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69B1 - 분무액통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분무액통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69B1
KR102321569B1 KR1020190083030A KR20190083030A KR102321569B1 KR 102321569 B1 KR102321569 B1 KR 102321569B1 KR 1020190083030 A KR1020190083030 A KR 1020190083030A KR 20190083030 A KR20190083030 A KR 20190083030A KR 102321569 B1 KR102321569 B1 KR 10232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gripper
inclined surface
main body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129A (ko
Inventor
박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정공
Priority to KR102019008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회전 결합이 가능한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분무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분무액을 제공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있어서, 개구부(210)를 통해 분무액이 저장되는 리저버(200);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무회전 결합된 채로 기밀유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하여, 리저버의 회전이 없이도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혹은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수행 가능한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무액통 고정구조{A connection structure for sprayer reservior}
본 발명은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회전 결합이 가능한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분무기는 약액을 소정 영역으로 분사시키는 장치를 가리킨다.
따라서, 대체로 분무기는 분사 본체로 약액을 공급시키는 약액통을 가진다.
종래의 분무기는 약액통을 본체에 회전시켜 결합시키는 구조였다.
따라서, 약액통에 약액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약액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였다.
약액통은 외주면이 곡률을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진 구조 보다 파지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분무기의 사용환경이 수분기 등 액체가 배제되어 있는 환경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약액통에 약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약액이 약액통 외주면으로 흘러내리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의 원형의 약액통 외주면에 수분기가 존재할 경우 더더욱 미끄러지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약액통을 회전시켜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은 더욱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빈 약액통이 아닌 약액이 가득 주입되어 중량이 있는 약액통의 경우라면 더더욱 회전 체결이 곤란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한편, 약액통에 형성된 나사산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물질은 약액통과 본체 사이를 더욱 더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일종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분무기 사용 후 약액통을 분리하고자 할 때 약액통이 회전되지 않아 분리가 곤란한 문제도 있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약액통에 형성된 나사산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 분무기 사용 후라면 약액통 외주면에 수분기가 함유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더욱 더 약액통 분리가 곤란해진다.
뿐만 아니라, 약액통 외주면이 건조된 상태라 할지라도 약액의 양에 따라서 약액통을 들어올려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한 사정도 있다.
예를 들면, 노약자나 부녀자와 같이 근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사용자들에게는 소정 이상의 약액의 사용이 제한되는 불편함도 발생될 수 있게 된다.
KR 10-1323715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약액통을 본체에 간편하게 체결시킴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분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회전 결합이 가능한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분무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분무액을 제공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있어서, 개구부(210)를 통해 분무액이 저장되는 리저버(200);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무회전 결합된 채로 기밀유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걸림부(310); 상기 리저버(200)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310)에 고정되는 그리퍼(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그리퍼(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리퍼(320)는 상기 리저버(200)에 마련된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단부(351) 및 제2단부(352)를 갖고, 일측이 상기 제1단부(351)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리저버(200)에 형성된 스토퍼(230)에 지지되어 상기 제2단부(352)가 상기 스토퍼(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리퍼(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3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리퍼(320)는 상기 제2단부(352)에 마련된 손잡이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80)는 상기 그리퍼(320)가 상기 스토퍼(230)에 접촉할 때 상기 손잡이부(380)의 외주면이 상기 리저버(200)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리퍼(320)는 상기 개구부(2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대향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단부(351)에 마련되되,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 최초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부(351)와 상기 힌지축(220) 사이는 직선형이고, 상기 제2단부(352)와 상기 힌지축(220) 사이에는 꺽임부(360)가 형성되되, 상기 그리퍼(320)의 제1단부(351)에 형성된 제1경사면(341)이 상기 걸림부(310)에 형성된 제2경사면(330)에 접촉시키고,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가압력이 상기 탄성수단(3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경사면(341)은 상기 걸림부(310)에 형성된 제2경사면(33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접근되고, 상기 개구부(210)가 상기 본체(100)에 밀착되는 순간 상기 제1경사면(341)이 상기 제2경사면(330)으로부터 접촉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그리퍼(320)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제1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 고정되어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그리퍼(320)의 제2단부(352)가 상기 리저버(100)에 형성된 돌출편(262)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구동력이 상기 탄성수단(3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서 이탈되어 상기 리저버(200)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200)에는 상기 걸림부(310)를 수용하여 상기 리저버(20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리저버의 회전이 없이도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혹은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수행 가능한 강점이 있다.
둘째, 리저버의 회전이 없이 체결 가능하기 때문에 약액의 흔들림이나 흘러내림 등이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리저버를 들어올려 체결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분무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리저버의 회전 없이 탈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보다 대용량의 리저버라 할지라도 바닥에 놓인 리저버에 본체를 맞추어 올린 후 하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의 인가만으로도 손쉽게 체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섯 째, 리저버에는 본체 결합용 나사산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끼임으로 인한 리저버 분리 곤란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강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가 본체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분무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분무액을 제공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가 본체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200)의 형상은 도 1과 같이 상면에서 바라볼 때 개구부(210) 중심과 돌출편(262)을 연결한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는 동일형상을 갖기 때문에 설명과 이해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가상의 선(이하 기준선 이라 함)을 기준하여 좌측 혹은 우측의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설명함으로써 기준선에 대해 대칭되는 다른 한 쪽의 설명은 생략키로 함을 일러둔다.
이 때,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동형의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의 도면부호가 부여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되, 해당 도면부호에 “ ' “를 적용하고 이는 도면에 별도 도시하지 않았음을 일러둔다.
예를 들면, 기준선의 좌측에 위치되는 그리퍼(320)를 가지고 설명하되, 기준선 우측의 대응되는 다른 그리퍼는 그리퍼(320')로 기재하였다.
리저버(200)는 개구부(210)를 통해 분무액이 저장된다.
이 때 분무액은 연막분무용인 약액이나 기타 여하의 분사가 가능한 물질이면 족하다.
리저버(200)는 적어도 소정의 구간이 원형을 갖는 개구부 리브(215) 및 서라운딩부 리브(216)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 리브(215)는 원형의 폐곡선을 이루며, 서라운딩부 리브(216)는 폐곡선을 이루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개구부 리브(215)는 개구부(210)를 형성시킨다.
개구부 상단부(214)는 개구부 리브(215)의 상단을 이루며, 리저버(200)이 본체(100)에 체결될 때 리저버(200) 내부에 마련된 접촉부(미도시)에 밀착됨으로써 분무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킨다.
서라운딩부 리브(216)는 개구부(2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직경을 갖으면서 개구부 리브(215)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서라운딩부 리브(216)의 곡률은 개구부 리브(215)의 곡률과 동일하며, 개구부(2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인 반경은 서라운딩부 리브(216)가 개구부 리브(215) 보다 크다.
개구부 리브(215)와 서라운딩부 리브(216) 사이 공간은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환형의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서라운딩부 리브(216)는 크게 제1 서라운딩부 리브(216-1), 제2 서라운딩부 리브(216-2), 제3 서라운딩부 리브(2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라운딩부 리브(216-1)는 일단이 제1 돌기(241)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타단은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제1 돌기(241')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다.
제1 서라운딩부 리브(216-1)의 중앙부분은 돌출편(262)을 향하여 라운드를 이룬다.
제2 서라운딩부 리브(216-2)와 제3 서라운딩부 리브(216-3)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을 갖는다.
제3 서라운딩부 리브(216-3)는 일단이 제2 돌기(242)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타단은 수용홈(260)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수용홈(260)은 제2 서라운딩부 리브(216-2)와 제3 서라운딩부 리브(216-3) 사이에서 개구부(210)를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260)은 분무기 세정을 위한 세척용액이 담긴 세척통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수용홈(260)의 깊이는 세척통(미도시)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척통이 수용홈(260)에 삽입된 경우 세척통의 외주면이 리저버(200)의 외주면 보다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용홈(260)에는 세척통의 바닥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받침부(26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240)는 제1 돌기(241) 및 제2 돌기(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저버(200)에는 걸림부(310)를 수용하여 리저버(2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240)가 마련되고, 회전방지돌기(240)에 인접되어 형성된 채로 제1 단부의 하면(353)을 지지하는 지지편(263)이 포함될 수 있다.
지지편(263)은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리저버(200)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중력을 인가받을 때, 그리퍼(320)를 지지하여 그리퍼(320)가 뒤틀리지 않도록 안정적인 체결을 돕는다.
제1 돌기(241)와 제2 돌기(242)는 리저버(200)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설된 구조로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채 서로 대향되는 구조이다.
또한, 제1 돌기(241)과 제2 돌기(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제3 경사면(24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본체(100)에 마련된 걸림부(310)가 제1 돌기(241)과 제2 돌기(242) 사이에 결합되는데, 이때 걸림부(310)가 제3 경사면(243)의 안내를 받아 보다 자연스럽게 결합되도록 돕는다.
한편, 걸림부(310)의 너비는 제1 돌기(241)와 제2 돌기(242) 사이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걸림부(310)가 회전방지돌기(240)에 결합되고, 또 다른 걸림부(310')가 또 다른 회전방지돌기(24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결국, 체결부(300)는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무회전 결합된 채로 기밀유지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부(300)는 걸림부(310) 및 그리퍼(3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10)는 본체(100)에 형성된다.
그리퍼(320)는 리저버(200)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걸림부(310)에 고정가능하다.
한편, 걸림부(310)와 그리퍼(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경사면은 제1 경사면(341), 제2 경사면(330)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그리퍼(320)에 대하여 상술한다.
그리퍼(320)는 제1 단부(351), 제2 단부(352), 꺽임부(3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리퍼(320)는 탄성수단(370)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리퍼(320)는 리저버(200)에 마련된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단부(351) 및 제2 단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320)는 힌지축(220)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 단부(351)를 갖고 타측에는 제2 단부(352)가 마련될 수 있다.
꺽임부(360)는 힌지축(220)과 제2 단부(35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단부(351)와 힌지축(220) 사이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단부(352)와 힌지축(220) 사이에는 꺽임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부(351)의 길이는 힌지축(220)로부터 꺽임부(360)까지의 길이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230)는 제1 부분(231) 및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31)이 제2 부분(232) 보다 높게 형성 가능하다.
제2 부분(232)에는 탄성수단(370)의 일부가 지지되고, 제1 부분(231)에는 그리퍼(320)가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부분(231)은 꺽임부(36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리퍼(320)에 아무런 구동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꺽임부(360)의 일측면은 탄성수단(370)에 의해 스토퍼(2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그리퍼(320)에 아무런 구동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라 함은 예를 들어, 리저버(200)가 본체(100)에서 분리된 상태이거나,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리저버(200)가 본체(100)에서 분리된 상태이거나,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꺽임부(360)의 일측면은 탄성수단(370)에 의해 스토퍼(230)에 접촉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380)는 제2 단부(352)에 마련되어 구동력 인가를 용이하게 돕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단부(351)와 제2 단부(352)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41)은 제1 단부(35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경사면(341)은 개구부(210)의 중심을 향하는 단부에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경사면(341)은 제1 단부(351)에 마련되되,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될 때 제1 단부(351)가 걸림부(310)에 최초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경사면(341)은 개구부(210)를 향하여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1 경사면(341)의 장방향 폭은 제1 돌기(241)와 제2 돌기(242) 사이의 폭과 같거나 그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380)는 그리퍼(320)가 스토퍼(230)에 접촉할 때 손잡이부(380)의 외주면이 리저버(200)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탄성수단(370)은 일측이 제1 단부(351)에 지지되고, 타측이 리저버(200)에 형성된 스토퍼(230)에 지지되어 제2 단부(352)가 스토퍼(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퍼(32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그리퍼(320)는 제2 단부(352)에 마련된 손잡이부(3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그리퍼(320)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대향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리퍼(320, 320')는 서로 대향되는 동형의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구조 및 작동원리는 동일하므로 그 중 어느 한 쪽을 가지고 설명하도록 한다.
걸림부(310)의 단부 하면에도 제1 경사면(341)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33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경사면(341)과 제2 경사면(330)은 서로 나란한 형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방지돌기(240)의 중심과 스토퍼(230)의 중심은 리저버(200) 상단에서 기준선과 나란하게 형성 가능한 또 다른 가상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작원리의 설명 - 무회전 체결>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무회전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리저버(200)에 형성된 개구부(210)를 통해 분무약액을 주입하여 본체(100)에 체결준비를 한다.
다음으로 그리퍼(320)의 제1 단부(351)에 형성된 제1 경사면(341)을 걸림부(310)에 형성된 제2 경사면(330)에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리저버(200)가 본체(100) 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된다.
바꿔 말해서, 분무약액이 주입된 리저버(200)가 바닥에 놓인 채로, 본체(100)를 리저버(200) 위에 올려서 본체(100)를 리저버(200) 방향으로 눌러 가압시키는 것이다.
이 때, 가압력이 탄성수단(3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 경사면(341)은 걸림부(310)에 형성된 제2 경사면(33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리저버(200)가 본체(100) 방향으로 접근된다.
개구부(210)가 본체(100)에 밀착되는 순간 제1 경사면(341)이 제2 경사면(330)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고, 그와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그리퍼(320)가 원위치된다.
이 때, 제1 단부의 하면(352)이 걸림부(310)의 상면에 밀착된다.
도 3에서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부(310)의 상면에는 소정의 경사를 갖는 단턱이 형성되고, 그리퍼(320)의 단부인 제1 단부(351)의 모서리가 걸림부(310) 상면의 단턱 엣지부분에 밀착된다.
그리퍼(320)가 원위치되면서, 제1 단부(351)가 걸림부(310)에 고정되어 리저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리저버(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그리퍼(320)의 제2 단부(352)가 본체(100)에 형성된 돌출편(262)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380)와 그에 대응되는 또 다른 손잡이부(380')를 잡고 각각 돌출편(262)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가한다.
이 때, 구동력이 탄성수단(3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 단부(351)가 걸림부(310)에서 이탈되어 리저버(20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제2 단부(352) 및 또 다른 제2 단부(352')는 돌출편(262)에 의해 회동 한계가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의 스토퍼가 돌출편(262) 방향으로 더욱 근접해 형성되고, 힌지축(220)으로부터 꺽임부(360)까지의 길이가 더욱더 길어질 경우이다.
이 경우, 구동력은 보다 적은 힘이 소요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변형 실시 예는 보다 대용량의 분무약이 필요한 대형 리저버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 때, 탄성수단의 탄성계수 역시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력도 증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른 본체(100) 및 리저버(200)의 체결구조는 리저버(200)의 회전이 없이도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혹은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회전 결합시 야기될 수 있는 약액통의 흔들림으로 인한 약액 흘러내림 등의 문제가 말끔히 해소될 수 있는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분무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저버(200)의 회전되이 없이 탈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보다 대용량의 리저버라 할지라도 바닥에 놓인 리저버에 본체를 맞추어 올린 후 하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 인가만으로도 손쉽게 체결이 되기 때문에 굳이 무거운 리저버를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는 체결의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 예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가 양각 형상이 아닌 끼울 수 있는 구조의 음각 형상의 끼움부(미도시)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본체에 마련된 이와 같은 음각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로서 리저버에는 회전방지돌기(240) 위치에 회전방지돌기(240) 대신하는 양각의 돌출된 결합돌기편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에 형성된 음각의 끼움부에 리저버의 양각 결합돌기편이 결합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단부(351)가 리저버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그리퍼는 전술한 것과 반대로 리저버의 개구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받고 있는 상태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부재가 그리퍼에 접촉되는 부분이 그리퍼의 중앙부 길이방향을 따라서 반대편에 접촉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스토퍼의 위치도 꺽임부의 내측이 아닌 외측에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바꿔 말하면, 구동력은 손잡이부를 돌출편(26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하여야 할 것이다.
<제3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그리퍼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일의 그리퍼가 리저버에 마련된다.
단일의 그리퍼는 전술한 그리퍼 중 어느 하나이다.
다만, 단일의 그리퍼와 기준선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곳에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본체에는 단일의 걸림부와 단일의 끼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원리로써 그리퍼가 체결(제2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끼움부에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본체 음각 형상의 끼움부에 리저버의 양각의 돌출된 결합돌기편이 체결(제1 체결)되는 구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체결이 제2 체결에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어떠한 실시 예 에서도 본체(100)가 리저버(200)에 결합될 때 그 기준선이 개구부(210)의 중심을 기점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100 : 본체
200 : 리저버
210 : 개구부
214 : 개구부 상단부
215 : 개구부 리브
216 : 서라운딩부 리브
220 : 힌지축
230 : 스토퍼
231 : 제1 부분
232 : 제2 부분
240 : 회전방지돌기
241 : 제1 돌기
242 : 제2 돌기
243 : 제3 경사면
250 : 제3 돌기
260 : 수용홈
261 : 받침부
262 : 돌출편
263 : 지지편
300 : 체결부
310 : 걸림부
320 : 그리퍼
330 : 제2 경사면
331 : 걸림부의 상면
341 : 제1 경사면
351 : 제1 단부
352 : 제2 단부
353 : 제1 단부의 하면
360 : 꺽임부
370 : 탄성수단
380 : 손잡이부
216-1 : 제1 서라운딩부 리브
216-2 : 제2 서라운딩부 리브
216-3 : 제3 서라운딩부 리브

Claims (10)

  1. 분무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분무액을 제공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에 있어서,
    개구부(210)를 통해 분무액이 저장되는 리저버(200);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무회전 결합된 채로 기밀유지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걸림부(310)와, 상기 리저버(200)에서 회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310)에 고정되는 그리퍼(32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320)는, 상기 리저버(200)에 마련된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단부(351) 및 제2단부(352)를 포함하며,
    상기 그리퍼(320)의 상기 제1단부(351)에 제1경사면(34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10)에 상기 제1경사면(341)이 접촉하도록 이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330)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그리퍼(320)의 제1 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무회전 결합되어 기밀유지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상기 제1 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리저버 (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320)는,
    일측이 상기 제1단부(351)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리저버(200)에 형성된 스토퍼(230)에 지지되어 상기 제2단부(352)가 상기 스토퍼(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리퍼(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3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320)는,
    상기 제2단부(352)에 마련된 손잡이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80)는,
    상기 그리퍼(320)가 상기 스토퍼(230)에 접촉할 때 상기 손잡이부(380)의 외주면이 상기 리저버(200)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320)는,
    상기 개구부(2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대향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341)은,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 최초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351)와 상기 힌지축(220) 사이는 직선형이고,
    상기 제2단부(352)와 상기 힌지축(220) 사이에는 꺽임부(360)가 형성되되,
    상기 그리퍼(320)의 제1단부(351)에 형성된 제1경사면(341)이 상기 걸림부(310)에 형성된 제2경사면(330)에 접촉시키고,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가압력이 상기 탄성수단(3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경사면(341)은 상기 걸림부(310)에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33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접근되고,
    상기 개구부(210)가 상기 본체(100)에 밀착되는 순간 상기 제1경사면(341)이 상기 제2경사면(330)으로부터 접촉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그리퍼(320)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제1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 고정되어 상기 리저버(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그리퍼(320)의 제2단부(352)가 상기 리저버(200)에 형성된 돌출편(262)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구동력이 상기 탄성수단(3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단부(351)가 상기 걸림부(310)에서 이탈되어 상기 리저버(200)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200)에는,
    상기 걸림부(310)를 수용하여 상기 리저버(20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2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액통 고정구조.
KR1020190083030A 2019-07-10 2019-07-10 분무액통 고정구조 KR10232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30A KR102321569B1 (ko) 2019-07-10 2019-07-10 분무액통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30A KR102321569B1 (ko) 2019-07-10 2019-07-10 분무액통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29A KR20210007129A (ko) 2021-01-20
KR102321569B1 true KR102321569B1 (ko) 2021-11-05

Family

ID=7430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030A KR102321569B1 (ko) 2019-07-10 2019-07-10 분무액통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27B1 (ko) * 2005-06-06 2014-04-11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유체 저장 및 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3715B1 (ko) 2011-11-25 2013-10-30 이민구 연막분무기용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29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US20100006606A1 (en)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JPH05270577A (ja) 適量分与装置
KR20010025012A (ko) 콘택트 렌즈 보존 조성물 및 콘택트 렌즈 케이스를수용하는 장치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JP2003205961A (ja) 製品を包装および適用するための容器アセンブリ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EP0712592A1 (en) A roll-on applicator
KR102321569B1 (ko) 분무액통 고정구조
KR20060135570A (ko) 마스카라 패키징과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및 화장에사용하는 그 용도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JP5590554B2 (ja) 塗布容器
IE863371L (en) Receptacle stopper
KR102031115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JP5483164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KR102404972B1 (ko) 화장품 드로퍼
JP2013071744A (ja) 塗布体付き滴下容器
JP7128150B2 (ja) 吐出容器
KR20160001595U (ko) 점안액 투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액 투약 장치
KR20180006204A (ko) 립글로스 용기
KR20180069311A (ko) 휴대용 분리형 향수 용기
KR101746136B1 (ko) 화장품용기
CN214432500U (zh) 一种双腔滴管瓶及应用该双腔滴管瓶的化妆品
JP2534744Y2 (ja) 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