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483B1 -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483B1
KR102322483B1 KR1020170091922A KR20170091922A KR102322483B1 KR 102322483 B1 KR102322483 B1 KR 102322483B1 KR 1020170091922 A KR1020170091922 A KR 1020170091922A KR 20170091922 A KR20170091922 A KR 20170091922A KR 102322483 B1 KR102322483 B1 KR 10232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failure
motor
controlling
m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759A (ko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3Avoiding failures by using redunda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Y OF SAFE STATE IN MOTOR DRIV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조향 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전동식 조향 장치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제어하여 전자 컨트롤 유닛이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조향 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MDPS)는 차속 감응형 파워스티어링 장치이다. 전동식 조향 장치는 차량속도에 따라 조향각 및 모터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주행속도별로 최적의 조향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차량 내 부품들이 전자화됨에 따라 차량의 기능 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차량의 전동식 조향 장치 분야에서도 국제 표준인 ISO26262를 만족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 표준을 만족하고 전동식 조향 장치의 기능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페일 세이프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전동식 조향 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은 주로 전동식 조향 장치의 위험이 예상되는 고장을 중심으로 페일 세이프(Fail-Safe) 로직이 구현되고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하여 전동식 조향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55678호(2016.09.01)의 '자동차용 전동식 조향 장치의 기능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전동식 조향 장치는 고장 발생시 안전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컨트롤하는데, 이 경우 고장을 감지하거나 또는 모터 구동 전류 패스를 컨트롤하는 부분에서 추가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전동식 조향 장치가 안전모드에 진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이중 스위칭 구조로 차단하여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모드 진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릴레이;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페일 세이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은 MCU가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MCU가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이중 스위칭 구조로 제어하여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ECU의 안전모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제1 스위칭부(10), 제2 스위칭부(20) 및 스위칭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부(10)는 배터리로부터 전동식 조향 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MDPS)의 모터에 공급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제1 스위칭부(10)는 릴레이(11) 및 릴레이 드라이버(12)를 포함한다.
릴레이(11)는 일측이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스위칭부(20)의 인버터(21)에 연결되며, 릴레이 드라이버(12)의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한다.
릴레이 드라이버(12)는 스위칭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11)를 구동시켜 모터 구동 전류가 전동식 조향 장치에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스위칭부(20)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제2 스위칭부(20)는 게이트 드라이버(22) 및 인버터(21)를 포함한다.
인버터(21)는 게이트 드라이버(22)의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하여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인버터(21)로는 3상 인버터(3- Phase Inverter)가 채용될 수 있다. 즉, 인버터(21)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스위치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2)는 인버터(21) 내부의 FET Arrays(Field Effect Transistor Arrays)를 스위칭함으로써 모터를 제어하거나, 또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22)는 인버터(21)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그 결과 모터 구동 전류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로 이루어진 이중 스위칭 구조를 통해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시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안전모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칭 제어부(30)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고,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한다.
스위칭 제어부(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31) 및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를 포함한다.
MCU(31)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며,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배터리로부터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즉, MCU(31)는 전동식 조향 장치에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MCU(31)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킨다.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즉,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MCU(3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MCU(31)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MCU(31)의 고장은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한편,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MCU(3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게 되더라도, 페일 세이프 제어부(32)가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MCU(31) 고장시에도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시 ECU의 안전모드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로는 Power Supply IC(Fail-Safe IC) 또는 Sub MCU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MCU(31)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한다.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MCU(31)는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키거나 또는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켜 모터에 모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MCU(31)는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MCU(3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제1 스위칭부(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2 스위칭부(20)의 게이트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인버터(2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반면에 제2 스위칭부(2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스위칭부(10)의 릴레이 드라이버(12)를 제어하여 릴레이(11)를 오프시킴으로써, MCU(31)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즉, 페일 세이프 제어부(32)는 MCU(3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을 경우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MCU(31) 고장시에도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에서,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포함한 이중 스위치 구조를 토대로 배터리로부터 모터 구동 전류가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MCU(31)의 고장시 페일 세이프 제어부(32)가 제1 스위칭부(10)와 제2 스위칭부(20)를 각기 제어하여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시 모터 구동 전류를 모터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모터로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의 패스를 이중 스위칭 구조로 제어하여 ECU가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ECU의 안전모드 진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제1 스위칭부
11: 릴레이
12: 릴레이 드라이버
20: 제2 스위칭부
21: 인버터
22: 게이트 드라이버
30: 스위칭 제어부
31: MCU
32: 페일 세이프 제어부

Claims (13)

  1.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MCU; 및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페일 세이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페일 세이프 제어부는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릴레이;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MCU가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전동식 조향 장치의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MCU가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구동 전류를 단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페일 세이프 제어부가 상기 MC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MCU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에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91922A 2017-07-20 2017-07-20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2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22A KR102322483B1 (ko) 2017-07-20 2017-07-20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22A KR102322483B1 (ko) 2017-07-20 2017-07-20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59A KR20190010759A (ko) 2019-01-31
KR102322483B1 true KR102322483B1 (ko) 2021-11-08

Family

ID=6532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22A KR102322483B1 (ko) 2017-07-20 2017-07-20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100B1 (ko) * 2022-10-13 2023-04-06 주식회사 지구사랑 전동용 차량의 충전기능을 갖는 커패시터 파워뱅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9256A (ja) 2013-03-15 2015-02-26 日本精工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これを使用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
JP2016096709A (ja) * 2014-11-05 2016-05-26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7090612A1 (ja) * 2015-11-24 2017-06-0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367B2 (ja) * 2002-09-17 2008-05-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9256A (ja) 2013-03-15 2015-02-26 日本精工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これを使用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
JP2016096709A (ja) * 2014-11-05 2016-05-26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7090612A1 (ja) * 2015-11-24 2017-06-0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59A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63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and a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US20110205672A1 (en) Motor controlle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7628245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CN201901171U (zh) 双微处理器共同控制继电器的电动助力转向控制系统
JP6349989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US9043082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electric actuators for door-related accessories in vehicle
US20160347356A1 (en) Steering apparatus
JP2005185015A (ja) 電流遮断回路及び電気式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3256276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故障制御方法及び装置
CN105242585A (zh) 基于双微处理器的电动助力转向电机继电器控制方法
JP2011111015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232248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의 안전모드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51765B1 (ko) 전자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탑재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6562871B2 (ja) モータ制御装置
US1011264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teering system
US10633018B2 (en) External watchdog with integrated backward regeneration support
EP3095674B1 (en) Vehicular control apparatus
KR20140135360A (ko) 조향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220163107A (ko) 리던던시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12294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装置
KR100504276B1 (ko) 차량의 조향 핸들 중립점 복귀 방법
JP2005028900A (ja) 電動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バッテリ状態判定装置
KR102591717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릴레이 상태 판별 장치 및 방법
WO2008152276A3 (fr) Procede de commande d'antivol electrique pour vehicule et systeme antivol de mise en oeuvre
KR102442208B1 (ko)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조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