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122B1 -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122B1
KR102322122B1 KR1020200188075A KR20200188075A KR102322122B1 KR 102322122 B1 KR102322122 B1 KR 102322122B1 KR 1020200188075 A KR1020200188075 A KR 1020200188075A KR 20200188075 A KR20200188075 A KR 20200188075A KR 102322122 B1 KR102322122 B1 KR 10232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z tube
movement
cleaning
moving
clea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339A (ko
Inventor
오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이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이엠씨
Priority to KR102020018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08B1/005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살균기용 자외선 램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석영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그 석영관의 외주에 끼워진 링형상의 세척부재를, 석영관의 일단부측의 제1위치에서 석영관의 타단부측의 제2위치로 이동시킬 때, 제2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전진이동과,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제1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후진이동을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면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석영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Apparatus for cleaning quartz tube of ultraviolet rays sterilizer}
본 발명은,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균을 파괴·사멸시킴으로써 그 물을 소독하는 자외선 살균기에 사용되는 석영관의 외주면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영관의 외주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제조 시설이나 하수 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물을 처리하는 곳에서는, 물에 존재하는 세균을 사멸시키기 위해, 자외선 살균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기에는, 자외선 램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투명한 석영관이 마련되는데, 자외선 살균기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물때, 침전물, 퇴적물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석영관이 오염되어서, 자외선 램프로부터 물로의 자외선 전달효율이 감소되며, 이로 인해 자외선 소독 및 살균의 처리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자외선 살균기에는, 석영관의 오염 방지를 위해, 석영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는 석영관 세척장치가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석영관 세척장치의 일례로서, 석영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고무 소재의 세척링을, 석영관의 길이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과정을 1회 이상 행함으로써, 석영관의 외주면과 세척링과의 마찰에 의해, 석영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닦아내도록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세척링을 상기와 같은 왕복운동 방식(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만큼 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이동시켜서 이물질을 제거하면, 석영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세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석영관의 외주면과 그 석영관을 따라 이동하는 세척링 사이의 마찰력은, 정지되어 있던 세척링이 이동하기 시작하는 초기 시점에서 가장 크며, 세척링이 이동을 시작한 이후에는 상술한 마찰력이 감소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지되어 있는 세척링(이동을 시작하기 전의 세척링)으로부터 매우 가까운 곳의 이물질은 그 세척링의 이동 초기의 큰 마찰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정지되어 있던 세척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의 이물질은, 세척링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하여야만 제거될 수 있는데, 세척링이 이동하기 시작하여 많이 이동한 시점에서의 세척링과 석영관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은 작아지므로, 그 위치에서의 이물질은 잘 닦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12533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석영관의 외주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세척용 부재를, 그 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최대 이동 가능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동안에, 석영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는, 자외선 살균기용 자외선 램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석영관의 외주면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석영관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석영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상의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석영관의 일단부측의 제1위치와 상기 석영관의 타단부측의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전진이동과, 상기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상기 제1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후진이동을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부재가 석영관 외주면상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짧은 구간을 수차례 왕복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석영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 및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영관 세척장치를 구비한 자외선 살균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외선 살균기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외선 살균기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동판 부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석영관의 세척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은 하나의 석영관과 그 석영관에 끼워진 세척부재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이해의 편의 등을 위해, 척도나 치수 등이 적절히 과장 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영관 세척장치를 구비한 자외선 살균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자외선 살균기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 및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동판 부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자외선 살균기(1)는, 소위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챔버(10)와, 챔버(10) 내에 배치되는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자외선 램프(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버(10)는, 소독하고자 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소독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챔버(10)의 양단은 각각 마감판(1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20)들 각각은, 투명한 석영관(3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되고 있다. 자외선 램프(20)와 석영관(30)은, 챔버의 길이방향(R1)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소켓(미도시)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마감판(15)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참조번호 16은, 나사부재(미도시)에 의해 챔버(10)에 결합되어서 석영관(30)들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겸하는 커버이다.
살균 처리하고자 하는 물은, 유입구(11)를 통해 챔버(10) 내로 유입되며, 자외선 램프(20)로부터 조사되어 석영관을 투과한 자외선에 의해 살균·소독된 후, 유출구(12)를 통해 챔버(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자외선 살균기(1)는 또한, 사용중에 석영관(30)의 외주면에 물때, 침전물, 퇴적물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어서 자외선 램프(20)로부터 물로의 자외선 전달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영관(30)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는 석영관 세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석영관 세척장치로서, 세척부재(40; 도 2-4 참조)와 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세척부재(40)는 각 석영관(30)마다 마련되어 있다. 각 세척부재(40)는, 테프론이나 불소고무(예컨대 "VITON"(상품명))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고무 소재에 의해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척부재(40)는, 석영관(30)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지며, 석영관(30)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석영관(3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세척부재(40)들은, 석영관(30)의 길이방향(R1)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나의 이동판(4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각 세척부재(40)는, 그 세척부재(40)를 덮은 상태로 나사부재(409)들에 의해 이동판(410)에 고정된 고정부재(420)에 의해서, 이동판(4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각 세척부재(40)를 석영관(30)의 임의의 일단부측의 제1위치(P1; 도 5 참조)와 타단측의 제2위치(P2; 도 5 참조)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P1)는 세척부재(40)가 임의의 일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하였을 때의 위치이며, 상기 제2위치(P2)는 세척부재(40)가 타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하였을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는, 세척부재(40)와 접촉함으로써 세척부재(40)가 그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구동유닛이 세척부재(40)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타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구동유닛은, 세척부재(40)를 상기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까지 이동시킬 때, 종래의 방식과는 다른 특유의 방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은, 세척부재(40)를 상기 제2위치(P2)를 향해 상기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동하는 전진이동과, 상기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상기 제1위치(P1)를 향해 이동하는 후진이동을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면서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구동유닛은, 세척부재(40)를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시킬 때, 다수 차례의 전진이동(제2위치쪽으로의 이동)과, 그 전진이동 사이사이에 행해지는 다수 차례의 후진이동(제1위치쪽으로의 이동이며, 이 후진이동의 거리는 상기 전진이동의 거리보다 작음)을 하게 하면서 제2위치(P2)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구동유닛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예에서는, 스텝모터(50)와, 나사축(60)과, 암나사부재(70)와, 제어부(5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텝모터(50)는 특정한 각도 또는 단계(step)로 회전하며 또한 정역회전이 가능한 출력축(51)을 가지는 모터이다. 이 스텝모터(50)는 출력축(51)이 석영관(30)의 길이방향(R1)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상태로 석영관(3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자외선 살균기에서는 상기 커버(1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60)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석영관(30)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사축(60)의 양단부는 베어링(65)에 의해 마감판(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일단은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에 커플링 등을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이 회전하면 나사축(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암나사부재(70)는 나사축(60)에 나사맞춤되어 있으며, 나사부재(79)에 의해 이동판(410)에 고정되어 있어서, 나사축(60)의 회전시에 그 나사축(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축(60) 상에서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9)는,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상기와 같은 세척부재(40)의 전진이동시의 거리 및 후진이동시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59)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나, 모터 드라이버와 아두이노(arduino)의 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살균기(1)는 물을 소독하기 위한 것이므로, 구체적으로 설명 및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의 누설 방지가 필요한 부위에는, 시일(seal)부재의 설치 등에 의해, 적절하게 누수 방지 처리가 행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외선 살균기(1)에 구비된 석영관 세척장치에 의해서 석영관(30)을 세척하는 과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외선 살균기(1)가 작동하는 동안에 계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또는 석영관(30)의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특정한 시점에서, 스텝모터(50)를 작동시킨다. 이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는, 제어부(59)에 의해, 석영관(30)의 각각의 전진이동시의 거리 및 각각의 후진이동시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상기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거리가 672mm이고, 나사축(60)이 1회전하는 동안에 그 나사축(60)에 나사맞춤된 암나사부재(70)가 이동하는 거리(즉, 암나사부재(70)가 고정된 이동판(410) 및 이동판(410)에 고정된 세척부재(40)의 이동거리)가 32mm이며, 세척부재(40)의 상기 전진이동(제2위치쪽으로의 이동) 1회당 이동거리를 4mm, 후진이동(제1위치쪽으로의 이동) 1회당 이동거리를 2mm로 할 경우에, 제어부(59)는 상기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을 일방향(세척부재(40)를 제2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회전시킨 후 타방향으로 22.5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세척부재(40)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까지 반복한 후, 세척부재(40)를 다시 제1위치(P1)로 복귀시키도록 스텝모터(50)를 제어한다(상기 세척부재(40)가 제1위치(P1)를 출발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제2위치(P2)에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총 시간은, 예컨대 대략 80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부재(40)가 도 5 및 도 6의 (a)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P1)에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59)에 의해 스텝모터(50)가 제어되어 출력축(51)이 일방향(세척부재(40)를 제2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45도 회전하게 되어,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에 고정된 나사축(6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나사축(60)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암나사부재(70)에는 제2위치(P2)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그 힘에 의해, 암나사부재(70)가 이동판(410)과 함께 제2위치(P2)를 향해 4mm 이동된다. 이처럼 암나사부재가(70)가 제2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동안, 세척부재(40)는, 도 6의 (a)에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도 6의 (b)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측으로 4mm만큼 떨어진 위치(A2)까지 전진이동하게 된다.
출력축(51)이 상기와 같이 일방향으로 45도 회전한 후, 다시 제어부(59)에 의해 스텝모터(50)는, 출력축(51)이 반대방향으로 즉시 22.5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나사축(60)도 상기 전진이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와는 반대로, 세척부재(40)는 도 6의 (b)에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도 6의 (c)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P1) 쪽으로 2mm만큼 떨어진 위치(A1)까지 후진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스텝모터(50)의 출력축(51)이 다시 상기 일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세척부재(40)를 도 6의 (c)에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도 6의 (d)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P2)를 향해 다시 4mm만큼 전진하는 위치(A3)까지 전진이동시킨 후, 다시 출력축(51)이 반대방향으로 22.5도 회전하여 세척부재(40)를, 도 6의 (d)에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도 6의 (e)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위치(A2)까지 2mm만큼 후진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출력축(51)이 상기 일방향으로의 45도 회전 및 반대방향으로의 22.5도 회전을 교대로 계속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부재(40)는 상기와 같이, 4mm 전진이동한 후 2mm 후진이동하는 과정을 다수회(본 예에서는 전진이동 336회와, 그 전진이동들 사이사이의 후진이동 335회) 반복하면서 제2위치(P2)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과정(다수회의 전진이동 과정 및 그 전진이동들 사이사이의 후진이동 과정)에서, 석영관(3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세척부재(40)가, 석영관(3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내어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부재(40)가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까지 이동된 후에는, 제어부(59)가 스텝모터(50)를 제어하여 세척부재(40)를 제1위치(P1)로 복귀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위치(P2)의 세척부재(40)를 제1위치(P1)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제어부(59)가 스텝모터(50)를 제어하는 형태는, 세척부재(40)가 제2위치(P2) 방향으로의 이동은 하지 않고 계속 제1위치(P1)까지 이동시키도록 하는 형태의 제어일 수도 있고, 아니면, 세척부재(40)의 상기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까지의 이동과 유사하게, 제1위치(P1)쪽으로의 이동과, 상기 제1위치쪽으로의 이동보다는 짧은 거리만큼의 제2위치(P2)쪽으로의 이동을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면서 이동시키도록 하는 형태의 제어일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부재(40)가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되는 동안, 제2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전진이동과, 상기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제1위치(P1)를 향해 이동하는 후진이동을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면서 상기 제2위치(P2)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척부재(40)는,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의 이동중에 작은 거리의 왕복 스트로크 동작을 다수회 반복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전진이동에서 후진이동으로의 전환 시점 및 후진이동에서 전진이동으로의 전환 시점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까지 한번에 이동하도록 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할 때, 정지 상태로부터 이동을 시작할 때의 큰 마찰력(석영관(30)의 외주면의 이물질과 세척부재(40) 사이의 큰 마찰력)을 다수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지상태로부터 어느 한 방향의 이동(전진이동 또는 후진이동)을 시작한 후의 이동거리가 매우 적어서 그 이동이 행해지는 동안 마찰력의 감소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까지 이동중에 세척부재(40)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석영관(30)의 외주면의 이물질과 높은 마찰력을 유지하면서 세척을 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세척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처럼, 세척부재(40)의 후진이동시의 이동거리를, 상기 세척부재(40)의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의 1/2로 하거나 또는 1/2보다 크게 하게 되면(즉, 1/2 이상이 되게 하면), 세척부재(40)가 제1위치(P1)에서부터 제2위치(P2)까지 이동하는 동안, 석영관(30)의 외주면을, 단시간 내에 짧은 거리 구간(소구간)을 왔다갔다하면서(1초에 4~5차례 정도 왕복하면서) 상기 소구간을 3회 이상씩 닦게 되므로, 이물질을 석영관의 외주면으로부터 긁어내고 털어내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어, 단순히 닦아내는 것에 비하여, 석영관(30) 외주면의 이물질 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외선 램프(20) 및 석영관(30)이 각각 4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자외선 램프(20)와 석영관(30)이 5개 인상인 경우, 또는 1-3개인 경우에도 본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부재(40)의 상기 전진이동 거리가 4mm이고 후진이동 거리가 2mm이며, 출력축(51) 1회전당 세척부재(40)의 이동거리가 32mm이고, 세척구간의 총 거리(제1위치부터 제2위치 사이의 거리)가 672mm이고, 세척부재가 제1위치를 출발하여 제2위치에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총 80초 정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진이동 거리와 후진이동 거리, 출력축 1회전당 세척부재의 이동거리, 그리고, 전진이동과 후진이동을 위한 스텝모터(50) 출력축(51)의 회전각도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살균기용 석영관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1...자외선 살균기 20...자외선 램프
30...석영관 40...세척부재
410...이동판 50...스텝모터
51...출력축 59...제어부
60...나사축 70...암나사부재

Claims (3)

  1. 자외선 살균기용 자외선 램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석영관의 외주면을 세척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로서,
    상기 석영관의 외주에 끼워져서 그 석영관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상의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석영관의 일단부측의 제1위치와 상기 석영관의 타단부측의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세척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동하는 전진이동과, 상기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의 1/2 이상이며 전진이동시의 이동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상기 제1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후진이동을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면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동할 때 다수 차례의 전진이동과 그 전진이동 사이사이에 행해지는 다수 차례의 후진이동을 하면서 제2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정역회전 가능하며 상기 석영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출력축을 가지는 스텝모터와,
    상기 석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척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이동판과,
    상기 석영관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회전시에 그 나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암나사부재와,
    상기 스텝모터의 출력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3. 삭제
KR1020200188075A 2020-02-20 2020-12-3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KR10232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75A KR102322122B1 (ko) 2020-02-20 2020-12-3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40A KR102199800B1 (ko) 2020-02-20 2020-02-2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방법
KR1020200188075A KR102322122B1 (ko) 2020-02-20 2020-12-3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40A Division KR102199800B1 (ko) 2020-02-20 2020-02-2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39A KR20210106339A (ko) 2021-08-30
KR102322122B1 true KR102322122B1 (ko) 2021-11-05

Family

ID=741268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40A KR102199800B1 (ko) 2020-02-20 2020-02-2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방법
KR1020200188075A KR102322122B1 (ko) 2020-02-20 2020-12-3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40A KR102199800B1 (ko) 2020-02-20 2020-02-20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9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883B1 (ko) 2021-10-21 2023-10-19 주식회사 미드니 자외선 살균장치의 석영관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248B1 (ko) * 2003-06-16 2005-07-01 김태형 살균램프자동세척장치
KR101253322B1 (ko) 2012-11-21 2013-04-10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자외선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800B1 (ko) 2021-01-07
KR20210106339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187B1 (ko) 중심가변형 석영관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로용 자외선살균기
EP2368852B1 (en) Ultraviolet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930434B1 (ko) 자외선 살균기 및 그 세척 장치
KR102322122B1 (ko)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장치
KR1012533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JP2009233346A (ja) 滅菌放射線を用いる治療的流体の病原体の不活性化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1922404B1 (ko) 와류발생을 이용한 관로형 자외선 소독장치
KR101120870B1 (ko) 유량 대응형 자외선 살균기
JP6355244B2 (ja) 紫外線照射装置
JP2011136062A (ja) 紫外線殺菌装置
CN1210210C (zh) 液体处理设备
KR20030079077A (ko) 광촉매 및 자외선램프 모듈을 이용한 살균 및 정화장치
US6518577B1 (en) Optical radiation sensor system with cleaning device
KR20210121956A (ko)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JP2004358327A (ja) 流体管又は紫外線発光体の収容管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318604B1 (ko) 마이크로 버블 살균장치
JP2002292367A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2271578B1 (ko) 자외선 살균 시스템 및 상기 자외선 살균 시스템의 석영관 세척 장치
KR20030046088A (ko) 관 세척기 및 이를 채용한 자외선 소독장치
KR100726465B1 (ko) 스크래칭 방식의 브러쉬 세척장치가 구비된 자외선자동살균시스템
KR101725933B1 (ko) 관로형 자외선 소독기
JPH075909Y2 (ja) 紫外線照射装置のクリーニング機構
KR100505079B1 (ko) 반사율이 향상된 수로의 자외선 살균 장치
KR20030017647A (ko) 개량된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유체처리용 자외선조사장치
KR102169702B1 (ko) 반사체를 구비한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