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202B1 -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 Google Patents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202B1
KR102320202B1 KR1020200040407A KR20200040407A KR102320202B1 KR 102320202 B1 KR102320202 B1 KR 102320202B1 KR 1020200040407 A KR1020200040407 A KR 1020200040407A KR 20200040407 A KR20200040407 A KR 20200040407A KR 102320202 B1 KR102320202 B1 KR 10232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late
hole
ma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099A (ko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대신엠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엠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엠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8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in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흡입판에 다수개의 제1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판의 아래에서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공간부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 하우징은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 흡입공을 포함하고, 흡입판과 연결되어 흡입판의 상하 승강 동작에 따라 제2 흡입공을 개폐하는 공기 유입 밸브를 더 포함하며, 기술한 구조에 의해 신발 등에 의해 매트가 가압되는 순간 신발 등에서 떨어지는 이물질과 먼지가 상기 제1 흡입공 및 개방된 제2 흡입공을 통해 공간부를 거쳐 흡입수단으로 되고, 이물질을 매트를 바닥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Mat for car with dust suction}
본 발명은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를 다층구조로 형성하고, 매트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을 더 구비하여 발 또는 신발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 및 먼지를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으며 집진 된 이물질 및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는 차실 내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흡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바닥 매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 매트는 시트 주변의 영역을 포함한 차체 바닥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실내 외관을 해치는 차체 용접 부위나 시트 주변 혹은 바닥 상에 부속되는 각 부품 및 구조를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게 적절히 가려주는 차량 내장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승용차의 경우, 보통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뒤, 조수석 뒤 및 중간의 바닥면에는 각각 해당 크기와 형상에 맞게 설계된 총 5개 또는 4개의 바닥 매트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바닥 매트는 다양한 종류의 매트가 개발되었는바, 카펫형 매트와, 금속매트와, 고무 혹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만든 수지형 바닥 매트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 매트는 오랜 시간 사용하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은 차량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킴으로써 건강에 해롭다.
국내 출원 특허 제10-2015-0001878호에 의하면, 상협하광인 하측 방향으로 확관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 홈에 용이하게 유입되어 홈에 임시저장되고, 매트를 뒤집어 홈에 저장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자동차 실내 바닥면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바닥 매트를 제공한다. 상기 종래의 바닥 매트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차량용 매트(10')는 종래에 상부 매트와 하부 매트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가 아닌 상, 하부가 하나로 일체화된 매트(10')로써, 본체판(20')과, 유입홈(30')과, 저장홈(40')으로 구성되어 제조가 용이하지만 매트 홈에 저장된 먼지 및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매트를 차량의 바닥부로부터 제거하여야 하고, 매트를 뒤집어 털 경우, 매트 홈에 저장된 먼지 및 분진이 흩날리면서 매트를 터는 사용자의 호흡기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트를 뒤집었을 때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는 경사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나, 미세한 크기의 먼지는 상협하광의 구조에 의해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 매트에 쌓인 먼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는 바 다층구조를 갖는 매트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구조 매트의 일 예로 도 1의 (b)에 도시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09086호(1999년 04월 20일) 및 도 1의 (c)에 도시된 공개 특허공보 제10-2013-0063665호(2013년 06월 1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매트를 상부 패드와 하부패드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상부 패드에 이물질이 유입되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게 하였으며,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집진 되게 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함으로써,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 및 보관을 할 수 있어 차량의 실내환경을 보다 청결하고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매트를 분리하여 간편하면서도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매트는 관통공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데에 한계가 있고, 관통공으로의 이물질이 완전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를 쓸어야 하는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고, 또한 수용공간에 집진 된 이물질을 차량의 밖으로 버리기 위해서는 매트 전체를 차량의 바닥부로부터 제거한 다음에 실행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 및 동승자가 발 또는 신발 등으로 매트를 상부에서 가압하였을 때,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매트가 발 또는 신발 등에서 떨어지는 흙먼지, 분진, 오염물과 같은 이물질 및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며, 매트의 가압에 따라 매트 내부공간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에 의해, 매트에 포집된 이물질 및 먼지 등이 흡입수단으로 유도되어 매트에 포집된 분진 및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을 매트를 바닥부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다수개의 제1 흡입공이 관통 형성된 흡입판과, 일단이 상기 흡입판을 지지하며, 상부에서 가압에 의해 흡입판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타단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일단이 흡입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흡입공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흡입판의 승강 동작에 따라 공간부를 개폐시키는 상기 제2 흡입공을 개폐시키는 공기 유입 밸브와,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 대하여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기술한 구조에 의하면, 흡입판에 상부에서 가압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공기 유입밸브가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흡입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에서 가압에 의해 흡입판이 하강했을 때 공기 유입밸브가 제2 흡입공에서 이탈되어 제2 흡입공이 개방됨에 따라, 공간부와 제1 흡입공이 개방된 제2 흡입공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고 공간부에 인가되는 흡입력에 의해 운전자 및 동승자가 신고 있는 신발 등에서 떨어지는 이물질과 먼지가 제1 흡입공과 제2 흡입공을 통해 흡입수단으로 유도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은 차량 실내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바닥 판과, 바닥 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판을 포함하고, 제2 흡입공은 중판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이고, 중판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탄성체가 수납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2 흡입공은 제1 돌출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교차 배치된다.
또한, 중판은 바닥 판과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복수의 기둥형 스페이서(spacer)와, 중판 테두리부가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스페이서와 지지부의 높이는 일치하며, 공간부는 바닥 판과 중판 사이에 형성된다. 제2 흡입공은, 하부 하우징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며, 관통공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와, 관통공의 테두리부에서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턱으로 이루어지고, 걸림 턱은 하부방향을 향해 형성된 하면과 관통공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경사 내주면을 포함하고, 경사 내주면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직경(W1)은, 걸림 턱의 직경(W2)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2 흡입공의 상부 방향 직경은 경사 내주면이 형성된 제2 흡입공의 하부방향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공기 유입 밸브는 제2 흡입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콘 형상부와, 콘 형상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콘 형상부의 외경은 제2 흡입공의 하부방향 직경보다 작거나 같고, 제2 흡입공의 상부 방향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흡입판과 공기 유입 밸브를 나사결합하는 고정모듈이 더 구비되며 고정모듈은, 공기 유입 밸브의 일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지고, 제1 흡입공은 체결홈의 테두리부에서 일정 폭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테두리부를 둘러싸도록 관통 형성된 것이며, 흡입판은 흡입판의 상면에서 볼트 머리 부분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과,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인 고정모듈 체결공을 포함한다. 볼트는 볼트머리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공과, 상기 공기 유입 밸브의 체결홈에 끼워져 흡입판과 공기 유입 밸브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판과 바닥 판을 상하로 포개어 테두리부를 결합하며, 흡입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끼움 결합수단을 더 포함한다. 흡입판의 테두리부는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바닥 판의 테두리부는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끼움 결합수단은 흡입판의 테두리부 끝단부 상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바닥 판의 테두리부 끝단부 하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제1 결합부는 상기 흡입판의 일측 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1결합홈과, 상기 제1-1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흡입판의 나머지 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2결합홈을 포함한다.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1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되며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1결합돌기와, 상기 제1-2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되며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2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 판은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된 바닥 판의 테두리 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장공과, 제1-1결합돌기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 바닥 판 일측 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의 끝단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제1 연결 절곡부를 포함한다.
중판은 제1-1결합홈과 제1-1결합돌기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 중판 일측 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소정 폭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된 제2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끝단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제2 연결 절곡부를 포함하고, 제1 연결 절곡부와 제2 연결 절곡부는 서로 맞닿도록 구비된다. 제1 연결 절곡부 하단에는 공간부와 연통되어 공간부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과 먼지가 흡입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흡입수단은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의 배출공에 연결되는 유도로가 형성된 호스 연결판과, 호스에 의해 호스연결판의 유도로와 연결되는 사이클론 모듈과,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과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받이와, 사이클론 모듈과 연결되어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과 먼지를 수집하여 여과시키는 필터모듈과, 필터모듈과 연결되어 필터모듈에 흡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이 필터모듈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모터를 포함하고, 필터모듈은 다공성 구조로 통과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등에 의해 매트가 상부에서 가압 되었을 때 신발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이 다층구조를 갖는 매트에 떨어져 효과적으로 포집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또한, 매트에 떨어진 이물질 및 먼지 등이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수단의 용기로 유도되고,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일정량 모여지면 손쉽고 간편하게 흡입수단의 용기를 탈거하여 흡입수단의 용기에 모여진 일정 크기 이상의 흙먼지 및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하의 미세한 먼지 및 분진, 오염물 등을 필터모듈을 통해 여과시킴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매트에 쌓이지 않아 관리가 용이하고, 포집된 미세한 크기의 먼지 및 분진을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매트로부터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잦은 세탁을 할 필요가 없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한 승차실 공간이 유지되어 최적의 운전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형상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매트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매트의 하부 하우징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판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판의 평면 형상과,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입판과 바닥 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자동차용 매트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 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매트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신발 등이 닿는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하고, 차량의 바닥에 맞닿는 방향을 하부방향으로 한다. 매트는 판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 2 의(a)와 (b)를 참조하여 상기 매트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매트는 다수개의 제1 흡입공(120)이 관통 형성된 흡입판(100)과, 일단이 상기 흡입판(1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부에서 가압에 의해 흡입판(100)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10)와, 탄성체(10)의 타단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부(A)가 형성되고, 공간부(A)와 연통되는 제2 흡입공(211)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200)과, 일단이 흡입판(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흡입공(211)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흡입판(100)의 승강 동작에 따라 공간부(A)를 개폐시키는 상기 제2 흡입공(211)을 개폐시키는 공기 유입 밸브(20)와, 공간부(A)와 연통되도록 하부 하우징(200)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A)에 대하여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흡입판(100)에 상부에서 가압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공기 유입 밸브(20)가 탄성체(1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흡입공(211)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에서 가압에 의해 흡입판(100)이 하강했을 때 공기 유입 밸브(20)가 제2 흡입공(211)에서 이탈되어 제2 흡입공(211)이 개방됨에 따라, 공간부(A)와 제1 흡입공(120)이 개방된 제2 흡입공(211)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고, 공간부(A)에 인가되는 흡입력에 의해 운전자 및 동승자가 신고 있는 신발 등에서 떨어지는 이물질과 먼지가 제1 흡입공(120)과 제2 흡입공(211)을 통해 흡입수단(300)으로 유도된다.
종래의 자동차매트(일명 자동차 깔판)는 주로 직물로 직조 된 직물 매트를 사용하였으며, 직물 매트는 부드러우나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등이 직물 매트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고, 직물 매트의 내부로 침투한 흙이나 먼지 등은 쉽게 털어내거나 세척할 수 없으며, 털어내거나 세척하더라도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매트를 강하게 털어낼 경우, 미세한 분진이 함께 발생하여 매트에서 떨어진 미세한 크기의 분진이 매트를 터는 사용자의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매트는 별도로 매트에 떨어진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세탁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 직물 재질의 매트 등을 사용할 경우 잦은 세탁으로 인해 매트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매트의 하부 하우징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판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200)은 차량 실내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바닥 판(220)과, 바닥 판(2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판(210)을 포함하고, 제2 흡입공(211)은 중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이다. 중판(210)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탄성체(10)가 수납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제2 흡입공(211)은 제1 돌출부(212)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교차 배치된다. 중판(210)은 도 3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판(220)과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복수의 기둥형 스페이서(spacer)(213)와, 중판(210) 테두리부가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지지부(21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와 지지부(214)의 높이는 일치하며, 공간부(A)는 도3의 (b)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판(220)과 중판(21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2 흡입공(211)은, 하부 하우징(20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며, 관통공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11a)와, 관통공의 테두리부에서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턱(211b)으로 이루어지고, 걸림 턱(211b)은 하부방향을 향해 형성된 하면과 관통공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경사 내주면(211b')을 포함하고, 경사 내주면(211b')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211a)의 직경(W1)은, 걸림 턱(211b)의 직경(W2)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2 흡입공(211)의 상부 방향 직경은 경사 내주면(211b')이 형성된 제2 흡입공(211)의 하부방향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부(212)는 도 3의 (b)의 부분 확대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12)의 내측 바닥면에 원기둥 형상의 탄성체 고정돌기(212a)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체 고정돌기는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탄성체의 수평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체 고정돌기(212a)의 높이는 제1 돌출부의 높이보다 작고, 탄성체 고정돌기(212)의 직경은 탄성체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판의 평면 형상과, 자동차용 매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흡입판(100)과 공기 유입 밸브(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흡입판(100)과 공기 유입 밸브(20)를 나사결합하는 고정모듈(30)이 더 구비된다. 고정모듈(30)은, 공기 유입 밸브(20)의 일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31)과, 상기 체결홈(31)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볼트(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흡입공(12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31)의 테두리부에서 일정 폭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테두리부를 둘러싸도록 관통 형성된다. 또한 흡입판(10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판(100)의 상면에서 볼트(32) 머리 부분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10)과, 수용홈(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인 고정모듈(30) 체결공(111)을 포함한다. 볼트(32)는 볼트머리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공(111)과, 상기 공기 유입 밸브(20)의 체결홈(31)에 끼워져 흡입판(100)과 공기 유입 밸브(20)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 또한, 공기 유입 밸브(20)는 제2 흡입공(2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콘 형상부(21)와, 콘 형상부(2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몸체(22)로 이루어진다. 콘 형상부(21)의 외경(X1)은 제2 흡입공(211)의 하부방향 직경(W2)보다 작거나 같고, 제2 흡입공(211)의 상부 방향 직경(W1)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입판과 바닥 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흡입판(100)과 바닥 판(220)을 상하로 포개어 테두리부를 결합하며, 흡입판(100)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끼움 결합수단(40)을 더 포함한다. 흡입판(100)의 테두리부는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바닥 판(220)의 테두리부는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끼움 결합수단(40)은 흡입판(100)의 테두리부 끝단부 상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41)와, 바닥 판(220)의 테두리부 끝단부 하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42)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결합부(41)는 상기 흡입판(100)의 일측 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1결합홈(41a)과, 상기 제1-1결합홈(41a)이 형성되지 않은 흡입판(100)의 나머지 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2결합홈(41b)을 포함하고, 제2 결합부(42)는 상기 제1-1결합홈(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되며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1결합돌기(42a)와, 상기 제1-2결합홈(41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되며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2결합돌기(42b)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 판(220)은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된 바닥 판(220)의 테두리 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장공(221)과, 제1-1결합돌기(42a)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 바닥 판(220) 일측 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결부(222)와, 제1 연결부(222)의 끝단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제1 연결 절곡부(223)를 포함한다.
중판(210)은 제1-1결합홈(41a)과 제1-1결합돌기(42a)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 중판(210) 일측 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소정 폭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된 제2 연결부(215)와, 제2 연결부의 끝단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제2 연결 절곡부(216)를 포함하고, 제1 연결 절곡부(223)의 외측면과 제2 연결 절곡부(216)의 내측면은 서로 맞닿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연결 절곡부(223) 하단에는 공간부(A)와 연통되어 공간부(A)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과 먼지가 도2에 도시된 흡입수단(300)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공(224)이 관통 형성된다.
도 6은 자동차용 매트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입수단(30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과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200)의 배출공(224)에 연결되는 유도로가 형성된 호스 연결판(310)과, 호스에 의해 호스연결판의 유도로와 연결되는 사이클론 모듈(320)과,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과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받이(330)와, 사이클론 모듈과 연결되어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과 먼지를 수집하여 여과시키는 필터모듈(340)과, 필터모듈과 연결되어 필터모듈에 흡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이 필터모듈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모터(350)를 포함하고, 필터모듈(340)은 다공성 구조로 통과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필터(341)를 포함한다. 여과필터(341)는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이송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먼지 제거의 효율성이 높다. 또한, 여과필터는 헤파필터 또는 극미세공이 형성된 필터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과필터의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에게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입모터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고 사이클론 모듈은 200rpm이상으로 고속 회전하므로 대부분의 비중이 가벼운 먼지가 부유 상승하여 필터모듈로 전달되고, 비중이 무거운 소량의 먼지가 사이클론의 하부에 구비된 먼지받이(330)에 퇴적한다. 신발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대부분은 소직경의 먼지이므로 대부분을 상승시켜 필터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사이클론은 비중이 큰 소량의 먼지를 분리하거나 걸러내는 필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나머지 비중이 작은 먼지를 필터모듈로 압송 배출하는 송풍기의 역할을 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를 위생적으로 유지시켜 탑승자가 보다 쾌적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발(S)에 의해 매트가 상부에서 가압 되었을 때 본 발명의 매트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매트가 가압 되었을 때, 탄성체(10)가 수축하면서 흡입판(100)과 흡입판에 연결된 공기 유입 밸브(20)가 하부방향으로 수직이동하고, 공기 유입 밸브의 이동에 의해 제1 흡입공(120)과 제2 흡입공(211)이 개방되면서 탑승자의 신발(S)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매트 내부공간(A)로 떨어지고, 매트내부공간(A)로 떨어진 이물질이 배출공(224)을 통해 흡입수단(300)으로 배출되어 이물질이 매트에 누적되지 않아 먼지제거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상시 자동차의 내부 환경과 매트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클론 모듈의 구동력을 높여 송풍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사이클론이 송풍기를 겸용하도록 함으로써, 흡입수단을 작은 용량으로 간단히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수단(300)은, 작동소음 및 부피를 고려하여 차량의 내부(C)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탄성체 20 : 공기 유입 밸브
21 : 콘 형상부 22 : 몸체
30 : 고정모듈 31 : 체결홈
32 : 볼트 40 : 끼움 결합수단
41 : 제1 결합부 41a : 제1-1결합홈
41b : 제1-2결합홈 42 : 제2 결합부
42a : 제1-1결합돌기 42b : 제1-2결합돌기
100 : 흡입판 110 : 수용홈
111 : 체결공 120 : 제1 흡입공
200 : 하부 하우징 210 : 중판
211 : 제2 흡입공 211a : 가이드부
211b : 걸림 턱 212 : 제1 돌출부
212a: 탄성체 고정돌기 213 : 기둥형 스페이서
214 : 지지부 215 : 제2 연결부
216 : 제2 연결 절곡부 220 : 바닥 판
221 : 장공 222 : 제1 연결부
223 : 제1 연결 절곡부 224 : 배출공
300 : 흡입수단 310 : 호스 연결판
320 : 사이클론 모듈 330 : 먼지받이
340 : 필터모듈 341 : 여과필터
350 : 흡입모터

Claims (9)

  1. 다수개의 제1 흡입공이 관통 형성된 흡입판과, 일단이 상기 흡입판을 지지하며 상부에서 가압에 의해 흡입판이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일단이 흡입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흡입공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판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흡입공을 개폐시키는 공기 유입 밸브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 대하여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에 상부에서 가압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공기 유입밸브가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흡입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에서 가압에 의해 흡입판이 하강했을 때 공기 유입밸브가 제2 흡입공에서 이탈되어 제2 흡입공이 개방됨에 따라, 공간부와 제1 흡입공이 개방된 제2 흡입공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고 공간부에 인가되는 흡입력에 의해 운전자 및 동승자가 신고 있는 신발 등에서 떨어지
    는 이물질과 먼지가 제1 흡입공과 제2 흡입공을 통해 흡입수단으로 유도되고,
    하부 하우징은 차량 실내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바닥 판과,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흡입공은 중판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이고, 상기 중판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도록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탄성체가 수납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2 흡입공은 제1 돌출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교차 배치되고,
    제2 흡입공은, 하부 하우징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며, 관통공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와, 관통공의 테두리부에서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 턱은 하부방향을 향해 형성된 하면과 관통공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경사 내주면을 포함하고, 경사 내주면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직경(W1)은, 걸림 턱의 직경(W2)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흡입공의 상부 방향 직경은 경사 내주면이 형성된 제2 흡입공의 하부방향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유입 밸브는 제2 흡입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콘 형상부와, 상기 콘 형상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 형상부의 외경은 제2 흡입공의 하부방향 직경보다 작거나 같고, 제2 흡입공의 상부 방향 직경보다 큰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6. 제 5항에 있어서
    흡입판과 공기 유입 밸브를 나사결합하는 고정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모듈은, 공기 유입 밸브의 일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흡입공은 체결홈의 테두리부에서 일정 폭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테두리부를 둘러싸도록 관통 형성된 것이며,
    상기 흡입판은 흡입판의 상면에서 볼트 머리 부분이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과,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인 고정모듈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볼트머리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공과, 상기 공기 유입 밸브의 체결홈에 끼워져 흡입판과 공기 유입 밸브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7. 제 6항에 있어서
    흡입판과 바닥 판을 상하로 포개어 테두리부를 결합하며, 상기 흡입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끼움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판의 테두리부는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바닥 판의 테두리부는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끼움 결합수단은 흡입판의 테두리부 끝단부 상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바닥 판의 테두리부 끝단부 하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흡입판의 일측 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1결합홈과, 상기 제1-1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흡입판의 나머지 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1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되며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1결합돌기와, 상기 제1-2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되며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8. 제 7항에 있어서
    바닥 판은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된 바닥 판의 테두리 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제1-1결합돌기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 바닥 판 일측 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끝단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제1 연결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판은 제1-1결합홈과 제1-1결합돌기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 중판 일측 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소정 폭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제2 연결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절곡부와 제2 연결 절곡부는 서로 맞닿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 절곡부 하단에는 공간부와 연통되어 공간부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과 먼지가 흡입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9. 제 8항에 있어서
    흡입수단은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배출공에 연결되는 유도로가 형성된 호스 연결판과, 호스에 의해 상기 호스연결판의 유도로와 연결되는 사이클론 모듈과, 상기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과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받이와, 상기 사이클론 모듈과 연결되어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과 먼지를 수집하여 여과시키는 필터모듈과, 상기 필터모듈과 연결되어 필터모듈에 흡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이 필터모듈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모터를 포함하고, 필터모듈은 다공성 구조로 통과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필터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KR1020200040407A 2020-04-02 2020-04-02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KR10232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07A KR102320202B1 (ko) 2020-04-02 2020-04-02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07A KR102320202B1 (ko) 2020-04-02 2020-04-02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99A KR20210123099A (ko) 2021-10-13
KR102320202B1 true KR102320202B1 (ko) 2021-11-02

Family

ID=7811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07A KR102320202B1 (ko) 2020-04-02 2020-04-02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30B1 (ko)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KR101808435B1 (ko) * 2016-06-29 2017-12-29 주식회사 유케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용 탄성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30B1 (ko)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KR101808435B1 (ko) * 2016-06-29 2017-12-29 주식회사 유케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용 탄성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99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75B1 (ko) 오물역류 방지부재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922794B2 (en) Cyclonic vacuum cleaner ribbed cyclone shroud
US8236078B2 (en) Filter bag
US7135051B2 (en) Dirt cup filter with pre-filtration cap
AU2005201566B2 (en) A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AU2004202434B2 (en) Cyclone Dust-collector
CN100500072C (zh) 过滤器构件和使用该过滤器构件的真空吸尘器
RU2300306C1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RU2257832C2 (ru) Пылесборник для пылесоса
JP5396676B2 (ja) フィルタ組立体
EP1535560A2 (en) Dust-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for both wet and dry cleaning using the same
CN101516469B (zh) 过滤器组件
US20160113459A1 (en) Dust-container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2320202B1 (ko) 먼지 흡입이 가능한 자동차용 매트
AU2003204377A1 (en) Dust Collecting Filte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EP1692992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EP1743561B1 (en) Dust collector
CN106413498B (zh) 湿/干真空袋
KR2011000156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US5570489A (en) Liquid extra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KR200461151Y1 (ko) 자동차용 매트
CN101889843A (zh) 灰尘分离及自清洁式集尘桶
CN220256399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CN218899313U (zh) 尘杯装置及吸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