 휠체어
KR101352684B1 (ko) * 2013-04-09 2014-01-16 김인겸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160048260A (ko) * 2014-10-23 2016-05-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KR20160142548A (ko)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KR20180000255U (ko) 2016-07-15 2018-01-24 천봉우 변기 탈부착 휠체어
KR20180007831A (ko) 2016-07-14 2018-01-24 청-피아오 라이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
KR20200046635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KR102214760B1 (ko) * 2020-10-28 2021-02-15 이병제 이동 보행기
KR102268100B1 (ko) * 2020-11-12 2021-06-23 경간란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KR102269093B1 (ko) * 2021-01-15 2021-06-24 (주)신광메디칼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898A (ko) * 2004-12-14 2006-06-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착탈식 휠체어
KR101352684B1 (ko) * 2013-04-09 2014-01-16 김인겸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160048260A (ko) * 2014-10-23 2016-05-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KR20160142548A (ko)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KR20180007831A (ko) 2016-07-14 2018-01-24 청-피아오 라이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
KR20180000255U (ko) 2016-07-15 2018-01-24 천봉우 변기 탈부착 휠체어
KR20200046635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KR102214760B1 (ko) * 2020-10-28 2021-02-15 이병제 이동 보행기
KR102268100B1 (ko) * 2020-11-12 2021-06-23 경간란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KR102269093B1 (ko) * 2021-01-15 2021-06-24 (주)신광메디칼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839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이동형 음압 휠체어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CN114601641A (zh) * 2022-03-28 2022-06-10 浙江大学医学院附属第一医院 一种新型轮椅
KR102500638B1 (ko) 2022-10-31 2023-02-16 (주)금룡테크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151B1 (ko)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자동식 휠체어
JP2719986B2 (ja) ベッド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6014497B2 (ja) 調度品(位置定め可能な椅子)
JP2748227B2 (ja) 電動式車椅子
JP2017038932A (ja) 入浴介護装置
US2680855A (en) Attachment for lifting invalids in and out of bathtubs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4452082B2 (ja) 特殊入浴システムならびに車椅子兼ストレッチャー
JPH06339499A (ja) 介護用車椅子
KR102323148B1 (ko)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수동식 휠체어
TWM572716U (zh) Standing aid
JPH0739562A (ja) 介護用車椅子
CN211048855U (zh) 一种淋浴折叠椅床
CN109938938B (zh) 一种轮椅
JP2010057961A (ja) 介護用車椅子
JPS6159734B2 (ko)
TW201018450A (en) Wheelchair with shifting function and auxiliary equipment included the wheelchair
JPH0751051Y2 (ja) 入浴装置
JPH10225489A (ja) 介護車
CN219814539U (zh) 一种多功能护理床
CN215459612U (zh) 一种带升降功能的简单坐入式残疾人移位车
CN214858453U (zh) 一种心胸外科护理床
JPH08243123A (ja) 床走行型昇降機
CN216294469U (zh) 一种可移动升降的电动助力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