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097B1 -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097B1
KR102320097B1 KR1020200156840A KR20200156840A KR102320097B1 KR 102320097 B1 KR102320097 B1 KR 102320097B1 KR 1020200156840 A KR1020200156840 A KR 1020200156840A KR 20200156840 A KR20200156840 A KR 20200156840A KR 102320097 B1 KR102320097 B1 KR 102320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user
value
information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민
Original Assignee
권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민 filed Critical 권영민
Priority to KR102020015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며,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ORDER SYSTEM USING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BY EVERY EACH SEAT AND ORD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 및 영상인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IT 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 전자 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핀테크 기술이나,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등이 이러한 기술들의 일 예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서비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등의 메시징 서비스와 온라인 핀테크 기술이 결합된 카카오 페이 등과 같이, 다양한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다수의 사용자를 포괄하기 위하여 범용성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수 분야에서의 전문적이고 고차원적인 통합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개인의 소장품에 대한 관리의 경우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지 못하고, 단순히 사용자 간의 중고 온라인 마켓 등을 이용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등 새로운 융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개인의 소장품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7525호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개인이 소장한 소장품의 소장 가치 변화와 희귀성의 변동을 반영하여 소장품의 유형 현물 자산으로써의 가치를 측정하고 소장품의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기준으로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장품의 객관적 가치화와 거래 용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소장품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인 소장품 가치에 따른 개인 자산의 자산 현황 및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 소장품의 가치 변화 추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소장품의 가치화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공하고 그를 이용한 거래 활성화를 제공할 수 있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개인 소장품에 대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확장적으로 연동하여 정보의 선순환성을 증대시키고 개인 소장품의 거래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개인 소장품 및 그에 대한 거래 내역을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저장함으로써, 해당 소장품에 대한 투명한 거래내역 정보를 확보할 수 있고 현물 자산으로서의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며,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하도록 상기 소장품의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 및 데이터 크롤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소장품 가치평가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소장품에 대한 인벤토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인벤토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장품에 대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개별 자산가치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개인별 총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핀테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테크 관리부는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및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자산 관리모듈;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 내역과 소장품에 대한 매매 수량 변동 내역을 기초로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시세추이 예측모듈;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시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소장품 투자내역을 계산하는 투자내역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세추이 예측모듈은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내역을 기준으로 기초 시세를 설정하고, 해당 소장품에 대한 판매 수량 대비 구매 수량의 비율 변동 내역을 반영하여 최종 시세 추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하고, 상기 SNS에서 사용자와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 및 각 사용자 간에 소장품에 대한 구매 및 판매 채널을 제공하고, 소장품에 대한 공동구매, 경매 및 렌탈 채널을 제공하는 트레이딩 관리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장품 가치평가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는 이미지 인식모듈,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소장품 객체와 연관성이 인정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크롤러 및 상기 데이터 크롤러에서 제공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소장품 가치평가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벤토리부는, 각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자산가치가 평가된 소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소장품 관리모듈, 각각의 소장품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 판매 및 자산가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소장품 이력모듈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하여, 소장품의 세부 정보로서 소장품의 카테고리 정보, 소장품 이미지 정보, 구매 일자, 판매 일자, 평가 일자를 제공하는 소장품 정보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하는 SNS 연동모듈, 연동 중인 SNS에서 사용자와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관심회원 추천모듈, 사용자가 관심 소장품을 설정하면, 그와 연관된 SNS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심 소장품 설정 모듈 및 관심 소장품이 유사한 타 사용자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타 사용자와의 소모임 채널을 제공하는 관심 소장품 소모임 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이딩 관리부는, 사용자 간, 소장품의 판매 및 구매 채널을 제공하는 매매모듈, 복수의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소장품에 대한 공동 구매 채널을 제공하는 공동구매 모듈 및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경매 채널을 제공하는 경매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미지 인식모듈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장품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소장품 가치평가모듈에서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핀테크 관리부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는 단계;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및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소장품 객체와 연관성이 인정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데이터 크롤러에서 제공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핀테크 관리부는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및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자산 관리모듈;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 내역과 소장품에 대한 매매 수량 변동 내역을 기초로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시세추이 예측모듈;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시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소장품 투자내역을 계산하는 투자내역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세추이 예측모듈은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내역을 기준으로 기초 시세를 설정하고, 해당 소장품에 대한 판매 수량 대비 구매 수량의 비율 변동 내역을 반영하여 최종 시세 추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인이 소장한 소장품의 소장 가치 변화와 희귀성의 변동을 반영하여 소장품의 유형 현물 자산으로써의 가치를 측정하고 소장품의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기준으로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장품의 객관적 가치화와 거래 용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소장품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인 소장품 가치에 따른 개인 자산의 자산 현황 및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 소장품의 가치 변화 추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소장품의 가치화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공하고 그를 이용한 거래 활성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인 소장품에 대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확장적으로 연동하여 정보의 선순환성을 증대시키고 개인 소장품의 거래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인 소장품 및 그에 대한 거래 내역을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저장함으로써, 해당 소장품에 대한 투명한 거래내역 정보를 확보할 수 있고 현물 자산으로서의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소장품 가치평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인벤토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핀테크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트레이딩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요소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적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체이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적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칭함)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개인 소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하고, 서비스 서버(200)는 개인 소장품에 대한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인식 및 데이터 크롤링을 기반으로 개인 소장품의 가치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휴대용 단말이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가치를 측정하고, 자산으로서의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소장품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사용자 소장품 관리, 사용자 소장품의 가치를 이용한 핀테크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 및 사용자 소장품에 대한 트레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외부 서버(300)와 연동하여 소셜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 및 트레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서버(300)는 단일 서버(또는 단일 서비스 제공 주체에 의하여 운영되는 복수의 서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서버 및 다양한 서비스 주체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들을 포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는 참고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된 소장품의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Vision AI)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한 소장품 이미지에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데이터 크롤러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인식된 소장품 객체와 연관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들의 가격을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각 사용자에게 개인이 보유한 소장품에 대한 인벤토리 관리 기능으로서, 소장품 정보, 소장품 이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소장품의 가치를 이용한 핀테크 서비스로서, 전체 자산가치 현황을 제공하고, 개별 자산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장품의 시세추이를 예측하여 제공하고, 소장품에 대한 투자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타 금융 서비스와 연동하여 핀테크 연동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소셜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로서, 타 운영 주체에 의하여 운영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하고, SNS에서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에 대한 추천을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관심 소장품을 설정하여 그와 연관된 SNS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관심 소장품이 유사한 타 사용자와의 소모임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소장품에 대한 트레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소장품에 대한 구매 및 판매 채널을 제공하고, 소장품에 대한 공동구매, 경매, 렌탈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타 마케팅 서비스와 연동하여 쇼핑몰 연동 서비스 및 타겟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소장품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소장품에 대한 핀 테크 서비스에 대한 정보, 즉, 플랫폼 상에서 거래되는 내역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블록 체인의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소장품 및 그에 대한 핀테크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소장품은 고유의 인덱스를 갖게 되고 향후 거래 수행 시 해당 물품에 대한 투명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내역이 추후 금융권으로부터 현물자산 가치를 인정받을 때 객관적인 근거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카메라부(130), 저장부(140) 및 고객 어플(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저장부(140)는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고객 어플(130)은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객 어플(130)을 실행하여 카메라부(130)를 이용하여 자신이 보유한 소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함으로써, 개인 소장품에 대한 가치를 산정받을 수 있다.
고객 어플(130)은 이 외에도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인벤토리 서비스, 핀테크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 및 트레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잇다. 고객 어플(13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서비스 서버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비스 서버(200)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일반적이고 단순화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의 일 예로서 컴퓨팅 장치가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프로세싱 유닛(203)과 시스템 메모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협조하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의 정확한 구성 및 유형에 의존하여, 시스템 메모리(201)는 휘발성(예컨대, 램(RAM)), 비휘발성(예컨대, 롬(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는 플랫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운영 체제(202)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의 WINDOWS 운영체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는 프로그램 모듈, 애플리케이션 등의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는 자기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 저장소는 이동식 저장소 및/또는 고정식 저장소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저장정보를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기법으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 저장소(204)는 모두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시일 뿐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램(RAM), 롬(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법,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적 저장소,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적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컴퓨팅 장치(2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의 입력 장치(205),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및 비교 가능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6)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및 다른 유형의 출력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는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네트워크(20),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위성 링크, 셀룰러 링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 비교가능한 메커니즘을 통해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장치(207)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207)는 통신 매체의 한가지 예시이며, 통신 매체는 그 안에 컴퓨터 판독 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나 직접 유션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서버(200)는 이러한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되는 기능적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인 특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소장품 가치평가부(210), 인벤토리부(220), 핀테크 관리부(230),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240), 트레이딩 관리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장품 가치평가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된 소장품의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Vision AI) 및 데이터 크롤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한 소장품 이미지에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데이터 크롤러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인식된 소장품 객체와 연관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들의 가격을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인벤토리부(220)는 각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소장품에 대한 인벤토리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인벤토리부(220)는 각 사용자에게 소장품 정보, 소장품 이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핀테크 관리부(230)는 사용자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이용한 핀테크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다.
핀테크 관리부(230)는 사용자의 상기 소장품에 대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개별 자산가치 및 사용자에 대한 개인별 총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핀테크 관리부(230)는 소장품의 시세추이를 예측하여 제공하고, 소장품에 대한 투자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핀테크 관리부(23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핀테크 관리부(230)는, 타 금융 서비스와 연동하여 핀테크 연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핀테크 관리부(230)는,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소장품에 적합한 보험 상품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판매 중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핀테크 관리부(230)는,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다른 금전적 평가수단(예를 들어, 현금, 주식, 채권 등)과 연동하여 교환, 대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240)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외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하고, SNS에서 사용자와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을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240)는 사용자가 관심 소장품을 설정하면, 그와 연관된 SNS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240)는 관심 소장품이 유사한 타 사용자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러한 타 사용자와의 소모임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딩 관리부(250)는 사용자 소장품에 대한 트레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트레이딩 관리부(250)는 각 사용자 간에 소장품에 대한 구매 및 판매 채널을 제공하고, 소장품에 대한 공동구매, 경매 및 렌탈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딩 관리부(250)는 타 마케팅 서비스와 연동하여 쇼핑몰 연동 서비스 및 타겟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60)는 서비스 서버의 운영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장품 정보, 각 사용자별 소장품 현황, 각 소장품의 자산가치 정보 등 등 서비스 서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장품 가치평가부(210), 인벤토리부(220), 핀테크 관리부(230) 및 트레이딩 관리부(250)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소장품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소장품에 대한 핀 테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 내지 외부 서버(300)를 포함하는 플랫폼에 분선 원장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소장품에 대한 정보 및 그에 대한 핀테크 정보에 대한 투명한 거래내역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소장품 가치평가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장품 가치평가부(210)는 이미지 인식모듈(211), 데이터 크롤러(212) 및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모듈(211)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한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인식모듈(211)은 촬상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물품과 배경을 구분하고, 물품을 식별하여 소장품 객체로서 판별한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인식모듈(211)은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장품 인식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다.
데이터 크롤러(212)는 외부 서버, 즉, 쇼핑몰 서버, 중고거래 서버 및 전문 커뮤티니 서버 등과 연동하여, 쇼핑몰 서버, 중고거래 서버 및 전문 커뮤티니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크롤러(212)는 서비스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50)에 대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크롤러(212)는 외부 서버의 데이터 또는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소장품 객체와 연관성이 인정되는, 즉, 외견상 유사한 상품을 식별하고, 검색된 상품들의 가격 정보를 획득하여 가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크롤러(212)는 서비스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60)을 우선적으로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1차 가격 정보를 생성하고, 부차적으로 기 연동 설정된 외부 서버(쇼핑몰 서버, 중고거래 서버 및 전문 커뮤티니 서버 등)에 대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2차 가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1차 가격 정보는 서비스 서버(200)에서 현재 소장품과 유사한 소장품들의 가격 범위이고, 2차 가격 정보는 외부 서버의 종류별로 개별적으로 설정된 현재 소장품과 유사한 상품들의 가격범위 일 수 있다.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은 데이터 크롤러(212)에서 제공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은 서비스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60)에 대해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생성된 1차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최초 자산가치를 평가하고, 외부 서버(300)에 대해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생성된 2차 가격 정보를 반영하여 최종 자산가치를 산정할 수 있다.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은 1차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최초 가치범위를 설정하고, 외부 서버의 종류별로 해당 소장품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 설정하여 2차 가격 정보를 조절한 후, 1차 가격 정보에 2차 가격 정보를 반영하여 가치범위를 산정하고, 가치범위 내에서 해당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은 소장품에 대한 상품상태 차감치 및 부속품 차감치를 반영하여,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장품에 상품상태 정보 및 부속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품상태에 따른 차감치 및 부속품 결여에 대한 차감치를 반영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인벤토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인벤토리부(220)는 소장품 관리모듈(221), 소장품 이력모듈(222), 소장품 정보모듈(223) 및 소장품 검색모듈(224)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장품 관리모듈(221)은 각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자산가치가 평가된 소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소장품 이력모듈(222)은 각각의 소장품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 판매 및 자산가치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소장품 정보모듈(223)은 각각의 소장품에 대하여, 소장품의 세부 정보로서, 소장품의 카테고리 정보, 소장품 이미지 정보, 구매 일자, 판매 일자, 평가 일자 등의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소장품 검색모듈(224)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한 소장품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핀테크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핀테크 관리부(230)는 가치 산정모듈(231), 개인자산 관리모듈(232), 시세추이 예측모듈(233) 및 투자내역 관리모듈(2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치 산정모듈(231)은 소장품 가치평가모듈(213)과 연동하여,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자산 관리모듈(232)은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자산 관리모듈(232)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및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시세추이 예측모듈(233)은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시세추이 예측모듈(233)은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 내역과 소장품에 대한 매매 수량 변동 내역을 기초로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세추이 예측모듈(233)은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내역을 기준으로 기초 시세를 설정하고, 서비스 서버(200)에서 해당 소장품에 대한 판매 수량 대비 구매 수량의 비율의 변동 내역을 반영하여 최종 시세추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자산가치 변동내역의 추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기초 시세를 설정하고, 판매 수량 대비 구매 수량의 비율의 변동 내역에 따라 기초 시세를 변동시켜 시세추이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행에 따라 급속하게 구매나 판매가 커지는 경우 등에도 시세추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투자내역 관리모듈(234)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시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소장품 투자내역을 계산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240)는 SNS 연동모듈(241), 관심회원 추천모듈(242), 관심 소장품 설정 모듈(243) 및 관심 소장품 소모임 모듈(244)를 포함할 수 있다.
SNS 연동모듈(241)은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할 수 있다.
관심회원 추천모듈(242)은 연동 중인 SNS에서 사용자와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을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관심 소장품 설정 모듈(243)은 사용자가 관심 소장품을 설정하면, 그와 연관된 SNS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심 소장품 소모임 모듈(244)은 관심 소장품이 유사한 타 사용자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타 사용자와의 소모임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트레이딩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딩 관리부(250)는 매매모듈(251), 공동구매 모듈(252), 경매모듈(253), 기부모듈(254) 및 렌탈모듈(255)를 제공할 수 있다.
매매모듈(251)은 사용자 간, 소장품의 판매 및 구매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공동구매 모듈(252)은 복수의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소장품에 대한 공동 구매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경매모듈(253)은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경매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경매 채널은 경매, 역경매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할 수 있다.
기부모듈(254)은 사용자의 소장품의 기부채널을 지원하고, 렌탈모듈(255)은 일정한 렌탈료를 기초로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렌탈 또는 역렌탈을 위한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는, 서비스 서버(200)에서 수행된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는다(S1110).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S1120).
서비스 서버(20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S1130).
단계 S11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및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소장품 객체와 연관성이 인정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데이터 크롤러에서 제공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서비스 서버
300 : 외부 서버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카메라부 140 : 저장부
150 : 고객 어플
201 : 시스템 메모리 202 : 운영체제
203 : 프로세싱 유닛 204 : 저장소
205 : 입력장치 206 : 출력장치
207 : 통신장치
210 : 소장품 가치평가부 220 : 인벤토리부
230 : 핀테크 관리부 240 :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
250 : 트레이딩 관리부 2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며,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하도록 상기 소장품의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 및 데이터 크롤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소장품 가치평가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소장품에 대한 인벤토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인벤토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장품에 대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개별 자산가치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개인별 총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핀테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테크 관리부는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및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자산 관리모듈;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 내역과 소장품에 대한 매매 수량 변동 내역을 기초로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시세추이 예측모듈;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시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소장품 투자내역을 계산하는 투자내역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세추이 예측모듈은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내역을 기준으로 기초 시세를 설정하고, 해당 소장품에 대한 판매 수량 대비 구매 수량의 비율 변동 내역을 반영하여 최종 시세 추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소장품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소장품에 대한 핀 테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의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하고, 상기 SNS에서 사용자와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 및
    각 사용자 간에 소장품에 대한 구매 및 판매 채널을 제공하고, 소장품에 대한 공동구매, 경매 및 렌탈 채널을 제공하는 트레이딩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장품 가치평가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는 이미지 인식모듈;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소장품 객체와 연관성이 인정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크롤러; 및
    상기 데이터 크롤러에서 제공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소장품 가치평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벤토리부는
    각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자산가치가 평가된 소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소장품 관리모듈;
    각각의 소장품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 판매 및 자산가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소장품 이력모듈;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하여, 소장품의 세부 정보로서 소장품의 카테고리 정보, 소장품 이미지 정보, 구매 일자, 판매 일자, 평가 일자를 제공하는 소장품 정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연동부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제공하는 SNS 연동모듈;
    연동 중인 SNS에서 사용자와 유사한 소장품 취향을 가지는 관심회원을 검색하여 추천하는 관심회원 추천모듈;
    사용자가 관심 소장품을 설정하면, 그와 연관된 SNS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심 소장품 설정 모듈; 및
    관심 소장품이 유사한 타 사용자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타 사용자와의 소모임 채널을 제공하는 관심 소장품 소모임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딩 관리부는
    사용자 간, 소장품의 판매 및 구매 채널을 제공하는 매매모듈;
    복수의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소장품에 대한 공동 구매 채널을 제공하는 공동구매 모듈; 및
    사용자의 소장품에 대한 경매 채널을 제공하는 경매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이미지 인식모듈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장품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소장품 가치평가모듈에서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소장품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여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핀테크 관리부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 소장품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되는 소장품 투자내역 정보 및 각각의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핀테크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촬상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소장품 객체를 판별하는 단계;
    외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및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소장품 객체와 연관성이 인정되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데이터 크롤러에서 제공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품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핀테크 관리부는
    소장품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여 설정된 개인별 총 자산 상태 및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소장품 각각에 대한 자산 가치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자산 관리모듈;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 내역과 소장품에 대한 매매 수량 변동 내역을 기초로 소장품에 대한 시세추이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시세추이 예측모듈;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장품의 구매시의 구매 가치와 현재 가치를 비교하여 소장품 투자내역을 계산하는 투자내역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세추이 예측모듈은 과거 일정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소장품의 자산가치 변동내역을 기준으로 기초 시세를 설정하고, 해당 소장품에 대한 판매 수량 대비 구매 수량의 비율 변동 내역을 반영하여 최종 시세 추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KR1020200156840A 2020-11-20 2020-11-20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2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840A KR102320097B1 (ko) 2020-11-20 2020-11-20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840A KR102320097B1 (ko) 2020-11-20 2020-11-20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097B1 true KR102320097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840A KR102320097B1 (ko) 2020-11-20 2020-11-20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777B1 (ko) * 2022-07-05 2022-10-18 주식회사 썸띵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굿즈 쇼핑몰 제공 시스템
KR102455780B1 (ko) * 2022-07-05 2022-10-18 주식회사 썸띵코퍼레이션 스마트 굿즈 패키지 구성 시스템
KR102467432B1 (ko) 2022-04-01 2022-11-16 주식회사 케이알피스인포텍 실물 자산 가치 산정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80B1 (ko) * 2016-12-13 2017-12-26 강형구 소셜 클럽 추천 시스템
KR102005734B1 (ko) * 2018-07-31 2019-07-31 (주)굿레이트 머신 러닝 기반 유형자산 정량 평가 결과가 반영된 종합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18893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티켓소켓코리아 자산의 토큰화를 통한 당사자간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525B1 (ko) 2020-04-06 2020-07-24 양윤옥 키오스크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280B1 (ko) * 2016-12-13 2017-12-26 강형구 소셜 클럽 추천 시스템
KR102005734B1 (ko) * 2018-07-31 2019-07-31 (주)굿레이트 머신 러닝 기반 유형자산 정량 평가 결과가 반영된 종합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18893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티켓소켓코리아 자산의 토큰화를 통한 당사자간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525B1 (ko) 2020-04-06 2020-07-24 양윤옥 키오스크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432B1 (ko) 2022-04-01 2022-11-16 주식회사 케이알피스인포텍 실물 자산 가치 산정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55777B1 (ko) * 2022-07-05 2022-10-18 주식회사 썸띵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굿즈 쇼핑몰 제공 시스템
KR102455780B1 (ko) * 2022-07-05 2022-10-18 주식회사 썸띵코퍼레이션 스마트 굿즈 패키지 구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6961B2 (en) Determining pricing information from merchant data
US1166356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ayment interface services using a payment platform
KR102320097B1 (ko) 소장품 자산화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Venkatesan et al. Optimal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ing Bayesian decision theory: An application for customer selection
US10007945B2 (en) Searching for goods and services based on keywords and proximity
US8548930B2 (en) Institutional provided data share platform
Park et al. Eliciting preference for complex products: A web-based upgrading method
Aremu et al. The empirical evidence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n firm’s performance among medium-sized enterprises
US20080270248A1 (en) System and device for social shopping on-line
US20150081467A1 (en) User-driven reverse auctions systems and methods
US20200051112A1 (en) Determining pre-selections for enrolling in equity rewards based on purchase behavior
Schlereth et al. Measuring consumers' preferences for metered pricing of services
US2013020470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marketing targeted products to users of social media
US201503795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buyers and sellers
JP2023546849A (ja) 通貨市場において証券を予想、推奨、および売買するための機械学習
US202101506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ation of reviews
Achimba et al. Innovation in banking industry: Achieving customer satisfaction
KR20190116833A (ko) 영업공간 매칭 서버 및 매칭방법
US20150100386A1 (en) Digital framework for business model innovation
KR20190056075A (ko)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40222563A1 (en) Solutions For Hedging Against Foreign-Exchange Currency Risk
US111889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behavior data using semi-parametric or non-parametric models
KR102538221B1 (ko) Nft를 이용한 기업맞춤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161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transaction information
JP20200426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