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524B1 -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524B1 KR102315524B1 KR1020170076812A KR20170076812A KR102315524B1 KR 102315524 B1 KR102315524 B1 KR 102315524B1 KR 1020170076812 A KR1020170076812 A KR 1020170076812A KR 20170076812 A KR20170076812 A KR 20170076812A KR 102315524 B1 KR102315524 B1 KR 102315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ast
- image
- brightness
- subtraction rate
- average valu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04N21/23655—Statistical multiplexing, e.g. by controlling the encoder to alter its bitrate to optimize the bandwidth utiliz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2—Surveill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Contrast) 조절에 기반한 영상의 출력 비트레이트(Bitrate) 조절 방법은, 상기 영상의 명도(明度)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分散度)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減算率)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수의 감시카메라가 도처에 설치되어 있고,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녹화, 저장, 전송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감시카메라의 설치 대수가 증가되면서 감시카메라 및 네트워크 리소스(Resource)의 효율적인 사용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의 화질의 열화 없이 영상의 전송 비트레이트를 낮출 수 있는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성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의 설정으로 보다 빠른 콘트래스트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빠른 비트레이트 조절이 가능한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Contrast) 조절에 기반한 영상의 출력 비트레이트(Bitrate) 조절 방법은, 상기 영상의 명도(明度)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分散度)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減算率)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감산율은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1 감산율,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2 감산율,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3 감산율,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4 감산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감산율을 상기 제1 감산율, 상기 제2 감산율, 상기 제3 감산율 및 상기 제4 감산율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감산율은 상기 제3 감산율 이상이고, 상기 제3 감산율은 상기 제2 감산율 이상이고, 상기 제2 감산율은 상기 제1 감산율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콘트래스트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트래스트를 상기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면서 상기 출력 비트레이트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가 대응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트래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킨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고,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은 상기 콘트래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고, 상기 결정된 양자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콘트래스트가 적용된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Frame)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상기 감산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산출된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내에서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상기 콘트래스트 결정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Contrast) 조절에 기반하여 영상의 출력 비트레이트(Bitrate)를 조절하는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장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상기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의 화질의 열화 없이 영상의 전송 비트레이트를 낮출 수 있는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성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의 설정으로 보다 빠른 콘트래스트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빠른 비트레이트 조절이 가능한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각 경우 별 감산율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각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각 경우 별 감산율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각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은 영상 획득 장치(100) 및 외부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200)는 영상 획득 장치(100)가 획득한 영상을 영상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가령 외부장치(200)는 VMS(Video Management System), CMS(Central Management System), NVR(Network Video Recorder)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외부장치(200)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upter, PC)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 획득 장치(100)가 획득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또는 저장 할 수 있는 장치이면 본 발명의 외부장치(200)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영상 획득 장치(100) 및 외부장치(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영상 획득 장치(100)가 획득한 영상을 외부장치(200)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광학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0)는 빛(Light)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1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이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본 발명에서 영상으로 설명함)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와 같은 제어부(130)는 단일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단위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한 개의 프로세서 및/또는 연산부로 구성되어,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며, 영상을 인코딩 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는 감산율 결정부 및 영상을 인코딩 하는 인코더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3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4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30)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 외에 영상 획득 장치(100)가 획득한 영상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은 해당 영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Frame)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초당 프레임 수(fps)가 30인 경우, 1번째 프레임, 15번째 프레임 및 23번째 프레임 등이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30)에 의한 각 동작이 영상, 즉 프레임 단위로 동작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도(明度)'는 어떤 프레임의 밝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명도는 어떤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픽셀의 밝은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별명에서 '명도의 평균값'은 어떤 프레임의 밝기의 대표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명도의 평균값은 각 픽셀의 밝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대표값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산술평균 또는 기하평균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명도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별명에서 '명도의 분산도(分散度)'는 어떤 프레임의 밝기의 다양성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명도의 분산도 또한 각 픽셀의 밝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분산도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분산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가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영상의 각 픽셀의 밝기가 도 3b에 도시된바와 같다고 가정해 보자.
제어부(130)는 각 픽셀의 명도(321 내지 325)에 기초하여 명도의 평균값(310)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 픽셀의 명도(321 내지 325) 및/또는 명도의 평균값(310)에 기초하여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때 명도의 평균값(310)은 개별적인 픽셀들의 명도가 높을수록 커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명도의 평균값(310)은 개별적인 픽셀들의 명도가 낮을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명도의 분산도는 개별적인 픽셀들 간의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커질 수 있고, 개별적인 픽셀들 간의 명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산출된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減算率)'은 콘트래스트를 최대로 감축시킬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최대 감산율은 실시예에 따라 현재 콘트래스트에 대한 비율로 정해질 수도 있고, 구체적인 감산 수치로 정해질 수도 있다. 가령 최대 감산율이 현재 콘트래스트에 대한 비율, 가령 30%로 설정되고, 현재 콘트래스트가 100인 경우 제어부(130)는 콘트래스트를 70~100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최대 감산율이 구체적인 감산 수치 가령 20으로 설정되고, 현재 콘트래스트가 100인 경우 제어부(130)는 콘트래스트를 80~100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30)는 영상의 어떤 프레임의 밝기 및 어떤 프레임의 밝기의 다양성의 정도에 기초하여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1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1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밝고 엣지(Edge) 성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가 나타나므로, 콘트래스트의 조절 가능 범위가 가장 좁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감산율이 후술하는 제2 감산율 내지 제4 감산율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임계 평균값 및 임계 분산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2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2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밝고 엣지(Edge) 성분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적은 경우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에 비해서는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영상이 밝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콘트래스트의 조절 가능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감산율은 전술한 제1 감산율 보다는 크지만 후술하는 제3 감산율 및 제4 감산율 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3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3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어둡고 엣지(Edge) 성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어둡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 영상이 밝은 경우에 비해서는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감산율을 전술한 제1 감산율 및 제2 감산율 보다는 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4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4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어둡고 엣지(Edge) 성분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어둡고 엣지 성분이 적은 경우 상술한 모든 경우에 비해서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4 감산율을 전술한 제1 감산율 내지 제3 감산율 보다는 클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각 경우 별 감산율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1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1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밝고 엣지(Edge) 성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가 나타나므로, 콘트래스트의 조절 가능 범위가 가장 좁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2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2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밝고 엣지(Edge) 성분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적은 경우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에 비해서는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영상이 밝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콘트래스트의 조절 가능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3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3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어둡고 엣지(Edge) 성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어둡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 영상이 밝은 경우에 비해서는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3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4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4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어둡고 엣지(Edge) 성분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어둡고 엣지 성분이 적은 경우 상술한 모든 경우에 비해서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감산율은 제3 감산율 이상이고, 제3 감산율은 제2 감산율 이상이고, 제2 감산율은 제1 감산율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가 동일해 질 때까지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콘트래스트를 전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최대 감산율의 범위 내에서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는 각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1)는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2), 제3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3) 및 제4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가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제3 감산율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 범위(413)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에서는, 콘트래스트의 조절 범위가 최대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현재 콘트래스트 값 까지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는 최대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해당 값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의 값 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21)는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현재 콘트래스트 값 까지로 설정되고, 제2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22)는 제2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제3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3) 및 제4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4) 또한 전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의 설정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다 빠른 콘트래스트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30)는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가 동일할 때의 콘트래스트를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트래스트를 조절함으로써 목표 비트레이트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네트워크로 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킬 때 나타는 Block Artifact와 같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콘트래스트를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켰음에도,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가 대응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킨 콘트래스트를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면서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로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30)는 콘트래스트를 최대로 감축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출력 비트레이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 추가적으로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출력 비트레이트가 소정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결정된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영상에 적용하고, 결정된 양자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콘트래스트가 적용된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목표 비트레이트를 충족시키면서 보다 선명한 화질의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은 영상이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산출된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내에서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S51)
본 발명에서 '명도(明度)'는 어떤 프레임의 밝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명도는 어떤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픽셀의 밝은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별명에서 '명도의 평균값'은 어떤 프레임의 밝기의 대표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명도의 평균값은 각 픽셀의 밝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대표값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가령 영상 획득 장치(100)는 산술평균 또는 기하평균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명도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별명에서 '명도의 분산도(分散度)'는 어떤 프레임의 밝기의 다양성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명도의 분산도 또한 각 픽셀의 밝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분산도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가령 영상 획득 장치(100)는 분산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도의 평균값은 개별적인 픽셀들의 명도가 높을수록 커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명도의 평균값은 개별적인 픽셀들의 명도가 낮을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명도의 분산도는 개별적인 픽셀들 간의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커질 수 있고, 개별적인 픽셀들 간의 명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산출된 명도의 평균값 및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할 수 있다.(S52) 바꾸어 말하면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어떤 프레임의 밝기 및 어떤 프레임의 밝기의 다양성의 정도에 기초하여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영상 획득 장치(10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1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1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밝고 엣지(Edge) 성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가 나타나므로, 콘트래스트의 조절 가능 범위가 가장 좁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감산율이 후술하는 제2 감산율 내지 제4 감산율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임계 평균값 및 임계 분산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영상 획득 장치(10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2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2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밝고 엣지(Edge) 성분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적은 경우 영상이 밝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에 비해서는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영상이 밝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콘트래스트의 조절 가능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감산율은 전술한 제1 감산율 보다는 크지만 후술하는 제3 감산율 및 제4 감산율 보다 작을 수 있다.
영상 획득 장치(10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3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3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어둡고 엣지(Edge) 성분이 많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어둡고 엣지 성분이 많은 경우 영상이 밝은 경우에 비해서는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감산율을 전술한 제1 감산율 및 제2 감산율 보다는 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상 획득 장치(100)는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감산율을 제4 감산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율이 제4 감산율로 결정되는 경우는 영상이 어둡고 엣지(Edge) 성분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이 어둡고 엣지 성분이 적은 경우 상술한 모든 경우에 비해서 콘트래스트의 감축에 따른 화질의 열화가 두드러지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4 감산율을 전술한 제1 감산율 내지 제3 감산율 보다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할 수 있다.(S53)
가령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가 동일해 질 때까지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 획득 장치(100)는 콘트래스트를 전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최대 감산율의 범위 내에서만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1)는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2), 제3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3) 및 제4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영상 획득 장치(100)가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제3 감산율로 결정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조절 범위(413)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는 최대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해당 값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의 값 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21)는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현재 콘트래스트 값 까지로 설정되고, 제2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22)는 제2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부터 제1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값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제3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3) 및 제4 감산율에 따른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414) 또한 전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트래스트 조절 범위의 설정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다 빠른 콘트래스트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획득 장치(100)는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S54) 가령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가 동일할 때의 콘트래스트를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트래스트를 조절함으로써 목표 비트레이트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네트워크로 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킬 때 나타는 Block Artifact와 같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콘트래스트를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켰음에도,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가 대응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킨 콘트래스트를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획득 장치(100)는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면서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로 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영상 획득 장치(100)는 콘트래스트를 최대로 감축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출력 비트레이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 추가적으로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출력 비트레이트가 소정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0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결정된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영상에 적용하고, 결정된 양자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콘트래스트가 적용된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할 수 있다.(S55)
이로써 본 발명은 목표 비트레이트를 충족시키면서 보다 선명한 화질의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영상 획득 장치
110: 광학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메모리
200: 외부장치
110: 광학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메모리
200: 외부장치
Claims (6)
- 콘트래스트(Contrast) 조절에 기반한 영상의 출력 비트레이트(Bitrate)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명도(明度)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分散度)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減算率)을 결정하는 단계로써, 상기 최대 감산율은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최대로 감축시킬 수 있는 정도이고;
상기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감산율은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1 감산율,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이상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2 감산율,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이상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3 감산율,
상기 명도의 평균값이 소정의 임계 평균값 미만이고, 상기 명도의 분산도가 소정의 임계 분산도 미만인 경우에 대응되는 제4 감산율,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감산율을 상기 제1 감산율, 상기 제2 감산율, 상기 제3 감산율 및 상기 제4 감산율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제4 감산율은 상기 제3 감산율 이상이고,
상기 제3 감산율은 상기 제2 감산율 이상이고,
상기 제2 감산율은 상기 제1 감산율 이상인,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래스트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트래스트를 상기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면서 상기 출력 비트레이트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가 대응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트래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감산율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킨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고,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은
상기 콘트래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영상의 양자화 파라미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고, 상기 결정된 양자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콘트래스트가 적용된 영상을 인코딩(Encod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Frame)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상기 감산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산출된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내에서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상기 콘트래스트 결정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해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각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는,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 콘트래스트(Contrast) 조절에 기반하여 영상의 출력 비트레이트(Bitrate)를 조절하는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장치는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를 산출하고,
상기 명도의 평균값 및 상기 명도의 분산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의 최대 감산율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감산율은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최대로 감축시킬 수 있는 정도이고,
상기 결정된 콘트래스트 최대 감산율 내에서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영상의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와 목표 비트레이트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출력 비트레이트가 상기 목표 비트레이트와 대응되는 경우의 콘트래스트를 상기 영상의 콘트래스트로 결정하는, 영상 획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812A KR102315524B1 (ko) | 2017-06-16 | 2017-06-16 |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US16/009,133 US10664958B2 (en) | 2017-06-16 | 2018-06-14 | Method of adjusting bitrate of imag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bitrate-adjusted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812A KR102315524B1 (ko) | 2017-06-16 | 2017-06-16 |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307A KR20180137307A (ko) | 2018-12-27 |
KR102315524B1 true KR102315524B1 (ko) | 2021-10-21 |
Family
ID=6465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812A KR102315524B1 (ko) | 2017-06-16 | 2017-06-16 |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664958B2 (ko) |
KR (1) | KR10231552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28869B1 (en) * | 2018-10-22 | 2021-09-21 | Bitmovin, Inc. | Video encoding based on customized bitrate table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74237B2 (en) | 2001-03-02 | 2013-02-12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High precision encoding and decoding of video images |
JP3849461B2 (ja) * | 2001-06-07 | 2006-11-22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
KR100545401B1 (ko) * | 2003-01-11 | 2006-01-24 | (주)플렛디스 | 평판 디스플레이의 화질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
US20090225829A2 (en) * | 2005-07-06 | 2009-09-10 | Do-Kyoung Kwo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al frame-layerrate control in video encoder |
US7787541B2 (en) * | 2005-10-05 | 2010-08-3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Dynamic pre-filter control with subjective noise detector for video compression |
KR100800838B1 (ko) * | 2006-07-27 | 2008-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디오 인코딩 데이터율 제어 방법 |
KR20080012073A (ko) | 2006-08-02 | 2008-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구동방법 |
JP5308391B2 (ja) * | 2010-03-31 | 2013-10-0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KR101337410B1 (ko) | 2010-12-23 | 2013-12-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동영상 부호기의 대블록에 대한 비트율 제어 방법 |
WO2014120367A1 (en) * | 2013-01-30 | 2014-08-07 | Intel Corporation | Content adaptive parametric transforms for coding for next generation video |
EP3029943B1 (en) * | 2014-12-04 | 2018-01-31 | Axis AB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perties of a graphical overlay for a video stream |
KR20160139233A (ko) | 2015-05-27 | 2016-12-07 |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 비트율 제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 |
US10356406B2 (en) * | 2016-01-19 | 2019-07-16 | Google Llc | Real-time video encoder rate control using dynamic resolution switching |
-
2017
- 2017-06-16 KR KR1020170076812A patent/KR1023155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14 US US16/009,133 patent/US1066495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307A (ko) | 2018-12-27 |
US20180365816A1 (en) | 2018-12-20 |
US10664958B2 (en) | 202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5479B1 (ko) | 시선 제어된 비트 레이트 | |
JP6479621B2 (ja) | ビデオ符号化方法及びビデオエンコーダシステム | |
US9854167B2 (en) |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oving image capturing device | |
US10999577B2 (en) | Quantization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and image capture apparatus | |
US8493499B2 (en) | Compression-quality driven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 |
US10110929B2 (en) | Method of pre-processing digital images, and digital image preprocessing system | |
KR20090051099A (ko) |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자동 노출 보상 | |
US10366465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 |
EP3182704B1 (en) | A bit rate controller and a method for limiting output bit rate | |
US10531087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CN108632527B (zh) | 控制器、摄像机以及用于控制摄像机的方法 | |
US11082698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encoding raw image control method ther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20130301700A1 (en) | Video encoding device and encoding method thereof | |
US1091764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11716541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2315524B1 (ko) |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
US11438515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for reducing a code amount | |
EP3672242B1 (en) | A method of encoding a video sequence | |
JP2023083234A (ja) | 画像取得デバイスを用いて撮影されたビデオストリームのビットレート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 |
KR20180028876A (ko) |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
KR102282462B1 (ko) | 영상의 비트레이트 조절 방법 및 영상 획득 장치 | |
US20160344932A1 (en) | Omnidirectional camera system | |
JP6253864B2 (ja) | カメラおよび符号量制御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