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646B1 -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646B1
KR102321646B1 KR1020200019074A KR20200019074A KR102321646B1 KR 102321646 B1 KR102321646 B1 KR 102321646B1 KR 1020200019074 A KR1020200019074 A KR 1020200019074A KR 20200019074 A KR20200019074 A KR 20200019074A KR 102321646 B1 KR102321646 B1 KR 10232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server
corrected
photo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395A (ko
Inventor
임수정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임수정
김도영
임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정, 김도영, 임상진 filed Critical 임수정
Priority to KR10202000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6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보정 방법은 서버가 사진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는 사진 획득 단계; 상기 서버가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는 기준 사진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는 보정 객체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는 보정 사진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하는 보정 사진 전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METHOD FOR EDITING PHOTO AND SERVER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사진을 획득하여 그 사진을 보정하는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사진은 지난 시간 들을 추억할 수 있는 매개체로 긴 시간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폰 등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용지상에 인화하지 않고,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거나 웹 페이지에 업로드시켜서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폰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보정하거나 합성하여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미지의 보정은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트 등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전문적인 지식이나 훈련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0700호(2011.06.24. 공개)에서는 사진 배경 합성 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진 배경을 다양한 테마로 변경하여 합성된 사진으로 출력 또는 인화할 수 있는 것에 국한됨에 따라 사진 배경이 아닌 다양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합성 및 보정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용이하게 사진 상의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보정 방법은 서버가 사진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는 사진 획득 단계; 상기 서버가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는 기준 사진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는 보정 객체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는 보정 사진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하는 보정 사진 전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보정 방법은 이용자가 용이하게 사진 상의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보정 객체 특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보정 사진 생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보정 사진 생성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보정 방법은 서버가 사진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는 사진 획득 단계; 상기 서버가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는 기준 사진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는 보정 객체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는 보정 사진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하는 보정 사진 전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정 객체 특정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 상에 보정 가능한 객체를 특정하여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정 사진 생성 단계는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기준 사진이 아닌 사진으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사진 획득 단계는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며, 상기 보정 사진 생성 단계는 상기 서버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 기준을 만족하는 사진으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보정하는 서버는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고; 획득한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며;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고;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며;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용자의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보정 객체 특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보정 사진 생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보정 사진 생성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보정 방법은 서버(10)가 이용자의 전자장치(P)로부터 사진을 전달받아 그 사진을 보정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은 상기 서버(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는 이용자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 탑 등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서버(10)로 사진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가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폰임을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은 상기 서버(10)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는 사진 획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10)는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동영상 파일은 복수의 사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동영상은 2 내지 150개의 사진(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서버(10)가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제1 사진 내지 제4 사진(f1, f2, f3, f4)인 4개의 사진을 포함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2(a) 내지 도 2(d)에 순차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사진은 복수 개의 특정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람 이미지(E1),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 에펠탑인 배경 이미지(E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1, f2, f3, f4)을 서로 비교해 볼 때, 사진을 구성하는 사람 이미지(E1) 및 배경 이미지(E4)는 복수의 상기 프레임 내에서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미만으로 이동되며, 축구공 이미지(E2)는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며, 농구공 이미지(E3)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됨으로 가정한다.
상기 서버(10)는 공지의 RGB분석, 형상분석 등을 통해 상기 제1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1, f2, f3, f4) 상에서 각각 사람 이미지(E1),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 및 배경 이미지(E4)를 상호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은 상기 서버(10)가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는 기준 사진 특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사진은 상기 제1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1, f2, f3, f4) 중 최종적으로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 전송되는 보정된 사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 사진의 특정은 이용자가 상기 전자장치(P)를 통해 복수의 사진 중 어느 하나의 사진을 특정하여 그 정보를 상기 서버(10)로 송신하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10)는 상기 사진 획득 단계에서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기준 사진에 대한 정보도 전달받아, 그 정보에 대응되는 사진을 상기 기준 사진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 사진은 상기 제1 사진(f1)으로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은 상기 서버(10)가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는 보정 객체 특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사진으로 특정된 상기 제1 사진(f1)에는 상기 제1 사진(f1)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인 사람 이미지(E1),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 및 배경 이미지(E4)가 있으며, 상기 서버(10)는 사람 이미지(E1),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 및 배경 이미지(E4) 상에 상기 보정 객체가 될 수 있는 보정 가능 영역을 특정하여 상기 전자장치(P)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정 객체 특정 단계는 상기 서버(10)가 상기 기준 사진 상에 보정 가능한 객체를 특정하여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10)는 상기 제1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1, f2, f3, f4)을 서로 비교해 볼 때,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된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에 대해 각각 보정 가능 영역(A1, A2)임을 점선 등으로 표시하여 상기 전자장치(P)로 송신할 수 있다.
이용자는 상기 전자장치(P)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축구공 이미지(E2)에 대한 보정 가능 영역(A1) 및 농구공 이미지(E3)에 대한 보정 가능 영역(A2)을 인지할 수 있으며, 만약 축구공 이미지(E2)만 삭제를 원하는 경우 축구공 이미지(E2) 만을 터치하여 서버(10)로 그 정보를 상기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만약 축구공 이미지(E2)와 농구공 이미지(E3)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 축구공 이미지(E2)와 농구공 이미지(E3)를 터치하여 그 정보를 상기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보정 객체를 특정하는 것은 이용자가 상기 전자장치(P)를 통해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사람 이미지(E1),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 및 배경 이미지(E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그 정보를 상기 서버(10)로 송신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보정 객체는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임을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은 상기 서버(10)가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는 보정 사진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상기 보정 객체인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를 삭제하고, 그 자리에 타 이미지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하여 합성을 통해 보정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 이미지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하는 두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상기 사진 획득 단계를 통해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기준 사진이 아닌 사진으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타 이미지는 상기 사진 획득 단계를 통해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기준 사진이 아닌 사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1, f2, f3, f4) 중, 상기 제1 사진(f1)이 상기 기준 사진인 경우, 상기 서버(10)는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가 삭제된 각각의 영역에 대해서, 상기 제2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2, f3, f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합성될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10)는 상기 제2 사진(f2)을 타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때 소정의 기준 점으로부터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가 삭제된 각각의 영역과 동일한 위치의 영역(A3, A4)을 상기 제2 사진(f2) 상에서 각각 선택하여, 합성될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서버(10)는 상기 제2 사진(f2) 상에서 각각 추출된 상기 합성 객체를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가 삭제된 각각의 영역에 합성함으로 인해 상기 보정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10)가 상기 제2 사진 내지 상기 제4 사진(f2, f3, f4) 중 어느 하나를 타 이미지로 선택하는 기준은,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삭제되지 않은 사람 이미지(E1), 배경 이미지(E4)와 가장 유사한 크기, 색체, 명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사진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타 이미지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사진 획득 단계는 상기 서버(10)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10)는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뿐만 아니라, 그 사진을 찍은 위치에 대한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10)는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사진(f1)은 에펠탑 근처에서 찍은 위치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보정 사진 생성 단계는 상기 서버(10)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 기준을 만족하는 사진으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메모리부(400)에 미리 저장된 에펠탑 근처의 제5 사진(f5) 및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메모리부(400)에 미리 저장된 에펠탑 근처의 또 다른 제6 사진(f6) 및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메모리부(400)에 미리 저장된 피라미드 근처의 제7 사진(f7) 및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고,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메모리부(400)에 미리 저장된 오페라 하우스 근처의 제8 사진(f8) 및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각각 고유의 경도 및 위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1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상기 기준 사진인 상기 제1 사진(f1)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기준을 만족하는 위치 정보를 가지는 사진인 타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기준은 상기 제1 사진(f1)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서버(10)에 의해 타 이미지로 선택되는 사진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 거리가 50m로 기 설정된 경우에서 선택된 타 이미지의 개수가 5개 미만인 경우, 상기 서버(10)는 상기 소정 거리를 100m로 재 설정하여 타 이미지의 후보군의 개수를 적정량 늘릴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1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수 많은 이미지 중 상기 제1 사진(f1)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타 이미지의 후보군으로서 도 5(a) 및 도 5(b)의 제5 사진(f5) 및 제6 사진(f6)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5 사진(f5) 및 제6 사진(f6) 중 어느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여 타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10)는 제5 사진(f5) 및 제6 사진(f6) 중 상기 제1 사진(f1) 상의 축구공 이미지(E2), 농구공 이미지(E3)가 삭제된 각각의 영역과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의 색체, 명확도 등을 기준으로 이와 가장 유사한 객체를 가지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제6 사진(f6)을 타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제 6 사진 상에서 상기 합성 객체(A3, A4)를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버(10)는 상기 합성 객체를 상기 제1 사진(f1) 상에 합성하고, 완성된 상기 보정 사진을 상기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하는 보정 사진 전달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보정하는 서버(10)는 앞서 설명한 사진 보정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10)는 이용자의 전자장치(P)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고, 획득한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며,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고,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고,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P)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는 상기 전자장치(P)로부터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전달받는 수신부(1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상기 전자장치(P)로 전달하는 송신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사진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수신부
200: 제어부
300: 송신부
400: 메모리부
500: 입력부

Claims (5)

  1. 서버가 사진을 보정하는 사진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는 사진 획득 단계;
    상기 서버가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는 기준 사진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는 보정 객체 특정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는 보정 사진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하는 보정 사진 전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획득 단계는,
    상기 서버가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며,
    상기 보정 사진 생성 단계는,
    상기 서버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기준 사진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사진을 선택한 후 선택한 사진으로부터 상기 합성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소정 거리는,
    선택되는 사진의 개수에 따라 변경되는,
    사진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객체 특정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기준 사진 상에 보정 가능한 객체를 특정하여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사진 보정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사진을 보정하는 서버에 있어서,
    이용자의 전자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사진을 획득하고;
    획득한 복수 개의 사진 중 보정 대상인 기준 사진을 특정하며;
    상기 기준 사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객체 중 보정 대상인 보정 객체를 특정하고;
    상기 기준 사진 상의 상기 보정 객체를 삭제하고, 타 이미지로부터 합성 객체를 추출하며, 삭제된 상기 보정 객체 상에 상기 합성 객체를 합성하여 보정 사진을 생성하며;
    이용자의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보정 사진을 전달하고;
    상기 타 이미지는,
    상기 서버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진 중 상기 기준 사진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사진으로 선택되며,
    상기 소정 거리는,
    선택되는 사진의 개수에 따라 변경되는,
    서버.
KR1020200019074A 2020-02-17 2020-02-17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KR10232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74A KR102321646B1 (ko) 2020-02-17 2020-02-17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74A KR102321646B1 (ko) 2020-02-17 2020-02-17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95A KR20210104395A (ko) 2021-08-25
KR102321646B1 true KR102321646B1 (ko) 2021-11-10

Family

ID=7749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74A KR102321646B1 (ko) 2020-02-17 2020-02-17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6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0412A (ja) * 2004-01-22 2005-08-04 Fuji Photo Film Co Ltd 記念写真作成システム
JP2015173407A (ja) * 2014-03-12 2015-10-01 有限会社デザインオフィス・シィ 被写体合成画像作成方法、その被写体合成画像を作成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合成画像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105B1 (ko) * 2013-07-16 2020-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0412A (ja) * 2004-01-22 2005-08-04 Fuji Photo Film Co Ltd 記念写真作成システム
JP2015173407A (ja) * 2014-03-12 2015-10-01 有限会社デザインオフィス・シィ 被写体合成画像作成方法、その被写体合成画像を作成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合成画像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95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9251B2 (en) Camera
US911731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4660909A (zh) 图像获取方法、图像获取装置和终端
JP6108755B2 (ja) 撮影機器、撮影画像送信方法及び撮影画像送信プログラム
CN108259757A (zh) 摄像装置、图像处理装置、以及记录方法
CN112702521B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5192547A1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三维照片拍摄方法及移动终端
JP2015002423A (ja) 画像処理装置、サーバ及び記憶媒体
JP201104406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810759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71853B1 (ko) 전자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7710731B (zh) 摄像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CN110581950B (zh) 相机、选择相机设置的系统和方法
JP2009151698A (ja) 画像変換装置、画像提供システム、撮影編集装置、画像変換方法、画像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321646B1 (ko) 사진 보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CN114466133A (zh) 拍照方法及装置
US106577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332493B2 (ja) カメラ、画像共有サーバ及び画像共有プログラム
JP2008078836A (ja) カメラ、ブログ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16109922A (zh) 鸟类识别方法、鸟类识别设备和鸟类识别系统
JP201104498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8271239A (ja) カメラ、コンテンツ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40080A (zh) 摄像设备、摄像设备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741673B1 (ko)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 및 방법
JP202015051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