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494B1 - 실내용 생태관 - Google Patents

실내용 생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494B1
KR102316494B1 KR1020190110088A KR20190110088A KR102316494B1 KR 102316494 B1 KR102316494 B1 KR 102316494B1 KR 1020190110088 A KR1020190110088 A KR 1020190110088A KR 20190110088 A KR20190110088 A KR 20190110088A KR 102316494 B1 KR102316494 B1 KR 102316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nts
water tank
tra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933A (ko
Inventor
김현경
문창현
Original Assignee
김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경 filed Critical 김현경
Priority to KR102019011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4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생태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수중식물에서 습지식물까지 다양한 식물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를 키울 수 있는 실내용 생태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생태관은 수조수단과, 보조수조관과, 정수관과, 수량펌프와, 복수의 식물재배수단 및 열교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수단은 수조관과, 수중식물과 물고기가 서식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관에 채워진 물과, 이끼식물과 습지식물이 자랄 수 있게 상기 물이 중턱에 오도록 상기 수조관 내부에 경사져서 수용된 토양과, 상기 수조관에서 서식하는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제1광원부와, 상기 토양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물을 상기 토양의 상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물을 상기 공급관에 공급시키기 위한 제1공급펌프와, 상기 물의 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기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수조관은 상기 수조관과 연통된다. 상기 수량펌프는 상기 수압측정기에 측정된 물의 수압이 일정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정수관의 물을 상기 보조수조관으로 보낸다. 상기 복수의 식물재배수단은 하우징과,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흙이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제2광원부와,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제1팬과,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이 내뿜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팬과, 상기 수조수단의 물을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와, 상기 트레이의 흙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정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수단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수조관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켜 대기의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Description

실내용 생태관{Eco fraim for indoor}
본 발명은 실내용 생태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수중식물에서 습지식물까지 다양한 식물과 어류를 키울 수 있는 실내용 생태관에 대한 것이다.
실내의 설치되는 수족관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관상어를 키우고 수생식물을 생육할 수 있으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수족관은 관상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과 기타 유기물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지 아니하면 관상어가 폐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생식물을 키울 수 있지만, 습지식물이나 기타 다른 식물을 키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다양한 수중식물과 습지식물을 키울 수 없고 관상어를 키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 식물에 수분뿐만 아니라 양분을 주기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986795호(등록일자 2019년 05월 31일) 등록특허 제10-1727485호(등록일자 2017년 04월 11일) 등록특허 제10-1051611호(등록일자 2011년 07월 19일)
본 발명은 실내에서 수생식물, 습지식물 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을 모두 생육할 수 있으며 어류도 키울 수 있는 실내용 생태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실내용 생태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별도의 양분을 공급하지 않고서도 식물을 고르게 재배할 수 있는 실내용 생태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생태관은 수조수단과, 보조수조관과, 정수관과, 수량펌프와, 복수의 식물재배수단 및 열교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수단은 수조관과, 수중식물과 물고기가 서식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관에 채워진 물과, 이끼식물과 습지식물이 자랄 수 있게 상기 물이 중턱에 오도록 상기 수조관 내부에 경사져서 수용된 토양과, 상기 수조관에서 서식하는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제1광원부와, 상기 토양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물을 상기 토양의 상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물을 상기 공급관에 공급시키기 위한 제1공급펌프와, 상기 물의 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기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수조관은 상기 수조관과 연통된다. 상기 수량펌프는 상기 수압측정기에 측정된 물의 수압이 일정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정수관의 물을 상기 보조수조관으로 보낸다. 상기 복수의 식물재배수단은 하우징과,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흙이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제2광원부와,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제1팬과,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이 내뿜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팬과, 상기 수조수단의 물을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와, 상기 트레이의 흙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정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수단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수조관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켜 대기의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또한, 상기의 실내용 생태관은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식물재배수단은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일정한 값보다 낮으면 습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상기 식물에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기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실내용 생태관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트레이에서 키우는 각각의 식물에 개별적으로 광을 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식물재배수단은 상기 식물을 생육상태를 파악하는 비전시스템을 더 구비하며, 상기 비전시스템에서 생육상태가 부족한 식물에 상기 제2광원부로 광을 보내다.
또한, 상기의 실내용 생태관에 있어서, 상기 수조수단은 상기 수조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측정기와, 상기 수조관의 물의 온도가 일정한 값보다 작을 경우 가열시킬 수 있는 수온히팅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실내용 생태관은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센서와, 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값이 일정한 값보다 높으면 상기 트레이에서 자라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광원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실내의 온도가 일정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물공급부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관에서 키우는 물고기의 배설물로 인하여 수조관의 물에 유기물이 포함되므로 별도의 양분의 공급없이 수조관의 물을 식물재배수단에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관에서 이끼식물, 습지식물, 수생식물과 어류를 키울 수 있으며, 식물재배수단에서 토양 식물을 키울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재배수단의 물분사기와, 열교환수단을 사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전시스템과, 제2광원부를 사용하여 트레이에 재배되는 식물을 고르게 성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관의 수온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온도가 하강하더라도 수조관의 물을 식물재배수단에 공급함으로 인하여 식물재배수단에서 자라는 식물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생태관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생태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생태관은 수조수단(10)과, 보조수조관(30)과, 정수관(32)과, 수량펌프(34)와, 복수의 식물재배수단(40)과, 열교환수단(60)과, 습도센서(62)와, 이산화탄소센서(64)와, 온도센서(66) 및 모니터(68)를 포함한다.
수조수단(10)은 수조관(11)과, 물(13)과, 토양(15)과, 제1광원부(17)와, 공급관(19)과, 제1공급펌프(21)와, 수압측정기(23)와, 수온측정기(25) 및 수온히팅기(27)를 구비한다. 물(13)은 수중식물(5)과 물고기(7)가 서식될 수 있도록 수조관(11)에 채워진다. 토양(15)은 이끼식물(1)과 습지식물(3)이 자랄 수 있게 물(13)이 중턱에 오도록 수조관(11) 내부에 경사져서 수용된다. 제1광원부(17)는 수조관(11)에서 서식하는 식물에 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조관(11)에 장착된다. 이때 제1광원부는 자연광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을 하기 위하여 블루, 레드, 화이트 및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공급관(19)은 토양(15)에 물이 공급되도록 수조관(11) 내부에 수용된 물(13)을 토양(15)의 상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1공급펌프(21)는 공급관(19)으로 물(13)을 공급시킨다. 제1공급펌프(21)가 동작하면 수조관(11) 내부의 물은 토양(15)의 상부에 공급되고, 토양(15)은 경사져 있으므로 토양(15)의 상부에 공급된 물(13)은 아래로 흘러내린다. 토양(15)에는 이끼식물(1)들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토양(15)의 상부에 물(13)에 공급되면 토양(15)에서 자라고 있는 이끼식물(1)들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압측정기(23)는 수조관(11) 내부에 물(13)이 충분히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물(13)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조관(11)에 장착된다. 물(13)의 수압을 측정하면 수조관(11) 내부에 물의 높이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물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온측정기(25)는 수조관(11)에 수용된 물(13)이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13)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수조관(11)에 장착된다. 수온히팅기(27)는 수조관(11) 내부의 물(13)이 일정한 온도로 내려가지 않도록 물(13)을 가열시킬 수 있게 수조관(11)에 장착된다.
보조수조관(30)은 수조관(11)과 연통된다. 그래서 보조수조관(30)과 수조관(11)의 물(13)의 높이는 동일하다.
정수관(32)은 식물재배수단(40)에서 정수된 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수량펌프(34)는 수압측정기(23)에서 측정된 수조관(11)의 수압이 낮을 경우 정수관(32)의 물을 수조관(11)으로 보낸다.
식물재배수단(40)은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을 재배한다. 이를 위하여 식물재배수단(40)은 하우징(41)과, 트레이(43)와, 제2광원부(45)와, 제1팬(47)과, 제2팬(49)과, 물공급부(51)와, 배출관(53)과, 물분사기(55)와, 비전시스템(57) 및 풍량측정기(59)를 구비한다.
트레이(43)는 토양식물(9)을 키울 수 있도록 흙이 수용되며 하우징(41)에 장착된다. 제2광원부(45)는 트레이(43)에서 자라는 식물(9)에 광을 공급한다. 제2광원부(45)도 제1광원부(17)와 동일하게 레드, 불루, 화이트 및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43)에 자라는 식물(9)은 동일한 속도로 자라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식물에 광을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광원부(17)는 각각의 식물(9)에 개별적으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리된 광원을 구비한다. 제1팬(47)은 트레이(43)에서 자라는 식물(9)에 바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우징(41)에 장착된다. 이는 식물(9)에 자연환경을 구현해주기 위함이다. 제2팬(49)은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함이다. 즉 트레이(43)에서 자라는 식물(9)이 광합성을 하여 생성한 산소를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우징(41)에 장착된다. 물공급부(51)는 수조수단(10)의 물(13)을 트레이(43)에서 자라는 식물(9)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물공급부(51)는 수조관(11)에서 트레이(43)에 수용된 흙에 물을 공급한다. 배출관(53)은 트레이(43)의 흙에서 배출되는 물을 정수관(32)에 공급한다. 트레이(43)에 공급된 물은 트레이(43)의 흙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그래서 정수관(32)에는 깨끗하게 정화된 물이 공급된다.
물분사기(55)는 실내의 습도가 낮을 경우 습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을 분사시킨다. 이때 분사되는 물은 배출관(53)을 통하여 정화된 물이 정수관(32)으로 공급될 때 이를 일부 공급받아서 분사시킬 수 있다.
비전시스템(57)은 트레이(43)에서 자라는 식물(9)의 생육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하우징(41)에 장착된다. 비전시스템(57)을 사용하여 트레이(43)에서 자라는 식물(9)의 각각의 생육상태를 파악하여 어느 한 부분의 식물(9)의 생육상태가 좋지 아니하면 제2광원부(45)를 조절하여 생육상태가 좋지 않은 식물(9)에만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모든 식물(9)을 골고루 생육시킬 수 있다. 풍량측정기(59)는 제1팬(47)에서 식물(9)에 제공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한다. 식물(9)이 많이 자라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팬(47)이 동작되면 식물(9)에 바람이 잘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식물(9)이 많이 자랄 경우에는 바람이 통과되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팬(47)에서 멀리 있는 식물(9)까지 바람이 제대로 전달되지 아니할 수 있다. 풍량측정기(59)는 제1팬(47)에서 멀리 있는 식물(9)에까지 바람이 잘 제공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1팬(47)이 제대로 동작하는데도 풍량측정기(59)에서 측정된 바람의 세기가 약하면 식물(9)이 과도하게 밀집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식물(9)의 일부를 제거할 수도 있다. 식물재배수단(40)은 복수 개가 설치되어 수조관(1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식물(9)을 키우며, 정화된 물을 정수관(32)으로 내보낸다.
열교환수단(60)은 실내의 습도가 너무 높을 경우 습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여름이나 장마철의 경우 실내의 습도가 높다. 이때에는 수조관(11)의 물의 온도가 대기 중의 온도보다 낮다. 그래서 보조수조관(30)의 물을 열교환관(60)으로 순환시키면 대기 중의 높은 온도의 공기가 보조수조관(30)의 낮은 온도의 물과 열교환하여 대기 중의 습기가 제거된다. 열교환수단(60)은 보조수조관(30)에서 물을 공급받은 후 보조수조관(30)으로 물을 순환시킨다.
습도센서(62)는 실내의 대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이산화탄소센서(64)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66)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한다.
모니터(68)는 습도센서(62)와, 온도센서(62) 및 이산화탄소센서(64)에서 측정된 실내 습도, 온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조관(11)에 물고기(7) 등 어류뿐만 아니라 수중식물(5), 습지식물(3) 및 이끼식물(1)을 키운다. 물고기(7)를 키울 경우 물고기(7)의 배설물이 분비되므로 물(13)에는 유기물이 포함되어 식물재배장치(40)에서 키우는 식물(9)의 영양분이 수조관(11)의 물(13)에 함유된다. 또한 수조관(11)의 제1광원부(17)를 작동하여 이끼식물(1) 및 습지식물(3) 등의 생장에 필요한 광원을 제공한다. 또한, 제1광원부(17)는 필요한 경우 자외선을 제공하여 살균작용을 할 수도 있다. 한편, 겨울에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서 물(13)의 수온이 내려갈 경우 수온히팅기(27)를 동작시켜 수온이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공급펌프(21)가 작동하여 토양(15)에 물(13)을 공급하면 물(13)은 토양(15)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이끼식물(1)에 수분을 공급한다.
그리고 식물재배수단(40)의 식물(9)을 재배하기 위하여 물공급부(51)가 작동하면 각각의 식물재배수단(40)의 트레이(43)의 흙에 물이 공급된다. 트레이(43)의 흙에 공급된 물은 식물(9)에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하여 트레이(43)의 흙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정수관(32)에 모아지게 된다. 이때 트레이(43)의 흙에는 토양수분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토양수분센서에서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도 물공급부(51)를 동작시켜 수조관(11)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습도센서(6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에 습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물분사기(55)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실내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습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보조수조관(30)에서 열교환수단(60)으로 물을 순환시켜서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식물재배수단(40)에도 제2광원부(4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식물(9)의 성장에 필요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식물(9)의 성장이 고르지 아니할 경우 비전시스템(57)에서 성장의 발육이 늦은 식물(9)을 파악하여 제2광원부(45)로 그 식물(9)에만 광을 제공하면 식물(9)을 고르게 성장시킬 수 있다. 이때 식물재배수단(40)에는 제1팬(4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식물(9)의 성장에 필요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으며, 풍량측정기(59)로 제1팬(47)에서 제공되는 바람이 식물(9)들에 충분히 공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식물재배수단(40)에서 식물(9)의 광합성에 의하여 산소가 발생되면 제2팬(49)을 동작시켜 실내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트레이(43)에 공급된 물은 정수관(32)에 모아진다. 수조관(11)에 설치된 수압측정기(23)에서 수조관(11)의 물이 부족하다는 신호가 파악되면 수량펌프(34)를 사용하여 정수관(32)의 물을 수조관(11)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중식물, 습지식물, 이끼식물, 토양식물을 모두 육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 등 어류도 기를 수 있다.
그리고 식물재배수단(40)에서 광합성을 하면 산소가 발생되므로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습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온히팅기(27)로 수조관(11)의 물(13)을 가열하여 식물재배수단(4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기온이 내려가더라도 식물을 생존시킬 수 있다.
1 : 이끼식물 3 : 습지식물
5 : 수중식물 7 : 물고기
9 : 토양식물 10 : 수조수단
11 : 수조관 13 : 물
15 : 토양 17 : 제1광원부
19 : 공급관 21 : 제1공급펌프
23 : 수압측정기 25 : 수온측정기
27 : 수온히팅기 30 : 보조수조관
32 : 정수관 34 : 수량펌프
40 : 식물재배수단 41 : 하우징
43 : 트레이 45 : 제2광원부
47 : 제1팬 49 : 제2팬
51 : 물공급부 53 : 배출관
55 : 물분사기 57 : 비전시스템
59 : 풍량측정기 60 : 열교환수단
62 : 습도센서 64 : 이산화탄소센서
66 : 온도센서 68 : 모니터

Claims (5)

  1. 수중식물과 물고기가 서식될 수 있도록 물이 채워지는 수조관과, 이끼식물과 습지식물이 자랄 수 있게 상기 물이 중턱에 오도록 상기 수조관 내부에 경사져서 수용된 토양과, 상기 수조관에서 서식하는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제1광원부와, 상기 토양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수조관에 채워진 물을 상기 토양의 상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물을 상기 공급관에 공급시키기 위한 제1공급펌프와, 상기 물의 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관에 채워진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기를 구비하는 수조수단과,
    상기 수조관에 채워진 물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수조관의 물이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수조관과 연통되는 보조수조관과,
    정수관과,
    상기 수압측정기에 측정된 물의 수압이 일정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정수관의 물을 상기 보조수조관으로 보내는 수량펌프와,
    하우징과,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흙이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제2광원부와,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에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제1팬과,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이 내뿜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팬과, 상기 수조수단의 물을 상기 트레이에 자라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와, 상기 트레이의 흙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정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한 복수의 식물재배수단과,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수조관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켜 대기의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생태관.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물재배수단은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일정한 값보다 낮으면 습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상기 식물에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생태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트레이에서 키우는 각각의 식물에 개별적으로 광을 보낼 수 있으며,
    상기 식물재배수단은 상기 식물을 생육상태를 파악하는 비전시스템을 더 구비하며, 상기 비전시스템에서 생육상태가 부족한 식물에 상기 제2광원부로 광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생태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수단은 상기 수조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측정기와, 상기 수조관의 물의 온도가 일정한 값보다 작을 경우 가열시킬 수 있는 수온히팅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생태관.
  5. 제4항에 있어서,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센서와, 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값이 일정한 값보다 높으면 상기 트레이에서 자라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광원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실내의 온도가 일정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물공급부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생태관.

KR1020190110088A 2019-09-05 2019-09-05 실내용 생태관 KR10231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088A KR102316494B1 (ko) 2019-09-05 2019-09-05 실내용 생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088A KR102316494B1 (ko) 2019-09-05 2019-09-05 실내용 생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33A KR20210028933A (ko) 2021-03-15
KR102316494B1 true KR102316494B1 (ko) 2021-10-22

Family

ID=7513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088A KR102316494B1 (ko) 2019-09-05 2019-09-05 실내용 생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4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207A1 (ja) * 2016-01-29 2017-08-03 興和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KR101813598B1 (ko) * 2016-12-19 2017-12-29 그린산업 주식회사 양어 연계형 채소재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8885B2 (ja) * 1991-12-05 1999-04-05 株式会社東芝 植物の育成装置
KR100933829B1 (ko) * 2008-02-21 2009-12-24 우성필 이동식 자연생태 수경공원의 시공법과 그 이동식 수경공원
KR101051611B1 (ko) 2011-03-03 2011-07-25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KR101727485B1 (ko) 2014-07-01 2017-05-02 농업회사법인 초향 (주) 자연생태환경을 이용한 식물식재 수질정화 양어장치
KR101840863B1 (ko) * 2015-12-30 2018-03-21 민정민 게르마늄 함유 미네랄에 의한 식물의 수경재배 장치
KR101986795B1 (ko) 2017-04-19 2019-06-07 이영표 친환경형 생태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207A1 (ja) * 2016-01-29 2017-08-03 興和株式会社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KR101813598B1 (ko) * 2016-12-19 2017-12-29 그린산업 주식회사 양어 연계형 채소재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33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680B2 (en) Aquaponics System
JP6760436B2 (ja)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KR102061403B1 (ko) 가정용 식물재배를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1136628B1 (ko) 공기정화가 가능한 가정용 식물공장
US20160128288A1 (en) Self-watering, self-lighting hydroponic system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20160044841A (ko) Led 식물공장 자동화시스템
JP2010279269A (ja) 野菜工場
KR101570963B1 (ko) 작물의 발아 및 육묘를 위한 하우스형 조사료 재배장치
KR101563563B1 (ko) 작물성장을 위한 최적 환경점 도출을 위한 작물재배장치
JP6460912B2 (ja) 船舶内で植物を育成する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KR20210119657A (ko) 식물을 이용한 가습 공기정화장치
KR101555540B1 (ko) 수경 재배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N105519374A (zh) 一种便于安置和观赏的盆栽管理系统
KR102316494B1 (ko) 실내용 생태관
CN112616519A (zh) 一种农业种植用培育装置
KR102449775B1 (ko) 송풍형 수경재배기
WO2018202405A1 (en) A plant growing cabinet in which turf humidity is controlled
KR102167921B1 (ko) 수직재배식 실내 공기정화장치
TWM486939U (zh) 多層矩陣立體模組霧根植物工廠裝置
Shaer et al. Relative role of stomatal and aerodynamic resistances in transpiration of a tomato crop in a CO2-enriched greenhouse
KR20170014744A (ko)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773848B1 (ko) 병충해의 확산을 방지하고 기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경 재배 시스템
KR102555542B1 (ko) 이끼생육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