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51B1 - 전선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51B1
KR102319551B1 KR1020190111613A KR20190111613A KR102319551B1 KR 102319551 B1 KR102319551 B1 KR 102319551B1 KR 1020190111613 A KR1020190111613 A KR 1020190111613A KR 20190111613 A KR20190111613 A KR 20190111613A KR 102319551 B1 KR102319551 B1 KR 10231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
connector
main bod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543A (ko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원 filed Critical 최재원
Priority to KR102019011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식별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엘이디를 발광시켜 전선을 구분하므로 전선의 어느 지점에서도 상기 전선을 용이하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으며, 전선에 부착되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별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를 발광시킴으로 장치의 최소화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고, 연성회로기판 상에 엘이디를 설치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 및 엘이디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라미네이팅 필름을 붙여 본체부를 형성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선의 외면에 본체부를 결합시켜 용이하게 전선의 외측에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식별장치{Apparatus for indentifying wire}
본 발명은 전선 식별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엘이디를 발광시켜 전선을 구분하므로 전선의 어느 지점에서도 상기 전선을 용이하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으며, 전선에 부착되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를 별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상기 전원인가장치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를 발광시킴으로 장치의 최소화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고, 연성회로기판 상에 엘이디를 설치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 및 엘이디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라미네이팅 필름을 붙여 본체부를 형성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선의 외면에 본체부를 결합시켜 용이하게 전선의 외측에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에 대한 것이다.
건물, 지하 등에서는 전력, 신호 등을 보내는 전선이 여러 개 설치되는데, 각 전선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전선마다 그 기능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태크, 라벨 등을 붙여 개별적으로 전선을 구분하여 식별하고 있다.
하지만, 라벨 등을 붙여 전선을 식별하는 방법은 라벨이 회손되는 경우나, 전선의 중간 지점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전선인지 식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하기 특허문헌처럼 무선 통신을 통해 케이블의 전원단과 부하단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부하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전원단에 연결된 케이블의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제10-2015-0062462호(2015. 06. 08. 공개) "케이블 확인 장치"
하지만, 상기 케이블 확인 장치는 전원단과 부하단의 전류값을 비교하므로, 그 판단 과정이 복잡하고, 전선의 중간 부분에서 수리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엘이디를 발광시켜 전선을 구분하므로, 전선의 어느 지점에서도 상기 전선을 용이하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에 부착되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를 별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상기 전원인가장치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를 발광시킴으로, 장치의 최소화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상에 엘이디를 설치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 및 엘이디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라미네이팅 필름을 붙여 본체부를 형성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선의 외면에 본체부를 결합시켜 용이하게 전선의 외측에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인가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수리 교체를 원하는 전선의 임의의 지점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선을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인가장치가 연결되는 케넥터부는 복수 개의 커넥터모듈을 포함하고, 각 커넥터모듈에 전원인가장치가 연결시 서로 다른 구간의 위치하는 엘이디가 발광되도록 설정되어, 필요한 구간만 엘이디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마다 발광되는 색상이 다르도록 기설정되어, 용이하게 전선을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본체부의 복수 개가 전선의 외측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본체부에 전원인가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은 본체부는 타 본체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타 본체부의 엘이디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선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는 전선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별개로 형성되며,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는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전선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선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원인가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를 작동시키는 회로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엘이디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엘이디가 설치된 회로기판의 상면을 커버하여 방수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엘이디를 설치한 후, 라미네이트 보호 필름을 입혀 보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선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원인가장치로부터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시, 상기 전원인가장치의 리드선이 상기 보호층을 파고들어 상기 커넥터에 접촉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전원인가장치가 연결되어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사용자는 수리 및 교체를 원하는 전선의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일 전선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낵터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커넥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전원이 공급된 커넥터모듈을 특정하는 커넥터확인모듈과, 상기 커넥터확인모듈에서 특정된 커넥터모듈 정보와 기 설정된 구간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전원을 공급하여야 할 전선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확인모듈과, 상기 구간확인모듈이 전원을 공급하여야할 전선 구간을 특정한 후, 기 설정된 기능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된 전선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고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특정 커넥터모듈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선의 특정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에만 전원을 공급한다는 구간 설정 정보가 저장된 구간정보모듈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선은 특정 색상이 발광되어야 한다는 기능 설정 정보가 저장된 기능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낟.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원을 무선 전력 송신 방법으로 타 본체부에 전송하는 무선전력송신부와, 타 본체부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방법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는 무선전력수신부와, 상기 커넥터 또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일부의 전원은 엘이디를 작동시키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전원은 무선전력송신부를 작동시켜 타 본체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본체부에 전원인가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은 본체부는 타 본체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타 본체부의 엘이디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엘이디를 발광시켜 전선을 구분하므로, 전선의 어느 지점에서도 상기 전선을 용이하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에 부착되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를 별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상기 전원인가장치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를 발광시킴으로, 장치의 최소화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상에 엘이디를 설치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 및 엘이디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라미네이팅 필름을 붙여 본체부를 형성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선의 외면에 본체부를 결합시켜 용이하게 전선의 외측에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인가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수리 교체를 원하는 전선의 임의의 지점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선을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인가장치가 연결되는 케넥터부는 복수 개의 커넥터모듈을 포함하고, 각 커넥터모듈에 전원인가장치가 연결시 서로 다른 구간의 위치하는 엘이디가 발광되도록 설정되어, 필요한 구간만 엘이디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마다 발광되는 색상이 다르도록 기설정되어, 용이하게 전선을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본체부의 복수 개가 전선의 외측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본체부에 전원인가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은 본체부는 타 본체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타 본체부의 엘이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선 식별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의 블럭도.
이하에서는 전선 식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본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선 식별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에 사용되는 본체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를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선 식별장치는 전선(10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와 별개로 형성되며,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부(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은 전력, 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류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예컨대 통신선, 전력선, 랜선, 케이블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는 전선(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별개로 존재하는 전원인가장치(2)로부터 일시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12)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회로기판(11), 엘이디(12), 보호층(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11)은 상기 전선(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전원인가장치(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12)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기판(11)에는 전원인가장치(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111)와, 상기 커넥터(111)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엘이디(12)에 공급하여 엘이디(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제어부, 112)와, 상기 제어회로(112)의 작동을 위한 설정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13)와, 상기 제어회로(112)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12)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11)은 종래의 연성회로기판(FPCB)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FPCB)은 2 내지 3mm의 폭을 가지고 0.3 내지 0.6mm의 두께를 가지며, 전선(100)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1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엘이디(12)를 설치한 후,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보호 필름을 입혀 본체부(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1)의 하면에 접착제를 발라 상기 본체부(1)는 전선(100)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가 길며 폭과 두께가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굴곡지면 유연성을 가지는 전선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111)는 전원인가장치(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회로기판(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커넥터(11)에서 전원인가장치(1)가 연결되어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엘이디(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회로기판(11)에 설치되어(즉,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전선의 외측에 위치함),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상기 엘이디(12)는 0.8 내지 1.9mm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0.2 내지 0.6mm의 두께를 가지는 종래의 칩 사이즈 패키지(Chip size package)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CSP LED를 일정 간격을 두고 FPCB 위에 flip chip 형태로 본딩하여, 엘이디(12)를 회로기판(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은 엘이디(12) 등이 설치된 회로기판(11)의 상면을 커버하여 방수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호층(13)은 커넥터(111), 제어회로(112), 메모리(113) 및 엘이디(12) 등이 설치된 회로기판(11) 상면에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보호 필름을 입혀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호층(13)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입형성되어 커넥터(111)와 연통되는 연통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인가장치(2)이 리드선(22)의 말단이 바늘 형태의 팁을 가져, 상기 전원인가장치(2)로부터 상기 본체부(1)에 전원을 공급시, 상기 리드선(22)이 상기 보호층(13)을 파고들어 상기 커넥터(111)에 접촉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층(13)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입형성되어 커넥터(111)와 연통되는 연통홈(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인가장치(2)의 리드선(22)이 연통홈을 통과해 커넥터(111)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인가장치(2)는 상기 본체부(1)와 별개로 형성되며,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부(1)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배터리(21)와, 상기 커넥터(111)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선(22)과, 사용자의 작동지시(예컨대, 작동 스위치 온 등)에 따라 배터리(21)에 저장된 전원을 리드선(22)을 통해 공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23)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선 식별장치를 사용하여 전선을 구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원인가장치(2)의 리드선(22)을 본체부(1)의 커넥터(111)에 접촉시키고, 전원인가장치(2)를 작동시키면 상기 전원인가장치(1)로부터 커넥터(111)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회로(112)는 엘이디(12)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여 엘이디(12)는 발광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12)는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위치하므로, 빛이 발산되는 전선은 동일한 전선이라고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1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회로기판(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커넥터(11)에서 전원인가장치(1)가 연결되어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리, 교체를 원하는 전선의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일 전선을 식별할 수 있어, 편리성이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식별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선 식별장치는 본체부(1), 전원인가장치(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 식별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선 식별장치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 추가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되는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낵터(111)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커넥터모듈(111a)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2)는 전원이 공급된 커넥터모듈(111a)을 특정하는 커넥터확인모듈(112a)과, 상기 커넥터확인모듈(112a)에서 특정된 커넥터모듈(111a)과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된 구간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전원을 공급하여야 할 전선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확인모듈(112b)과, 상기 구간확인모듈(112b)이 전원을 공급하여야할 전선 구간을 특정한 후,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된 기능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된 전선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12)에 전원을 공급하고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112c)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13)는 특정 커넥터모듈(111a)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선의 특정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12)에만 전원을 공급한다는 구간 설정 정보가 저장된 구간정보모듈(113a)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선은 특정 색상이 발광되어야 한다는 기능 설정 정보가 저장된 기능정보모듈(113b)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커넥터는 3개의 커넥터모듈(111a)을 가지고, 첫번째 커넥터모듈(111a)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선의 전단에서 말단까지의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12)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두번째 커넥터모듈(111a)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선의 전단에서 중간까지의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12)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세번째 커넥터모듈(111a)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선의 중간에서 말단까지의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12)들에 전원을 공급한다는 구간 설정 정보가 구간정보모듈(113a)에 저장되고, 상기 본체부(1)가 부착되는 전선은 통신선으로 붉은색의 빛을 조사하여야 한다는 정보가 기능정보모듈(113b)에 저장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전원공급장치(2)의 리드선(22)을 두번째 커넥터모듈(111a)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한 경우, 상기 제어부(112)는 전선의 전단에서 중간까지의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12)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붉은색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인가장치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선의 외면에 결합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와 별개로 형성되며,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부(1)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 식별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선 식별장치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 추가되고, 본체부(1)가 전선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는 차이만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되는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11)에는 전원을 무선 전력 송신 방법으로 타 본체부에 전송하는 무선전력송신부(114)와, 타 본체부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방법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는 무선전력수신부(115)를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12)는 커넥터(111) 또는 무선전력수신부(115)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일부의 전원은 엘이디(12)를 작동시키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전원은 무선전력송신부(114)를 작동시켜 타 본체부(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본체부에 전원인가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은 본체부는 타 본체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타 본체부의 엘이디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부 2: 전원인가장치 11: 회로기판
12: 엘이디 13: 보호층 111: 커넥터
112: 제어부 113: 메모리 21: 배터리
22: 리드선 23: 제어부 111a: 커넥터모듈
112a: 커넥터확인모듈 112b: 구간확인모듈 112c: 발광제어모듈
113a: 구간정보모듈 113b: 기능정보모듈

Claims (8)

  1. 전선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별개로 형성되며,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와, 상기 전선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전원인가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를 작동시키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을 커버하여 방수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전선에 부착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전원인가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엘이디에 공급하여 엘이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위한 설정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가 결합되고, 상기 엘이디는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위치하며, 상기 전원인가장치로부터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시, 상기 전원인가장치의 리드선이 상기 보호층을 파고들어 상기 커넥터에 접촉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전원인가장치가 연결되어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사용자는 수리 및 교체를 원하는 전선의 임의의 지점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선을 구분 및 식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커넥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특정 커넥터모듈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선의 특정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들에만 전원을 공급한다는 구간 설정 정보가 저장된 구간정보모듈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선은 특정 색상이 발광되어야 한다는 기능 설정 정보가 저장된 기능정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된 커넥터모듈을 특정하는 커넥터확인모듈과, 상기 커넥터확인모듈에서 특정된 커넥터모듈 정보와 상기 구간정보모듈에 저장된 구간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전원을 공급하여야 할 전선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확인모듈과, 상기 구간확인모듈이 전원을 공급하여야할 전선 구간을 특정한 후, 상기 기능정보모듈에 저장된 기능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된 전선 구간에 위치하는 엘이디들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식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11613A 2019-09-09 2019-09-09 전선 식별장치 KR10231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13A KR102319551B1 (ko) 2019-09-09 2019-09-09 전선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13A KR102319551B1 (ko) 2019-09-09 2019-09-09 전선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543A KR20210030543A (ko) 2021-03-18
KR102319551B1 true KR102319551B1 (ko) 2021-11-02

Family

ID=7523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13A KR102319551B1 (ko) 2019-09-09 2019-09-09 전선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909A (ja) * 2001-07-18 2003-01-29 Nec Corp ケーブル接続ルート確認システム
JP2003150090A (ja) * 2001-11-16 2003-05-21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ケーブル
JP2018097912A (ja) * 2016-12-07 2018-06-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識別機能付き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909A (ja) * 2001-07-18 2003-01-29 Nec Corp ケーブル接続ルート確認システム
JP2003150090A (ja) * 2001-11-16 2003-05-21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ケーブル
JP2018097912A (ja) * 2016-12-07 2018-06-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識別機能付き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543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7577B (zh) 具有照明的通信电缆
US9115858B2 (en) Extended length flexible LED light strip system
CA2831821C (en) Illuminated stripe and illuminated stripe system
US9439299B2 (en) Low-profile outdoor lighting module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7406231B1 (en) Electroluminescent patch cable
US942537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triplight and striplight
US10098210B2 (en) Luminaire having a receiver
US20100176742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3077171A1 (ja) 可視光通信用照明器具及び同器具を用いた可視光通信システム
KR20140013280A (ko) 조명 장치
CN103775914A (zh) 照明装置
US20100117559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391422B2 (en) Light string package structure
KR102319551B1 (ko) 전선 식별장치
WO2010013716A1 (ja) 照明バンド、照明装置及びヘルメット
US20100117552A1 (en) Illumination Apparatus
JP6681592B2 (ja) 信号送信装置、信号受信装置、点灯システム及び照明器具、並びに照明システム
CN107050548B (zh) 包括发光单元的用于体外血液处理的器械
WO2003107043A3 (en) OPTOELECTRONIC ASSEMBLY COMPRISING INTEGRATED OPTICAL AND ELECTRICAL COMPONENTS
JP6886845B2 (ja) 信号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6899538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CN115734740A (zh) 照明设备
US10269780B2 (en) Device for image representation
CN110822315A (zh) 抗弯折柔性灯带
US7817059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 electric signal provided with luminous means characterizing said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