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26B1 -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26B1
KR102317026B1 KR1020200128208A KR20200128208A KR102317026B1 KR 102317026 B1 KR102317026 B1 KR 102317026B1 KR 1020200128208 A KR1020200128208 A KR 1020200128208A KR 20200128208 A KR20200128208 A KR 20200128208A KR 102317026 B1 KR102317026 B1 KR 10231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key
input
input items
electron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395A (ko
Inventor
김현영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177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457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71Ke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by a portabl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디바이스의 전자 키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전자 키 전송 방법은,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UI를 통해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전자 키와 함께 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 ELECTRONIC KEY AND MEMETHODS FOR ELECTRONIC FOR TRANSMITTING THE ELECTRONIC KEY AND THEREOF }
본 발명은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보다 손쉽게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가령, 사용자들은 인터넷 등을 통해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 제공 소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은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13.56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 기술을 응용해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상술한 NFC 방식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는 데이터에는 전자 키도 포함되어 있다. 전자 키는 경량이며 소형이기 때문에 휴대하기 편리하여 최근 사용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전자 키를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경우 전자 키의 보안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키에 사용 조건을 설정하여 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전자 키 전송 방법은,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상기 전자 키와 함께 상기 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 순위이며, 상기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각각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항목부터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이며, 상기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제스쳐이며, 상기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스쳐가 상기 디바이스를 흔드는 쉐이킹 모션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점진적으로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타 디바이스에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전자 키를 삭제하는 전자 키 이동을 수행하거나, 상기 전자 키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키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은, 상기 전자 키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사용 기간, 복사 가능 여부를 제한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타 디바이스에 마련된 NFC 리더로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키는, 상기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고, 상기 UI를 통해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상기 전자 키와 함께 상기 타 디바이스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 순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각각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항목부터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상기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제스쳐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제스쳐가 상기 디바이스를 흔드는 쉐이킹 모션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진적으로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디바이스에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전자 키를 삭제하는 전자 키 이동을 수행하거나, 상기 전자 키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키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은, 상기 전자 키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사용 기간, 복사 가능 여부를 제한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타 디바이스에 마련된 NFC 리더로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키는, 상기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이동하거나 복사할 때 문제될 수 있는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변경에 대한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서버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서버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전자 키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전자 키 데이터(이하, 전자 키)를 저장하고, 전자 키를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10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키란, 전자 키는 고유 코드 형태로 구현되어 타겟 디바이스(예를 들어, 현관 도어락)에 기 저장된 고유 코드와의 매칭을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즉, 타겟 디바이스(1000)에서는 고유 코드에 데이터를 기저장해 두고,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고유 코드와의 매칭을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바이스(100)에서 고유 코드에 기초한 소정의 알고리즘(예를 들어,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산 처리를 통해 2차 코드를 생성하고, 2차 코드를 인증 코드로서 타겟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타겟 디바이스(1000)에서도 동일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고유 코드에 기초한 2차 코드를 생성하고, 디바이스(100)에서 인증 코드로서 전송된 2차 코드와 내부에서 생성된 2차 코드와의 매칭 여부를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a에서는 타겟 디바이스(1000)가 도어 락 디바이스로 구현되며, 전자 키가 도어 키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키는 도어 키, 차량 키, PC 키, 락커 키, 서랍 키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키 및 이들이 통합된 유니버셜 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에서 타겟 디바이스(1000)로의 전자 키 전송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바이스(100)는 타 디바이스(200)에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소스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타 디바이스(100)가 통신 가능한 범위 이내에 위치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에 기록된 데이터를 타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즉, 타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이동, 또는 복사의 형태로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자 키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자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가 부착된 디바이스(100)와의 근거리 액세싱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액세싱이란 태깅을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및 리더가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 측으로 이동하여,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2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11)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reading)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예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NFC란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다. NFC 기술을 이용하면, 복수의 단말기가 약 10 cm 이내와 같이 근거리로 접근하였을 때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다른 예로 바코드 방식, QR 코드 방식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바이스(100)는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타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와의 통신을 위한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타 디바이스(200)에 연결하여,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전자 키를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 디바이스(200)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각종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가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경우 전자 키가 가지는 보안이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키가 가지는 보안을 확보하면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기 위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전자 키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에서는 타 디바이스(200)로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UI 화면에서는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항목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입력 항목은 먼저 디스플레이하고, 높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입력 항목은 나중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키 전송 명령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다는 점에 기초한 것이다.
한편,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전자 키는 또 다른 디바이스(미도시)로 복사가 불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또한 UI 화면을 통해 복사 여부를 설정하거나, 복사 횟수를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키는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전자 키가 디바이스(100)의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전자 키 사용 조건과 함께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미도시)는 디바이스(100) 외부의 별도 서버로 구현되거나, 디바이스(100) 내부에 구비된 임베디드(embedded)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외부 서버(미도시)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키 제공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타 디바이스(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는 서버(300)와 네트워크(1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 사이에 서버(300)가 개입되는 전자 키 제공 시스템(1000)에서는 서버(300)가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나, 서버(300)가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ⅰ) 서버(300)가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통해 입력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며, 서버(300)는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타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제공받고, 서버(300)로부터 전자 키를 제공받아 전자 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서버(300)에 저장된 전자 키에 사용 조건을 설정하여 타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각종 전자 키를 사용자 계정 또는 디바이스 계정 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유하고,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타 디바이스(200)로 다양한 전자 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대한 로그인을 통해 서버(3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 또한, 서버(300)를 통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전자 키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ⅱ) 서버(300)가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통해 입력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서버(300)에 로그인하여 인증을 수행한 상태에서 타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전자 키가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무권한자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300)는 인증을 수행한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타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자 키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 사용자의 승인을 받아 타 디바이스(200)에 전자 키 및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와 타 디바이스(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전자 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디바이스 및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입력 항목은 전자 키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사용 기간, 복사 가능 여부를 제한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은 출력 장치 이외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타 디바이스(200)와 근거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리더를 구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리더를 구비하는 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부착된 외부 디바이스과 근거리 액세스되면 그 태그 내에 기록된 정보를 리딩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무선 주파수 모듈 및 안테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는 안테나 코일을 통해 전자파를 발산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를 기준으로 전자파 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미도시)에서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전류가 유도된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내의 집적회로가 구동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전송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 내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안테나 코일을 통해서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대해 복조 및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RF 신호에 실린 데이터를 검출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까지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필요에 따라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별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해당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XML-RPC (XML Remote Procedure Call)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와 디바이스(100), 타 디바이스(200) 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 제공 방법이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조작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된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키 사용 횟수를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객체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하는 방식이 특정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디바이스(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5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다양한 UI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전자 키를 저장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전자 키는 서버(300)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관련 어플리케이션 선택,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입력 항목은 전자 키의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복사 가능 여부를 제한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항목은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차별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기준은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 디바이스(100)에 대해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의 강도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입력 항목이 활성화되는 순서는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 순위가 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우선 순위는 보안 강도의 필요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보안 강도가 높아야 하는 입력 항목은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고, 보안 강도가 낮아도 되는 입력 항목은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사-횟수 제한" 항목은 보안 강도가 낮게 설정되고, "복사-사용 시간 제한" 항목은 보안 강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우선 순위는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사용자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 또는 UI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항목부터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은 비활성화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비활성화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항목부터 점진적으로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사용자 제스쳐가 디바이스(100)를 흔드는 쉐이킹 모션인 경우,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강도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항목부터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복수의 입력 항목 중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강도에 대응되는 입력 항목 만을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입력 항목 1, 2, 3이고, 쉐이킹 강도 1에 입력 항목 1이 대응되고, 쉐이킹 강도 2에 입력 항목 1, 2가 대응되고, 쉐이킹 강도 3에 입력 항목 1, 2, 3이 대응되도록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감지된 쉐이킹 강도가 1인 경우 대응되는 입력 항목 1 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입력 항목 2, 3은 비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쉐이킹 강도 2에 해당하는 쉐이킹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입력 항목 2를 추가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점진적으로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첫번째로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의 크기를 가장 크게 디스플레이하고, 이어서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의 크기를 더 작게 디스플레이하고, 이 후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의 크기를 가장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공된 UI를 통해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전자 키와 함께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디바이스(200)에서는 수신된 전자 키 및 사용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횟수 2번의 사용 조건 정보를 갖는 경우, 타 디바이스(200)를 수신한 전자 키를 2번 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타 디바이스(200)에 전자 키 전송이 완료되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삭제하는 전자 키 이동을 수행하거나, 전자 키가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키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NFC 태깅을 통해 타 디바이스(200)에 마련된 NFC 리더로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별다른 메뉴 진입 없이 디바이스(100) 자체에 구비된 NFC 태그를 통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태그에 태깅하는 형태로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디바이스(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UI 메뉴를 통해 태킹 모드에 진입하여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진입한 상태에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원격 통신을 통해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자 메일(예를 들어, E-mail), 문자 메시지 형태로 작성하여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에 포함된 입력 항목에 대한 정보는 디바이스(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항목이 추가되거나, 기존 항목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에 포함된 입력 항목은 전자 키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키 종류에 따라 상이한 입력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 조건이 불충족되어 상기 전자 키의 사용이 제한된 경우, 상기 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 제한 사실을 수신받은 단계;
상기 사용 제한 사실이 수신되면, 상기 타 디바이스로 상기 전자 키의 재전송을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키 재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재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전송 방법.
한편, 타 디바이스(200)가 본래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를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101호에 사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A가 자신의 현관 전자 키를 102호에 사는 타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B에게 복사해 준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타 디바이스(200)에는 본래 사용자 B의 102호에 대한 현관 전자 키가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이 경우, 102호에 대한 현관 전자 키는 제1 고유 코드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속성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해당 키가 마스터 키로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101호에 대한 현관 전자 키는 제2 고유 코드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속성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해당 키가 복사 키로서 저장될 것이다. 또한, 제2 속성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가 저장되고, 제2 고유 코드 저장 영역에 저장된 101호에 대한 현관 전자 키는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에 따라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 키 사용 횟수가 2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타 디바이스(200)에서는 101호에 대한 현관 전자 키의 사용 횟수를 카운팅하여 사용 횟수가 2회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전자 키가 사용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2회 사용 후 제2 고유 코드 저장 영역에 저장된 101호에 대한 현관 전자 키를 자동으로 초기화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UI 처리부(160), 감지부(170), 오디오 처리부(180), 비디오 처리부(180), 스피커(190),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NFC 칩(121), 와이파이 칩(122), 블루투스 칩(12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
NFC 칩(121), 와이파이 칩(122), 블루투스 칩(123)은 각각 NFC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NFC 칩(121)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 밖에 통신부(120)는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NFC 칩(121)을 통해 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5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디바이스(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및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는 UI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전자 키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키 종류에 따라 다른 입력 항목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UI 처리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G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160)는 이미지, 텍스트,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UI 화면을 2D 또는 3D 형태로 처리/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UI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 디바이스(200)에 제공하기 위한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UI 화면을 구성하는 각 입력 항목의 비활성화/활성화 상태를 처리할 수 있다.
그 밖에, UI 처리부(160)는 UI 요소의 2D/3D 전환, 투명도, 색상, 크기, 형태 및 위치 조정, 하이라이트, 애니메이션 효과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 모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170)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0)는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가속도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기울어짐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7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싱값을 통해 쉐이킹 모션과 같은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0)를 통해 UI 화면 상에 제공되는 특정 버튼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버튼의 기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부(170)를 통해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세로 모드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가로 모드에 적합하도록 리스케일링 또는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리스케일링을 통해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UI 구성요소 및 그 크기, 위치 등에 관한 정보가 별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부(18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8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90)는 오디오 처리부(18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91)은 디바이스(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충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3)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한 태깅 모드 또한 음성 인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20)를 통해서 타 디바이스(200) 및 외부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RAM(151), ROM(152), 메인 CPU(153), 그래픽 처리부(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버스(156)를 포함한다.
RAM(151), ROM(152), 메인 CPU(153), 그래픽 처리부(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등은 버스(1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내지 1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5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53)는 ROM(1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5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51)에 복사하고, RAM(1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5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 장치(154)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도 4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서비스 모듈(14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모듈은 모션 인식 모듈을 통해 디바이스(100)에 대한 쉐이킹 모션과 같은 모션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렌더링 모듈(144-2)은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전자 키에 대한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4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6)은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프로그램 외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모듈(14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바이스(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2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다양한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서버(3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특히, 저장부(320)는 타 디바이스(200)에 제공될 다양한 전자 키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20)는 디바이스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된 전자 키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를 통해 로그인한 사용자 A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330)는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32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서버(300)에 저장된 전자 키에 대해 사용 조건을 설정하여 타 디바이스(200)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의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해당 계정에 저장된 전자 키를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와 함께 타 디바이스(2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는 서버(3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30)는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및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와 타 디바이스(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 서버(300)를 통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 및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디바이스(100)의 계정 또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해당 계정에 전자 키 및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해당 계정에 업로드하고, 서버(300)가 해당 계정에 업로드된 전자 키 및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된 전자 키가 타 디바이스(200)에서 사용되는 경우, 타 디바이스(200)로부터 해당 사용 내용 정보를 수신하여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 내용 정보에는 전자 키 사용 시간, 사용 장소, 사용 누적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디바이스(100)와 타 디바이스(2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에서 타 디바이스(200)로의 전자 키 전송은 서버(300)의 인증이 있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20)의 구동을 통해 전자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20)을 구동한 후, 또는 구동하기 전에 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되면, 타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는 "복사/횟수 제한", "복사/사용 시간 제한", "복사/사용 기간 제한", "복사 가능한 키 복사" 및 "키 이동" 과 같은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항목은 한 번에 활성화되는 것이 아니고,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은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 시간,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의 강도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제스쳐가 디바이스를 흔드는 쉐이킹 모션인 경우,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강도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되는 순서는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입력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 순위가 활성화되는 순서가 될 수 있으며,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입력 항목일수록 먼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먼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복사/횟수 제한" 항목은 전자 키 복사의 경우 이용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며, "2번"으로 설정한 경우 타 디바이스(200)에서는 복사된 전자 키를 2번 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사용 시간 제한" 및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82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복사/사용 시간 제한" 항목은 전자 키 복사의 경우 이용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며, 타 디바이스(200)에서는 설정된 시간에만 복사된 전자 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은 전자 키 복사의 경우 이용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며, 타 디바이스(200)에서는 설정된 기간에만 복사된 전자 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기간이 만료되면 복사된 전자 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 가능한 키 복사" 및 "키 이동" 항목(830, 84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복사 가능한 키 복사" 항목은 상술한 복사 항목(810, 820)에 따라 조건이 설정된 전자 키에 대한 복사를 수행하기 위한 항목이며, 키 이동(840) 항목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이동하기 위한 항목이다. 여기서, 이동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가 삭제된다는 점에서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가 유지되는 복사와 구별될 수 있다.
즉, 각 입력 항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차별화되어 활성화도록 함으로써 전자 키 복사 또는 이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입력 항목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강도가 높아야 하는 입력 항목에 대해서는 시인성 및/또는 접근성을 낮추어 보안 강도가 낮아야 하는 입력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기능 선택이 용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먼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만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된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사용 시간 제한" 및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820)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입력 항목들은 도 9(a)에서 활성화된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 가능한 키 복사" 및 "키 이동" 항목(830, 840)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입력 항목들은 도 9(b)에서 활성화된 "복사/사용 시간 제한" 및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820)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입력 항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시인성 및/또는 접근성이 차별화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처음에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 후, 해당 항목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해당 입력 항목의 크기가 축소되어 활성화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처음에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각 입력 항목의 크기가 서로 다른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처음에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모든 입력 항목이 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되, 각 입력 항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이 차별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차별화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은 UI 화면 디스플레이 후, 경과된 시간이 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전자 키를 디바이스(100)에서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입력 항목 만이 활성화된 상태의 UI 화면이 제공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먼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어서, 기설정된 단위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사용 시간 제한" 및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82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어서, 기설정된 단위 시간(예를 들어, 5초)이 또 경과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 가능한 키 복사" 및 "키 이동" 항목(830, 84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전자 키의 이동 또는 복사가 바로 수행되는 입력 항목(830, 840)의 경우, 시간적으로 천천히 활성화되도록 하여 전자 키 복사 또는 이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입력 항목이 차례로 활성화되는 단위 시간이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단위 시간 또한 차별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화면에서 5초 시간 경과 후 도 10(b)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다음 입력 항목이 활성화되고, 이 후 10초 시간 경과 후, 즉 UI 화면 디스플레이 후 15초 경과 시점에 도 10(c)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그 다음 입력 항목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차별화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모션의 강도가 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전자 키를 디바이스(100)에서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두 디바이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이 모두 비활성화된 상태의 UI 화면이 제공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모션, 예를 들어, 쉐이킹 모션이 입력되면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쉐이킹 모션의 강도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킹 모션의 강도가 기설정된 제1 레벨 이하인 경우,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킹 모션의 강도가 기설정된 제1 레벨 이상인 경우,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및 그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사용 시간 제한" 및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820)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쉐이킹 모션의 강도가 제1 레벨보다 높은 기설정된 제2 레벨 이상인 경우, UI 화면에 포함된 모든 입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일부 항목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사용자 모션의 강도에 따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이 활성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항목 중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복사/횟수 제한" 항목(810) 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쉐이킹 모션이 입력되면, 입력된 쉐이킹 모션의 강도에 대응되는 "복사/사용 시간 제한" 및 "복사/사용 기간 제한" 항목(82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입력된 사용자 모션에 따라 일부 입력 항목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사용자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이 추가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입력 항목 중 일부 입력 항목이 활성화된 상태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사용자 모션이 입력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본적으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도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인증 디바이스(또는 서버)(400-1, 400-2, 400-3)를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가 인증 디바이스(400-1, 400-2, 400-3)와 연결된 상태에서만 전자 키 이동 및/또는 복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가 인증 디바이스(400-1, 400-2, 400-3)의 연결에 NFC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인증 디바이스(400-1, 400-2, 400-3)는 NFC 리더를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전자 키를 디바이스(100)에서 타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현관 문 등에 구비된 별도의 인증 디바이스(400-1)를 통해 인증이 수행된 경우에만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40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키 전송에 대한 인증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문에 구비된 도어락(400-2) 자체가 인증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문에 구비된 디바이스(400-3)가 차량 키 복사 또는 이동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인증 디바이스(400-1, 400-2, 400-3)가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증 디바이스(400-1, 400-2, 400-3)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미도시)가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AP에 접속된 경우에만 전자 키 이동 및/또는 복사가 수행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키 변경에 대한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키에 지문/제스처 등의 추가 정보가 결합된 경우, 인증 디바이스를 통해 전자 키에 결합된 추가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키에 사용자 A의 지문이 결합되어 현관 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전자 키에 결합된 사용자 A의 지문을 사용자 B의 지문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인증 디바이스(500)(예를 들어, 현관 키가 이용되는 현관 도어 락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전자 키에 결합된 지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기능을 전자 키와 결합된 추가 정보 변경에 대한 인증 기능은 인증 디바이스(500)에 연동된 서버(미도시)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에 복수의 전자 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전자 키 중 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자 키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20)이 구동되면,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택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는 현관 키(1510), 자동차 키(1520), PC 키(1530) 등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전자 키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현관 키(1510) 항목을 선택하면, 타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현관 키(1510)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디바이스(100) 및 타 디바이스(200)가 근접한 상태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리션(20)이 구동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디바이스(10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20)를 구동하고, 현관 키(1510)를 선택한 후 사용 조건을 설정한 이후에 타 디바이스(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선택한 현관 키 및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이하, 디바이스 A라 함)에 저장된 전자 키가 타 디바이스(200)(이하, 디바이스 B라 함)로 복사된 경우, 디바이스 A(100)에는 전자 키 복사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 창(16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 창(1610)에 포함된 확인 버튼(1611)을 선택하여 해당 메시지 창(1610)이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바이스 B(200)에서 전자 키가 사용되는 경우, 전자 키 사용에 대한 정보가 디바이스 A(100)로 전송되어 디바이스 A(100)의 사용자에게 해당 내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B(200)로 전송된 전자 키 사용기한이 만료된 경우, 해당 전자 키의 재 전송 요청을 문의하는 메시지 창(1620)이 디바이스 B(2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A(100)로부터 기존에 전자 키를 제공받은 적이 있는 디바이스 B(2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디바이스 A(100)에 해당 전자 키의 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B(200)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 창(1620)에 포함된 "예" 버튼(1621)을 선택하는 경우, 디바이스 B(200)는 디바이스 A(100)에 기존에 전송한 전자 키의 재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A(100)에는 디바이스 B(200)로부터 전자 키 재 전송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 창(16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창(1630)에는 전자 키 재 전송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1631, 1632)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6(c)에 도시된 메시지 창(1630)에서 "예" 버튼(1631)을 선택한 경우,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재설정할지 여부는 문의하는 메시지 창(16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해당 메시지 창(1640)에서 "예" 버튼(1641)이 선택되면, 재 전송할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반면, 해당 메시지 창(1640)에서 "아니오" 버튼(1642)이 선택되면, 재 전송할 전자 키가 기존에 설정된 사용 조건 그대로 디바이스 B(2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서버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는 서버(300)가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디바이스(200)에 전자 키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S1705),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710).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UI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통해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가 입력되면(S1715),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1720). 이 경우, 제1 디바이스(100)에서는 전자 키 사용 조건 뿐만 아니라, 해당 전자 키에 대한 식별 정보까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된 전자 키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키를 검색한다(S1725). 예를 들어,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대응되는 계정 별로 대응되는 전자 키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계정에 저장된 전자 키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300)는 해당 계정에 대응되는 전자 키를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설정 정보 및 검색된 전자 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1730). 이 경우,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자 키 식별 정보를 수신할 시에 제2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 정보까지 수신하여 해당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디바이스(200)로 전자 키 사용 조건 설정 정보 및 전자 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 디바이스(100)에서는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 뿐 아니라, 서버(300)에 저장된 전자 키를 선택하기 위한 UI, 제2 디바이스(200)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서버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디바이스(300)가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디바이스(200)에 전자 키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S1805),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810).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UI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통해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가 입력되면(S1815),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 및 전자 키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1820).
이 경우,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및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S1825), 제2 디바이스(200)로 제공한다(S1830). 이에 따라 제2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전자 키를 사용 조건 정보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한 전자 키 사용이 만료된 경우(S1835), 서버(300)에 전자 키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1840).
이 경우, 서버(300)는 전자 키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고(S1845), 판단 결과에 따라 전자 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게 된다(S1850).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전자 키 재 전송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키 재 전송 여부를 판단하거나, 제1 디바이스(100)에 전자 키 재 전송 여부를 문의하여 전자 키 재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에 포함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재 설정 여부에 기초하여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재 설정하거나, 기존에 저장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그대로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에 전자 키 재전송시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재설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에 제2 디바이스(200)에 재 전송할 전자 키에 대한 사용 조건을 재설정할 것을 요청하고, 제1 디바이스(100)에서 재설정된 전자 키 사용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전자 키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전자 키 전송 방법에 따르면,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S1910),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S1920).
이어서, UI를 통해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전자 키와 함께 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930). 이 경우, 전자 키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UI를 제공하는 S1920 단계에서는,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입력 항목은, 전자 키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사용 기간, 복사 가능 여부를 제한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은,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 순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UI를 제공하는 S1920 단계에서는, 복수의 입력 항목 각각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항목부터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은,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UI를 제공하는 S1920 단계에서는,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제스쳐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UI를 제공하는 S1920 단계에서는, 사용자 제스쳐가 디바이스를 흔드는 쉐이킹 모션인 경우, 디바이스가 흔들리는 강도에 따라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점진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입력 항목이 차별적으로 활성화되는 순서는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 순위가 될 수 있다.
또한, UI를 제공하는 S1920 단계에서는, 점진적으로 활성화되는 입력 항목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키를 전송하는 S1930 단계에서는, 전자 키 전송이 완료되면 디바이스에 저장된 전자 키를 삭제하는 전자 키 이동을 수행하거나, 전자 키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키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키를 전송하는 S1930 단계에서는, NFC 태깅을 통해 타 디바이스에 마련된 NFC 리더로 전자 키 및 전자 키의 사용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는 전자 키를 타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UI를 통해 설정된 사용 조건 정보를 전자 키와 함께 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부
120: 통신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300: 서버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30: 제어부

Claims (1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전자 키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UI 상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UI 상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의 전송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을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I는,
    상기 전자 키의 복수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비활성화 상태로 포함하는 상기 제1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차별적으로 활성화하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 또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중 활성화된 입력 항목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은,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시간 및 상기 전자 키의 사용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을 전송하는 상기 외부 장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전자 키 중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자 키 및 상기 사용 조건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키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UI 상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UI 상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의 전송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을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I는,
    상기 전자 키의 복수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복수의 입력 항목을 비활성화 상태로 포함하는 상기 제1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을 차별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후 경과된 시간 또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에 대한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중 활성화된 입력 항목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을 설정하는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조건은,
    상기 전자 키의 사용 시간 및 상기 전자 키의 사용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을 전송하는 상기 외부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키 중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전자 키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조건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128208A 2019-09-24 2020-10-05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KR10231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208A KR102317026B1 (ko) 2019-09-24 2020-10-05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21A KR102164578B1 (ko) 2019-09-24 2019-09-24 전자 키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00128208A KR102317026B1 (ko) 2019-09-24 2020-10-05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721A Division KR102164578B1 (ko) 2019-09-24 2019-09-24 전자 키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95A KR20200118395A (ko) 2020-10-15
KR102317026B1 true KR102317026B1 (ko) 2021-10-25

Family

ID=728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08A KR102317026B1 (ko) 2019-09-24 2020-10-05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1381A1 (en) * 2006-12-20 2010-06-10 Olle Bliding Access control system, lock device, administr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8075423A1 (ja) * 2006-12-20 2010-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鍵貸出し方法及び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1381A1 (en) * 2006-12-20 2010-06-10 Olle Bliding Access control system, lock device, administr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95A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21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key thereof
KR10233195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AU2018421189B2 (en) Method for quickly opening application or application function, and terminal
KR10202418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373111A1 (en) Virtual key ring
US1115712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32394B1 (ko)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574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2019025923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012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KR2014004423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317026B1 (ko)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KR20150000286A (ko) 보안 환경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164578B1 (ko) 전자 키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565463A (zh) 一种短信验证码的处理方法、装置和终端
KR102269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921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