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02B1 -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02B1
KR102319102B1 KR1020180163684A KR20180163684A KR102319102B1 KR 102319102 B1 KR102319102 B1 KR 102319102B1 KR 1020180163684 A KR1020180163684 A KR 1020180163684A KR 20180163684 A KR20180163684 A KR 20180163684A KR 102319102 B1 KR102319102 B1 KR 10231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llection device
equipment
data collection
r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230A (ko
Inventor
김관형
오준철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지에스티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1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는 스마트팩토리의 ICT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설치되어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100);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각 장비 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I/O 보드(200); 수집한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대시보드(300) 및 상기 센서모듈(100), 상기 I/O 보드(200) 및 상기 대시보드(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ICT-based facility data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팩토리에 적용할 수 있는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 제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 시대를 일컬으며, 다수의 사람들을 계속해서 웹에 연결하고 비즈니스 및 조직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더 나은 자산관리를 통해 자연 환경을 재생산 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무인운송수단(무인항공기, 무인자동차), 3차원 인쇄 나노 기술과 같은 6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4차 산업혁명은 물리적, 생물학적, 디지털적 세계를 빅 데이터에 입각해서 통합시키고 경제 및 산업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기술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한국은 OECD국가들 중 GDP에서 제조업 비중이 30%를 넘는 국가이며, 제조 강국인 독일(23%), 일본(19%), 미국(12%)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하지만 제조업의 주요 시장인 중국의 경제성장이 안정기로 접어들면서 한국의 제조업은 2014년부터 꾸준히 위기론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제조산업의 경우 중국시장의 진출과 완성 업체사의 품질 관리 수준 향상 압박으로 난항을 겪는 상태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품질 신뢰성 및 안정성의 확보 문제를 제조 ICT의 융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임금을 무기로 성장한 제조 강국 중국의 가파른 임금상승률과 물류비용 증가, 기술 유출 위험성 등으로 미국, 일본, 독일은 스마트팩토리를 통한 리쇼어링(해외에 있던 생산 시설이 국내로 이동)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독일 등과 같은 제조업 선진국들은 전통 제조 공정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융합하여 생산효율 증대, 친환경, 고객 맞춤형 생산으로 장기적인 경기침체, 노동 원가 및 원자재 가격 성장 한계에 봉착한 자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국내 제조업은 제조업30%의 법칙에 따라 점점 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하락세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ICT)융합을 기반으로 I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이 절실할 것으로 보인다.
KR 10-1805423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장비에 이상이 발생할 시 빠르게 인지하여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유지보수를 가능하도록 하는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는 스마트팩토리의 ICT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설치되어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100);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각 장비 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I/O 보드(200); 수집한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대시보드(300) 및 상기 센서모듈(100), 상기 I/O 보드(200) 및 상기 대시보드(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의 멀티센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다양한 제조장비의 설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상 발생 시 대처를 빠르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 4차 산업혁명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가 속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I/O 보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RBAC의 처리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는 다수의 양태 및 실시양태가 기술되며, 이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는 다른 양태 및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양태의 상세 사항을 다루기 전에, 몇몇 용어를 정의하거나 또는 명확히 하기로 한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란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스마트팩토리란 기획·설계, 생산, 유통·판매 등 기업활동 전과정을 ICT로 통합, 최소 비용·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의미한다.
GPIO란 General-purpose input/output의 약자로, 입력Port 로도 사용가능하고 출력 Port로도 사용가능한 Port로서 pinMode()로 입력 또는 출력으로 설정한 후 digitalRead()함수 또는 digitalWrite()함수로 입력이나 출력을 하는 핀을 의미한다.
RBAC(Role-Based Access Control)는 역할 기반 접근 제어라고하며, 사용자의 조직에서의 역할을 기반으로 접근 권한을 특정 사용자가 아닌 해당 역할을 가진 사용자 그룹에게 부여하는 방식이다.
포그 컴퓨팅은 데이터가 생성된 곳에서부터 저장하는 곳으로 처리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은 기존의 낡은 기술이나 방법론,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을 말한다.
도 1은 제 4차 산업혁명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가 속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 실시 예를 보여주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I/O 보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RBAC의 처리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는 스마트팩토리의 ICT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설치되어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100);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각 장비 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I/O 보드(200); 수집한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대시보드(300) 및 상기 센서모듈(100), 상기 I/O 보드(200) 및 상기 대시보드(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00)은 온도, 습도, 장비의 정상동작여부, 전력소모량, 진동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00)은 상기 설비데이터를 수집할 때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노이즈캔슬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는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클라우드형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포그(Fog) 컴퓨팅 장치, 기존의 러거시시스템과 연동되도록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ERP, MES/POP, SCM, PMS, QMS, GROUPWARE 및 임베디드 시스템을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및 E-Buisness 솔루션으로, 종래의 기술은 모듈방식으로 제작되어 모듈 자체는 신뢰성이 있을 수 있으나 설비와 연결되었을 때의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는 단점을 보완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핵심장비인 ICT 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개선하여 적용하고자 하였고, 본 발명을 통해 제조업체의 각기 다른 생산품에 따른 공정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범용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ERP/MES와 연동하고자 할 수 있다. 또한, 제조설비가 보내는 아날로그데이터(온도, 습도 등)와 디지털 데이터(카운터, 개폐 등)에 대한 수집, 관리를 지원하며 ERP/MES와 연동을 통하여 생산계획/작업지시/실적입력/불량등록 등 공정 전반의 작업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1인당 생산성을 늘리기 위해 설비고장 비가동을 최소화하여 일 생산목표 달성, 설비고장 유형 분석으로 발생빈도 및 중요 부품의 수명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금형관리를 전산화하여 수명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파손이 생길 경우 파손원인 분석 및 개선으로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측정 및 분석을 통해 공정능력을 안정화하여, 공정불량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설비/금형/공정정보의 자동집계, 생산저해요인 분석 및 개선으로 가동을 향상, 설비 데이터 집계장치를 더 포함하여 실시간 설비 가동률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정의 및 패턴분석을 통한 기반지식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오픈소스 하드웨어 설계 및 활용을 통하여 설비데이터 계측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기존 시스템간의 연동을 위해 레거시시스템 연동부를 가질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통해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 장치는 멀티센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각 제조장비 별 통신 지원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통신 방안을 통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또한, 각 제조장비 별 접속,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기 위한 I/O Board로 이루어지며, (제조현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온도, 습도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카운터, 개폐여부 등의 디지털 데이터로 구성됨)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I/O Board의 경우 아날로그 입력포트가 2~4 포트로 한정되어 있으며, 디지털 입력포트만 지원되는 경우도 많음으므로 다양한 제조장비를 분석하여 가장 경제적인 디지털 입력포트와 아날로그 입력포트의 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조장비는 출력 값이 불안정하거나 튀는 값이 발생하는 등 많은 원인에서 비롯한 노이즈가 발생하므로, 노이즈 캔슬링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갑작스러운 고전압 등의 전류신호가 발생 가능하므로 이러한 전류신호로부터 회로 및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회로를 적용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I/O 보드(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GPIO를 활용하여 스마트팩토리의 설비와 데이터 교환을 하도록 HW/SW 인터페이스 모듈을 적용한다. 또한, 설비와 데이터 교환을 할 때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등 최근의 오픈소스 하드웨어 계열의 제품들은 GPIO 핀을 통하여 데이터 입, 출력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도 오픈소스 하드웨어의 GPIO를 기반으로하여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데이터 분석 및 처리를 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 분석 및 처리 시스템은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구현하며, Open Source H/W를 통해 디바이스의 기반이 되는 범용 모듈에 사전 정의된 규칙을 프로그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데이터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때, 사전 정의된 규칙은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등의 종래 기술을 활용하여 각 데이터에 따른 제어 및 접근 규칙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엑츄에이터(Actuator)에 대한 신호 전송 모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수집된 데이터 및 처리된 내용은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지만, 기본적인 작업지시, 생산실적 등록 등의 작업 진행과 수집되는 데이터에서 반드시 실시간 확인해야 하는 데이터의 경우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용한다. 스마트팩토리의 제조 설비에서 허용된 명령 입력 방식이 있는 경우 해당 명령을 제조 설비에 전달할 수 있도록 신호 전송 모듈을 설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데이터 및 신호 전송 모듈을 통하여 서버의 DB에 저장할 수 있도록 IP, URL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센서모듈
200 : I/O 보드
300 : 대시보드
400 : 콘트롤러

Claims (3)

  1. 스마트팩토리의 ICT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설치되어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100);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각 장비 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I/O 보드(200);
    수집한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대시보드(300) 및
    상기 센서모듈(100), 상기 I/O 보드(200) 및 상기 대시보드(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400);
    상기 설비데이터 수집장치의 데이터 및 신호 전송 모듈을 통하여 서버의 DB에 저장하는 IP 및 URL을 지원하는 전송 모듈;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는 방법은 역할 기반 접근 제어방식으로 제어하며, 역할을 기반으로 접근 권한을 해당 역할을 가진 사용자 그룹에게 부여하며, 오픈 소스 하드웨어를 통해 범용 모듈에 데이터 분석 및 처리하는 방법을 사전 정의된 방법으로 프로그램하여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의 데이터를 제어,데이터 분석 및 처리하며,
    상기 설비데이터 분석 및 처리 시스템의 상기 사전 정의된 방법은 RBAC 기술을 활용하여 각 데이터에 따른 제어 및 접근 규칙을 정하고,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처리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구조는 주제(Subject)와 세션(session)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처리되며, 상기 주제(Subject)는 사용자와 역할 제약사상(User/Role constraint)에 의하여 사용자가 할당(User assignment)되며, 상기 세션(session)은 역할 활성화 제약사항(Role Activation Constraint)에 의하여 역할이 할당되며, 상기 역할(Role)은 역할 계층를 정하여(Role hierarchy) 수행하며,
    상기 센서모듈(100)은 온도, 습도, 장비의 정상동작여부, 전력소모량, 진동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센서모듈(100)은 상기 설비데이터를 수집할 때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노이즈캔슬링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비 데이터 수집장치는 미리 설치된 각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정의 및 패턴분석을 실시하고, 오픈소스 하드웨어에 의하여 설비데이터 계측 시스템에 적용하고, 상기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상기 설비 데이터 수집장치 간의 연동을 위해 레거시시스템 연동부를 가지며,
    상기 I/O 보드(200)는 GPIO를 이용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설비와 데이터 교환하며, 상기 설비 데이터 수집 장치는 GPIO를 이용하여 입출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63684A 2018-12-18 2018-12-18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KR10231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84A KR102319102B1 (ko) 2018-12-18 2018-12-18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84A KR102319102B1 (ko) 2018-12-18 2018-12-18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230A KR20200075230A (ko) 2020-06-26
KR102319102B1 true KR102319102B1 (ko) 2021-10-29

Family

ID=7113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684A KR102319102B1 (ko) 2018-12-18 2018-12-18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1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74Y1 (ko) * 1992-02-22 1994-06-09 이헌조 절대 습도 감지장치의 노이즈 제거회로
US7882539B2 (en) * 2006-06-02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Abstracting security policy from, and transforming to, native representations of access check mechanisms
KR20180027176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IoT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관리 시스템
KR101805423B1 (ko) 2017-04-27 2017-12-06 (주)대성에스이 스마트 팩토리에 적용되는 ict 기반의 무인반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230A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3563B2 (en) Integrated and scalable architecture for accessing and delivering data
US11477083B2 (en) Industrial internet connected control system
JP7392245B2 (ja) オーケストレーション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非一時的機械可読記憶媒体、および、方法
US11470157B2 (en) Cloud gateway for industrial autom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s
CN110719210B (zh) 一种基于云边协同的工业设备预测性维护方法
Karmakar et al.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A review
CN107491045B (zh) 用于自动控制系统的可扩展分析架构
CN107491044B (zh) 用于自动控制系统的可扩展分析架构
US10139811B2 (en) Smart device for industrial automation
EP3037901B1 (en) Cloud-based emulation and modeling for automation systems
JP6982717B2 (ja) フォグコンピューティング促進型フレキシブル工場
US9253054B2 (en) Remote industrial monitoring and analytics using a cloud infrastructure
US20170284691A1 (en) Hvac device registration in a distribu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2021180B1 (ko) Opc ua 표준 상호운용성 시험 장치 및 방법
Bansal et al.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a vivid perspective
CN105264447B (zh) 带有中央计算单元的过程自动化系统
KR102319102B1 (ko)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
CN102809951A (zh) 用于基金会现场总线告警的系统和方法
KR102117960B1 (ko) 예비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고가용성 지능형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himei et al. Design of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gateway with multi-source data processing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Shakya et al. Challenges i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KR20200075228A (ko)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Gowripeddi et al. Enabling software defined networking for Industry 4.0 using OpenStack
Chakravarthi et al. Industrial IoT (IIoT) Design Method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