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313B1 -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313B1
KR102316313B1 KR1020200007837A KR20200007837A KR102316313B1 KR 102316313 B1 KR102316313 B1 KR 102316313B1 KR 1020200007837 A KR1020200007837 A KR 1020200007837A KR 20200007837 A KR20200007837 A KR 20200007837A KR 102316313 B1 KR102316313 B1 KR 10231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unit
fine dust
range hoo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278A (ko
Inventor
김형근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3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컴퓨팅장치에 의해 주방 레인지후드(100), 보조 급기구(200) 및 열회수환기부(300)가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10)에 구비되며, 배기팬(110)을 갖는 주방 레인지후드(100); 주방(10)의 상측 또는 주방(10)과 거실(20)의 경계영역(21)의 상측에 구비된 보조 급기구(200); 거실(20)에 구비된 열회수환기부(300); 주방 열원장치(11)에 구비된 작동감지센서(410), 주방(10) 일측에 구비된 주방 먼지센서(420) 및 거실(20) 일측에 구비된 거실 먼지센서(430)을 갖는 센서모듈부(400); 및 상기 센서모듈부(400)의 센싱값을 수신하고,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및 주 급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을 방지하는 환기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using range hood and auxiliary air supply unit}
본 발명은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조리 시에는 가열로 인하여 연소반응이 일어나고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여러 가지 오염물질(CO, CO2, NOx, TVOC, HCHO 등)과 함께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열원의 가열에 의해 공기가 고온으로 되면서 부력(Bouyancy effect)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강한 상승 기류가 형성된다. 미세먼지는 이러한 상승기류를 타고 주방을 벗어나 거실 등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레인지후드의 배기팬을 가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대응이다.
그러나 레인지후드의 배기팬을 가동하더라도 강한 부력으로 인해 오염물질이 주방과 거실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 확산을 막기 위해 별도의 환기 시스템이 필요하다.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환기시스템이 이미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다만, 종래의 환기시스템의 경우, 기존에 거실에 설치된 열교환장치를 통해 급기를 하면, 주방과의 거실과의 공간적인 거리 내지 구분된 공간구조로 인해, 주방에서 발생된 미세먼지의 배기가 신속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실의 열회수환기장치를 통해 미세먼지를 배기하면, 주방에서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미세먼지가 거실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93475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주방 레인지후드가 오염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리고 주방의 미세먼지가 거실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주방과 거실 사이, 또는 주방 공간에 보조 급기구를 구비시켜 배기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둘째, 주 급기부보다 보조 급기구를 가동시켜, 보다 신속하게 주방의 미세먼지를 배출하고자 한다.
셋째, 보조 급기구로 에어커튼과 같이 하방으로 강한 기류를 형성시켜서, 주방의 미세먼지가 거실로 이동하지 못하게 차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컴퓨팅장치에 의해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및 열회수환기부가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으로서, 주방에 구비되며, 배기팬을 갖는 주방 레인지후드; 주방의 상측 또는 주방과 거실의 경계영역의 상측에 구비된 보조 급기구; 거실에 구비되며, 급기부 및 배기부를 가지는 열회수환기부; 주방 열원장치에 구비된 작동감지센서, 주방 일측에 구비된 주방 먼지센서 및 거실 일측에 구비된 거실 먼지센서을 갖는 센서모듈부; 및 상기 센서모듈부의 센싱값을 수신하고,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및 주 급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을 방지하는 환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센서모듈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1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1 비교판단부에서 작동감지센서가 주방 열원장치의 작동을 감지하지 않으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구동을 해제시키며, 제1 비교판단부에서 작동감지센서가 주방 열원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1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1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1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2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2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보조 급기구를 구동시키고, 열회수환기부의 구동을 해제시키는 단계 2를 수행하며, 제2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5 비교판단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2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3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3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3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2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3을 수행하며, 제3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3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5 비교판단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3으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4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4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5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3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4를 수행하며, 제4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5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5 비교판단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5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5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과 같거나 큰 조건 또는 주방 미세먼지 농도차이(△Ck)가 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2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며, 제5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보다 작은 조건 또는 주방 미세먼지 농도차이(△Ck)가 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1단으로 변경하고, 보조 급기구의 구동을 해제하는 단계 5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5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 및 거실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6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6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거실 미세먼지 농도(Cl)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열회수환기부의 SA를 개방하고 바이패스 기능을 하는 단계 6을 수행한 후 제7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며, 제6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거실 미세먼지 농도(Cl)와 같거나 큰 조건을 충족하면, 환기 제어부는 바로 제7 비교판단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회수환기부에 바이패스 기능이 없는 경우, 제6 비교판단부는 바로 제7 비교판단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7 비교판단부에서, 거실 미세먼지 농도(Cl)가 3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제6 비교판단부를 다시 수행하며, 제7 비교판단부에서, 거실 미세먼지 농도(Cl)가 30보다 큰 조건이 충족되면, 주방 레인지후드의 구동은 해제되고, 열회수환기부가 작동되는 단계 7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기구는 별도의 급기부조 또는 상기 열회수환기부의 급기부조를 통해 급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기구에서 하방 분사되는 공기가 에어커튼(210)이 되어, 미세먼지가 에어커튼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방 레인지후드는 1단 내지 3단을 포함하는 다단 동작이 가능하며, 다단 동작의 풍량은 150CMH, 230CMH 및 300CM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보조 급기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킨 후, 다시 미세먼지와 함께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조 급기구에서 가압 배출되는 공기가 에어커튼과 같이 하방으로 강한 기류를 형성시켜서, 미세먼지가 거실로 이동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가 주방 및 거실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 및 열회수환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열회수환기부, 센서모듈부 및 환기 제어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산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환기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를 통해 급기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환기부를 통해 급기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시 도면은 일부 과장되게 도시하거나,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하여 도시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구성적 특징을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 구성이 도면에 도시된 대로 반드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참고하여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C'는 미세먼지 농도(Concentration)을 의미하며, 단위는 ㎍/m³가 사용될 수 있다. 'Ck'는 주방(Kitchen)의 미세먼지 농도를 의미하며, 'Cl'은 거실(living room)의 미세먼지 농도를 의미한다. 미세먼지 센서는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열된 공기의 상승기류에 의해 미세먼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S'는 주방 열원장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하며, on/off 값을 제공하게 된다. 열감지 센서로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주방 열원장치의 전원스위치와 연동되어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주방 레인지후드의 풍량 단위는 'CMH(Cubic Meter per Hour); m3/h'를 의미하며, 레인지후드의 성능에 따라 단수나 풍량은 변경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가 주방 및 거실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 및 열회수환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컴퓨팅장치에 의해 주방 레인지후드(100), 보조 급기구(200) 및 열회수환기부(300)가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 레인지후드(100), 보조 급기구(200), 열회수환기부(300), 센서모듈부(400) 및 환기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레인지후드(100)는 주방(10)에 구비되며, 배기팬(미도시)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주방 레인지후드의 작동은 배기팬의 작동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200)는 주방(10)의 상측 또는 주방(10)과 거실(20)의 경계영역(2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환기부(300)는 거실에 구비되며, 공동주택에 이미 구비된 경우가 많다. 열회수환기부는 급기부(310)와 배기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부(400)는 주방 열원장치(11)에 구비된 작동감지센서(410), 주방(10) 일측에 구비된 주방 먼지센서(420) 및 거실(20) 일측에 구비된 거실 먼지센서(430)을 갖는다. 온도 및 습도의 측정도 가능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먼지센서에 주목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모듈부(400)의 센싱값을 수신하고,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및 주 급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환기 제어부(500)는 컴퓨팅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에서 수행되는 환기제어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센서모듈부(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1 비교판단부(510)를 가진다.
제1 비교판단부(510)에서 작동감지센서(410)가 주방 열원장치(11)의 작동을 감지하지 않으면, 환기 제어부(500)는 주방 레인지후드(100)를 구동을 해제시킨다. 제1 비교판단부(510)에서 작동감지센서(410)가 주방 열원장치(11)의 작동을 감지하면, 환기 제어부(500)는 주방 레인지후드(100)를 1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1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단계 1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42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2 비교판단부(520)를 가진다.
제2 비교판단부(52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보조 급기구(200)를 구동시키고, 열회수환기부(300)의 구동을 해제시키는 단계 2를 수행하게 된다. 제2 비교판단부(52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제5 비교판단부(55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단계 2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42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3 비교판단부(530)를 가진다.
제3 비교판단부(53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3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주방 레인지후드(100)를 2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3을 수행하게 된다. 제3 비교판단부(53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3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제5 비교판단부(55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단계 3으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42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4 비교판단부(540)를 가진다.
제4 비교판단부(54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5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주방 레인지후드(100)를 3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4를 수행하게 된다. 제4 비교판단부(54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5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제5 비교판단부(55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주방 먼지센서(42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5 비교판단부(550)를 가진다.
제5 비교판단부(55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과 같거나 큰 조건 또는 주방 미세먼지 농도차이(△Ck)가 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제2 비교판단부(520)를 수행하게 된다.
제5 비교판단부(55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보다 작은 조건 또는 주방 미세먼지 농도차이(△Ck)가 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주방 레인지후드(100)를 1단으로 변경하고, 보조 급기구(200)의 구동을 해제하는 단계 5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제어부(500)는 단계 5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420) 및 거실 먼지센서(43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6 비교판단부(560)를 가진다.
제6 비교판단부(56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거실 미세먼지 농도(Cl)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500)는 열회수환기부의 SA를 개방하고 바이패스 기능을 하는 단계 6을 수행한 후 제7 비교판단부(570)를 수행하게 된다. 제6 비교판단부(560)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거실 미세먼지 농도(Cl)와 같거나 큰 조건을 충족하면, 환기 제어부(500)는 바로 제7 비교판단부(570)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열회수환기부(300)에 바이패스 기능이 없는 경우 또는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6 비교판단부(560)는 바로 제7 비교판단부(57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7 비교판단부(570)에서, 거실 미세먼지 농도(Cl)가 3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제6 비교판단부(560)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제7 비교판단부(570)에서, 거실 미세먼지 농도(Cl)가 30보다 큰 조건이 충족되면, 주방 레인지후드(100)의 구동은 해제되고, 열회수환기부(300)가 작동되는 단계 7이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200)는 별도의 급기부 구조(도 1 참조) 또는 상기 열회수환기부의 급기부 구조(도 5 참조)를 통해 급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급기구(200)에서 하방 분사되는 공기가 에어커튼(210)이 되어, 미세먼지가 에어커튼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주방 레인지후드(100)는 1단 내지 3단을 포함하는 다단 동작이 가능하며, 다단 동작의 풍량은 150CMH, 230CMH 및 300CM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특징들 특히 환기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방 11 : 주방 열원장치
20 : 거실 21 : 거실 경계영역
100 : 주방 레인지후드
200 : 보조 급기구 210 : 에어커튼
300 : 열회수환기부 310 : 급기부
320 : 배기부
400 : 센서모듈부 410 : 작동감지센서
420 : 주방 먼지센서 430 : 거실 먼지센서
500 : 환기 제어부 510 : 제1 비교판단부
520 : 제2 비교판단부 530 : 제3 비교판단부
540 : 제4 비교판단부 550 : 제5 비교판단부
560 : 제6 비교판단부 570 : 제7 비교판단부

Claims (12)

  1. 삭제
  2.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컴퓨팅장치에 의해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및 열회수환기부가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으로서,
    주방에 구비되며, 배기팬을 갖는 주방 레인지후드; 주방의 상측 또는 주방과 거실의 경계영역의 상측에 구비된 보조 급기구; 거실에 구비되며, 급기부 및 배기부를 가지는 열회수환기부; 주방 열원장치에 구비된 작동감지센서, 주방 일측에 구비된 주방 먼지센서 및 거실 일측에 구비된 거실 먼지센서을 갖는 센서모듈부; 및 상기 센서모듈부의 센싱값을 수신하고, 주방 레인지후드, 보조 급기구 및 주 급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방 미세먼지의 확산을 방지하는 환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 제어부는 센서모듈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1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1 비교판단부에서 작동감지센서가 주방 열원장치의 작동을 감지하지 않으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구동을 해제시키며, 제1 비교판단부에서 작동감지센서가 주방 열원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1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1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1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2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2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보조 급기구를 구동시키고, 열회수환기부의 구동을 해제시키는 단계 2를 수행하며,
    제2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5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2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3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3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3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2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3을 수행하며,
    제3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3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5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3으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4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4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50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3단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4를 수행하며,
    제4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50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5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주방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5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5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과 같거나 큰 조건 또는 주방 미세먼지 농도차이(△Ck)가 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제2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며,
    제5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100보다 작은 조건 또는 주방 미세먼지 농도차이(△Ck)가 0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주방 레인지후드를 1단으로 변경하고, 보조 급기구의 구동을 해제하는 단계 5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단계 5로 수행되는 중에, 주방 먼지센서 및 거실 먼지센서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대비하는 제6 비교판단부를 가지며,
    제6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거실 미세먼지 농도(Cl)보다 작은 조건이 충족되면, 환기 제어부는 열회수환기부의 SA를 개방하고 바이패스 기능을 하는 단계 6을 수행한 후 제7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며,
    제6 비교판단부에서 주방 미세먼지 농도(Ck)가 거실 미세먼지 농도(Cl)와 같거나 큰 조건을 충족하면, 환기 제어부는 바로 제7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열회수환기부에 바이패스 기능이 없는 경우,
    제6 비교판단부는 바로 제7 비교판단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제7 비교판단부에서, 거실 미세먼지 농도(Cl)가 30과 같거나 큰 조건이 충족되면, 제6 비교판단부를 다시 수행하며,
    제7 비교판단부에서, 거실 미세먼지 농도(Cl)가 30보다 큰 조건이 충족되면, 주방 레인지후드의 구동은 해제되고, 열회수환기부가 작동되는 단계 7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기구는 별도의 급기부조 또는 상기 열회수환기부의 급기부조를 통해 급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기구에서 하방 분사되는 공기가 에어커튼이 되어, 미세먼지가 에어커튼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주방 레인지후드는 1단 내지 3단을 포함하는 다단 동작이 가능하며,
    다단 동작의 풍량은 150CMH, 230CMH 및 300CM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KR1020200007837A 2020-01-21 2020-01-21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KR10231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37A KR102316313B1 (ko) 2020-01-21 2020-01-21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37A KR102316313B1 (ko) 2020-01-21 2020-01-21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78A KR20210094278A (ko) 2021-07-29
KR102316313B1 true KR102316313B1 (ko) 2021-10-21

Family

ID=7712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37A KR102316313B1 (ko) 2020-01-21 2020-01-21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607B1 (ko) * 2015-09-22 2016-05-27 주식회사 인솔엔지니어링 주방 환기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881509B1 (ko) * 2017-12-29 2018-07-24 유상열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211A (ko) * 2000-11-13 2002-05-18 김강돈 주방 환기 시스템
KR100393475B1 (ko) 2001-03-09 2003-08-09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607B1 (ko) * 2015-09-22 2016-05-27 주식회사 인솔엔지니어링 주방 환기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881509B1 (ko) * 2017-12-29 2018-07-24 유상열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78A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270B1 (ko) 양방향 배기부가 구비된 미세먼지 확산 방지용 레인지후드 환기 시스템
US8511578B2 (en) Vapor extraction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range of functions
EP3521715B1 (en) Ventilation system
KR102231362B1 (ko) 욕실 배기팬과 도어 환기팬이 연동되는 환기제어부를 갖는 환기 시스템
US799726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haust flow from a cooking chamber of a baking oven
KR101674032B1 (ko) Voc 처리 및 재활용 설비
JP7209143B2 (ja) 熱交換型換気扇
JP6131477B2 (ja) 室内空気質制御システム
JP2011247503A (ja) レンジフードの空気浄化ユニット装置
US20150192305A1 (en) Vapour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an motor of a fan and for determining and cleaning effectiveness
JP2005221217A (ja) 空気循環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316313B1 (ko) 보조 급기구를 이용한 레인지후드 통합형 환기시스템
ZA200808327B (en) Method for optimised operation of an air preheater and air preheater
KR101928872B1 (ko)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JP6982727B2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KR20220014312A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8012374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4163551A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7219258A (ja) 除湿装置、除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51658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EP2758719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for extracting air
KR102446948B1 (ko) 면상발열체를 지닌 케이스 형태 VOCs 저감장치
KR20230000338A (ko) 주택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택 환기 방법
WO2023157558A1 (ja) 焼却システム
JP5637829B2 (ja) 屋内用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