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566B1 -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 - Google Patents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566B1
KR102320566B1 KR1020187022651A KR20187022651A KR102320566B1 KR 102320566 B1 KR102320566 B1 KR 102320566B1 KR 1020187022651 A KR1020187022651 A KR 1020187022651A KR 20187022651 A KR20187022651 A KR 20187022651A KR 102320566 B1 KR102320566 B1 KR 10232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ight guide
actuating element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030A (ko
Inventor
피터 얀 쿨
Original Assignee
인터가스 히팅 에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가스 히팅 에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인터가스 히팅 에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11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5Touch switches using a force resistanc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15Constructional details for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42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2217/9653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2217/9653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with illumination
    • H03K2217/965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with illumination using a single or more ligh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요소가 있는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고, 작동 요소는: - 캐리어, 상기 작동 요소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 -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오는 센서 신호에 따라서 상기 광원을 스위치 온/오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 적어도 하나의 도광체(light conductor)로서, 상기 광원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적어도 상기 도광체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도광체를 포함하고, 함께 심볼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부 및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부를 포함하는 스크린이 상기 도광체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상기 측면에 또는 상기 측면에 가깝게 제공된다.

Description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
본 발명은 작동 요소 및 이러한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작동 요소가 적용될 수 있는 가전 제품의 일 예는 온수 가열기 또는 온수 가열기용 온도조절기이다.
많은 (소비자) 전자 제품에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및 태블릿에 적용되는 것과 같은 고급 스크린은 터치-감응식이다. 터치-감응 스크린은 상황에 맞춤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스크린 자체는 작동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많은 (소비자) 전자 제품의 경우 제품이 고품질이라는 인상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많은 제품의 제품 가격은 가능한 한 낮아야 하기 때문에, 고급 전자 기기(스마트 폰에 적용된 것과 같은 기기)를 클라이언트 경험만을 위해서 포함하기에는 여유가 충분치 않다. 따라서 고급스러운 인상과 느낌을 낮은 가격에서 달성해야 하는 필요성이 흔히 존재하는데, 이것들은 상충하는 요구 사항인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고품질 전자 제품은 충격에 약한데, 이것은 많은 제품의 경우에 단점이 된다.
출원인은 열보일러의 제조사인데, 출원인의 경우에도 복잡하고 충격에 약한 전자 제품을 포함할 필요가 없이 고품질 인상을 제품에 부여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견실성을 고품질 인상과 통합하는 작동 요소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US-A1-2012/0106051 은 환기 후드와 같은 전기 기기를 위한 작동 유닛을 개시한다. 이 문헌이 가장 가까운 선행 기술이라고 간주되고, 이러한 선행기술과 관련해서는 제 1 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이 신규하다.
상기 목적은 제 1 항에 따른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작동 요소가 있는 가전 제품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미국 특허 출원 제 US-A1-2010/156508 이 동떨어진 기술 분야로부터의 선행 기술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문헌은 작동되고 용량성으로 켜질 수 있는 키가 있는 랩탑, 모바일 전화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이러한 용량성 동작은 충격에 약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온수 가열기와 같은 가전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구성은 일면으로는 개별 키들 사이의 개방된 부분 때문에 충격에 약한데, 따라서 가전 제품용으로, 특히 온수 가열기용으로는 이러한 구성이 부적절하게 된다. 반면에, 약하게만 터치해도 원치 않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이 야기될 수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 EP-A2-1 640 837 은 더 멀리 떨어진 선행 기술이라고 여겨진다.
이제 본 발명은, 전술된 단점이 발생되지 않거나 적어도 적게 발생되는 전술된 타입의 작동 요소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목적은 제 1 항에 따른 작동 요소가 있는 가전 제품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온전한 진술을 위하여, 본 발명의 콘텍스트에서 다음 용어들은 다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불투명"은 광이 실질적으로 투과불가능하거나 고도로 투과불가능한 것이고, "반투명"은 광/이 실질적으로 투과가능하거나 고도로 투과가능하거나/클리어한 것이고, "투명"은 실질적으로 클리어하거나 고도로 클리어한 것이다.
센서가 작동 요소의 동작을 검출하면,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오는 센서 신호에 따라서 광원을 온/오프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광은 광원에 가까이 배치된 도광체에 의하여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도광체의 측면으로 유도된다.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부 및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부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함께 심볼을 형성한다. 그러면, 광원의 스위치-온 모드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온 광이 작동 요소 상의 심볼에 불이 들어오게 할 것이다.
가전 제품, 예를 들면 온수 가열기는 견실하고 신뢰가능하도록 동작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동작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요소에 의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광체는 힘-전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광체는 일면으로는 광을 유도하고 확산시키는 기능을 달성하고, 다른 면으로는 압력을 전파/전달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 제품에는 고품질 터치 패드의 인상과 느낌을 제공하면서 이러한 가전 제품에 바람직한 압력 센서가 제공되어 견실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광체는 도광체에 인접하게 배치된 불투명한 측면 실드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도광체는 불투명한 측면 실드의 전체 두께에 걸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도광체에 붙어서 배치된다.
비록 측면 실드는 이론상으로는 도광체를 바라보는 측면 상에 불투명한 측면 실드만을 제공해야 하지만, 측면 실드는 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불투명한 컴포넌트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광체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 및 측면 실드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스크린은 도광체 및 측면 실드에 대해서 평평하게 배치되고, 평평한 작동 요소가 얻어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측면 실드가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들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측면 실드가 도광체들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에는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으로 동작가능한 기능들, 예컨대 설정 값을 각각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인접한 도광체들이 불투명한 측면 실드에 의하여 서로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광의 측방향 산란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각각의 심볼에는 자기 자신의 광원이 제공될 수 있고, 하나의 심볼로부터 인접한 다른 심볼로 광이 방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요소는 스크린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에 배치된 투명 보호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투명 보호부는 일면에서는 언더라잉 구조물을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온수 가열기 내에서 물 또는 수분과 작동 요소의 전자 기기 사이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투명 보호부는 다른 면으로는 스크린이 전체적으로 투명하지 않다면 스크린을 시각적으로 어느 정도 차폐한다. 투명도, 즉 광 투과도는, 광원이 스위치오프되는 모드에서는 시각적으로 평평한 벽으로 보이고 광원이 스위치온되는 모드에서는 심볼이 시각적으로 투명하게 보이게 하도록 정밀하게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스크린의 색상과 조합되어, 보호부의 색상이 작동 요소의 외관을 결정한다. 빛을 내는 심볼과 표면의 색상 사이에 충분한 콘트라스트만 있다면, 심볼이 무작위 색상의 표면에 대해서 빛을 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가전 제품은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심볼은 스위치-오프 모드에서는 보기에 힘들거나 육안으로는 아예 보이지 않게 되고, 스위치-온 모드에서는 가시적인 방식으로 선명하게 빛을 낸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제품은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를 포함하고, 보호부는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들 위에서 연장된다. 터치 패드의 외관과 느낌은 일면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지는데, 여기에서 압력 센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여러 기능들이 하나의 표면 아래에 제공된다. 도광체들 위에서 연장되는 보호부의 다른 장점은, 이것이 발생할 수 있는 갭을 커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신뢰가능하고 방수인 작동 요소가, 특히 온수 가열기와 같은 가전 제품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광원에 가깝게 배치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광원이 도광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면, 콤팩트한 구성이 양호한 힘 전달과 함께 얻어진다.
손의 접근 또는 손의 이동을 검출하고 처리되도록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광 센서들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광원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작동 요소의 구성이 콤팩트해진다.
도광체가 실질적으로 반투명이기 때문에,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광체는 일면으로는 광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경우 필요하다면 도광체는 광의 확산 퍼짐(diffuse spreading)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도광체는 압력을 터치-감응 (압력) 센서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은 개구가 있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스트립을 포함한다. 물론 개구는 광이 통과하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불투명한 스트립 및 광-투과성 개구는 광원이 스위치온되면 보이게 되는 심볼을 함께 형성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은 인쇄된 필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경우 인쇄된 부분은 스크린의 불투명한 부분을 형성하고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스크린의 실질적으로 반투명인 부분을 형성한다. 인쇄된 필름은 일면으로는 매우 세밀한 심볼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측면에서는 인쇄의 정도(degree of printing)를 이용하여 광 전파에 그레디언트가 생길 수 있다. 인쇄된 필름은 또한 매우 제한된 두께의 스크린을 형성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은 도광체와 통합된다. 따라서, 도광체 자체가 실질적으로 반투명이고, 그 자체의 광원으로부터 원위인 측면 상에 불투명부가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불투명부는 예를 들면, 전술된 것과 같은 필름이 그 사이에 위치되지 않고 도광체에 직접적으로 적용된 프린트(print)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한 측면 실드는 도광체를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스트립이다. 인접한 도광체들이 불투명한 측면 실드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광의 측방향 산란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각각의 심볼에는 자기 자신의 광원이 제공될 수 있고, 하나의 심볼로부터 인접한 다른 심볼로 광이 방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불투명한 측면 실드는 바람직하게는 통로가 있는 불투명한 스트립으로서 구현되는데, 이러한 경우 통로의 형상은 연관된 도광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러한 도광체들이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통로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한 스트립은 광원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한 함요부를 포함한다. 광원은 함요부 내에 수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적어도 도광체로 가는 자유 통로가 존재한다. 함요부가 타측에서는 광원을 차폐하기 때문에, 광은 도광체를 향해서만 빛을 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심볼은 작동 요소가 사용되는 가전 제품의 기능에 대응한다. 온수 가열기의 경우, 따라서 온수 가열기의 버너가 스위치온되면 화염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온수 가열기 및/또는 온수 가열기와 연관된 온도조절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요소가 제공된 온수 가열기 및 연관된 온도조절기이다;
도 2 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상면 분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측면 분해도이다;
도 4 는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상면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측면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요소(4, 8)가 많은 상이한 타입의 가전 제품에 대해서 적합하지만, 온수 가열기(2) 및 연관된 온도조절기(6)가 도 1 에 가전 제품(1)으로서 도시된다. 온수 가열기(2) 내에는 작동 요소(4)가 제공되는 반면에, 온도조절기(6)에는 다른 형태의 작동 요소(8)가 장착된다. 작동 요소(4, 8)의 동작은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에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 도면들은 두 개의 상이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온수 가열기(2)의 작동 요소(4)만을 도시한다.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되고,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다.
전술된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유사한 부재에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어 불필요한 반복을 배제한다. 두 실시예들이 많이 유사해 보이지만, 이들 사이의 모든 차이점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 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작동 요소(4)의 상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작동 요소(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보드(14)로서 구현된 캐리어(12)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보드(14)에는 센서(16)가 제공되는데, 센서는 압력 센서와 같은 터치-감응 센서(18)이다. 센서(16)가 작동되면, 센서는 센서(16, 18)로부터 오는 센서 신호에 따라서 광원(22)을 스위치 온/오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0)로 신호를 전송한다.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이 캐리어(12)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드 스트립(32)은 도광체(28) 및 윈도우(30)가 그 안에 배치될 수 있는 개구(34)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보드(14)에도 유사하게 종래의 스크린(24)이 제공되고,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은 윈도우(30)가 그 안에 배치될 수 있는 개구(34)를 이러한 스크린(24)의 위치에 가진다. 스크린(24)은 예를 들면 현재의 온도 값을 보여줄 수 있다.
광원(22)으로부터의 광을 도광체(28)의 캐리어(12)로부터 원위인 측면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도광체(28)가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의 다른 개구(34) 내에 배치된다. 반투명 도광체(28)는 개구(34) 내에 배치되는 물리적인 요소들이고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도광체(28)는 일면으로는 광을 유도하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도광체(28)는 필요한 경우 광의 확산 퍼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광체(28)는 다른 면으로는 압력을 압력 센서(16, 18)로 전달할 수 있다.
함께 심볼(46)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부분(42) 및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반투명인 부분(44)을 포함하는 스크린(40)이, 상기 도광체(28)의 캐리어(12)로부터 원위인 측면에 또는 측면에 가깝게 제공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되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스크린(40)은 반투명부를 형성하는 개구가 있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스트립(42)으로서 구현된다. 개구는 불투명부와 함께, 제어부(20)가 특정한 심볼(46)과 연관된 광원(22)을 스위치 온할 경우 불이 켜지는 이러한 심볼(46)을 형성한다.
스크린(40)의 캐리어(12)로부터 원위인 측면에는, 언더라잉 구조물을 수분 또는 물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광원(22)이 스위치 오프되면 심볼(46) 및 스크린(40)이 보이지 않게 은닉하기 위하여 제한된 정도로 빛을 확신시킬 수 있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보호부(56)가 제공된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되는 작동 요소(4)의 측면 분해도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도광체(28)는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의 개구(34) 내에 수용된다.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은 실질적으로 반투명 도광체(28)의 측면 실드를 형성하고, 따라서 광원(22)으로부터의 광이 도광체(28)를 통해서 인접 심볼(46)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인접 심볼(46)이 어느 정도로 켜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에서 역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에는 그 안에 광원(22)이 수용될 수 있는 함요부(36)가 제공된다. 함요부(36)는 적어도 도광체(28)를 바라보는 측면에 자유 통로를 형성하여,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도광체(28)에 진입할 수 있고 도광체를 통해서 유도되고 확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콤팩트한 구조가 얻어진다. 한편, 도광체(28)는,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보호부(56) 및 스크린(40)의 제한된 휨(bending)을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압력 센서(18)로 전달하는 실질적으로 고체인 반투명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광체(28)는 압력 센서(18)와 관련된 압력 센서(18)의 기능과 연관된 심볼(4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스크린(40)을 심볼(46)의 위치에서 어느 정도 휘게 하는 사용자는 도광체(28)를 통해 압력 센서(18)를 압축시킨다.
불투명부(42) 및 반투명부(44)가 있는 스크린(40)은 불투명한 실드 스트립(32)의 인쇄 회로 보드(14)로부터 원위인 측면(도면에서는 '위쪽')에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16)는 사용자가 보호부(56) 및 스크린(40)이 제한적으로 휘게 할 때에 힘-전달 도광체(28)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압력 센서(18)이다. 도광체(28)가 관련된 센서(18)와 연관된 기능의 심볼(4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불이 켜진 심볼(46)에 스스로 터치치할 수 있는 작동 요소(4)가 만들어진다. 센서(16)는 사용자가 관련된 심볼(46)의 위치에서 보호부(56)를 누를 경우 압축될 수 있는 압력 센서(18)이다. 그러면, 보호부(56)는 어느 정도 휘게 될 것이고, 압력이 스크린(40) 및 도광체(28)를 통해서 압력-감응 센서(18)로 전달될 것이다. 그러면, 센서(16, 18)로부터 오는 센서 신호가 제어부 유닛(20)에 의하여 처리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되는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는 도 2 및 도 3 의 제 1 실시예와 매우 닮아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불투명부(50) 및 반투명부(52)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심볼(46)을 형성하는 인쇄된 필름(48)이 제공된다. 필름(48)의 장점은, 필름(48) 상의 인쇄물을 대응하도록 조절함으로써 투광성에 그레디언트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심볼(46)이 훨씬 높은 정도로 세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필름(48)은 직접적으로 스크린(40)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작동 요소의 구조를 더 콤팩트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심볼(46)이 예를 들면 인쇄물의 형태로 도광체(28)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구상할 수 있다.
비록 전술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지만,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절대로 본 발명의 사양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청구항에 있는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가 붙어 있으면, 이러한 참조 번호는 오직 청구항을 이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어느 경우에도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 당업자들이 상이한 실시예의 기술적인 조치들을 결합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기술된 권리는 후속하는 청구항에 의하여 한정되고, 이러한 권리 범위에 속하는 많은 변형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Claims (20)

  1. 작동 요소가 있는 가전 제품으로서,
    상기 작동 요소는,
    - 상기 작동 요소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응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제공된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캐리어;
    - 상기 터치-감응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서 상기 광원을 스위치 온/오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 적어도 하나의 확산형 도광체(diffusing light conductor)로서, 상기 광원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적어도 상기 도광체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도광체를 포함하고,
    함께 심볼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부 및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부를 포함하는 스크린이, 상기 도광체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상기 측면에 또는 상기 측면에 가깝게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형 도광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심볼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감응 센서 및 상기 심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심볼은 상기 작동 요소가 사용되는 가전 제품의 기능에 대응하며,
    상기 광원과 상기 반투명부 간의 직접적인 시야를 방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캐리어의 평면에서 상기 심볼을 형성하는 상기 반투명부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가전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제품은, 상기 스크린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상기 측면에 배치된 투명의 수분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 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힘-전달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도광체에 인접하게 배치된 불투명한 측면 실드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가전 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 및 상기 불투명한 측면 실드의 상기 캐리어로부터 원위인 측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가전 제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측면 실드는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가전 제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제품은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적어도 두 개의 도광체 위에서 연장되는, 가전 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광원에 가깝게 배치되는, 가전 제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전 제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가전 제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개구가 있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스트립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인쇄된 필름을 포함하는, 가전 제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도광체와 통합되는, 가전 제품.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한 측면 실드는, 상기 도광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스트립인, 가전 제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한 스트립은 상기 광원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함요부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은 상기 작동 요소가 사용되는 가전 제품의 기능에 대응하는, 가전 제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제품은 온수 가열기 및 상기 온수 가열기와 연관된 온도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인, 가전 제품.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형 도광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부에 광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전 제품.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산형 도광체는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여 퍼지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부에 확산되고 퍼진 광을 전달하는, 가전 제품.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응 센서는 압력 센서인, 가전 제품.
KR1020187022651A 2016-01-07 2017-01-03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 KR102320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6064A NL2016064B1 (nl) 2016-01-07 2016-01-07 Bedieningselement en daarvan voorzien apparaat.
NL2016064 2016-01-07
PCT/NL2017/050002 WO2017119810A1 (en) 2016-01-07 2017-01-03 Operating element and appliance provided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030A KR20180114030A (ko) 2018-10-17
KR102320566B1 true KR102320566B1 (ko) 2021-11-02

Family

ID=5629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651A KR102320566B1 (ko) 2016-01-07 2017-01-03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447264B2 (ko)
EP (1) EP3400511B8 (ko)
JP (1) JP6956087B2 (ko)
KR (1) KR102320566B1 (ko)
CA (1) CA3006535C (ko)
ES (1) ES2871525T3 (ko)
NL (1) NL2016064B1 (ko)
PL (1) PL3400511T3 (ko)
PT (1) PT3400511T (ko)
RU (1) RU2732364C2 (ko)
UA (1) UA124008C2 (ko)
WO (1) WO2017119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23187A1 (it) * 2019-12-06 2021-06-06 Carel Ind Spa Interfaccia per un dispositivo di controllo particolarmente per distributori automatici e espositor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6508A1 (en) * 2008-12-24 2010-06-2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US20120106051A1 (en) * 2009-07-09 2012-05-03 E.G.O. Elektro-Gerätebau GmbH Operating Unit for an Electr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892A (ja) * 2001-02-28 2002-09-10 Hitachi Ltd 洗濯機、表示操作パネル及びこの表示操作パネルを備えた家庭電化機器
US7477950B2 (en) * 2004-09-28 2009-01-13 Dymo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water appliances
DE102007050654B4 (de) * 2007-10-24 2015-06-18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DE102011077896A1 (de) * 2011-06-21 2012-1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 und Anzeige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Haushaltsgerä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6508A1 (en) * 2008-12-24 2010-06-2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US20120106051A1 (en) * 2009-07-09 2012-05-03 E.G.O. Elektro-Gerätebau GmbH Operating Unit for an Electr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2364C2 (ru) 2020-09-16
CA3006535C (en) 2020-09-22
NL2016064B1 (nl) 2017-07-13
UA124008C2 (uk) 2021-07-07
RU2018128471A3 (ko) 2020-04-23
RU2018128471A (ru) 2020-02-10
US10447264B2 (en) 2019-10-15
CA3006535A1 (en) 2017-07-13
PT3400511T (pt) 2021-06-02
ES2871525T3 (es) 2021-10-29
EP3400511B8 (en) 2021-05-19
WO2017119810A1 (en) 2017-07-13
PL3400511T3 (pl) 2021-10-18
JP2019504399A (ja) 2019-02-14
EP3400511B1 (en) 2021-04-14
EP3400511A1 (en) 2018-11-14
JP6956087B2 (ja) 2021-10-27
US20180358966A1 (en) 2018-12-13
KR20180114030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651B1 (en) Touch sensitive switch with light
WO2007009251A1 (en) Illuminated touch control interface
CN201117490Y (zh) 家用电器控制面板
CN106201110B (zh) 一种易于温度及时间显示的触摸控制装置以及方法
JP2008039195A (ja) 加熱調理器
KR102320566B1 (ko)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제공된 가전 제품
JP4494164B2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US8089467B2 (en) Keyboard frame with induction light source
KR20110017239A (ko) 터치형 키입력바
KR20080073504A (ko) 이동단말기의 백라이팅 구조물 제조방법, 이동단말기의백라이팅 구조물 및 백라이팅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CA2792806C (en) Touch tracking optical input device
JP2014086344A (ja) タッチスイッチ装置
KR102034114B1 (ko) 투과 표시형 터치 스크린과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EP3522680B1 (en) User interface for a domestic appliance
CN206178728U (zh) 一种易于温度及时间显示的触摸控制装置
TW202001508A (zh) 觸控式導光薄膜
JP7145778B2 (ja) 加熱調理器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086108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441448Y1 (ko) 가압 돌기를 구비한 도광판 시트 및 그 도광판 시트를구비한 키패드 조립체
KR100289129B1 (ko) 전자렌지
JP2013138955A (ja) 炊飯器
KR20000007953U (ko) 전자제품용 동작안내램프의 불빛확산구조
JP5681913B2 (ja) 加熱調理器
JP2011033320A (ja) 操作装置及び該操作装置を備える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