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49B1 -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 Google Patents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49B1
KR102320849B1 KR1020190173054A KR20190173054A KR102320849B1 KR 102320849 B1 KR102320849 B1 KR 102320849B1 KR 1020190173054 A KR1020190173054 A KR 1020190173054A KR 20190173054 A KR20190173054 A KR 20190173054A KR 102320849 B1 KR102320849 B1 KR 10232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oof
pair
fastening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954A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102019017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2Devices or arrangements allowing walking on the roof or in the gut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1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s on roof frameworks or on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건축물의 지붕 경사각도에 상관없이 발판이 수평인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발판을 통한 보행 시 지붕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며,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을 향해 경사진 지붕에 상호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 마감재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와;, 한 쌍의 결합부 위로 각각 다수의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고정판과;, 한 쌍의 측면 고정판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계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을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결합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한 쌍의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이 외면에 형성되고, 측면 고정판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2체결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측면 고정판은 다수의 고정판의 제2체결구멍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고, 지면과 지붕 사이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체결판과;, 제1체결판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발판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며, 발판의 양쪽 측면에는 한 쌍의 제2체결판의 제1체결구멍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Roof Walking Safety Stairs installed without changing the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작업자가 건축물의 지붕 경사각도에 상관없이 발판이 수평인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발판을 통한 보행 시 지붕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며,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등의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다. 즉,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에서 작업자가 보행하기가 어려워서 작업을 하기가 어려웠었다.
특히, 눈이나 비 등이 내릴 경우 작업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가 더욱 어려웠었다.
즉, 지붕에서의 작업의 위험성이 증가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컸었다.
이에, 특허문헌1은 상부는 지붕의 상부에 걸리게 되는 절곡걸림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양끝에는 결착홀이 형성된 고정홈부가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받침대와; 전방의 하부에는 좌우로 한쌍의 원통형상의 전방고정대가 부착고정되고 후방의 하부에는 수직바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좌우로 한 쌍의 후방고정대가 형성되게 되는 한편, 후방의 상부는 작업발판이 거치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양측면과 걸림턱부에는 각각 한 쌍의 체결핀이 부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받침대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부에 지지부재의 전방고정대 및 후방고정대를 고정시켜 작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지붕작업사다리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현재에는 특허문헌1보다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로 지붕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을 필요로 하였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0536099호(2005.12.06.등록.)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자가 건축물의 지붕 경사각도에 상관없이 발판이 수평인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발판을 통한 보행 시 지붕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며,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을 향해 경사진 지붕에 상호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 마감재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와;, 한 쌍의 결합부 위로 각각 다수의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고정판과;, 한 쌍의 측면 고정판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계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을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결합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한 쌍의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이 외면에 형성되고, 측면 고정판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2체결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측면 고정판은 다수의 고정판의 제2체결구멍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고, 지면과 지붕 사이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체결판과;, 제1체결판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발판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며, 발판의 양쪽 측면에는 한 쌍의 제2체결판의 제1체결구멍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붕에 설치된 마감재의 한 쌍의 결합부에 다수의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부재에 한 쌍의 측면 고정판이 설치되며, 한 쌍의 측면 고정판의 사이에 다수의 발판이 계단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건축물의 지붕 경사각도와 상관없이 다수의 발판이 수평인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행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면 고정판에 의해 발판과 고정부재가 서로 떨어져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작업자의 발판을 통한 보행 시 고정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의 발판을 통한 보행 시 지붕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기 때문에, 마감재의 결합부 및 지붕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감재의 결합부가 한 쌍의 고정브라켓의 끼움홈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마감재의 결합부 및 지붕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정부재 및 제1,2지지부재가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이 설치되면서, 동시에 지붕의 구조 변경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각도가 다른 각각의 지붕에 대응하는 다수의 측면 고정판이 포함되기 때문에, 설치 현장에 맞는 측면 고정판을 고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설치가 신속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체결판의 외면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 고정판의 무게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즉, 지붕에 전달되는 측면 고정판의 무게에 의한 압력이 줄어들면서, 동시에 마감재의 결합부 및 지붕의 손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체결판의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 고정판의 강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측면 고정판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부를 통해 다수의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간부재를 통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발판 위에서 작업할 수 있는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간봉의 가로대로 난간봉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작업자가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면서, 동시에 작업자가 앉거나 일어날 때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간부재가 제1지지부재에 지지되기 때문에, 난간부재가 외력을 충분히 견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면 고정판이 제2지지부재에 지지되기 때문에, 측면 고정판이 외력을 충분히 견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길이가 긴 손잡이 봉을 통해 좀 더 쉽게 지붕에서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감재의 결합부 길이 방향을 따라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이 다수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길이가 긴 지붕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부분확대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측면 고정판 상세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의 측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지면을 향해 경사진 건축물의 지붕(1)에 상호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 마감재(2)의 결합부(3)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한 쌍의 결합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00)와;, 한 쌍의 상기 결합부(3) 위로 각각 다수의 고정부재(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고정판(200)과;, 한 쌍의 상기 측면 고정판(200)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계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3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결합부(3)가 끼워지는 끼움홈(111)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2)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과;,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체결구멍(11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121)이 외면에 형성되고, 측면 고정판(200)에 상기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2체결구멍(122)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1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결합부(3)의 위로 체결구멍(1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되며, 고정판(120)은 제1,2체결구멍(121)(1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20)은 제1체결구멍(121)이 형성된 사각판과, 상기 사각판에서 돌출형성되며 제2체결구멍(122)이 형성된 반원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판(200)은 다수의 고정판(120)의 제2체결구멍(12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고, 지면과 지붕(1) 사이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체결판(210)과;, 상기 제1체결판(210)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발판(300)에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2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판(2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판(220)의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판(220)의 외면에는 제2체결구멍(22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판(200)은 제1,2체결판(210)(220)의 사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판(200)은 제2체결판(220)의 한쪽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240)가 포함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1체결구멍(221) 중 일부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수평부(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형성된다.
즉, 다수의 상기 제1체결구멍(221) 중 일부는 수평부(240)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지면과 지붕(1) 사이의 경사각도가 다른 각각의 상기 지붕(1)에 설치되도록, 각각의 상기 지붕(1)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각각의 제1체결판(210)이 각각 포함된 다수의 측면 고정판(20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300)의 양쪽 측면에는 한 쌍의 제2체결판(220)의 제1체결구멍(2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일부는 체결구멍(310)이 수평부(240)의 제1체결구멍(2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다수의 발판(300)의 상부면 양쪽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부재(4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난간부재(400)는 한 쌍의 이웃한 발판(300)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상기 발판(300)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간봉(4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봉(410)은 '∩'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300)의 상부면 양쪽에는 외면에 체결구멍(3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끼움봉(3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판(300)은 작업자의 신발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빠지는 다수의 관통구멍과, 상기 작업자의 신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논슬립이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난간봉(410)은 한 쌍의 끼움봉(320)의 체결구멍(3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4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끼움봉(320)의 바깥쪽으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난간봉(410)의 내측에는 가로대(4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대(412)의 외면에는 체결구멍(4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난간봉(410)의 외면에는 제1체결구멍(411)의 위로 제2체결구멍(4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가로대(412)와, 고정부재(100)가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3)의 양쪽으로 다른 결합부(3)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가로대(412)와 결합부(3)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결합부(3)가 끼워지는 끼움홈(511)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512)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510)과;,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510)의 체결구멍(51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521)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외면 반대편 한쪽에 제2체결구멍(522)이 형성된 고정판(520)과;, 상기 가로대(412)의 체결구멍(412a) 및 고정판(520)의 제2체결구멍(522)과 체결부재(4)로 각각 체결되는 제1,2체결구멍(531)(532)이 외면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5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510)은 결합부(3)의 위로 체결구멍(5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되며, 고정판(520)은 제1,2체결구멍(521)(5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52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ㄱ'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간부재(400)는 다수의 난간봉(410)의 제2체결구멍(413)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4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다수 형성된 손잡이봉(4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봉(420)은 다수의 난간봉(4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제2체결판(220)과, 고정부재(100)가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3)의 양쪽으로 다른 결합부(3)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6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측면 고정판(200)과 제1지지부재(500)의 사이에 위치된 결합부(3)와, 제2체결판(22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결합부(3)가 끼워지는 끼움홈(611)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612)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610)과;,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체결구멍(61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621)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외면 반대편 한쪽에 제2체결구멍(622)이 형성된 고정판(620)과;, 상기 제2체결판(220)의 제2체결구멍(223) 및 고정판(620)의 제2체결구멍(622)과 체결부재(4)로 각각 체결되는 제1,2체결구멍(631)(632)이 외면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6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610)은 결합부(3)의 위로 체결구멍(6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되며, 고정판(620)은 제1,2체결구멍(621)(6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62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ㄱ'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결합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다수의 손잡이봉(420)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4)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은 지면을 향해 경사진 건축물의 지붕(1)에 상호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 마감재(2)의 결합부(3)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상기 고정부재(100)를 한 쌍의 결합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끼움홈(111)에 결합부(3)가 끼워지며,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체결구멍(112)과 고정판(120)의 제1체결구멍(121)이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측면 고정판(200)을 한 쌍의 결합부(3) 위로 각각 다수의 고정부재(100)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20)의 제2체결구멍(122)은 제1체결판(210)의 체결구멍(21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일부를 한 쌍의 측면 고정판(200)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계단 형태로 설치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일부는 체결구멍(310)이 제2체결판(220)의 제1체결구멍(2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즉,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일부는 수평인 상태로 제2체결판(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단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나머지를 수평부(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나머지는 체결구멍(310)이 수평부(240)의 제1체결구멍(2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즉,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나머지는 수평인 상태로 수평부(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난간부재(400)를 다수의 발판(300)의 상부면 양쪽으로 각각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난간봉(410)은 끼움봉(320)의 바깥쪽으로 끼워지며, 상기 난간봉(410)의 제1체결구멍(411)은 끼움봉(320)의 체결구멍(3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즉, 다수의 상기 난간봉(410)은 한 쌍의 이웃한 발판(300)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상기 발판(3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난간봉(410)의 제2체결구멍(413)은 손잡이봉(420)의 체결구멍(4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즉, 다수의 상기 난간봉(410)은 손잡이봉(42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500)를 가로대(412)와, 고정부재(100)가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3)의 양쪽으로 다른 결합부(3)에 설치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510)의 끼움홈(511)에 결합부(3)가 끼워지며,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510)의 체결구멍(512)과 고정판(520)의 제1체결구멍(521)이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530)의 제1,2체결구멍(531)(532)은 각각 가로대(412)의 체결구멍(412a) 및 고정판(520)의 제2체결구멍(52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난간부재(40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재(600)를 제2체결판(220)과, 고정부재(100)가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3)의 양쪽으로 다른 결합부(3)에 설치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끼움홈(611)에 결합부(3)가 끼워지며,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체결구멍(612)과 고정판(620)의 제1체결구멍(621)이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630)의 제1,2체결구멍(631)(632)은 각각 제2체결판(220)의 제2체결구멍(223) 및 고정판(620)의 제2체결구멍(62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된다.
즉,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측면 고정판(200)을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작업자는 수평인 상태의 다수의 발판(300)을 밟아가면서 난간부재(400)에 의지하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을 결합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한다.
즉, 상기 지붕(1)의 길이가 길 경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이 결합부(3)에 다수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고정부재 110 : 고정브라켓
111 : 끼움홈 112 : 체결구멍
120 : 고정판 121 : 제1체결구멍
122 : 제2체결구멍 200 : 측면 고정판
210 : 제1체결판 211 : 체결구멍
220 : 제2체결판 221 : 제1체결구멍
222 : 관통구멍 223 : 제2체결구멍
230 : 절곡부 240 : 수평부
300 : 발판 310 : 체결구멍
320 : 끼움봉 321 : 체결구멍
400 : 난간부재 410 : 난간봉
411 : 제1체결구멍 412 : 가로대
412a : 체결구멍 413 : 제2체결구멍
420 : 손잡이봉 421 : 체결구멍
500 : 제1지지부재 510 : 고정브라켓
511 : 끼움홈 512 : 체결구멍
520 : 고정판 521 : 제1체결구멍
522 : 제2체결구멍 530 : 지지판
531 : 제1체결구멍 532 : 제2체결구멍
600 : 제2지지부재 610 : 고정브라켓
611 : 끼움홈 612 : 체결구멍
620 : 고정판 621 : 제1체결구멍
622 : 제2체결구멍 630 : 지지판
631 : 제1체결구멍 632 : 제2체결구멍
1000 :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Claims (14)

  1. 지면을 향해 경사진 지붕(1)에 상호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 마감재(2)의 결합부(3)에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결합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00)와;, 한 쌍의 상기 결합부(3) 위로 각각 다수의 고정부재(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고정판(200)과;, 한 쌍의 상기 측면 고정판(200)의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계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00)는 결합부(3)가 끼워지는 끼움홈(111)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2)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110)과;,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체결구멍(11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121)이 외면에 형성되고, 측면 고정판(200)에 상기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2체결구멍(122)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판(200)은 다수의 고정판(120)의 제2체결구멍(12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고, 지면과 지붕(1) 사이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체결판(210)과;, 상기 제1체결판(210)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발판(300)에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2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로 외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판(220)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300)의 양쪽 측면에는 한 쌍의 제2체결판(220)의 제1체결구멍(2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과 지붕(1) 사이의 경사각도가 다른 각각의 상기 지붕(1)에 설치되도록, 각각의 상기 지붕(1)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각각의 제1체결판(210)이 각각 포함된 다수의 측면 고정판(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판(220)의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판(200)은 제1,2체결판(210)(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판(200)은 제2체결판(220)의 한쪽에 형성되는 수평부(240)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제1체결구멍(221) 중 일부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수평부(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240)의 제1체결구멍(221)과 발판(300)의 체결구멍(310)이 체결부재(4)로 체결되면, 다수의 상기 발판(300) 중 일부가 수평부(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발판(300)의 상부면 양쪽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난간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400)는 한 쌍의 이웃한 발판(300)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상기 발판(300)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간봉(410)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300)의 상부면 양쪽에는 외면에 체결구멍(321)이 형성된 끼움봉(320)이 구비되며,
    상기 난간봉(410)은 한 쌍의 끼움봉(320)의 체결구멍(321)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411)이 외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끼움봉(320)의 바깥쪽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봉(410)의 내측에는 가로대(4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412)와, 고정부재(100)가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3)의 양쪽으로 다른 결합부(3)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412)의 외면에는 체결구멍(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500)는 결합부(3)가 끼워지는 끼움홈(511)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512)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510)과;,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510)의 체결구멍(51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521)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외면 반대편 한쪽에 제2체결구멍(522)이 형성된 고정판(520)과;, 상기 가로대(412)의 체결구멍(412a) 및 고정판(520)의 제2체결구멍(522)과 체결부재(4)로 각각 체결되는 제1,2체결구멍(531)(532)이 외면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봉(410)의 외면에는 제2체결구멍(413)을 형성하고,
    상기 난간부재(400)는 다수의 난간봉(410)의 제2체결구멍(413)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42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외면에 다수 형성된 손잡이봉(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판(220)과, 고정부재(100)가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3)의 양쪽으로 다른 결합부(3)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판(220)의 외면에는 제2체결구멍(2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600)는 결합부(3)가 끼워지는 끼움홈(611)이 각각 외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체결구멍(612)이 각각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610)과;, 한 쌍의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체결구멍(612)과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제1체결구멍(621)이 외면 한쪽에 형성되고, 외면 반대편 한쪽에 제2체결구멍(622)이 형성된 고정판(620)과;, 상기 제2체결판(220)의 제2체결구멍(223) 및 고정판(620)의 제2체결구멍(622)과 체결부재(4)로 각각 체결되는 제1,2체결구멍(631)(632)이 외면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1000)이 결합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KR1020190173054A 2019-12-23 2019-12-23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KR10232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54A KR102320849B1 (ko) 2019-12-23 2019-12-23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54A KR102320849B1 (ko) 2019-12-23 2019-12-23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54A KR20210080954A (ko) 2021-07-01
KR102320849B1 true KR102320849B1 (ko) 2021-11-03

Family

ID=7686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054A KR102320849B1 (ko) 2019-12-23 2019-12-23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931B1 (ko) 2022-07-12 2022-09-19 주식회사 테마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붕작업용 발판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394Y1 (ko) 2005-07-07 2005-10-04 이상철 나선형 계단의 난간조립구조
JP2013122156A (ja) 2011-12-12 2013-06-20 Sanko Metal Ind Co Ltd 傾斜屋根上における足場装置
KR200479479Y1 (ko) 2015-11-20 2016-02-02 주신기업(주) 지붕 보행용 발판장치
KR101804814B1 (ko) 2016-08-23 2017-12-05 (주)썬트랙 태양광 발전 구조물 설치를 위한 급경사 지붕 설치용 발판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99B1 (ko) 2005-04-19 2005-12-1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 큐브 건축용 지붕작업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394Y1 (ko) 2005-07-07 2005-10-04 이상철 나선형 계단의 난간조립구조
JP2013122156A (ja) 2011-12-12 2013-06-20 Sanko Metal Ind Co Ltd 傾斜屋根上における足場装置
KR200479479Y1 (ko) 2015-11-20 2016-02-02 주신기업(주) 지붕 보행용 발판장치
KR101804814B1 (ko) 2016-08-23 2017-12-05 (주)썬트랙 태양광 발전 구조물 설치를 위한 급경사 지붕 설치용 발판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931B1 (ko) 2022-07-12 2022-09-19 주식회사 테마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붕작업용 발판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54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KR102320849B1 (ko) 지붕의 구조 변경없이 설치되는 지붕 보행용 안전계단
JP4641870B2 (ja) 階段と梯子を兼ねた足場板
AU2006200200A1 (en) Hook-On Scaffold
KR102180064B1 (ko)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JP5143105B2 (ja) 階段ベランダ工事用足場
US3472338A (en) Clear standing adjustable scaffold
WO2012064204A2 (en) A scaffold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ame
KR200479479Y1 (ko) 지붕 보행용 발판장치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JP4641871B2 (ja) 屋根工事用足場
US6220391B1 (en) Scaffolding structure
US20080302603A1 (en) Ladder platform and safety rail device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0449908Y1 (ko) 티-바 물림 접이식 작업대
GB2364733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ers trestles
JP5174642B2 (ja) 工事用足場
US3490559A (en) Knockdown scaffolding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KR102338929B1 (ko) 비계용 수직사다리
CN218061310U (zh) 一种马凳及一种施工架
KR20130065528A (ko) 접이식 사다리
KR200378403Y1 (ko) 고소작업대
WO2007012107A1 (en) Hook-on scaf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