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647B1 - 산업시설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시설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647B1
KR102315647B1 KR1020210069674A KR20210069674A KR102315647B1 KR 102315647 B1 KR102315647 B1 KR 102315647B1 KR 1020210069674 A KR1020210069674 A KR 1020210069674A KR 20210069674 A KR20210069674 A KR 20210069674A KR 102315647 B1 KR102315647 B1 KR 10231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magnetic
forming part
form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일호
Original Assignee
한일호
(주)엠에이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호, (주)엠에이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한일호
Priority to KR102021006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3Heat from a district heating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시설 관리 장치으로서,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감시단말기 및 관리자의 개인단말기가 접속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망 운용을 위한 망관리 센터와 연결되고, 상기 망관리 센터로부터 무선망을 통한 관리정보가 상기 개인단말기로 제공하고, 제1 정보서버는 상기 망관리 센터와의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접속되고, 웹서버를 포함한 디비 서버(DB Server)와 연동되어 감시 대상의 시스템 제어 정보와 관리 정보를 축적하고, 제2 정보서버는 상기 제1 정보서버로 상기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정보, 환경 감시 정보 및 설비 보안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업시설 관리 장치{MANAGEMENT DEVICE FOR INDUSTRIAL FACILITIES}
본 발명은 산업시설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관리는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산업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적인 시스템 관리에 있어 인력 낭비가 극대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인력을 통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시간 제어가 어려워 산업 전반에 걸친 악영향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총괄 관리자가 소지한 개인 단말기 및 산업 시설물(감시대상)의 감시 정보를 입력 및 송신하는 감시 단말기와 통신하며 산업 시설물의 총괄 제어를 할 수 있는 망관리 센터를 구비한 산업시설 관리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 관리 장치는, 열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감시단말기 및 관리자의 개인단말기가 접속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망 운용을 위한 망관리 센터와 연결되고, 상기 망관리 센터로부터 무선망을 통한 관리정보가 상기 개인단말기로 제공하고, 제1 정보서버는 상기 망관리 센터와의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접속되고, 웹서버를 포함한 디비 서버(DB Server)와 연동되어 감시 대상의 시스템 제어 정보와 관리 정보를 축적하고,
제2 정보서버는 상기 제1 정보서버로 상기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정보, 환경 감시 정보 및 설비 보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정보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설비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화상, 음성 데이터를 셀(Cell)단위로 분할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정보서버는, 상기 제1 정보서버로 원격 전력 감시 정보 및 부가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감시단말기로부터 감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배관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강관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부;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 가능하도록 주위에 둘러 쌓여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제1 보호부; 및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 가능하도록 주위에 둘러 쌓여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레일부는, 바닥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단지지부재; 상기 하단지지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충격흡수부; 및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형성부;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형성부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를 지지하는 자성부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하면이 바닥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재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장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형성부는,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의 상단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 자성부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형성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형성부를 바닥에 대해 직립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형성부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상기 자성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형성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성부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자성부를 상기 제1 형성부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형성부의 상기 제1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성부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성부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가 하방으로 소폭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부가 하방으로 소폭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단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자성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충격흡수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와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단지지부재상에 자기 부상하여 상기 제1 형성부가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형성부;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자성부가 안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제2 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형성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를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에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외주면에 상기 상단지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자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공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상단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나사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에 대해 반발력(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상에 안착된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제1 자성부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2 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형성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를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길이 확장되어 상기 결합본체를 상기 제2 관통공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 가능한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지지부재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레일부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형성부가 내측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형성부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형성부;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레일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재; 및 상기 제3 형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관통공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형성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측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레일부를 지지하며, 인접되게 설치되는 4개의 상기 이동레일부의 모서리를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은, 열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은, 상기 열배관의 압력 값을 입력 받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펌프의 대수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펌프는, 후단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회수펌프; 및 전단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수펌프 및 상기 공급펌프 사이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료전지 또는 열교환 설비에 설치된 TCV의 궤도별 유량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배관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강관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부;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 가능하도록 주위에 둘러 쌓여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제1 보호부; 및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 가능하도록 주위에 둘러 쌓여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레일부는, 바닥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단지지부재; 상기 하단지지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충격흡수부; 및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형성부;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형성부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를 지지하는 자성부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하면이 바닥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재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장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형성부는,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의 상단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 자성부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형성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형성부를 바닥에 대해 직립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형성부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상기 자성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형성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성부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자성부를 상기 제1 형성부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형성부의 상기 제1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성부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성부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가 하방으로 소폭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부가 하방으로 소폭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단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자성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충격흡수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와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단지지부재상에 자기 부상하여 상기 제1 형성부가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형성부;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자성부가 안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제2 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형성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를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에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외주면에 상기 상단지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자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공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상단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나사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에 대해 반발력(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상에 안착된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제1 자성부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2 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형성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를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길이 확장되어 상기 결합본체를 상기 제2 관통공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 가능한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지지부재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레일부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형성부가 내측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형성부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형성부;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레일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재; 및 상기 제3 형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관통공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형성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측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레일부를 지지하며, 인접되게 설치되는 4개의 상기 이동레일부의 모서리를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산업시설 관리 장치는 총괄 관리자가 소지한 개인 단말기 및 산업 시설물(감시대상)의 감시 정보를 입력 및 송신하는 감시 단말기와 통신하며 산업 시설물의 총괄 제어를 할 수 있는 망관리 센터를 구비하여 산업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총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를 활용한 종래의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를 활용한 종래의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가 연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은 열배관의 압력 값을 입력 받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펌프의 대수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는 후단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회수펌프 및 전단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공급펌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은 회수펌프 및 공급펌프 사이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료전지 또는 열교환 설비에 설치된 TCV의 궤도별 유량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에서 공급펌프에서 전단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에서 지역난방수 저온수 배관의 압력이 고온수 배관의 압력보다 낮은경우 및 지역난방수 저온수 배관의 압력이 열회수 설비를 통과할 만큼 충분한 압력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에서 지역난방수 저온수 배관의 압력이 고온수 배관의 압력보다 낮은 경우, 지역난방수 저온수 배관의 압력이 고온수 배관의 압력보다 높지만 연료전지 설비의 압력손실 때문에 부스팅이 필요한 경우 및 지역난방수 고온수 배관의 공급압력이 열회수설비(연료전지)설계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응용 1, 2, 3의 추가적인 응용으로 회수펌프의 Suction 압력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회수펌프 전단에 PRV(압력감압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설치할 수도 있고, 펌프의 안정적인 제어를 위하여 펌프 사이에 Pressure Tank(Surge용 압력탱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에 적용되는 열배관(230)의 주위에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1 보호부(270) 및 제2 보호부(280)이 둘러쌓여 있어 열배관(230)에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은 주위를 소정의 두께(약 3mm)를 갖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제1 보호부(270)로 감싸고, 제1 보호부(270) 위에 소정의 두께(약 4mm)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되는 제2 보호부(280)를 둘러싼 후에 제2 보호부(280)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을 감싸고 있는 제2 보호부(280)와 이동부(211)를 배관지지대(210)로 고정하고, 이동부(211)가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양측에 "ㄱ"자 강관부(290)로 이동레일부(212)를 형성하여 하부의 틀(미도시)에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이동레일부(212) 사이에 이동부(211)가 설치될 수 있다.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의 틀(미도시)을 만들어 그 내부에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을 설치할 수 있되,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 주위를 제1 보호부(270)와 제2 보호부(280)로 둘러싸게 하는 것은 작업공간 이 협소한 곳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불측의 충격을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에 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은 고압이며 고열에 의해 배관이 압력과 팽창력을 갖고 있는데 과다한 충격을 받게 되면 파열 등의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하부의 틀(미도시)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하부의 틀(미도시)이 받고 난 잔류의 충격은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의 주위에 설치된 제1 보호부(270)에 전달되어 충격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이 고압이면서 고열이므로 팽창력을 갖게 되는데 이때 배관이 길이 방향인 종방향으로 늘어나려고 하는 경우, 이동레일부(212) 사이에 설치된 이동부(211)가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신축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230)에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의 이동레일부(212)는 하단지지부재(251), 제1 충격흡수부(252) 및 상단지지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지지부재(251)는 건물 슬래브 등의 바닥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에 설치되는 탄성을 갖는 제1 플레이트(2511), 제1 플레이트(2511)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25121)이 형성된 제1 형성부(2512), 제1 형성부(25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플레이트(2511) 상에 설치되는 제1 연장부(2513), 제1 형성부(2512)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2514) 및 제2 자성부(2522)를 지지하는 자성부 지지부재(25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11)는 하면이 바닥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단지지부재(253)와 제1 충격흡수부(252)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11)는 제1 연장부(2513)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형성부(2512)은 내부에 제1 관통공(2512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1 형성부(2512)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자성부(2514)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걸림부(251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513)는 제1 형성부(2512) 하부에 형성되어 제1 형성부(2512)을 바닥에 대해 직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형성부(2512)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성부(2514)은 제1 형성부(2512)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후술하는 자성부 지지부재(2515)에 의해 제1 형성부(2512)의 상부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부 지지부재(2515)는 제1 자성부(2514)을 제1 형성부(2512)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제1 형성부(2512)의 제1 관통공(25121)에 설치되어 제1 자성부(2514)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탄성부(25151)를 적용할 수 있다.
탄성부(25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성부(2512)의 제1 관통공(25121)에 삽입되어 제1 자성부(2514)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상단지지부재(253)에 비교적 큰 하중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제1 충격흡수부(252)에 설치된 제2 자성부(2522)이 하방으로 소폭 하강하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제1 자성부(2514) 또한 하방으로 소폭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단지지부재(253)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자성부(2514)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 충격흡수부(252)는 하단지지부재(25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지지부재(251)에 설치된 제1 자성부(2514) 과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하단지지부재(251) 상에 자기 부상하는 것으로서, 제1 형성부(2512)이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25211)이 형성된 제2 형성부(2521), 제2 형성부(2521)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2522), 제2 관통공(25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제2 자성부(2522)이 안착되는 돌출부(2523), 제2 자성부(2522)이 제2 형성부(25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형성부(25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자성부(2522)를 제2 형성부(2521) 내부에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5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형성부(2521)는 내부에 제2 관통공(2521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상단지지부재(253)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형성부(2521)의 내부에는 제2 자성부(2522)를 지지하기 위해 제2 관통공(25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관통공(25211)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부(2523)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형성부(2521)의 상단과 돌출부(2523) 사이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252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2524)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성부(2522)은 하단지지부재(251)에 설치된 제1 자성부(2514)에 대해 반발력(척력)이 발생하도록 제2 관통공(25211) 내부에 삽입되고, 돌출부(252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2524)는 돌출부(2523)상에 안착된 제2 자성부(2522)가 제1 자성부(2514)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제2 형성부(25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형성부(25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자성부(2522)를 제2 형성부(2521)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킨다.
고정부재(2524)는 제2 관통공(25211)에 삽입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 관통공(25211)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본체(25241), 결합본체(25241)의 상부로부터 결합본체(25241)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길이 확장되어 결합본체(25241)를 제2 관통공(25211)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상단부(25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단부(25242)는 후술하는 제3 형성부(253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지지부재(253)는 제1 충격흡수부(252)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레일부(212)를 장착할 수 있게 된 것으로서, 제2 형성부(2521)가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3 관통공(25311)이 형성되고 제2 형성부(2521)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형성부(2531), 제3 형성부(25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이동레일부(212)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재(2532), 제3 형성부(2531)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플레이트(25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형성부(2531)는 내부에 제3 관통공(25311)이 형성되되 상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2 형성부(2521)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지지부재(2532)는 이동레일부(212)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인접되게 설치되는 4개의 이동레일부(212)의 모서리를 각각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3 형성부(25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용 이동레일부(212) 지지장치는 제1 자성부(2514)와 제2 자성부(2522) 상호간 작용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바닥에 대해 이동레일부(212)를 자기부상식으로 지지함으로써, 이동레일부(212)에서 바닥으로 소음이나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동레일부(212)를 지지하는 상단지지부재(253)에 구비된 제2 플레이트(2533), 바닥에 설치되는 하단지지부재(251)에 구비된 제1 플레이트(2511)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발전시설/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의 완충부(250')는 수직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1 탄성체(2522)와 수평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 탄성체(2523)를 구비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충시키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250')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지지패널(2521)과 제2 지지패널(2524), 두 지지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탄성체(2522), 제2 탄성체(2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설치부(2525), 패널완충부재(2526)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지지패널(2521)과 제2 지지패널(2524)은 완충부(250')가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 보강을 위한 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제1 탄성체(2522)와 제2 탄성체(2523)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 하로 수평하게 일정 간격(바람직하게는 제1완충부재로 사용될 코일 스프링의 몸체 길이)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1 지지패널(2521)의 하면 중앙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제1 탄성체 지지부(미도시)이 설치되고 제2 지지패널(2524)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제2 탄성체 지지부(미도시)이 설치되며, 이러한 제1 탄성체 지지부(미도시)과 제2 탄성체 지지부(미도시)은 아래에서 설명될 코일 스프링이 끼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코일 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2 지지패널(2524)에는 하단지지부재(251)에 완충부(250')를 매립 또는 조립하여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 조립홈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체(2522)는 상하방향으로 인장 또는 압축되는 탄성력과 복원력, 및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각 제1 지지패널(2521) 및 제2 지지패널(2524)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도록 제1 지지패널(2521)과 제2 지지패널(2524) 사이에 수직하게 개재된다.
이 러한 제1 탄성체(2522)는 제1 지지패널(2521)의 하면 중앙부에 하부가 개방되도록 설치된 제1 탄성체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그 상단부가 지지 및 고정되고, 제2 지지패널(2524)의 상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설치된 제2 탄성체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그 하단부가 지지 및 고정되어, 내진 대상물의 흔들림에 의한 상하방향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흡수 또는 완충시킨다.
제2 탄성체(2523)는 각 제1 지지패널(2521) 및 제2 지지패널(2524)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횡으로 인장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제1 지지패널(2521)과 제2 지지패널(2524) 사이에 수직하게 개재되며,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체(2522)를 중심으로 그 양측 또는 전후에 서로 대향하게 쌍으로 설치되거나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체(2522)를 중심으로 그 양측과 전후에 서로 대향하게 쌍으로 설치되어 내진 대상물의 흔들림에 의한 횡방향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제1 탄성체(2522)의 양측 또는 전후, 또는 양측과 전후에서 각각 흡수 또는 완충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배관이 설치된 내부에 출렁거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열배관 설치 공간의 내부에 방파판을 설치할 필요성이 배제되어 열배관 설치의 공사를 단순화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제적인 이익 창출과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된 열배관 설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각 제2 탄성체(2523)는 제1 지지패널(2521)과 제2 지지패널(2524)에 각각 연결되되 제1 탄성체(2522)를 중심으로 그 양측 또는 전후에 서로 대향하게 쌍으로 설치되는 상단프레임(25231)과 하단프레임(25235), 각 프레임(25231, 25235)에 각각 결합되는 상단 고정지지부(25232)와 하단 고정지지부(25234), 및 각 고정지지부(25232, 25234)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 탄성체(25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탄성체(25233)는 상단프레임(25231)과 하단프레임(2523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인장 또는 압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1 지지패널(2521)의 하면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상단프레임(25231)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제2 지지패널(2524)의 상면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하단프레임(25235)을 서로 등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설치부(2525)는 상단지지부재(253)와 제1 지지패널(2521)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부(250')의 높이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패널완충부재(2526)는 제2 지지패널(2524)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부착되며,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어 하단지지부재(251)를 통해 제2 지지패널(2524)으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1차적으로 직접 흡수 또는 완충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감시단말기 및 관리자의 개인단말기가 접속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망 운용을 위한 망관리 센터(11)와 연결될 수 있고, 망관리 센터(11)로부터 무선망을 통한 관리정보가 개인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제1 정보서버(13)는 망관리 센터와의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접속되고, 웹서버를 포함한 디비 서버(DB Server)와 연동되어 감시 대상의 시스템 제어 정보와 관리 정보를 축적할 수 있고, 제2 정보서버(15)는 제1 정보서버(13)로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정보, 환경 감시 정보 및 설비 보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서버(15)는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설비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화상, 음성 데이터를 셀(Cell)단위로 분할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2 정보서버(15)는 제1 정보서버(13)로 원격 전력 감시 정보 및 부가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감시단말기(17)로부터 감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산업시설 관리 장치

Claims (2)

  1. 열배관;을 포함하는, 산업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감시단말기 및 관리자의 개인단말기가 상기 산업시설 관리 장치에 접속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망 운용을 위한 망관리 센터와 상기 산업시설 관리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망관리 센터로부터 무선망을 통한 관리정보가 상기 개인단말기로 제공되고,
    제1 정보서버는 상기 망관리 센터와의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접속되고, 웹서버를 포함한 디비 서버(DB Server)와 연동되어 상기 열배관을 포함하는 감시 대상의 시스템 제어 정보와 관리 정보를 축적하고,
    제2 정보서버는 상기 제1 정보서버로 상기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정보, 환경 감시 정보 및 설비 보안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정보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설비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화상, 음성 데이터를 셀(Cell)단위로 분할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서버는,
    상기 제1 정보서버로 원격 전력 감시 정보 및 부가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감시단말기로부터 감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열배관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강관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부;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 가능하도록 주위에 둘러 쌓여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는 제1 보호부; 및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 가능하도록 주위에 둘러 쌓여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부는,
    바닥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단지지부재;
    상기 하단지지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충격흡수부; 및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형성부;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형성부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를 지지하는 자성부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하면이 바닥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재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장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형성부는,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의 상단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 자성부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형성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형성부를 바닥에 대해 직립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형성부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상기 자성부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형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부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자성부를 상기 제1 형성부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형성부의 상기 제1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성부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성부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단지지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가 하방으로 소폭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부가 하방으로 소폭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단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자성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1 충격흡수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와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단지지부재상에 자기 부상하여 상기 제1 형성부가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형성부;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자성부가 안착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제2 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형성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를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에 구속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형성부는,
    외주면에 상기 상단지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형성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자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공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형성부는,
    상단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나사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에 대해 반발력(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상에 안착된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제1 자성부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2 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형성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를 상기 제2 형성부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키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길이 확장되어 상기 결합본체를 상기 제2 관통공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 가능한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지지부재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레일부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형성부가 내측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형성부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형성부;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레일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재; 및
    상기 제3 형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관통공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형성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레일부를 지지하며, 인접되게 설치되는 4개의 상기 이동레일부의 모서리를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산업시설 관리 장치.
  2. 삭제
KR1020210069674A 2021-05-31 2021-05-31 산업시설 관리 장치 KR10231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74A KR102315647B1 (ko) 2021-05-31 2021-05-31 산업시설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74A KR102315647B1 (ko) 2021-05-31 2021-05-31 산업시설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647B1 true KR102315647B1 (ko) 2021-10-21

Family

ID=7826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74A KR102315647B1 (ko) 2021-05-31 2021-05-31 산업시설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6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351A (ko) * 2011-02-22 2012-08-30 부영산전주식회사 Cdma 기술을 이용한 열배관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351A (ko) * 2011-02-22 2012-08-30 부영산전주식회사 Cdma 기술을 이용한 열배관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443B (zh) 隔震地板
US4286549A (en) Steam generator support system
KR20140091980A (ko) 3차원 면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101702449B1 (ko) 방진패드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마운트
US4371141A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with adjustable constant force, all-directional, attenuating seismic restraint
KR102315647B1 (ko) 산업시설 관리 장치
CN108842920B (zh) 一种装配式隔震系统
KR102342497B1 (ko) 지역난방 발전시설 또는 열병합 발전시설의 열배관 연계 시 부스터 펌프(Inverter제어펌프)를 활용한 효율적인 연계방법
JP6991422B2 (ja) 構造物用制振装置
JP201716673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防振ベースプレート
JPH07139589A (ja) 防振架台
CN209925858U (zh) 一种多维黏滞阻尼调谐质量减震支架
CN110043097B (zh) 一种阻尼接地型钢支撑填充质量调谐阻尼支架
JPH08166486A (ja) 原子炉機器の共通床方式上下免震構造
CN214744112U (zh) 一种多层水管的室内装修用模块化抗震支架
CN110259205A (zh) 一种综合采用隔减震技术的抗震韧性厂房结构体系
CN112431319A (zh) 振震双隔的组合隔震系统
CN112095830A (zh) 一种整体摇摆可控建筑结构
CN215720468U (zh) 一种机房电子机械设备用减震装置
CN214790208U (zh) 一种建筑机电用抗震高稳定型支架
CN219979272U (zh) 一种变压器抗震装置
JPS62159824A (ja) 免震除振支持装置
CN214696210U (zh) 振震双隔的组合隔震系统
CN211690796U (zh) 一种板式橡胶自适应解耦式三维隔震支座
JP4300647B2 (ja) 免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