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636B1 -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636B1
KR102320636B1 KR1020200081280A KR20200081280A KR102320636B1 KR 102320636 B1 KR102320636 B1 KR 102320636B1 KR 1020200081280 A KR1020200081280 A KR 1020200081280A KR 20200081280 A KR20200081280 A KR 20200081280A KR 102320636 B1 KR102320636 B1 KR 10232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led
information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철
이동구
Original Assignee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4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number of characters arranged one beside the other, e.g. on a common carrier pl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은, 콘텐츠를 표시하는 LED 패널부, 및 주변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근거하여 기저장된 전광판의 스펙 정보를 제공하고,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자동 선별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 정보에 따라 (기)저장한 콘텐츠를 LED 패널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LED Electronic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광판 컨트롤러를 사용해 별도의 장비없이 모든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전광판 운영서버와도 통신하여 자동으로 전광판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와 전광판 상태 정보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 전광판은 LED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문자, 기호, 이미지, 동영상 등을 표출하는 장치로서, 주로 건물이나 교통수단 등에 설치되어 광고 등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LED 전광판은 다수의 LED와 그 LED를 제어 하기 위한 드라이버 IC로 구성된 LED 모듈, 다수개의 LED 모듈에 영상신호를 뿌려주는 전광판 컨트롤러로, 전원공급을 위한 SMPS, 상기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광판을 운영하는 방식은 도 1에서와 같이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PC 제어 방식은 PC와 전광판이 서로 통신하도록 접속되어 PC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LED 전광판이 운영되는 방식이다. 리모컨 제어 방식은 LED 전광판에 표시되는 문자, 그림, 기호, 애니메이션 등의 출력을 리모컨을 이용하여 설정 및 변경하는 방식으로, PC 제어 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PC가 요구되지 않아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USB 메모리 제어 방식은 리모컨 제어 방식보다 다양한 콘텐츠, 스케줄,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들은 특히 리모컨 제어 방식은 별도의 리모컨 수신기가 필요하고, 출력 데이터의 콘텐츠, 스케줄 관리 같은 복잡한 동작은 거의 불가능하여 표출되는 콘텐츠를 쉽게 바꿀 수가 없으며, 펌웨어 등과 같은 내부 제어 프로그램의 업데이트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USB 메모리 제어 방식은 전광판에 선을 연결해서 동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8632호(2013.09.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광판 컨트롤러를 사용해 별도의 장비없이 모든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전광판 운영서버와도 통신하여 자동으로 전광판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와 전광판 상태 정보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은, 콘텐츠를 표시하는 LED 패널부, 및 주변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근거하여 기저장된 전광판의 스펙(specification)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자동 선별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LED 패널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 패널부에 기설정된 테스트 패턴을 표시할 때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동작 상태 정보로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연결시 상기 저장한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펙 정보 및 기저장된 펌웨어(firmware) 버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펌웨어 버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에서 제공하는 버전 업 펌웨어로 갱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접속 권한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접속에 따른 각각의 제어 동작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구동방법은, LED 패널부가,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주변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근거하여 기저장된 전광판의 스펙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자동 선별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LED 패널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LED 패널부에 기설정된 테스트 패턴을 표시할 때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동작 상태 정보로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연결시 상기 저장한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펙 정보 및 기저장된 펌웨어 버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펌웨어 버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전광판 운영장치에서 제공하는 버전 업 펌웨어로 갱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접속 권한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접속에 따른 각각의 제어 동작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광판에 대한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전광판을 열지 않아도, 또한 기존과 같이 PC, 리모콘, USB 장치 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전광판 등록, 운영 및 관리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광판을 열거나 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가령 스마트폰을 통해 업데이트 및 고장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전광판 컨트롤러에 사용한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은 별도의 장비없이 모든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전광판 운영서버와 통신하여 자동으로 전광판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와 전광판 상태 정보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전광판 콘텐츠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전광판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전광판 제어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패널 구동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등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관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운영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구동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90)은 LED 전광판(100), 사용자 단말장치(예: 스마트폰)(110), 통신망(120) 및 전광판 운영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LED 전광판(100)과 사용자 단말장치(110)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130)가 다이렉트(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전광판 운영장치(130)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LED 전광판(100)은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LED 모듈 즉 LED 패널부(101)와 LED 모듈에 표출할 콘텐츠와 표출 스케줄을 저장하고 그 콘텐츠들을 LED 모듈 신호로 변환하여 표출하며 와이파이 AP(Access Point) 기능이 내장되어 접속하는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LED 패널부(101)를 구성하는 LED 모듈(부)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부커버상에 복수의 LED 바(bar) 형태의 LED 모듈을 구성하거나, 또는 유리기판이나 석영기판상에 생산라인의 공정상에서 바로 LED 소자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는 오프라인 형태의 LED 소자를 PCB 기판상에 형성하여 LED 패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LED 패널부(101)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전광판을 예시하였지만, 친환경적이면서 자발광 소자이면 어떠한 유형의 소자를 이용한 전광판도 무관하다.
또한, LED 전광판(100)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의 복수의 LED 모듈을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하여 LED 패널부(101)를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물론 위에서 바 형상을 예시하였지만, 가령 바 형상은 1열의 LED 어레이(array)로 구성한다면 매트릭스 형태의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은 단위 유닛의 기판상에 복수의 LED 어레이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조금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단위 유닛은 모듈(module)이라 이해될 수도 있다.
나아가, LED 전광판(100)은 LED 패널부(101) 이외에도 LED 패널부(101)를 제어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예: 컨트롤러)(103)를 포함한다. 패널 구동부(103)는 단순히 CPU나 MPU 등의 프로세서를 의미하는 것을 넘어, 그 주변회로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패널 구동부(103)는 LED 패널부(101)로 제공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또는 해당 전압을 제어하여 LED 패널부(101)상에 콘텐츠가 구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LED 패널부(101)에 광고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며, 물론 정지영상, 동영상, 광고 문구 등 다양한 유형의 광고가 표출될 수 있다.
LED 패널부(101)를 구성하는 LED 소자는 정전류 및 정전압 구동이 가능하다. 정전류를 전류를 고정하고 전압을 변경하며, 정전압은 전압을 고정하여 전류를 변경한다. 따라서 정전압 구동은 디밍 제어에 사용되기도 한다. LED 패널부(101)는 적(R), 녹(G), 청(B)의 서브픽셀을 하나의 도트로 하여 색을 구현하므로, 각각의 소자로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R, G, B의 화소를 통해 특정 컬러의 색을 구현해 내게 된다. 이러한 제어를 패널 구동부(103)에서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LED 소자들을 LED 패널부(101)는 다양한 크기에 따라 지정된 해상도를 갖는다. 따라서, LED 패널부(101)에 광고 등의 영상 즉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캔 라인을 구동을 수행한다. 즉, LED 패널부(101)의 수직 라인과 수평라인의 LED 어레이를 제어하여 가령 초당 30장, 또는 60장의 단위 비디오 프레임을 표시하게 된다. 초당 30장의 비디오 프레임을 구현하면 동작 주파수 30Hz가 되며, 60장의 비디오 프레임을 표시하면 60Hz 구동이 되는 것이다. LED 패널부(101)상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103)는 LED 전광판(100)의 규격, 즉 크기나 사양 등에 관계없이 주변의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 LED 전광판(100)에 설치되는 펌웨어(firmware)를 통해 LED 전광판(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받아 LED 전광판(100)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LED 전광판(100)을 복수개 운영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편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LED 전광판(100)에 접속하여 동작 처리를 요청하여도 이에 대하여 모든 대응 처리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가령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멀티로 전광판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LED 전광판(100)은 제품의 최초 출고시에 전광판 사양 등과 관련한 스펙(specification) 정보 즉 상세 정보를 메모리에 기저장한 상태에서 출고된다. 물론, 그 스펙 정보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해상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펌웨어가 있는 경우에는 펌웨어의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델명 정보, (장치)식별 정보, 모듈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출고될 수 있다.
따라서, LED 전광판(100)은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다양한 루트(route)를 통해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다이렉트 통신을 시도하거나 할 때,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별도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한 후 특정 동작을 요청할 때, LED 전광판(100)의 패널 구동부(103)는 이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가령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스펙 정보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펙 정보를 제공한 이후에도 패널 구동부(103)는 사용자 단말장치(110)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130)로부터 그 스펙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LED 패널부(101)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LED 패널부(101)에 표시되는 광고 등의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지정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표시할 때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스케줄 정보에 따라 표시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콘텐츠는 LED 전광판(100)의 스펙 정보를 근거로 적절한 콘텐츠가 선택되어 제공된다. 대표적으로 스펙 정보를 통해 해상도를 확인한 경우 해당 해상도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구동부(103)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콘텐츠를 제공한 후 어떠한 형태로 콘텐츠를 LED 패널부(101)에 표시할지와 관련한 스케줄 정보를 설정하면, 그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동작하거나, 주변 상황(예: 사람이 근접했을 때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순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순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옷가게나 음식점과 같은 매장에서는 크기가 크지 않은 LED 전광판(100)이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의 경우, 매장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매장에 설치한 LED 전광판(100)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고, 또 콘텐츠의 스케줄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또한, 여러 곳의 복수의 매장에 LED 전광판(100)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즉 하나의 장치에서 그 복수의 LED 전광판(100)을 통합 관리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번거롭고 복잡한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100)의 패널 구동부(103)는 LED 전광판(100)이 매일 운영을 시작할 때, 가령 매일 전원이 입력될 때 또는 하루에 한번 등 다양한 상황에서 LED 전광판(100)은 주기적으로 테스트 패턴을 LED 패널부(101)에 표출 즉 표시한 후 소비 전류나 전력 등의 동작 상태를 측정한 후 동작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 등에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접속이 있을 때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패널 구동부(103)가 펌웨어를 포함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동작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통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접속이 있을 때 동작 상태를 통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비정상 동작이 감지될 때, 바로 통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국내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 모바일 기반의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앱을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LED 전광판(100)과 통신하여 제공되는 전광판 사양, 위치, 상태, 콘텐츠, 스케줄, 펌웨어 정보 등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광판 운영장치(130)와도 관련 데이터 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앱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주변의 LED 전광판(100) 및 통신망(120)을 경유한 전광판 운영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상에서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LED 전광판(100)과 관련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LED 전광판(100)의 스펙 정보를 전광판 운영장치(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수신한 스펙 정보를 근거로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면서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사용자에게 스케줄을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케줄 정보를 입력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LED 전광판(100)에 다이렉트로 접속하여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신망(120)의 AP 등을 통해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나 프로그램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ED 전광판(100)의 운영 및 관리는 해당 LED 전광판(100)을 운영 및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LED 전광판(100)이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LED 전광판(100)이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전광판 운영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LED 전광판(100)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특정 전광판을 제조하는 제조사에서 운영할 수 있지만, 다수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광판을 특정 서비스 업체에서 통합 운영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외부의 광고업체에서 광고요청이 있는 경우,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LED 전광판(100)을 선택하여 광고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LED 전광판(100)의 소유자나 관리자 등의 요청에 따라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복수의 전광판 정보와 콘텐츠 등을 운영 관리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통신망(120)을 통해 LED 전광판(100)과 직접 통신하여 LED 전광판(100)을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고, 관련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LED 전광판(100)을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ED 전광판(100)이 특정 장소에 설치되면, 물론 새로운 곳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의 요청에 따라 등록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전광판(100)의 설치 위치를 등록시키기 위하여 GPS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좌표값의 형태로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LED 전광판(100)을 비추는 경우, 증강 현실의 형태로 위치정보가 표시되면서 이의 캡쳐 이미지가 설치 위치로 등록될 수도 있다. 등록 과정에서 전광판 운영장치(130)에는 전광판의 해상도, 모듈종류, 스마트폰 GPS 정보를 활용한 전광판 위치와, 전광판 ID 자동생성, 전광판 컨트롤러 펌웨어 버전 정보들이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LED 전광판(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LED 전광판(1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패널부(101)의 비정상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앱을 통해 통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LED 전광판(100)의 펌웨어가 구버전일 때, 신버전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펌웨어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롬(ROM)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특성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실행되는 기능의 일부를 펌웨어로 바꾸어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다양한 규격의 LED 전광판(100)에 대한 스펙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기준으로 해당 LED 전광판(100)에 표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자동 선별하여 보여줄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및 스케줄대로 콘텐츠가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한다. 자동 선별은 예를 들어, 해상도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한, 사용자나 관리자가 특별히 요청한 사항(예: 가격정보 등)이 있으면 이를 근거로 선별하는 것이다. 또는 사용자나 관리자의 콘텐츠 소비 패턴을 인공지능(AI) 등을 통해 분석한 후 맞춤형으로 추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점인지, 의류매장인지에 따라 선별되는 콘텐츠는 다르다. 또한,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 층(class)에 따라 선별되는 콘텐츠는 다르다. 또한, 광장과 같이 대중이 많이 모이는 곳에 설치되는 전광판과 매장에 설치되는 전광판에서 소비되는 콘텐츠는 다르다. 따라서, 대중이 모이는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가 선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광판 운영장치(130)는 다양한 상황을 근거로 콘텐츠를 자동 선별하여 LED 전광판(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패널 구동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패널 구동부(혹은 컨트롤러부)(103)는 통신부(300), 센서부(310), 마이크로컨트롤러(혹은 제어부)(320), 메모리부(330) 및 신호변환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메모리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통신부(300)나 센서부(3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마이크로컨트롤러(320)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부(300)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전광판 운영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앱을 실행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여 전광판 운영장치(130)로 LED 전광판(100)과 관련되는 정보나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앱을 실행하는 경우, 통신부(300)는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통신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300)는 LED 전광판(100)의 스펙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10) 또는 통신망(120)으로 제공하며 전광판 운영장치(13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한다.
통신부(300)는 LED 전광판(100)이 임의 위치에 최초 설치될 때, 또는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때, 해당 LED 전광판(100)을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를 옮겨 설치한 경우에는 기존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설치되는 경우, 통신부(300)는 GPS 모듈 등을 가동시켜 GPS 좌표정보를 취득한 후 이를 LED 전광판(100)의 위치정보로서 전광판 운영장치(130)로 제공되도록 한다. 다만, 주소정보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주소 정보를 입력하여 위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전원공급부(SMPS)로 공급되는 AC 입력 전원을 감시한다. 센서부(310)는 AC 전원이 공급되는 공급선에 연결되어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한다. 이를 통해 센서부(310)는 공급되는 전원에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10)는 공급되는 AC 전원의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전류의 센싱 데이터를 마이크로컨트롤러(320)에 제공하며,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소비 전류에 대한 실효값을 측정할 수 있다. 가령, SMPS에서 소비하는 총전류량의 평균을 계산하여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도 3의 패널 구동부(103)를 구성하는 통신부(300), 센서부(310), 메모리부(330) 및 신호변환부(3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가령 CPU와 MUP, GP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주변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를 포함하여 원칩(One-chip)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통신부(300)를 통해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LED 전광판(100)에 대한 스펙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스펙 정보를 불러내어 제공할 수 있다. 스펙 정보는 LED 모듈부 즉 LED 패널부(101)의 해상도, 또 LED 전광판(100)의 모델명, 제조사, 장치식별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전광판 운영장치(13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와 그에 관련되는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LED 전광판(100)이 운영되는 경우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콘텐츠를 스케줄 정보에 따라 LED 패널부(10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특정 콘텐츠가 LED 패널부(101)에 구현되도록 설정한 경우, 이에 대한 설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LED 전광판(100)에 전원이 인가될 때, 또는 다양한 상황에서 주기적으로 LED 전광판(100)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테스트 패턴(예: 블랙 및 화이트 영상, 정지이미지 영상 등)을 LED 패널부(101)에 표시한 후 전광판 소비 전류를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소비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센서부(310)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LED 전광판(100)의 스펙 정보를 저장하고, 또 그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및 스케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테스트 패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펙 정보나 테스트 패턴 등은 LED 전광판(100)의 제품 출고시에 기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320)에서 제공하는 측정 결과 등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나 데이터의 용어는 실무적으로 혼용되고 있으므로,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센싱 데이터는 센싱 정보라 명명되기도 한다.
신호변환부(340)는 가령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LED 패널부(101)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공급부(105)를 통해 LED 패널부(101)로 전압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신호변환부(340)에서 변환되는 8비트, 16비트, 32비트 화소 데이터를 근거로 적절한 서브화소 및 화소가 선택되어 전압이 제공되는 것이다. 신호변환부(340)는 LED 패널부(101)를 수평 라인별로 스캔 라인 구동하며, 제1 수평라인부터 순차 구동하여 마지막 라인인 제N 수평라인까지 구동함으로써 단위 비디오 프레임을 LED 패널부(101)의 화면에 구현한다. 그리고 해당 단위 비디오 프레임의 수평라인을 순차적으로 방전시킨 후 새로운 단위 비디오 프레임의 화상을 LED 패널부(101)에 구현하기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초당 30장의 단위 비디오 프레임을 화면에 구현하거나, 초당 60장의 단위 비디오 프레임을 화면에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 구현 방식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마이크로컨트롤러(320)와 메모리부(330)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32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1의 LED 전광판(100)은 동작 초기에 지정된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패널 구동부(103), 사용자 단말장치(110) 및 전광판 운영장치(130)를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 스마트폰(110') 및 전광판 운영서버(130')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등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광판 등록 절차를 요약하면, 전광판 설치 후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전광판(100)을 다음과 같이 등록한다. 앱에 전광판(100)의 해상도, 모듈 종류, 스마트폰 GPS 정보를 활용한 전광판 위치와 전광판 ID 자동생성,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 펌웨어 버전 정보들을 전광판 운영서버(130')에 등록한다.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는 전광판 운영서버(130')와 전광판 컨트롤러에 저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10')은 스마트폰 앱을 실행해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접속 후, 등록 버튼을 눌러 컨트롤러 정보와 펌웨어 정보를 요청하며,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이에 따라 컨트롤러 모델명과 펌웨어 정보를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S400, S410).
또한, 스마트폰(110')은 컨트롤러 모델명과 펌웨어 정보를 전광판 운영서버(130')로 전달하며, 전광판 운영서버(130')는 DB(130a)에서 모델명에 맞는 신규 펌웨어가 있으면 펌웨어를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S420, S430).
이어 스마트폰(110')은 신규 펌웨어가 있으면 펌웨어를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로 전달하고, 스마트폰 GPS 정보, 전광판 스펙정보 등을 요청하며, 이에 따라 신규 펌웨어가 있으면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로부터 받은 등록 정보를 저장하고 응답을 전송한다(S440, S450).
또한, 스마트폰(110')은 등록된 모든 정보를 전광판 운영서버(130')로 전송하고, 전광판 운영서버(130')는 받은 등록 정보를 DB(130a)에 저장한 후 등록 완료를 스마트폰(110')으로 통보한다(S460, S470).
물론 도 4에서는 스마트폰(110')을 중개장치로 하여 모든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스마트폰(110')은 사용자 명령만 제공하고, 모든 동작은 LED 전광판(100)과 전광판 운영서버(130')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도 4의 동작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관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광판 관리 절차를 요약하면,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가령 매일 운영을 시작할 때마다 테스트 패턴을 표출하면서 전광판 소비 전류를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정보를 저장한다. 스마트폰 앱이 연결되면 현재 시간을 동기화하고 상태 정보를 전달한다. 스마트폰 앱은 가령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접속해 전광판(100)에 테스트 패턴을 표출할 수 있고, 받은 상태 정보를 전광판 운영서버(130')에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자동으로 전광판 운영서버(130')와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펌웨어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펌웨어가 있으면 업데이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컨트롤러 시작 시점과 스케줄 시작 시점에 전광판 셀프 테스트를 진행하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500).
이후, 스마트폰(110')은 스마트폰 앱을 실행해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접속 후 상태체크 버튼을 눌러 컨트롤러 정보, 펌웨어 정보, 전광판 상태정보를 요청한다(S510).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스마트폰(110')의 요청에 따라 전광판 상태정보와 펌웨어 정보를 전달한다(S520).
스마트폰(110')은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서 제공하는 컨트롤러 모델명과 펌웨어 정보를 전광판 운영서버(130')로 전달하며, 전광판 운영서버(130')는 DB(130a)에서 모델명에 맞는 신규 펌웨어가 있으면 펌웨어를 스마트폰(110')으로 전달한다(S530, S540).
스마트폰(110')은 신규 펌웨어가 있는 펌웨어를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전달하고,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신규 펌웨어가 있으면 업데이트하고, 전광판 셀프 테스트 전체 기록을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S550, S560).
스마트폰(110')은 전광판 상태 정보 등을 전광판 운영서버(130')로 전송하며, 전광판 운영서버(130')는 받은 상태 정보를 갱신하고, 상태체크 완료를 스마트폰(110')에 통보한다(S570, S580).
물론 도 5의 경우에도 스마트폰(110')이 중개장치로서 모든 동작을 중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모든 동작은 스마트폰(110')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LED 전광판(100)과 전광판 운영서버(130')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도 5의 동작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운영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요약하면, 스마트폰 앱은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로부터 받은 전광판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전광판(100)에 표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자동 선별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및 스케줄을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전달하여 스케줄대로 콘텐츠가 전광판(100)에 표출되게 하며, 와이파이 전광판 운영정보를 전광판 운영서버(130')에 보내준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10')은 스마트폰앱을 실행한 후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접속후 스케줄 버튼을 눌러 전광판 스펙 정보와 현재 스케줄 정보를 요청하며,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요청에 따라 전광판 스펙정보와 스케줄 정보를 제공한다(S600, S610).
스마트폰(110')은 현재 스케줄 정보 화면을 보여주고 수정을 원하면 전광판 운영서버(130')에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며, 전광판 운영서버(130')는 DB(130a)에서 전광판(100)에 맞는 콘텐츠 정보를 전달한다(S620, 630).
또한, 스마트폰(110')은 스케줄 및 콘텐츠 정보를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에 제공하며,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103')는 스케줄과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응답을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S640, S650).
이어, 스마트폰(110')은 수정된 스케줄 정보를 전광판 운영서버(130')로 전송하며, 전광판 운영서버(130')는 받을 스케줄을 DB(130a)에 저장하고 수정 완료를 통보한다(S660, S67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구동 과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100)은 LED 패널부(혹은 LED 모듈부)(101)가 콘텐츠를 표시한다(S700).
또한 LED 전광판(100)은 주변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근거하여 기저장된 전광판(100)의 스펙 정보를 제공하고,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자동 선별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110)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1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기저장한 콘텐츠를 LED 패널부(101)에 표시한다(S710). 여기서, 자동 선별은 가령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되는 다양한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예: 광고가격 정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자동 선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7의 LED 전광판(100)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LED 전광판(혹은 전광판) 101: LED 패널부(혹은 LED 모듈부)
103: 패널 구동부 103': 와이파이 전광판 컨트롤러
105: 전원공급부(SMPS) 110: 사용자 단말장치
110': 스마트폰 120: 통신망
130: 전광판 운영장치 130': 전광판 운영서버
300: 통신부 310: 센서부
320: 마이크로컨트롤러 330: 메모리부
340: 신호변환부

Claims (8)

  1. 콘텐츠를 표시하는 LED 패널부; 및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근거하여 제품 출고시의 제품 사양을 포함하는 기저장된 전광판의 스펙(specification)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자동 선별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LED 패널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 패널부에 블랙 및 화이트 영상 또는 정지이미지 영상의 기설정된 테스트 패턴을 표시할 때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동작 상태 정보로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연결시 상기 저장한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접속 권한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각각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접속에 따른 각각의 제어 동작에 응답하는 LED 전광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펙 정보 및 기저장된 펌웨어(firmware) 버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펌웨어 버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전광판 운영장치에서 제공하는 버전 업 펌웨어로 갱신 동작을 수행하는 LED 전광판.
  4. 삭제
  5. LED 패널부가,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근거하여 제품 출고시의 제품 사양을 포함하는 기저장된 전광판의 스펙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스펙 정보를 기준으로 자동 선별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전광판 운영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LED 패널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LED 패널부에 기설정된 테스트 패턴을 표시할 때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동작 상태 정보로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연결시 상기 저장한 동작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접속 권한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접속에 따른 각각의 제어 동작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ED 전광판의 구동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펙 정보 및 기저장된 펌웨어 버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펌웨어 버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전광판 운영장치에서 제공하는 버전 업 펌웨어로 갱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ED 전광판의 구동방법.
  8. 삭제
KR1020200081280A 2020-07-02 2020-07-02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KR10232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80A KR102320636B1 (ko) 2020-07-02 2020-07-02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80A KR102320636B1 (ko) 2020-07-02 2020-07-02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636B1 true KR102320636B1 (ko) 2021-11-02

Family

ID=7847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80A KR102320636B1 (ko) 2020-07-02 2020-07-02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6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949A (ko) * 2011-11-28 2013-06-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1308632B1 (ko) 2013-02-18 2013-09-23 (주)컴텔싸인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및 데이터 설정 방법
KR101415003B1 (ko) * 2013-02-22 2014-07-09 (주)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웹 기반의 전광판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70069517A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코런 Nfc 통신을 이용하는 버스용 양면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20190091944A (ko) * 2018-01-30 2019-08-07 (주)코리아 싸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전광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949A (ko) * 2011-11-28 2013-06-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1308632B1 (ko) 2013-02-18 2013-09-23 (주)컴텔싸인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및 데이터 설정 방법
KR101415003B1 (ko) * 2013-02-22 2014-07-09 (주)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웹 기반의 전광판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70069517A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코런 Nfc 통신을 이용하는 버스용 양면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20190091944A (ko) * 2018-01-30 2019-08-07 (주)코리아 싸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전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9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1923820A (zh) 一种主从模式的led显示屏逐点校正系统
WO2014013579A1 (ja) 多画面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0402250B2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09544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KR102330949B1 (ko) 스마트 엘이디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출력 방법
CN103890810A (zh) 图像处理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N101950515A (zh) 一种主从模式的led显示屏逐点校正方法
US20100007590A1 (en) Method for arranging light emitting diode module, data converting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picture by using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ata converting apparatus therefor
US11409492B2 (e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2934A (ko) 전자 태그, 전자 선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0128B1 (ko) 조명 네트워크와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매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45266B1 (ko) 하이 스피드 영상 컬리브레이션이 가능한 led 전광판
JP2009175294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6020140A (zh) 一种电子墨水屏产品的生产线控制方法
KR102320636B1 (ko)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구동방법
US202103663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881423B (zh) 信息提供装置以及信息提供方法
KR20210122463A (ko) 디지털 간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79934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3563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US20190228739A1 (en)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059673B1 (ko) 시스템 관리자를 중심으로 광고주와 영상기기 보유자 3자간의 실시간 광고정보 공유가 가능하고, 영상기기에 연결되는 중간제어 셋톱박스를 통해 영상기기에서 표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내용 및 화면범위 제어가 가능하여 영상기기를 통한 광고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7818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