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109B1 -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109B1
KR102315109B1 KR1020190150961A KR20190150961A KR102315109B1 KR 102315109 B1 KR102315109 B1 KR 102315109B1 KR 1020190150961 A KR1020190150961 A KR 1020190150961A KR 20190150961 A KR20190150961 A KR 20190150961A KR 102315109 B1 KR102315109 B1 KR 10231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input
type
interactiv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828A (ko
Inventor
박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에스
Priority to KR102019015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109B1/ko
Priority to US17/640,257 priority patent/US20220318494A1/en
Priority to PCT/KR2020/005956 priority patent/WO2021100989A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방법은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ELECTRONIC DOCUMENT BY INTERACTIVE TYPE AND DOCUMENT TYPE,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TYPE ELECTRONIC DOCUMNET}
본원은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 영역에서 다양한 양식의 문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서들은 종래에는 종이에 인쇄된 형태로 작성되었다면, 최근 다양한 문서들을 전자적인 형태로 생성하는 전자문서 및 전자서명 서비스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정부의 페이퍼리스(Paperless) 정책과 맞물려 급속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에 따라 음성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경험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왔다. 현재 음성 기반 서비스의 대부분은 개인의 일상 생활에 연계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기업의 업무 영역에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음성 입력 등을 기초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기술 및 시스템이나 음성 입력 등을 기초로 전자 문서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아울러, 음성 기반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입력수단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역시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왔다. 따라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종래의 방식에서 주로 활용되었던 문서 형태의 작성 방식과 함께 음성 입출력을 통해 대화를 주고 받으면서 전자 문서를 작성 또는 관리할 수 있게 구현한다면 업무 처리와 연계된 전자문서의 작성과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관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52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발화)를 통하여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대화형 작성 모드와 문서 형태로 제공되는 화면에서 터치 입력 방식 또는 텍스트 입력 방식으로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문서형 작성 모드를 함께 제공하는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화를 하듯이 질문을 주고 받으면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템플릿 내 기입 항목에 대한 대화형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화형 작성 모드와 문서형 작성 모드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방법은,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방법은,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음성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방법은, 상기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에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질문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에 대한 상기 응답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입 항목에 대응되는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복수의 상기 질문이 상기 기입 순서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 텍스트 타입으로 표시되는 안내문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입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구에 대하여 공통된 상기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의어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입력이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재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문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완성하기 위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컴포넌트 추출부,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대화 설정부 및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는,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거나 음성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문서 작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 설정부는, 복수의 상기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설정하는 정렬부 및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 설정부는, 상기 응답 입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구에 대하여 공통된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의어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응답 입력이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재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문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서식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성(발화)를 통하여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대화형 작성 모드와 문서 형태로 제공되는 화면에서 터치 입력 방식 또는 텍스트 입력 방식으로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문서형 작성 모드를 함께 제공하는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화를 하듯이 질문을 주고 받으면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템플릿 내 기입 항목에 대한 대화형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화형 작성 모드와 문서형 작성 모드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형 작성 모드 및 대화형 작성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컴포넌트의 유형에 따른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설정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30)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이하,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시스템(10)은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30)에서 전자문서(40)를 작성하고, 작성된 전자문서(40)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과 동일한 서버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 및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3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형 작성 모드 및 대화형 작성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에서의 문서형 작성 모드(Document Mode)에서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이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는 표시된 전자문서 템플릿에 대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기입 항목에 대한 입력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입력 영역에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응답 입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전자문서 템플릿 내 복수의 기입 항목을 채워 나가면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화면(인터페이스)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제1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에서의 대화형 작성 모드(Input Mode)에서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에 포함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대화식 컴포넌트가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는 대화식 컴포넌트에 포함된 질문에 대한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전자문서 템플릿 내 복수의 기입 항목을 채워 나가면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화면(인터페이스)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제2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인터페이스에는 설정된 대화식 컴포넌트에 포함된 질문이 텍스트 타입으로 표시되는 영역(32),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인가한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이 Speech-to-Text 처리를 거쳐 인식되어 표시되는 영역(33),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의 완성을 위하여 입력해야 하는 총 대화식 컴포넌트의 수와 현재 제공되는 대화식 컴포넌트의 순번이 표시되는 영역(도 2를 참조하면, "4/10"으로 표시된 영역) 및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의 완성을 위하여 입력해야 하는 총 대화식 컴포넌트의 수에 기초하여 현재 입력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 바(34) 등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2인터페이스에는 그 중심부에 현재 제공되는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이 표시되고, 상단부에 현재의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이 제공되기 이전에 입력이 완료된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이 표시되고, 하단부에 현재의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이 제공된 후 제공될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에는 후술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모드 전환 버튼(31)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소정의 전자문서에 대한 작성 도중, 모드 전환 버튼(31)을 클릭 또는 터치하는 입력을 인가하면(달리 말해, 모드 전환 입력을 인가하면), 문서형 작성 모드에서는 대화형 작성 모드로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전환되고, 반대로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는 문서형 작성 모드로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전환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가 제1인터페이스 또는 제2인터페이스로 상호 전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소정의 전자문서에 대한 작성 도중, 모드 전환 버튼(31)을 클릭 또는 터치하는 입력을 인가하면(달리 말해, 모드 전환 입력을 인가하면), 별도의 팝업 창이 활성화되어 제1인터페이스 또는 제2인터페이스가 현재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소정의 전자문서에 대한 작성 도중, 모드 전환 버튼(31)을 클릭 또는 터치하는 입력을 인가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상부 영역(달리 말해, 상부 레이어) 또는 하부 영역(달리 말해, 하부 레이어)에 제1인터페이스 또는 제2인터페이스가 현재의 인터페이스의 일부와 중첩되어 표출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작성 모드와 문서형 작성 모드의 전환을 위한 모드 전환 입력은 음성 입력 형태로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작성 모드 또는 문서형 작성 모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도중에, 사용자 단말(30)에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음성 입력이 모드 전환 입력으로 인가되면, 대화형 작성 모드와 문서형 작성 모드가 전환되도록 본원의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1인터페이스와 제2인터페이스를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하고, 제1인터페이스에서 인가되는 응답 입력과 제2인터페이스에서 인가되는 응답 입력을 함께 반영하여 하나의 전자문서 템플릿을 완성할 수 있도록(달리 말해, 응답 입력에 포함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형태와 무관하게 동기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에서 전자문서의 실제 작성 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Web 기반 구현과 Native 기반 구현을 혼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드 전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현과 제2인터페이스 구현은 Web 기반으로 설계하고, 전자문서 템플릿이 표시되는 제1인터페이스 구현은 Native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의할 때, 사용자 단말(30)에서 사용자가 인가하는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경우, 모드 선택 입력, 모드 전환 입력 등에 의해 서식이 동적으로 변경되거나 특정 모드에서 소정의 입력 컴포넌트의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입력 컴포넌트의 값이 다른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추출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추출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상위 컴포넌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결정된 기입 순서에 따라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 사용자(예를 들면, 전자문서 작성자)에게 제공되는 질문의 순서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추출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이란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하여 사용자의 응답 입력에 해당 기입 항목에 입력될 내용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기입 항목 '신청인 성명'에 해당하는 입력 컴포넌트의 대표 명칭은 '신청인 성명'으로 설정되되,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하여 설정되는 질문은 "{대표명칭}을 말씀해주세요." 즉, "신청인 성명을 말씀해 주세요"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제2인터페이스 상에 텍스트 타입으로 표시되는 안내문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는 경우, 응답 입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구에 대하여 공통된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의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응답 입력이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재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은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4i를 참조하여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설정된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선택 입력은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전자문서를 대화형 작성 모드 또는 문서형 작성 모드로 선택하기 위하여 인가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작성 초기(예를 들면, 전자문서 작성이 개시되는 시점)에 인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모드 선택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대화형 작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모드 선택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초기 인터페이스는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상술한 문서형 작성 모드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응답 입력(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을 포함함)을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 각각에 대한 기입 항목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상술한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응답 입력(음성 타입을 포함함)을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 각각에 대한 기입 항목에 내용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달리 말해,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질문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30)에서 해당 질문을 음성 타입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텍스트 타입으로 해당 질문을 출력하거나 음성 타입 및 텍스트 타입으로 해당 질문을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질문에 대한 응답 입력을 수신하고,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기입 항목에 대응되는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을 키(Key) 값 및 밸류(Value) 값을 단위로 분석하여 기입 항목에 대응되는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 데이터를 전자문서 템플릿에 기입할 수 있다. 여기서 키(Key) 값은 필드키로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밸류(Value) 값은 필드값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Key) 값은 하나의 전자문서 템플릿이 완성되기 위하여 전자문서 템플릿 상에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기입 항목과 연계된 입력 컴포넌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컴포넌트는 의도 데이터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도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문서 템플릿이 휴가 신청서인 경우,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을 완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휴가) 일시, (휴가) 구분, (휴가) 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응답 입력에서 전자문서 기입 항목과의 유사도가 소정 이상인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키(Key) 값(의도 데이터)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응답 입력으로부터 의도 데이터가 시작되는 지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레벤슈타인 편집 거리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의도 데이터의 예상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예상 위치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옮겨가며 상기 전자문서 기입 항목과 상기 의도 데이터로 추정되는 부분 간의 편집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편집 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상기 의도 데이터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상기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시 내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상기 응답 음성 입력 중 N번째 의도 데이터의 종료 지점부터 (N+1)번째 의도 데이터의 시작 지점 전까지의 부분을 상기 N번째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시 내용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류(Value) 값은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상기 응답 음성 입력 중 N번째 의도 데이터가 마지막 의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N번째 의도 데이터의 종료 지점부터 상기 응답 음성 입력의 마지막까지의 부분을 상기 N번째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시 내용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에는 상기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고, 전자문서 기입 항목에 대하여 입력될 내용 데이터와 함께 정제되지 않은 발화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의해 내용 데이터로 가공되어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기입 항목에 기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의해 응답 입력으로부터 도출된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가 전자문서 기입 항목에 실제로 기입되는 내용 데이터로 가공되는 과정을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내용 데이터로의 가공을 위하여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조사 처리부, 형태소 분석부 및 형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 처리부는,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의 첫 분절이 조사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조사 처리부는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의 첫 분절이 조사인 경우, 해당 분절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형태소 분석부는, 상기 첫 분절을 제외한 나머지 분절들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소 분석부는, 조사 처리부에 의해 1차적으로 가공된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의 마지막 분절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형태소 분석부는, 상기 형태소 분석 결과를 역방향으로 탐색하여 실질 형태소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형 변환부는, 상기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명사 형태가 아닌 경우, 상기 탐지된 실질 형태소를 명사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 변환부는 용언(동사, 형용사) 형태의 실질 형태소 뒤에 '-ㅁ' 또는 '-음'을 결합하여 상기 명사 형태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 변환부는 상기 탐지된 실질 형태소의 타입을 고려하여 탐지된 실질 형태소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명사 형태가 아닌 경우, 상기 탐지된 실질 형태소를 명사 형태로 변환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날짜 타입'인 경우, 탐지된 실질 형태소를 날짜 형식(예를 들면, 년-월-일 꼴)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오늘'인 경우, 이를 '날짜 타입'의 실질 형태소로 파악하여, 해당일의 날짜를 기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숫자 타입'인 경우, 추가적인 변환없이 숫자 정보자체를 기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전자문서 기입 항목의 형식이 콤보박스, 체크박스, 라디오 버튼 등 탐지된 실질 형태소 자체를 기입하기에 적절치 못한 경우, 전술한 레벤슈타인 편집 거리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탐지된 실질 형태소에 포함된 내용과 가장 근접한 콤보박스, 체크박스, 라디오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 변환부에 의한 변환까지 완료된 상기 원시적 내용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전자문서 템플릿 내에 기입되는 상기 내용 데이터로 확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서형 작성 모드에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대화형 작성 모드로 전환되고,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반대로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문서형 작성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은 하나의 전자문서(40)의 완성을 위한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복수 개 제공하되, 하나의 모드를 기반으로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하도록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i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는, 컴포넌트 트리 영역(a), 컴포넌트 별 상세 설정 영역(b) 및 미리 보기 영역(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세 가지 영역((a) 영역 내지 (c) 영역)은 각기 구획되어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3단 레이아웃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을 위한 UI는 해당 UI가 표시되는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 또는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이 수행되는 별도의 단말(미도시)의 디스플레이 크기 등에 기초하여 (a) 영역 내지 (c) 영역 중 일부만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컴포넌트 트리 영역(a)에는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에 대하여 추출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들이 나열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는 컴포넌트 유형(12)이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항목에 해당하거나 동일한 상위 컴포넌트에 속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들은 그룹핑될 수 있으며, 컴포넌트 트리 영역(a)에는 그룹핑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들을 대표하는 그룹 명칭(11)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트리 영역(a)에는 해당 전자문서 템플릿에 대한 입력 컴포넌트들 중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이 아직 경료되지 않았거나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이 불필요한 입력 컴포넌트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미처리 목록(13)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컴포넌트 트리 영역(a)에 나열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선택된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컴포넌트 별 상세 설정 영역(b)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컴포넌트 트리 영역(a)에 나열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들 각각에 대한 순서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재배열하거나 소정의 입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컴포넌트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컴포넌트 그룹 '신청인 정보'에는 '신청인 성명', '신청인 소속', '신청인 직위'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로 나란하게 연속 배치된 두 입력 컴포넌트들(적어도 하나가 컴포넌트 그룹인 경우를 포함한다.) 사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추가 버튼'이 표출될 수 있다. 또한, 표출된 추가 버튼을 선택(터치,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그룹, 안내문, 묶음질문 등을 새로이 추가할 수 있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컴포넌트 별 상세 설정 영역(b)은 선택된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세부 질문 설정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포넌트 별 상세 설정 영역(b)은 대표 명칭 탭, 질문 탭, 동의어 조건('동의어') 탭, 재질문 조건('조건문') 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컴포넌트 별 상세 설정 영역(b)에 마련되는 각종 탭들은 해당 입력 컴포넌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a 내지 도 4i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미리 보기 영역(c)에는 현재의 컴포넌트 별 상세 설정 영역(b)에서 결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가 결정된 후, 전자문서 작성 시 해당 대화식 컴포넌트가 사용자 단말(30)에서 제2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될 때,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보게 되는 미리 보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보기 영역(c)에는 그 중심부에 현재 상세 설정이 진행되고 있는 입력 컴포넌트와 연계된 대화식 컴포넌트에 포함된 질문이 표시(14)되고, 상단부에 설정된 기입 순서 상 중심부에 표시된 입력 컴포넌트에 선행하는 입력 컴포넌트와 연계된 대화식 컴포넌트에 포함된 질문이 표시(14')되고, 하단부에 설정된 기입 순서 상 중심부에 표시된 입력 컴포넌트에 후행하는 입력 컴포넌트와 연계된 대화식 컴포넌트에 포함된 질문이 표시(14'')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미리 보기 영역(c)에는 현재 설정 중인 입력 컴포넌트을 포함하는 상위의 컴포넌트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컴포넌트 그룹의 명칭이 표시(15)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전 질문 표시(14')와 다음 질문 표시(14'')은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현재 질문 표시(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흐리게 출력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컴포넌트의 유형에 따른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템플릿 내 입력 컴포넌트의 유형은 텍스트, 메일, 숫자, 콤보, 라디오, 체크, 날짜,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입력 컴포넌트의 유형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전자문서 템플릿 내에 입력 가능한 기입 항목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텍스트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User Interface)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메일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숫자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콤보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e는 라디오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f는 체크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g는 날짜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h는 서명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를 나타낸 것이고, 도 4i는 음성 타입으로 제공되는 안내 문구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는 입력 컴포넌트의 유형('T'), 입력 컴포넌트의 대표 명칭('신청인 성명') 및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하여 결정된 질문(예를 들면, '신청인 성명을 말씀해주세요.')을 포함하는 좌측 영역과 각종 세부 설정을 위한 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영역에는 대표 명칭 설정 탭, 질문 설정 탭, 안내문 설정 탭, 조건 설정 탭, 동의어 조건 설정 탭, 조건 설정 탭 및 컴포넌트 정보 표시 탭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우측 영역의 각각의 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을 완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질문 설정 탭('질문')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하여 '{대표 명칭}을 말씀해주세요.'와 같이 대표 명칭을 직접적으로 요청하는 질문을 기본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문 설정 탭('안내문')은 제2디스플레이 상에서 음성 표출 없이 텍스트 타입으로만 표시되는 문구를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동의어 조건 설정 탭('동의어')은 기입된 내용 데이터에 대한 수정, 필드 선택, 묶음 답변 등에서 해당 입력 컴포넌트를 지칭하는 여러 표현을 추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조건 설정탭('조건문')은 사용자의 응답 입력의 내용에 따라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질문 후 후속하는 단계를 상이하게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최초 작성자의 성명과 사용자의 응답 입력에 포함된 성명이 불일치 하는 경우,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작성자와 해당 입력 컴포넌트(신청인 성명)에 대하여 인가된 내용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대리 작성 사유를 요청하는 프로세스로 진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타입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조건문' 탭의 조건 항목은 일치/불일치/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정보 표시 탭('컴포넌트 정보')은 컴포넌트 ID 정보 및 최대 입력 글자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ID 정보 및 최대 입력 글자수 정보는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방식은 후술하는 도 4b 내지 도 4h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메일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조건 설정시, 사용자의 응답 입력에 포함된 메일 주소가 소정의 도메인 주소(예를 들면, 도 4b의 @forcs.com) 이외의 주소인 경우, 외부메일 안내 단계로 후속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을 바탕으로, 실제 전자문서 작성 시 사용자의 응답 입력에 포함된 메일 주소가 설정된 소정의 도메인 주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외부메일 안내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숫자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조건 설정시, 사용자의 응답 입력에 포함된 수치가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도 4b의 5 이상)에 속하는 경우, 후속 단계(예를 들면, 상세 내역 단계)로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을 바탕으로, 실제 전자문서 작성 시 사용자의 응답 입력에 포함된 수치 값이 설정된 소정의 범위에 속하는, 기 설정된 후속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숫자 타입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조건 설정 탭의 조건 항목은 일치/이상/이하/초과/미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콤보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에 선택지 설정 탭('선택지')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지 설정 탭에서의 설정에 따라 실제 전자문서에 대한 작성 시 사용자의 응답 입력으로부터 기 설정된 복수의 입력값 중 어느 하나가 내용 데이터로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콤보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UI에는 페이징 단위 설정 탭('페이징 단위')이 표시될 수 있다. 페이징 단위 설정 탭에서의 설정에 따라 실제 전자문서에 대한 작성 시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한 화면에 나타나는 선택지 입력값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라디오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는 상술한 콤보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와 달리 복수의 입력값에 대한 다중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체크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응답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달리 말해, 해당 기입 항목이 체크된 경우)의 후속 단계와 선택하지 않는 응답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달리 말해, 해당 기입 항목이 체크되지 않은 경우)의 후속 단계가 조건 설정 탭의 설정에 의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g를 참조하면, 날짜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응답 입력에 포함된 날짜 값에 기초하여 상이한 후속 단계가 진행되도록 조건 설정 탭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짜 타입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조건 설정 탭의 조건 항목은 일치/이상/이하/초과/미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h를 참조하면, 서명 유형의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면, 실제 전자문서 작성 시 해당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에 포함된 질문(예를 들면, '작성자 서명에 서명하시겠습니까' 등)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에 서명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서명 입력 창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i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문서 템플릿의 기입 항목과 별개로 전자문서 작성 시 사용자와의 원활한 대화 진행 및 응답 입력 수신을 위한 안내 문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Excel 문서 등의 Office 기반 문서 플랫폼을 활용하여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포함하는 서식 내 각각의 셀 중 소정의 셀에 할당되는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컴포넌트 유형에 대한 사용자 입력(a) 및 셀 선택에 대한 사용자 입력(b)을 수신하여 전자문서 템플릿 내 입력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전자문서 템플릿 생성 과정은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의해 상술한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에 선행하여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컴포넌트 추출부(110), 대화 설정부(120), 표시부(130), 문서 작성부(140) 및 서식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 추출부(110)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은 후술하는 서식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대화 설정부(120)는, 추출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30)는,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는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제2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Web 기반의 U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문서 작성부(140)는,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거나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작성부(140)는 음성 타입으로 인가되는 응답 입력으로부터 전자문서 템플릿의 기입 항목에 실제 입력되는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작성부(140)는 생성된 질문을 음성 타입으로 출력하고 질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Native 기반의 STT(Speech-to-Text) 모듈 및 TTS(Text-to-Speec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식 생성부(150)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상술한 전자문서 템플릿 생성 시 또는 대화식 컴포넌트 설정 시 전자문서 템플릿의 상세 내용과 대화식 컴포넌트에 대한 상세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여러 전자문서 템플릿에 대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와 입력 컴포넌트에 대하여 설정된 대화식 컴포넌트를 관리하기 위한 엔진 모듈(Engine Module,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에 전자문서 작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Web 기반 구현 및 Native 기반 구현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모듈(Hybrid Module,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설정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화 설정부(120)는, 정렬부(121), 질문 생성부(122) 및 조건 설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121)는, 복수의 상기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121)는, 추출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질문 생성부(122)는,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조건 설정부(123)는, 응답 입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구에 대하여 공통된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의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건 설정부(123)는, 응답 입력이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재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은 앞서 설명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서식 생성부(150)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20에서 컴포넌트 추출부(110)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예를 들면, 단계 S810에서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30에서 대화 설정부(120)는, 추출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40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851에서 표시부(130)는,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 S852에서 표시부(130)는,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에 표시할 수 있다.
종합하면, 단계 S851 또는 단계 S852에서 표시부(130)는,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81에서 문서 작성부(140)는, 현재의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문서형 작성 모드인 경우,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의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대화형 작성 모드인 경우, 단계 S862에서 문서 작성부(140)는, 음성 타입의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861에서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입력이 사용자 입력 수신부(미도시)에 수신되는 경우,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대화형 작성 모드로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계 S862에서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입력이 사용자 입력 수신부(미도시)에 수신되는 경우,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는 문서형 작성 모드로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10 내지 S86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전자문서 작성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컴포넌트 추출부(110)는,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920에서 대화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문서 템플릿을 완성하기 위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추출된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10 및 단계 S920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시스템
100: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110: 컴포넌트 추출부
120: 대화 설정부
121: 정렬부
122: 질문 생성부
123: 조건 설정부
130: 표시부
140: 문서 작성부
150: 서식 생성부
20: 네트워크
30: 사용자 단말

Claims (17)

  1.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방법에 있어서,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음성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에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에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입력 모드가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로 전환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질문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에 대한 상기 응답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입 항목에 대응되는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복수의 상기 질문이 상기 기입 순서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작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 상에 텍스트 타입으로 표시되는 안내문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입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구에 대하여 공통된 상기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의어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입력이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재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문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방법.
  11.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완성하기 위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제공 방법.
  12.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에 있어서,
    기 생성된 전자문서 템플릿 내의 각각의 기입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추출하는 컴포넌트 추출부;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대화식 컴포넌트를 설정하는 대화 설정부; 및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제공하는 문서형 작성 모드 및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작성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설정부는,
    복수의 상기 입력 컴포넌트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기입 순서를 설정하는 정렬부; 및
    추출된 상기 입력 컴포넌트 각각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서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형상화한 제1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대화형 작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텍스트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거나 음성 타입의 상기 응답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문서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장치.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설정부는,
    상기 대화식 컴포넌트와 연계된 응답 입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구에 대하여 공통된 내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동의어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응답 입력이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재질문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문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전자문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서식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문서 작성 장치.
KR1020190150961A 2019-11-22 2019-11-22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KR10231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61A KR102315109B1 (ko) 2019-11-22 2019-11-22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US17/640,257 US20220318494A1 (en) 2019-11-22 2020-05-06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electronic document by interactive type and document type,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type electronic document
PCT/KR2020/005956 WO2021100989A1 (ko) 2019-11-22 2020-05-06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61A KR102315109B1 (ko) 2019-11-22 2019-11-22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28A KR20210062828A (ko) 2021-06-01
KR102315109B1 true KR102315109B1 (ko) 2021-10-21

Family

ID=7598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61A KR102315109B1 (ko) 2019-11-22 2019-11-22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18494A1 (ko)
KR (1) KR102315109B1 (ko)
WO (1) WO2021100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1959B2 (ja) * 2020-03-25 2023-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報告書執筆支援システム、報告書執筆支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725A (ja) * 2012-08-27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機械可読保存媒体及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1162A (ja) * 1999-09-27 2001-04-13 Just Syst Corp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2005038067A (ja) * 2003-07-17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音声入力機能を備えたフォームを提供する電子フォームシステム
US7725834B2 (en) * 2005-03-04 2010-05-25 Microsoft Corporation Designer-created aspect for an electronic form template
KR100963397B1 (ko) * 2007-10-24 2010-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이에 적용되는 장치
CA2735065C (en) * 2010-03-25 2015-08-11 Radicalogic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form for receiving data relating to a health care incident
KR101988313B1 (ko) * 2013-01-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JP6099511B2 (ja) * 2013-07-26 2017-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ドキュメント作成装置
US10530718B2 (en) * 2017-07-31 2020-01-07 Fuji Xerox Co., Ltd. Conversational enterprise document edi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725A (ja) * 2012-08-27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機械可読保存媒体及び携帯端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용희 외, SALT 기반 음성 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2005.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8494A1 (en) 2022-10-06
KR20210062828A (ko) 2021-06-01
WO2021100989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114B1 (ko) 메시지들에서 태스크들 식별
US9779080B2 (en) Text auto-correction via N-grams
Borodin et al. More than meets the eye: a survey of screen-reader browsing strategies
US20160306784A1 (en) Audio Onboarding Of Digital Content With Enhanced Audio Communications
US20170060826A1 (en) Automatic Sentence And Clause Level Topic Extraction And Text Summarization
KR102076793B1 (ko) 음성을 통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음성을 통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US10402474B2 (en) Keyboard input corresponding to multiple languages
US1014677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implementing character-pictogram translation using pictogram search site
Mirri et al. Augment browsing and standard profiling for enhancing web accessibility
US20140164366A1 (en) Flat book to rich book conversion in e-readers
Chen et al. AxsJAX: a talking translation bot using google IM: bringing web-2.0 applications to life
KR102188564B1 (ko) 어체 변환이 가능한 기계 번역 방법 및 시스템
US9772816B1 (en) Transcription and tagging system
KR102315109B1 (ko) 대화형 및 문서형 전자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과 대화형으로 작성 가능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Ghose et al. Architecture of a web browser for visually handicapped people
CN110249326B (zh) 自然语言内容生成器
Mostari What do mobiles speak in Algeria? Evidence from SMS language
CN104135725A (zh) 一种短消息发送方法及便携式终端
KR102305181B1 (ko) 챗봇을 통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챗봇을 통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230053341A (ko)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9567B1 (ko) 다수의 의도가 포함된 문장으로부터 의도 및 의도에 대응되는 내용을 검출하는 전자문서 시스템
KR20080095823A (ko) 문자입력방식의 선택이 가능한 다국어 메일링 장치 및 방법
KR20130093940A (ko) 추천 질의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05426A (ko) 개인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ienle et al. Ten years of access for all from WSE 2001 to WSE 201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