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24B1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324B1 KR102322324B1 KR1020200067812A KR20200067812A KR102322324B1 KR 102322324 B1 KR102322324 B1 KR 102322324B1 KR 1020200067812 A KR1020200067812 A KR 1020200067812A KR 20200067812 A KR20200067812 A KR 20200067812A KR 102322324 B1 KR102322324 B1 KR 1023223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ower
- ground
- unit
- leak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comprising means to limit the absorbed power or indicate damaged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의 접지형 무전방지장치의 블록선도와 누전방지도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락 차폐부와 다기능 무 감전 보호부를 구비한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의 블록 선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락 차폐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노이즈 필터부 및 극성 표시부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 4c는 주파수 보상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지락 차폐부의 작동과 다기능 무 감전 보호부의 시스템 제어 작동의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30 : 전원부, 40 : 주 제어부,
50 : 이상 감지부 60 : 펄스 폭 변조 제어부
70 : 극성 표시부 90 : 무 감전 보호부
1 : 릴레이 6, 7, 8, 55 : 제 1, 2, 3, 4 네온램프
51, 52, 53 : 제 1, 2, 3 포집부 56, 57, 58 : 제 1, 2, 3 주파수 보상부
Claims (9)
- 지락 전류 차폐 및 접지 분배를 수행하는 다기능 지락 차폐부(10)와 이 다기능 지락 차폐부(10)와 전원 입력단에서 공통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차폐, 흡수, 소멸 및 감소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고 노이즈 및 전자파를 차폐하고 내 서지를 방지하여 노이즈 및 전자파를 감소시키고 아크 발생을 예방하도록 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부(90)을 구비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다기능 지락 차폐부(10)가 지락에 의한 누설전압 및 누설전류의 발생으로 인한 이상 상태를 누설접지단자(EFG)가 감지하고 이 누설전압 및 누설전류가 릴레이코일(CL) 과 제 1 및 제 2 스위치(DY1) 및 (DY2)로 구성한 릴레이부를 작동시켜 제 1 브릿지회로(11)를 경유하므로 정류된 전원을 하나이상의 네온 렘프(6, 7)를 온하므로 지락 누설전압 및 누설전류를 차폐하고 정류되지 않은 누설전압 및 누설전류를 접지단자(FG)로 출력하므로 접지 분배를 수행하며,
다기능 무 감전 보호부(90)이
전원 단자(L)과 중성선 단자(N) 사이에는 일단이 전원 단자(L)에 연결되고 타단이 극성표시부로 연결되는 제 1 콘덴서(15), 이 제 1 콘덴서와(15) 병렬 접속된 필터(21)와 이 필터의 단자 2' 및 3' 사이에 NPN 타입의 스위칭 트랜지스터(23)와 서로의 베이스 공통 접속된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25) 및 (26)로 이루어진 푸쉬 풀 회로(22)로 구성되는 안정화 회로들을 구비하여, 스위치 트랜지스터(23)의 베이스를 누설 전류감지단(G1)으로 하여 누설전류가 인덕터(24)를 경유하여 누설접지단자(EPG)로 연결되게 하고, 푸쉬 풀 회로(22)의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27) 및 (28)의 공통 에미터를 이상 전압감지단(G2)으로 형성하여 이상 전압이 단자(D)를 경유하여 차단되게 한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20);
제 2 브리지 회로(31)의 정류단자에 전원 단자(L2)와 접지단자(FG) 또는 기능 겸용 중성선 단자(N)가 연결되고 제 2 브리지 회로(31)의 중간 단자들이 제 5 저항(32)과 제 2 발광다이오드(33)가 연결되어 정상전원이 인가되어 정상전원의 인가면 제 2 발광다이오드(33)를 점등하는 전원부(30);
다기능 지락 차폐부(10)로 부터 지락, 누전에 의한 누설전류를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20)가 감지하고 과전압 등의 이상 전압들을 감지하여 10V 및 5mA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영전위화 작동 감시 기능으로 전환하여 펄스 폭 변조회로(60)를 제어하여 10V 이하의 전압강하를 유도하는 주 제어부(40);
이상전압 감지단(G2)에 직렬 연결된 제 4 발광 다이오드(34), 제 7 저항(35)과 제 2 다이오드(36)를 거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지향하여 연결된 전압 강하용 제 3 및 제 4 다이오드(37)과 (38)들로 구성되는 내서지 감지부가 누설전류를 감지하도록 하고, 입력 전원단자들에 이상전원 투입 및 전기장치들의 노이즈 및 전자파를 감지한 경우 전원단자(L3), 부하 접지단자(EPG)와 접지단자(FG)들로 부터 누설전류와 노이즈 및 전자파 전류를 포집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집부(51), (52), (53)와 이들 포집부들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어 그들 주변의 노이즈 및 전자파 전류를 포집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주파수 보상부(56), (57). (58)들로 구성되어 누설전류와 노이즈 및 전자파 전류를 정상 전원으로 재생시키는 이상 감지부(50)와;
지점(B)와 지점(C)사이에 제 6 다이오드(71), 제 6 발광다이오드(72)와 제 9 저항(73)들이 직렬로 접속되며, 누설 감지단(G1)로 부터 누설전류 인가를 감지하여 누설접지단자(EPG)로 유도하며, 이상 전압감지단(G2)에서 나타나는 과전압 및 전원선 단자(L)에 나타나는 역 전압이 지점(C)에 인가되면 직렬 연결된 제 6 다이오드(78), 제 7 발광다이오드(77)와 제 10 저항(79)과 제 5 다이오드(39)를 거쳐 전압 강하하고 제 4 네온램프(55)의 접지선에 접지단자(FG)로 연결되므로 이상전압임을 표시하는 극성 표시부(70)들을 구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다기능 지락 차폐부는 전원 단자(L)가 제 1 스위치(DY1)와 제 2 스위치(DY2)로 구성되는 제 1 릴레이의 코일(CL) 단자 2,에 연결되고, 단자 1'에 제 1 다이오드(2), 제 1 발광다이오드(3)와 제 1 저항(4)이 직렬 연결되어 있고, 제 1 저항(4)과 코일(CL) 사이에 중성선 단자(N)가 형성되며, 제 1 스위치(RY1)의 단자 4'와 제 2 스위치(RY2)의 단자 8'와 공통으로 제 2 저항(5)을 경유하여 부하 단자(E2)에 연결되며, 제 1 스위치(RY1)의 단자 3' 및 제 2 스위치(RY2)의 단자 6'가 동시에 제 1 브리지 회로(11)의 정류 단자에 연결되고, 제 1 브리지 회로(11)의 출력 단자들에는 병렬로 정렬되는 제 1 및 제 2 네온램프(6) 및 (7)들이 설치되고, 제 1 스위치(RY1)의 단자 3'이 부하 접지단자(E1)에 연결되고 제 2 스위치(RY2)의 단자 6'에는 제 3 네온램프(8)와 제 3 저항(8)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접지단자(FG)로 연결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다기능 지락 차폐부(10)는 정상전원이 인가되면 제 1 발광다이오드(3)가 점등되고 릴레이코일(CL)이 여자되어 부하단자(E2)와 부하 접지단자(E1)에 연결되어 전기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상태로 되고, 누설 접지단자(EGP)에 지락에 의한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제 1 및 제 2 스위치(RY1, RY2)들에서 단자 6' 및 3'이 단자 7' 및 4'에 연결되는 원위치 상태로 되어 누설 전류를 제 1 브리지 회로의 정류단자에 접속시켜 출력단자에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네온램프(6, 7)들을 점등하고 동시에 단자 6'에 제 3 네온램프(8)를 점등하고 제 3 저항(9)에 인가하여 전압 강하하여 접지단자(FG)에 인가하여 주 제어부가 0 ~10V 전압을 출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상 감지부(50)는,
전원단자(L1)에 내 서지로 나타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이상 전압감지단(G2)에 접속된 제 4 발광 다이오드(34), 제 7 저항(35)과 제 2 다이오드(36)를 거쳐 제 4 네온램프(55)의 중성선에 접속되는 전압 강하용 제 3 다이오드(37) 및 제 3 다이오드(37)에 역 방향 접속한 제 4 다이오드(38)들의 중단에서 노이즈 및 전자파의 이상 전압을 감지하면 제 4 발광다이오드(34)가 점등하는 내서지 감지부;
제 1 코일(CL1)과 제 1 병렬 콘덴서(C1)로 구성되고 입력단이 제 3 전원 단자(L3)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중성선(N3)에 동시에 연결되고, 제 5 저항(54)을 경유하여 제 4 네온램프(55)의 중성선에 연결되며, 그 출력단이 펄스 폭 변조 제어부(60)와 누설 접지단자(EPG)에 연결되는 제 1 포집부(51);
제 2 코일(CL2)과 제 2 병렬 콘덴서(C2)로 구성되고 입력단이 중성선 단자(N)와 제 4 네온램프(55)의 중성선에 연결되며, 츨력단이 펄스 폭 변조 제어부(60)와 누설 접지단자(EPG)에 연결되는 제 2 포집부(52);
제 3 코일(CL3)과 제 3 병렬 콘덴서(C3)로 구성되고 입력단이 중성선 단자(N4)와 제 4 네온램프(55)의 중성선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펄스 폭 변조 제어부(60)와 누설 접지단자(EPG)에 연결되며, 제 5 다이오드(59)에 의하여 제 4 네온램프의 접지선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FG)와 분리되는 상태로 되는 제 3 포집부(53)과;
제 1, 제 2 및 제 3 포집부(51, 52, 53)들 각각에 병렬로 접속되고 전원단자(L3) 및 중성선 단자(N4)로 전류 누설이 있게 되고 이러한 누설전류를 포집하여 보상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주파수 보상부(56, 57, 58)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 청구항 1 또는 6 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보상부(56, 57, 58)들은 기판상에 설치되는 도체(41), 이 도체(41)를 감아서 덥도록 쌓는 전도성을 갖는 그물망(42)과 이 그물망(42)과 도체 상에 바닥이 접촉되고 그물망의 중심에 접촉되는 상태로 위치시킨 자성체의 원통형 영구자석(43)들로 구성하여 주변에 누설전류, 노이즈를 흡인하고 평판 코일에 의하여 포집하여 펄스 폭 변조부(60)에 인가하므로 주파수 및 각 위상을 변조하여 위상차를 "영전위화"로 하므로 항상 정상 주파수를 가진 전원을 주 제어부가 출력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감전을 위한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 청구항 1 에 있어서,
극성 표시부(70)가 정상 전원을 지점(B)를 경유하여 전원단(L1)과 제 4 네온램프(55)의 접지선에 연결하고 출력단에는 병렬 연결된 제 5 발광다이오드(63)와 제 7 콘덴서(64)와 제 8 저항(65)이 병렬 연결되게 한 제 3 브리지 회로(32)를 구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상 전원 감지부(61)를 더 구비한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 다기능 무감전 보호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투입되면, 전원단자(L), 중성선 단자(N)와 접지단자(FG)에 전원의 연결을 확인하고, 정상 극성 인가를 판단하고 정상적인 전원이 인가가 확인되면 시스템 제어작동을 하며,
정상 극성의 접속이 아니면 접지선 연결을 확인하고, 중성선 단자(N)거나 접지단자(FG)에 전원이 인가되면 또 다른 단자에 접지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며,
접지선 연결이 되지 않아 제 5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면 전원 극성을 변경하여 연결하여 부 감전 보호부의 작동 제어를 수행하며,
무 감전 보호부가 전원 투입시 지락을 감지하고 전자응용기기 누설전류를 감지하며, 제 1, 제 2 및 제 3 포집부의 누설전류를 확인하고,
과전압 인가인가를 판단하고 과전압 인가가 감지되면 전압 10V, 전류 5mA 이하인가를 판단하며, 전압 10V, 전류 5mA 이상이면 접지선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전원 극성을 변경하여 연결하고 부 감전 보호부의 작동 제어를 하도록 하고,
전압 10V, 전류 5mA 이하이면 주 제어부 "영전위화" 작동 감시기능으로 전환 후 차례로 누설전류를 포집하고 과전압 감지 모드로 전환하며 노이즈를 포집하여 펄스 폭 제어부에 인가하고,
정상 작동인가를 판단하여 정상작동이 아니면 비정상 작동으로 분전반의 차단기를 작동시키고, 정상작동이면 운전 상태를 유지하게 한 단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 감전 보호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812A KR102322324B1 (ko) | 2020-06-04 | 2020-06-04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812A KR102322324B1 (ko) | 2020-06-04 | 2020-06-04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2324B1 true KR102322324B1 (ko) | 2021-11-05 |
Family
ID=7850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812A Active KR102322324B1 (ko) | 2020-06-04 | 2020-06-04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32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4916B1 (ko) * | 2023-03-08 | 2023-11-22 |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 누설 전류를 방지하는 전자 장치 |
KR102640875B1 (ko) * | 2022-12-12 | 2024-02-23 | 신동표 |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CN118589426A (zh) * | 2024-04-24 | 2024-09-03 | 浙江伊控动力系统有限公司 | 一种适用于新能源汽车电驱动系统的硬件故障保护电路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727A (ja) * | 1991-07-18 | 1993-02-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光サイリスタの電圧検出装置 |
KR20110123965A (ko) * | 2010-05-10 | 2011-11-16 | 정태영 | 전기 선로 및 부하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전원 차단 장치 |
KR101197414B1 (ko) | 2012-07-20 | 2012-11-05 | (주)디에이치코프 |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
KR101396215B1 (ko) | 2014-01-27 | 2014-05-19 | 주식회사티피티 |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다면체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
KR101801772B1 (ko) | 2017-07-06 | 2017-11-28 | 주식회사 티피티 | 비접지형 누전방지장치 |
KR101915485B1 (ko) | 2018-04-04 | 2018-11-08 | 주식회사티피티 | 접지형 누전방지장치 |
-
2020
- 2020-06-04 KR KR1020200067812A patent/KR10232232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0727A (ja) * | 1991-07-18 | 1993-02-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光サイリスタの電圧検出装置 |
KR20110123965A (ko) * | 2010-05-10 | 2011-11-16 | 정태영 | 전기 선로 및 부하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전원 차단 장치 |
KR101197414B1 (ko) | 2012-07-20 | 2012-11-05 | (주)디에이치코프 |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
KR101396215B1 (ko) | 2014-01-27 | 2014-05-19 | 주식회사티피티 |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다면체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
KR101801772B1 (ko) | 2017-07-06 | 2017-11-28 | 주식회사 티피티 | 비접지형 누전방지장치 |
KR101915485B1 (ko) | 2018-04-04 | 2018-11-08 | 주식회사티피티 | 접지형 누전방지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0875B1 (ko) * | 2022-12-12 | 2024-02-23 | 신동표 |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KR102604916B1 (ko) * | 2023-03-08 | 2023-11-22 |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 누설 전류를 방지하는 전자 장치 |
CN118589426A (zh) * | 2024-04-24 | 2024-09-03 | 浙江伊控动力系统有限公司 | 一种适用于新能源汽车电驱动系统的硬件故障保护电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2324B1 (ko)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
JP6560731B2 (ja) | 電力系統保護用の連続無停止ac接地システム | |
KR102338558B1 (ko)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
KR101162252B1 (ko) | 전기 선로 및 부하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전원 차단 장치 | |
CN105914712A (zh) | 用于故障电流检测的装置和方法 | |
US5793587A (en) | Dual trip level ground fault interrupter | |
KR101490770B1 (ko) | 지락 검출 장치 | |
EP4145655A1 (en) | Device,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in case of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 |
WO2022010003A1 (ko) | 다기능 무 감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 |
KR20250034595A (ko) | 다기능 무감전 보호 시스템이 채용된 삼상 배선 차단기 제어방법 | |
KR20250034594A (ko) | 다기능 무감전 보호 시스템이 채용된 단상 배선 차단기 제어방법 | |
KR20250034596A (ko) | 다기능 무감전 보호 시스템이 채용된 멀티탭 제어방법 | |
KR20250034593A (ko) | 다기능 무감전 보호 시스템이 채용된 주택 분전반 제어방법 | |
KR101287727B1 (ko) | 접지를 이용한 전기기기와 전자기기의 동작차단기능이 부가된 안전장치 | |
KR102459387B1 (ko) |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 |
CN203911463U (zh) | 中性点经消弧线圈接地系统配电网单相接地线路保护装置 | |
KR200445255Y1 (ko) | 선박의 쇼워파워 절연파괴 감지용 누전검출기 | |
KR100725482B1 (ko) | 정전유도에 의한 수배전반 선로의 전원검출 및 표시장치 | |
EP2660940A1 (en) | Earthed connection detection | |
KR20230001024U (ko) | 외장형 단자함 | |
CN208971134U (zh) | 通道暂态脉冲浪涌隔离装置及浪涌隔离电路 | |
US5894174A (en) |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system | |
JP2001028831A (ja) | ネオン変圧器の地絡事故検出回路 | |
KR20210119637A (ko) | 누전 및 감전보호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 |
HK1186006B (en) | Continuous uninterruptable ac grounding system for power system pro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