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97B1 -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97B1
KR102315397B1 KR1020210081193A KR20210081193A KR102315397B1 KR 102315397 B1 KR102315397 B1 KR 102315397B1 KR 1020210081193 A KR1020210081193 A KR 1020210081193A KR 20210081193 A KR20210081193 A KR 20210081193A KR 102315397 B1 KR102315397 B1 KR 10231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project
data
child projec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우
장정식
정구영
서형준
최의호
원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to KR102021008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97B1/ko
Priority to US17/846,471 priority patent/US20220405676A1/en
Priority to EP22180517.9A priority patent/EP41093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8Register arrangements
    • G06F9/3012Organisation of register space, e.g. banked or distributed register f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17Runtime instruction translation, e.g. macr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로젝트를 최소 단위 작업 기준으로 나누어서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순서대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프로젝트 운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JECT USING FILTER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일반 대중을 참여시키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크라우드 소싱은 대중(crowd)와 아웃소싱(outsourcing)의 합성어로, 기업 활동 일부 과정에 대중을 참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크라우드 소싱은 최근 디지털 장터에서 거래되는 기간제 근로의 의미를 갖는 긱 경제(Gig economy)에 적합한 구조로서, 기업이 수요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 디멘드(On demand)에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의 활동에 대중들을 참여시키면 기업 입장에서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실질적인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대중들은 피드백 참여에 관한 보수를 받을 수 있으며 클라우드 및 AI 기반의 RPA 기술과 인지(Cognitive), 분석(Smart Analysis)을 결합한 디지털 워크 포스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프로젝트 결과를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면 외부 전문업체에 맡겨서 직접 물건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하는 것보다 대중들이 직접 참여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이끌어내면 개발 비용도 저렴하게 들고, 잠재 고객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크라우드 소싱이 데이터 라벨링 자동화, 분산처리 설계, 온라인 비대면 관리 등 데이터 라벨링 서비스와 인적자원관리(HR Tech)에 이용되며 더 나아가 자율주행과 영상 학습 등 인공지능 솔루션 고도화를 위해 대량의 정형화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 산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일반 대중을 참여시키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즉, 기업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일반 대중, 즉 작업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완료된 작업 결과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가 오픈되면,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게 복수의 작업이 배정된다. 각각의 작업자는 배정받은 복수의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결과를 제공한다. 이후, 복수의 검수자 각각에게 작업 결과에 대한 복수의 검수 작업이 배정되고, 각각의 검수자는 배정받은 복수의 검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프로젝트는 단일 작업을 통해 결과를 얻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소스데이터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면, 작업자가 제공된 소스데이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결과데이터가 생성되는 형태의 단순한 구조이다. 그러나, 점점 기업이 요구하는 프로젝트가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로 변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프로젝트를 작업 종류에 따라 최소 단위 작업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최소 단위 작업 별 프로젝트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프로젝트 운영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5956호, 2014.08.04.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여기서, n은 자연수),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1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2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2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3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3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4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속성 정보는,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처리됨에 따라 업데이트되며, 최종 단위 작업 ID, 처리 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널(null)값에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널(null)값에서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2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유지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상기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에서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처리 여부가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수신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로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여부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여부가 모두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수신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수신된 결과데이터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된 결과데이터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가 아닌 다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필터 조건이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터링 여부는 false 값에서 true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필터 통과 목록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도록 업데이트되고, 상기 소스데이터 선별 단계는,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면, 수신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작업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다음 순서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만 수신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작업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에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값에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장치는, 통신부,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구비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고(여기서, n은 자연수),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1 업데이트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2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2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3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3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고,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4 업데이트하며,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트를 최소 단위 작업 기준으로 나누어서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순서대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프로젝트 운영이 가능하다.
각각의 소스데이터 별로 최소 단위 작업을 기준으로 작업 배정, 작업 수행, 검수 배정 및 검수 수행 등의 프로세스가 실시간으로 병렬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생산성이 증가하고,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소요기간이 단축되고, 인적 자원의 활용도가 제고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로젝트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프로젝트 운영 방식에 따른 프로젝트 전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운영 방식에 따른 프로젝트 전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포인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1:1 연결된 경우에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및 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복수의 태스크가 포함된 경우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및 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대다(1:m)으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일대다(1:m)로 연결된 경우에 N개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대일(m:1)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다대일(m:1)연결된 경우에 N개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소스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결과데이터 필터링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되기 전인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진행중인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완료된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필터링 완료된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소스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병합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결과 ID 및 결과구성요소 I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경우에 결과데이터들을 템플릿에 병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결과데이터들을 템플릿에 병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는 본 발명에 따른 비용 지급 시점 설정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의 재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불가 선택 수신 및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 수신 시 변경되는 포인터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불가 선택 수신 및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 수신 시 변경되는 필터링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노트북 PC,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로젝트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프로젝트 운영 방식에 따른 프로젝트 전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운영 방식에 따른 프로젝트 전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이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장치(100)는 의뢰 서버(200)로부터 프로젝트를 의뢰받을 수 있다. 의뢰 서버(200)는 장치(100)로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와 작업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프로젝트를 의뢰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의뢰 시 의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는 해당 프로젝트의 원천데이터로서, 프로젝트가 오픈되면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게 처리 요청되는 작업 대상 데이터일 수 있다. 소스데이터는 이미지 및 텍스트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소스데이터를 가지고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 요청 정보는 의뢰 서버(200)가 프로젝트를 통해 얻기 원하는 최종 결과물의 형태와 관련한 다양한 조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젝트 의뢰 시 의뢰 서버(200)부터 제공된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의뢰 서버(200)는 이미지 내에서 사람(객체)를 지정하여 해당 사람의 특성을 분류해달라는 조건 정보를 작업 요청 정보로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스데이터 및 작업 요청 정보와 함께 프로젝트 의뢰를 받은 장치(100)는 해당 작업 요청 정보를 기초로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내에서 사람(객체)를 지정하여 해당 사람의 특성을 분류해달라는 작업 요청 정보로부터 사람 바운딩(bounding) 작업과 태깅(tagging) 작업이 포함된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다. 프로젝트 설계가 완료되면 장치(100)는 플랫폼에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복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 각각에 소스데이터와 함께 작업 요청 정보에 기초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각각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이 자신에게 배정된 작업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처리 요청받은 소스데이터에서 사람을 찾아내어 바운딩 작업을 하고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에 대해 태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두가지 작업이 완료된 결과데이터는 태스크 관리 단말(400)로 제공되어 품질 관리자에 의해 검수되며, 검수까지 완료된 결과데이터는 최종 결과물로 추출될 수 있다. 의뢰된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프로젝트는 종료되고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에 대한 결과데이터가 최종 결과물로서 의뢰 서버(200)로 제공되게 된다.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태스크 처리자, 즉 소스데이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카메라를 구비하며,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상기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플랫폼에 오픈된 상기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태스크 관리 단말(400)은 품질 관리자, 즉 태스크 처리자가 처리한 결과데이터에 대한 검수를 수행하는 검수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태스크 관리 단말(4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카메라를 구비하며,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 관리 단말(400)은 상기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플랫폼에 오픈된 상기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프로젝트를 운영함에 있어서, 하나의 소스데이터에 대해 요구되는 작업의 형태가 복수개인 경우, 한 종류의 작업이 다 완료된 후에 다른 종류의 작업으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프로젝트가 운영되었다.
도 2와 같이 프로젝트가 N개의 소스데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소스데이터는 바운딩 작업 및 태깅 작업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장치(100)는 N개의 바운딩 작업을 복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각각 제공하여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장치(100)는 N개의 바운딩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N개의 바운딩 작업에 대한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바운딩 작업이 완료된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을 다시 동일한 또는 다른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공하여 태깅 작업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운영 방식은 하나의 작업 종류에 대해 N개의 소스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다른 하나의 작업 종류에 대해 N개의 소스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기 때문에, 만약 앞선 작업 종류에서 어떠한 이유로 병목이 생긴다면 다음 작업 종류는 기약없이 대기 상태에 있어야 하므로, 프로젝트의 전체 소요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N개의 바운딩 작업이 모두 동일한 시간이 걸리고, N개의 태깅 작업도 모두 동일한 시간이 걸린다고 가정했을 때, 종래의 운영 방식에서 프로젝트의 전체 소요 시간은 N(t1+t2)로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운영 방식은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게, 원래의 프로젝트를 최소 단위 작업 기준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차일드(child) 프로젝트를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프로젝트를 최소 단위 작업 별로 작은 프로젝트로 나누어서 개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프로젝트가 N개의 소스데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소스데이터는 바운딩 작업 및 태깅 작업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N개의 소스데이터를 포함하는 원래의 프로젝트는 N개의 바운딩 작업을 포함하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와 N개의 태깅 작업을 포함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프로젝트가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로 분류되면, 장치(100)는 N개의 소스데이터를 개별로 관리할 수 있다. 즉,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장치(100)는 하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소스데이터 1에 대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고, 이후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다른 하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소스데이터 1에 대한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소스데이터 1과는 독립적으로 장치(100)는 하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소스데이터 2에 대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고, 이후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소스데이터 2에 대한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소스데이터에 대해서도 각각 개별적으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 후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식은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개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특정 소스데이터에서 어떠한 이유로 병목이 생겼다고 해도 다른 소스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처리가 수행되고 있으므로 종래의 방식과 같이 모든 데이터들이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는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젝트의 전체 소요 시간이 종래의 방식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N개의 소스데이터에 대해 제1 차일드 프로젝트들의 소요 시간이 동일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들의 소요 시간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식에서 프로젝트의 전체 소요 시간은 t1+Nt2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운영 방식에서 프로젝트의 전체 소요 시간이 N(t1+t2)이고,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식에서 프로젝트의 전체 소요 시간이 t1+Nt2라면, 본 발명에 따라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경우,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t1(N-1)만큼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통신부(12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장치(100)와 의뢰 서버(200) 사이, 장치(100)와 태스크 처리 단말(300) 사이, 장치(100)와 태스크 관리 단말(400) 사이, 장치(10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 또는 장치(100)와 통신망(미도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60)에 의하여 상기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의뢰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원천데이터인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태스크 처리 단말(300) 및 태스크 관리 단말(400)에 의해 작업 및 검수가 완료된 결과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각 소스데이터 별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각 소스데이터 별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데이터의 배치와 관련된 소스데이터 별로 설계된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복수의 프로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는 프로세서(160)에 대한 동작을 설명할 때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6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 데이터 저장위치 정보 생성부(162),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 필터링 수행부(165), 템플릿 설계부(166), 데이터 셋팅부(167), 데이터 병합부(168) 및 에러 관리부(16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6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인터를 이용하여 이전 순서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다음 순서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포인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1:1 연결된 경우에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및 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복수의 태스크가 포함된 경우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및 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대다(1:m)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일대다(1:m)로 연결된 경우에 N개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대일(m:1)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다대일(m:1)로 연결된 경우에 N개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소스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소스데이터는 의뢰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원천데이터로서, 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자가 수동으로 업로드하는 과정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셋팅과정을 통해 준비되었다.
최소 단위 작업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작업을 통해 생산된 결과데이터를 다른 작업의 소스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여러 최소 단위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이 관리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이전 작업의 결과데이터를 복사하여 다음 작업의 소스데이터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는 데이터 복사 과정에서 시간, CPU, 메모리, 저장소 자원이 데이터의 용량과 수량에 비례해서 소요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포인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제1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 단위 작업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60)가 제1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하여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110).
이때,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고, n이 3인 경우, 제n 차일드 프로젝트는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세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n이 1인 경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미리 셋업된 원천데이터일 수 있다.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총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첫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는 이전에 처리되어야 할 차일드 프로젝트가 없으므로 이전 작업에 대한 결과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의뢰자가 의뢰 서버(200)를 통해 제공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원천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n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고, n이 2인 경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두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첫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상기 원천데이터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뢰 서버(200)에 의해 의뢰된 원프로젝트가 N개의 소스데이터(원천데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소스데이터는 바운딩 작업 및 태깅 작업을 포함하는 경우,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은 두개의 차일드 프로젝트로 설계될 수 있다. 즉,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은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태깅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바운딩 작업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태깅 작업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0).
n이 1인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는 의뢰자가 의뢰 서버(200)를 통해 제공한 원천데이터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n이 2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n이 2인 경우,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는 상기 원천데이터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에, 또다시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중첩되어 표시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위치 정보 생성부(162)는 상기 결과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하여 상기 결과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데이터 저장위치 정보 생성부(162)는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결과데이터를 메모리(140) 상 특정 위치에 저장하고, 결과데이터가 저장된 특정 위치의 주소값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S140).
다음으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S150).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소스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에 저장된 상기 결과데이터를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S160).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생성 또는 변경되는 각종 데이터 속성 정보들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속성 정보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의 진행 상태, 소스포인터 및 결과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작업 대상 데이터로 식별하여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에 특정 주소값이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로서,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에 특정 주소값이 기록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특정 주소값이 가리키는 위치에 저장된 결과데이터를 작업 대상 데이터로 식별하고, 이를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의 값은 쓰레기값 또는 널(null)값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소값으로 변경되어 기록될 수 있다.
동시에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의 값도 쓰레기값 또는 널(null)값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소값으로 변경되어 기록될 수 있다.
즉,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와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는 동일한 주소값을 가리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원프로젝트의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 중 소스데이터 1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가 메모리(140) 상 "0X11"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경우, 소스데이터 1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포인터와 소스데이터 1의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포인터는 동일하게 "0X11"의 주소값을 가리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0X11"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결과데이터를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가 복수의 태스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각각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메모리 상의 동일한 위치에 저장하여 하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가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task 1) 및 태깅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task 2), 총 2개의 태스크를 포함하는 경우,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task 1)의 결과데이터와 태깅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task 2)의 결과데이터는 메모리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해서 복수의 결과데이터가 수신되어도 하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복수의 결과데이터들은 동일 위치에 묶음으로 저장되어, 하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하나의 위치 정보만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생성된 위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포인터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포인터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하나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묶음으로 저장된 결과데이터를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하여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170).
제n 차일드 프로젝트가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고, 제n+1 차일드 프로젝트가 태깅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경우,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 즉 바운딩 처리된 데이터에 태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는,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총 3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뒷순서로 연결된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소스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처리자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처리자는 동일한 결과데이터를 가지고 각자의 작업(각각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포함된 태스크)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는, 상기 메모리(140) 상의 하나의 주소를 가리키며, 상기 메모리(140) 상의 하나의 주소는,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원프로젝트의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 중 소스데이터 1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가 메모리(140) 상 "0X11"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경우, 소스데이터 1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포인터와 소스데이터 1의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포인터와 소스데이터 1의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소스포인터는 동일하게 "0X11"의 주소값을 가리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0X11"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결과데이터를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3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총 4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이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뒷순서로 연결되고 제4 차일드 프로젝트(CP4)의 앞순서로 연결된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소스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결과데이터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결과데이터는 제4 차일드 프로젝트(CP4)의 소스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차일드 프로젝트(CP4)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처리자는 두개의 결과데이터를 가지고 동일한 작업(제4 차일드 프로젝트에 포함된 태스크)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n+3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는 상기 메모리(140) 상의 서로 다른 두개의 주소를 가리키는 다중포인터로 형성되며, 상기 메모리(140) 상의 서로 다른 두개의 주소는 각각,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프로젝트의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 중 소스데이터 1의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결과데이터가 메모리(140) 상 "0X12"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되고 소스데이터 1의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결과데이터가 메모리(140) 상 "0X13"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경우, 소스데이터 1의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결과포인터는 "0X12"의 주소값을 가리키고 제3 차일드 프로젝트(CP3)의 결과포인터는 "0X13"의 주소값을 가리키고, 제4 차일드 프로젝트(CP4) 소스포인터는 "0X12"와 "0X13"의 두개의 주소값을 가리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0X12"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결과데이터와 "0X13"의 주소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된 결과데이터를 모두 제4 차일드 프로젝트(CP4)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인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은 상기 순차적인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처리됨에 따라 데이터 속성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생성 또는 변경되는 각종 데이터 속성 정보들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수신되어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에 특정 주소값이 기록되면 데이터 속성 정보에 포함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정보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 정보를 해당 주소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속성 정보를 업데이트 함에 있어서, 특정 항목에 대해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한다고 해도 기존 정보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가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데이터 속성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소스데이터 1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소스데이터 1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소스데이터 1의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업데이트와 관련된 모든 히스토리가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소스데이터 1의 메타데이터는 모든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태스크 처리 단말 ID, 소스포인터 값 및 결과포인터 값이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를 통해 관리되는 항목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소스데이터와 관련한 모든 데이터가 기록되고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와 포인터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연결 구성(1:1, m:1, 1:m)이 가능하며 데이터 자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포인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전 작업의 결과데이터를 다음 작업의 소스데이터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져 성능과 자원 사용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이전 순서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에 대한 조건 검증을 통해 다음 순서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결과데이터 필터링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되기 전인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진행중인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완료된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필터링 완료된 시점의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소스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제2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 단위 작업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60)가 제2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하여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210).
이때,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고, n이 3인 경우, 제n 차일드 프로젝트는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세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n이 1인 경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미리 셋업된 원천데이터일 수 있다.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총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첫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는 이전에 처리되어야 할 차일드 프로젝트가 없으므로 이전 작업에 대한 결과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의뢰자가 의뢰 서버(200)를 통해 제공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원천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n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5개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고, n이 2인 경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두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첫번째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는 상기 원천데이터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뢰 서버(200)에 의해 의뢰된 원프로젝트가 N개의 소스데이터(원천데이터)를 포함하고(여기서, N는 자연수), 각각의 소스데이터는 바운딩 작업 및 태깅 작업을 포함하는 경우,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은 두개의 차일드 프로젝트로 설계될 수 있다. 즉,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은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태깅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바운딩 작업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태깅 작업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1 업데이트할 수 있다(S220).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생성 또는 변경되는 각종 데이터 속성 정보들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속성 정보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의 진행 상태, 최종 단위 작업 ID, 처리 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이터 속성 정보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각각 처리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각각 처리됨에 따라 최종 단위 작업 ID, 처리 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 등의 데이터 속성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n이 1인 경우, 단계 S220은 A구간(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처리가 요청된 이후 제1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처리가 요청되기 전의 데이터 속성 정보는 최종 단위 작업 ID가 null 값, 처리 여부가 null 값, 필터링 여부가 False 값, 필터 통과 목록이 null 값을 가지고 있다.
이후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처리가 요청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속성 정보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널(null)값에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CP1)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널(null)값에서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나머지 정보들(필터링 여부 및 필터 통과 목록)은 필터링 수행 전이므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첫번째 순서인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가 처리 요청되기 전에는 아무에게도 작업이 배정되기 전이므로 최종 단위 작업 ID, 처리 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의 값이 전부 null 값(기본값)이었다가, 처리 요청이 되면 해당 차일드 프로젝트(CP1)가 특정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배정되어 작업 진행 중인 상태이므로 해당 상태에 맞게 최종 단위 작업 ID와 처리 여부가 업데이트되는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n이 2 이상인 경우, 단계 S220은 후술할 단계 S290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30).
n이 1인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는 의뢰자가 의뢰 서버(200)를 통해 제공한 원천데이터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n이 2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n이 2인 경우,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는 상기 원천데이터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에, 또다시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결과가 중첩되어 표시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2 업데이트할 수 있다(S240).
도 16을 참조하면, n이 1인 경우, 단계 S240은 B구간(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이후 제2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상태의 데이터 속성 정보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유지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상기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에서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나머지 정보들(필터링 여부 및 필터 통과 목록)은 필터링 수행 전이므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N이 2이상인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필터링 수행부(165)는 제2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S250).
단계 S240에서 상기 처리 여부가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필터링 수행부(165)는 수신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여부 및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여부가 모두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수신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이 3인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처리 여부가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처리 여부가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두개의 결과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 S250에서, 필터링 수행부(165)는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데이터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데, 이때 필터링 수행된 결과데이터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필터링 수행부(165)는 필터링 수행된 결과데이터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가 아닌 다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필터 조건이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다대일(m:1)로 연결되어 있는데(이때, m은 2이상의 자연수), 이전 순서의 m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일드 프로젝트만이 다음 순서의 차일드 프로젝트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차일드 프로젝트는 다음 순서의 차일드 프로젝트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음 순서의 차일드 프로젝트와 연결되어 있는 차일드 프로젝트들의 결과데이터에 대해서만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일드 프로젝트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다음 순서로 제3 차일드 프로젝트가 연결된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는 제3 차일드 프로젝트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2 차일드 프로젝트는 제3 차일드 프로젝트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필터링 수행부(165)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모두 필터링을 수행하고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에 대해서는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에 대해서는 필터 조건이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필터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3 업데이트할 수 있다(S260).
도 16을 참조하면, n이 1인 경우, 단계 S260은 C구간(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50에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여부는 false 값에서 true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필터 통과 목록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반대로, 단계 S250에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 조건이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상기 필터링 여부는 false 값에서 true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필터 통과 목록은 null 값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일대다(1:m)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때, m은 2이상의 자연수),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가 다음 순서인 m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전부에 대해서 필터 조건(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와 연결이 되어있는지의 여부)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필터 통과 목록은 m개의 차일드 프로젝트 전부에 대한 필터 ID가 포함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일드 프로젝트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전 순서로 제1 차일드 프로젝트가 연결된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가 제2 차일드 프로젝트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와 모두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경우,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필터 통과 목록은 제2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와 제3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를 전부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N이 2이상인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제3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할 수 있다(S270).
다음으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280).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작업 대상 데이터로 식별하여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데이터 속성 정보 중 필터 통과 목록에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a를 참조하면,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면, 수신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작업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고, 선별된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반면, 도 20b를 참조하면,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면(null 값이거나 다른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ID가 포함된 경우), 수신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작업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다음 순서로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만 수신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되었지만, 이전 순서인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만이 연결된 경우,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면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4 업데이트할 수 있다(S290).
도 16을 참조하면, n이 1인 경우, 단계 S290은 C구간(시점)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가 요청된 이후 제4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90에서,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에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값에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때, 필터링 여부는 True 값에서 False 값으로 변경되고, 필터 통과 목록은 다시 null값으로 변경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터 통과 목록은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를 계속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데이터 속성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소스데이터 1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소스데이터 1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소스데이터 1의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업데이트와 관련된 모든 히스토리가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소스데이터 1의 메타데이터는 모든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태스크 처리 단말 ID, 처리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의 값이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를 통해 관리되는 항목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소스데이터와 관련한 모든 데이터가 기록되고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일드 프로젝트와 차일드 프로젝트 사이에 독립된 필터 프로세스를 구성함으로써 프로젝트의 확장성 및 운용성 확보가 가능하고,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이전 작업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다음 작업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병합을 이용하여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들을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템플릿에 병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병합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결과 ID 및 결과구성요소 I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경우에 결과데이터들을 템플릿에 병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결과데이터들을 템플릿에 병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병합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제3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 단위 작업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들의 결과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병합함으로써 의뢰자가 원하는 형식에 부합하는 최종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60)가 제2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템플릿 설계부(166)는 의뢰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을 설계할 수 있다(S310).
템플릿 설계부(166)는 의뢰된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소스데이터들의 결과 형식에 대한 구성을 결정함으로써 각각의 소스데이터에 대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을 설계할 수 있다.
이때, 결과 형식은 의뢰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초기 협의 요건(작업 요청 정보) 중 하나로서, 템플릿 설계부(166)는 결과 형식에 따라 차일드 프로젝트 설계 전에 최종 결과물에 포함될 요소들을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은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결과데이터들이 첨부되는 복수의 영역(요소)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복수의 소스데이터 중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은, 이후 단계 S320에서 상기 특정 소스테이터에 대해 설계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의 결과데이터가 첨부될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템플릿 설계부(166)는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상기 결과구성요소 ID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결과 형식에 따라 정의된 요소들 각각이 최종 결과물의 포맷 상에서 어느 위치에 어떠한 크기로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설정하고, 각각의 요소들에 대해 고유 구분값으로서 결과구성요소 ID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차일드 프로젝트 설계부(미도시)는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를 설계할 수 있다(S320).
단계 S320은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뢰 서버(200)에 의해 의뢰된 원프로젝트가 N개의 소스데이터(원천데이터)를 포함하고(여기서, N는 자연수), 각각의 소스데이터는 바운딩 작업 및 태깅 작업을 포함하는 경우,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은 두개의 차일드 프로젝트로 설계될 수 있다. 즉,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은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태깅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를 포함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바운딩 작업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은 태깅 작업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데이터 셋팅부(167)는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소스데이터의 속성값인 단위결과 ID를 부여할 수 있다(S330).
다음으로, 데이터 셋팅부(167)는 상기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설계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결과데이터의 속성값인 결과구성요소 ID를 부여할 수 있다(S340).
도 23을 참조하면, 데이터 셋팅부(167)는 의뢰서버(200)로부터 의뢰받은 소스데이터(원천데이터)가 총 N개라면, 데이터 셋팅부(167)는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SD_1, SD_2, SD_3,…,SD_N과 같이 단위결과 ID를 각각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2개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설계된 경우, 도 23과 같이, 각각의 소스데이터에 대한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CP_1, CP_2와 같이 결과구성요소 ID를 각각 부여할 수 있다. 도 23에서는 각 소스데이터에 대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부여된 결과구성요소 ID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각 결과구성요소 ID는 CP_1_1, CP_1_2, CP_2,1, CP_2_2,…,CP_N_1, CP_N_2와 같이 상이하게 부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각 소스데이터가 전부 동일하게 두개의 차일드 프로젝트로 설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각 소스데이터는 설계된 차일드 프로젝트의 개수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복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 각각에 상기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설계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350).
다음으로,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복수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설계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S360).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 및 결과데이터 수신에 관련한 S350 및 S360은 상기 단계 S110, 단계 S120, 단계 S170, 단계 S210, 단계 S230 및 단계 S2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데이터 중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2 차일드 프로젝트가 설계된 경우,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상기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부는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제1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요청하고, 상기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2 차일드 프로젝트의 제2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N개의 소스데이터 전체에 대해 설계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처리를 각각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요청할 수 있고, 통신부(120)는 각각의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들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ID매칭부(미도시)는 각각의 결과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해당 결과데이터에 단위결과 ID 및 결과구성요소 ID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370).
구체적으로, 각각의 결과데이터가 수신될 때, 해당 결과데이터에 상응하는 소스데이터에 대해 미리 부여된 단위결과 ID와 결과구성요소 ID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한 제1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2 결과데이터의 저장 시, 상기 제1 결과데이터에 매칭된 단위결과 ID와 상기 제2 결과데이터에 매칭된 단위결과 ID는 동일하고, 상기 제1 결과데이터에 매칭된 결과구성요소 ID와 상기 제2 결과데이터에 매칭된 결과구성요소 ID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결과데이터가 소스데이터 3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데이터인 경우, ID매칭부(미도시)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 단위결과 ID를 SD_3으로 매칭하고, 결과구성요소 ID를 CP_1(또는 CP_3_1)로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수신된 결과데이터가 소스데이터 3의 제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데이터인 경우, ID매칭부(미도시)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 단위결과 ID를 SD_3으로 매칭하고, 결과구성요소 ID를 CP_2(또는 CP_3_2)로 매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데이터 병합부(168)는 단위결과 ID 또는 상기 결과구성요소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따라 병합할 수 있다(S380).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제2 차일드 프로젝트가 연속적인 순서를 갖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결과데이터(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한 모든 결과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한 상기 단위결과 ID와 동일한 단위결과 ID가 매칭된 상기 제1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2 결과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2 결과데이터를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병합할 수 있다.
즉, 모든 소스데이터들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수집된 수많은 결과데이터들 중에서, 매칭된 단위결과 ID가 동일한 결과데이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결과 ID가 SD_1인 결과데이터들만을 추출하고, 단위결과 ID가 SD_2인 결과데이터들만을 추출하는 등 단위결과 ID 별로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상기 제1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2 결과데이터를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병합 시, 상기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2 결과데이터를 상기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포함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병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제1 결과데이터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제2 결과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구성요소 ID를 이용해 그룹핑하지 않아도 해당 순서에 따라 각 결과데이터들이 어떤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지 식별할 수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 병합부(168)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의 연결 순서에 따라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제1 결과데이터를 소스데이터 1의 템플릿에서 결과구성요소 ID가 CP_1이 부여된 영역 1에 병합하고,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제2 결과데이터를 소스데이터 1의 템플릿에서 결과구성요소 ID가 CP_2가 부여된 영역 2에 병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제2 차일드 프로젝트가 연속적인 순서를 갖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결과데이터(N개의 소스데이터 각각에 대한 모든 결과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한 단위결과 ID와 동일한 단위결과 ID가 매칭된 상기 제1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2 결과데이터를 추출하고, 제1 결과구성요소 ID가 매칭된 상기 제1 결과데이터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2 결과구성요소 ID가 매칭된 상기 제2 결과데이터를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상기 특정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병합 시, 상기 최종 결과 형식 템플릿에 포함된 제1 영역에 제1 결과구성요소 ID가 부여되고, 제2 영역에 제2 결과구성요소 ID가 부여된 경우, 상기 제1 그룹을 상기 제1 영역에 병합하고 상기 제2 그룹을 상기 제2 영역에 병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소스데이터에 대해 설계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제1 결과데이터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제2 결과데이터는 무작위로 저장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단위결과 ID를 이용해 동일한 소스데이터에 대한 결과데이터들을 먼저 추출하고, 추출된 결과데이터들에 부여된 결과구성요소 ID를 이용하여 결과구성요소 ID 별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룹 1로 그룹핑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는 템플릿에서 결과구성요소 ID가 CP_1이 부여된 영역 1에 병합되고, 그룹 2로 그룹핑된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결과데이터는 템플릿에서 결과구성요소 ID가 CP_2가 부여된 영역 2에 병합될 수 있다.
이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 또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결과데이터가 여러개인 경우, 결과구성요소 ID 별로 그룹핑하여 템플릿에 병합함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간 연결 복잡도와 최소 단위 작업 개수에 상관없이 원하는 최종 결과물의 형식에 맞춰 작업 결과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결과데이터 구성이 화면 요소 설계에 따라 결정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게 모든 작업이 완료된 후 모든 결과데이터들을 템플릿 형식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병합하기 때문에 작업 화면 요소 설계에 대해 독립적이고 자유도가 높은 결과데이터 설계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3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지급 시점의 설정을 통해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이전 순선인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오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는 본 발명에 따른 비용 지급 시점 설정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음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전 차일드 프로젝트의 재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불가 선택 수신 및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 수신 시 변경되는 포인터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불가 선택 수신 및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 수신 시 변경되는 필터링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는 비용 지급 시점 설정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제4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 단위 작업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들 중 다음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에서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에 대한 오류 발견 여부에 따라 이전 순서인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을 지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60)가 제4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 및 결과데이터 수신에 관련한 S410 및 S420은 상기 단계 S110, 단계 S120, 단계 S210 및 단계 S23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작업 대상 데이터 식별부(164)는 데이터 포인터 및 데이터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은 상기 도 7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은 상기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 또는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440).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상기 데이터 포인터를 이용하여 소스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포인터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터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는,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값 및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를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한 경우, 소스데이터 1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포인터와 소스데이터 1의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포인터는 동일한 주소값(예를 들어, 0x11)을 가리키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는 상기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소스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필터링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링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는,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필터링 여부 및 필터 통과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를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로 획득한 경우, 소스데이터 1의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필터링 여부가 True 값을 갖고, 필터 통과 목록에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450).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 및 결과데이터 수신에 관련한 S410 및 S450은 상기 단계 S170 및 단계 S2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에러 관리부(169)는 요청에 대한 제2 태스크 처리 단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S460).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27을 참조하면,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 시점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결과데이터가 수신된 시점 이후이다. 이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가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가 끝나기도 전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 지급이 이루어지면, 이후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어도 이미 지급된 비용을 회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비용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 시점은,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가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값에서 완료됨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는 시점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 관리부(169)는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 중 처리 여부가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이를 식별하고 비용지급부(미도시)로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불가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에 대한 비용 지급 대신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재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즉, 도 28을 참조하면,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 불가가 선택되면,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재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를 요청받은 처리자는 자신의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을 통해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포함된 태스크를 작업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태스크에 대한 처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을 통해 처리 불가 버튼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공되는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데이터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처리 결과가 표시된 데이터이다. 만약,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가 바운딩 작업과 관련된 태스크인데,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공된 소스데이터에는 바운딩 관련 처리 결과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처리자는 해당 소스데이터에 대한 처리불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에 대한 재처리 요청 시,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재처리 요청 시, 상기 데이터 포인터를 이용하여 소스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에러 관리부(169)는 데이터 속성 정보 관리부(163)로 상기 포인터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에 포함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 값을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 값으로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태스크 처리 요청부(161)는 변경된 소스포인터 값이 가리키는 위치에 저장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재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 불가 선택이 수신되면,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포인터의 값이 "0X11"에서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포인터의 값과 동일하게 "0X12"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처리 요청 시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공되는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소스데이터는 이전 작업된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데이터가 될 수 있다. 즉,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의 처리자는 자신이 이전에 작업했던 결과데이터를 보고 잘못된 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
이후,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면,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위치 정보가 생성되고(즉, 메모리(140) 상에서 다른 위치에 저장됨),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결과포인터와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의 소스포인터에는 동일한 주소값(0X13)이 기록되게 된다.
다른 예로, 재처리 요청 시, 상기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소스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상기 필터링 관련 데이터 속성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필터링 여부를 true 값에서 false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서 제n+1 차일트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를 제외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2 차일드 프로젝트(CP2)에 대한 처리 불가 선택이 수신되면, 제1 차일드 프로젝트의 필터링 여부 값이 "True"에서 "False"로 변경되고, 필터 통과 목록에서 제2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Filter_CP2)가 제외될 수 있다.
이후,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부터 제1 차일드 프로젝트(CP1)의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면,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여부 값은 "False"에서 "True"로 변경되고, 필터 통과 목록에는 다시 제2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Filter_CP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데이터 속성 정보는,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처리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데이터 속성 정보는,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각각 처리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각각 처리됨에 따라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의 진행 상태, 소스포인터 및 결과포인터, 최종 단위 작업 ID, 처리 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 등의 데이터 속성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 의해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를 상기 처리 불가를 선택했던 상기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다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데이터 별로 메타데이터가 관리되므로, 이전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를 배정받았었던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제n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해 처리 불가 선택했었던 동일한 제2 태스크 처리 단말(300)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재처리 완료된 결과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처리자가 동일한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담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적으로 각각의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해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 의해 작업만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각의 차일드 프로젝트는 태스크 처리 단말(300)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어 결과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 태스크 관리 단말(400)에 의해 검수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참조한 도면 및 그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양한 방식 또는 형태로 조합 및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단계 S4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단위 작업 관리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프로젝트 관리 장치
120: 통신부
140: 메모리
160: 프로세서
200: 의뢰 서버
300: 태스크 처리 단말
400: 태스크 관리 단말

Claims (11)

  1.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여기서, n은 자연수);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1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2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2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3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3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4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 정보는,
    상기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가 처리됨에 따라 업데이트되며,
    최종 단위 작업 ID, 처리 여부, 필터링 여부, 필터 통과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널(null)값에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널(null)값에서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2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유지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상기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에서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처리 여부가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수신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로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여부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여부가 모두 완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면, 수신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필터링 대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수신된 결과데이터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된 결과데이터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이전 순서가 아닌 다른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결과데이터에 대해서 필터 조건이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필터 조건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터링 여부는 false 값에서 true 값으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필터 통과 목록은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도록 업데이트되고,
    상기 소스데이터 선별 단계는,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포함되면, 수신된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작업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다음 순서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2 차일드 프로젝트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
    상기 필터 통과 목록에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 관련 필터 ID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만 수신된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가 작업 대상 데이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 및 상기 제n+2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최종 단위 작업 ID가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에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ID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처리 여부가 이전 순서인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값에서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진행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업데이트되는, 방법.
  10.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구비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순차적인 순서로 연결된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고(여기서, n은 자연수),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1 업데이트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태스크 처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 결과인 결과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2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2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의 결과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n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3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3 업데이트된 데이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과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중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로 선별하고,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소스데이터를 제2 태스크 처리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의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에 대한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n+1 차일드 프로젝트와 관련된 데이터 속성 정보를 제4 업데이트하며,
    상기 복수의 차일드 프로젝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포함하며, 각각에 포함된 태스크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태스크는 태스크 처리 단말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최소 단위 작업을 나타내는 것인, 장치.
  11.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한 기록매체.
KR1020210081193A 2021-06-22 2021-06-22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1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193A KR102315397B1 (ko) 2021-06-22 2021-06-22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17/846,471 US20220405676A1 (en) 2021-06-22 2022-06-22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by using data filtering
EP22180517.9A EP4109367A1 (en) 2021-06-22 2022-06-22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by using data filt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193A KR102315397B1 (ko) 2021-06-22 2021-06-22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97B1 true KR102315397B1 (ko) 2021-10-20

Family

ID=7826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193A KR102315397B1 (ko) 2021-06-22 2021-06-22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05676A1 (ko)
EP (1) EP4109367A1 (ko)
KR (1) KR1023153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620896B1 (ko) * 2014-02-27 2016-05-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프로세싱 타입을 고려한 맵리듀스 프로그램 모델의 수행 성능 향상 방법, 수행 성능 향상 장치 및 수행 성능 향상 시스템
KR102155877B1 (ko) * 2020-03-20 2020-09-1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참여 자격에 매칭되는 프로젝트 정보 제공 방법
KR102155839B1 (ko) * 2019-09-26 2020-09-1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작업불가 사유 기반의 작업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155889B1 (ko) * 2020-04-13 2020-09-15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다른 작업자의 작업 결과에 대한 2차 작업을 통한 품질 개선 방법
KR20210036881A (ko) * 2020-09-15 2021-04-05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6545B2 (en) * 2011-10-17 2014-01-07 CrowdFlower, Inc. Predicting future performance of multiple workers on crowdsourcing tasks and selecting repeated crowdsourcing work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620896B1 (ko) * 2014-02-27 2016-05-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프로세싱 타입을 고려한 맵리듀스 프로그램 모델의 수행 성능 향상 방법, 수행 성능 향상 장치 및 수행 성능 향상 시스템
KR102155839B1 (ko) * 2019-09-26 2020-09-1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작업불가 사유 기반의 작업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155877B1 (ko) * 2020-03-20 2020-09-1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참여 자격에 매칭되는 프로젝트 정보 제공 방법
KR102155889B1 (ko) * 2020-04-13 2020-09-15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다른 작업자의 작업 결과에 대한 2차 작업을 통한 품질 개선 방법
KR20210036881A (ko) * 2020-09-15 2021-04-05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9367A1 (en) 2022-12-28
US20220405676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7847A1 (en) Hyperparameter tuning using visual analytics in a data science platform
US20190384640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virtual automated assistance
US93240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ustering, modeling, and visualizing process models from noisy logs
CN108292383B (zh) 与通信相关联的任务的自动提取
US11321634B2 (en) Minimizing risk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2022001995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Interpreting, Learning, and Synchronizing Information to Help Users with Intelligent Management of Work
KR20180109785A (ko) 일정-평가 아이템 및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00410387A1 (en) Minimizing Risk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20210286604A1 (en) Methods, services, systems, and architectures to optimize laboratory processes
CN112102099B (zh) 保单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13474A (ko) 일정-평가 아이템 및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41364A (ko) 태스크 트래킹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897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project flows in a megaproject
KR102315397B1 (ko) 데이터 필터링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15433B1 (ko) 비용 지급 시점 설정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15432B1 (ko) 데이터 포인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15428B1 (ko) 데이터 병합을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6820714A (zh) 一种算力设备的调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235158B (zh) 日历上的经分类的时间指定
US20150379529A1 (en) System, service and methodology of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and effective delivery of dashboard snapshot presentations of organized customer proprietary information on an individualized secure basis to multiple customers
Stich et al. Relevant capabilities for information management to achieve Industrie 4.0 maturity
US20190266544A1 (en) Techniques for managing process-flows across an enterprise
US20150242786A1 (en) Integrating process context from heterogeneous workflow containers to optimize workflow performance
US119955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by using data merging
CN112183982A (zh) 一种工作流程创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