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97B1 -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 Google Patents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97B1
KR102315097B1 KR1020210056909A KR20210056909A KR102315097B1 KR 102315097 B1 KR102315097 B1 KR 102315097B1 KR 1020210056909 A KR1020210056909 A KR 1020210056909A KR 20210056909 A KR20210056909 A KR 20210056909A KR 102315097 B1 KR102315097 B1 KR 10231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blade
plate
stirring
bla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의
송철호
김성래
Original Assignee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0029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01F15/00129
    • B01F15/00292
    • B01F15/00538
    • B01F3/18
    • B01F7/00975
    • B01F7/00991
    • B01F7/3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tirring blade having a first rotary shaft, and a second stirring blade asymmetrically dispos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having a second rotary shaft. The stirring device comprises: a ring gear; a first gear mounted at the first rotary shaft and rotating and mov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ring gear; and a second gear mounted at the second rotary shaft,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t an outer part of the ring gear, and rotating by being linked with the first gear.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rotate at opposite directions based on each rotary shaft. The second stirring blade rotates faster than the first stirring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terials can be uniformly stirred between the stirring blades.

Description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s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본 발명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 대상인 소재를 혼합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저어주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for physically stirring to mix a material to be stirred.

소재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 장치로서 니더(kneader) 또는 믹서(mixer)라고 불리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런 교반 장치 중에서 반도체용 페이스트, 고무, 실리콘과 같은 고점도 소재를 혼합하기 위해 블레이드와 같은 물리적 구성이 회전하면서 소재를 직접 휘저어주는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As a stirring device for mixing materials, a device called a kneader or a mixer is known. Among these stirring devices, in order to mix high-viscosity materials such as semiconductor paste, rubber, and silicon, a type of directly stirring the material while rotating a physical component such as a blade is used.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20-0072801호에 따른 교반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3개의 블레이드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세 블레이드의 공통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an example of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72801 is shown, in which three blades rotate about each rotational axis, and at the same time, a plan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ree blades rotate about the common center of the axis is shown as

여기서 전자의 회전을 자전, 후자의 회전을 공전으로 지칭하기도 한다.Here, the former rotation is referred to as rotation, and the latter rotation is also referred to as orbit.

이 종래 기술에서 3개의 블레이드는 모두 동일한 자전 방향을 가지며, 각 블레이드에서 날끝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배치 및 회전 구동된다. 또한 각 블레이드의 반 경방향 날끝은 자전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전을 통해 소재를 밀어냄과 동시에 나선을 따라 들어올리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를 구비한 교반 장치는 고점도 소재를 교반하면서 소재를 분산시키고, 블레이드 사이에서 압축 또는 전단시키는 효과도 있으므로 소재를 분쇄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this prior art, all three blades have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and rotationally driven so that the blade tips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in each blade. In addition, since the radial edge of each blade is spirally formed along the rotation axis, it has the effect of pushing the material through rotation and lifting it along the spiral at the same time. A stirring device having such a blade disperses the material while stirring the high-viscosity material, and also has the effect of compressing or shearing between the blades, so that the effect of pulverizing the material can also be obtained.

그러나 예컨대 전고체 이차전지 개발 및 제조와 같은 기술 분야에서 교반 대상인 소재는 입자상 또는 분말상인 바, 종래의 교반 장치와는 다른 작용 및 효과를 가진 교반 장치의 필요성이 생긴다. 예컨대 PTFE를 포함한 혼합 분말을 종래기술에 따른 교반 장치로 교반하는 경우, PTFE 입자는 블레이드의 날끝을 따라 좁은 영역에서만 전단력을 받아 잘게 끊어지기만 할 뿐 비비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섬유화되지 못하며, 따라서 혼합물 내에서 그 특유의 물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교반 대상인 소재에 가해지는 압축력 및 전단력의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해석된다.However, for example, in a technical field such as the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the material to be stirred is in the form of a particle or a powder,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a stirring device having an action and effect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stirring device. For example, when a mixed powder containing PTFE is stirred with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TFE particles only receive shear force in a narrow area along the edge of the blade and are only broken into small pieces, and the rubbing effect is not sufficient, so they do not form into fibers, so that in the mixture does not fully exhibit its unique properties. This is interpreted as the cause of the lack of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applied to the material to be stirred.

따라서, 근래에는 교반 대상인 소재에 가해지는 압축력 및 전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재를 교반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용기의 내부에 2개의 교반 블레이드를 적용하여 교반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은 2개의 교반 블레이드를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소재를 교반하는 과정에서 교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용기의 사이드(내벽) 측으로 밀려나간 소재를 다시 2개의 교반 블레이드 사이로 가져올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소재 전체를 균일하게 교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ssive force and shear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to be stirred, a method of stirring by applying two stirring blades to the inside of a container that provides a place to stir the material is also used, but in the prior art, two stirring blades are used. Because the material is rotated at the same speed, it was not possible to bring the material pushed out to the side (inner wall) side of the container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in the process of stirring the material again between the two stirring blades.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28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2801

본 발명은, 2개의 교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분말 또는 입자상 소재를 포함한 소재를 교반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2개의 교반 블레이드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고, 교반과정 중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가 교반용기의 사이드 측으로 밀려나간 소재를 용기의 중앙부분으로 가져오기 때문에 소재가 2개의 블레이드 사이에서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for stirring a material including powder or particulate material using two stirring blades, and the two stirring blades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any one blade rotates at a high speed during the stirring proces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that can allow the material to be uniformly stirred between the two blades because it brings the material pushed out to the side of the stirring vessel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sse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 블레이드를 살균하고, 교반 블레이드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후속으로 교반하는 소재를 깨끗하게 상태로 교반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capable of sterilizing the stirring blade,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tirring blade, and then stirring the material to be stirred in a clean stat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는,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대칭되게 배치되며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로서, 링기어; 상기 제1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링기어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링기어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제2 교반 블레이드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가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회전축 둘레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판 형상의 적어도 하단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판 형상의 상단과 하단의 각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사잇각은 120도이며,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가 하나로 적용되는 경우 플레이트는 회전축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단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이 반경방향 외측 방향을 향해 뾰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제2 교반 블레이드는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의 한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외측단이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의 이웃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단의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 내각은 120도이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교반 대상 소재가 원주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판 형상의 상단, 하단 및 반경방향 외측단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모두에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 상기 관통공들이 서로 연통되어 상기 회전축은 상기 판 형상의 상단과 하단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공을 포함 하고 있고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도 관통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제2 교반 블레이드 각각의 관통공 이 형성된 플레이트들은 회전 중 둘 사이에 다른 플레이트가 개입됨이 없이 직접 상호 인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tirring blade having a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second stirring blad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having a second rotational shaft As, ring gear; a first gear mount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rotationally moved along an inner periphery of the ring gear; and mounted on the second rotating shaft.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from the outside of the ring gear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gear; is rotated,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rotates at a faster speed than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each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dispos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axis of rotation, or , The first stirring blade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arrang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rotation shaft, the second stirring blade includes a single plat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rotation shaft,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2 The plates of the stirring blades are each formed in a plate shape spirally arranged around the rotation axis, at least the lower end of the plate shape form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ate shape around the rotation axis The angle formed between each position is 120 degrees, and when the plate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applied as one, the plate is formed in a lip shape arranged helically on the rotation axis, and the plate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Each of the radially outer ends is formed such that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is pointed toward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and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re arranged so that their respective rotation ax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stirring When the plate of the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plural, the radially outer end of one plate of the first stirring blade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plates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and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a cross-sectional inner angl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adially outer end of each plate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120 degrees, and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has a material to be stir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through hole that can pass through is formed, and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portions other than the upper end, lower end, and radially outer ends of the plate shape, and when through-holes are formed in both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the through-holes are mutually When the rotation shaft communicates with only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plate shape,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includes a through hole, and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includes a through hole , The plates in which the through-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agitating blades are formed ar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intervening another plate between them during rot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내부에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이 관통설치되는 충돌판과, 내부에 상기 제1 수용부가 승강되는 승강통로가 형성된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한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블레이드를 살균하는 UV 살균램프와, 상기 UV 살균램프의 살균력이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드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승강가이드의 하측 외부에서 상기 모터를 상승시켜 상기 제1 수용부를 상기 UV 살균램프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제1 수용부가 상기 UV 살균램프들과 반복적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충돌판이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벽면에 충돌되어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이 휘어지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한다.And,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the sterilization unit, the first stirring blade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accommodated therein is formed a receiving space, a transparent material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med as a , a first coil spring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collision plate through which the first coil spring is installed, and an elevat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raised and lowered are formed. A UV sterilization lamp for sterilizing the first or second stirring blade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one inner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elevating guide, the first agitating blade or the second agitating blade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UV sterilization lamp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coil spring in place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sterilizing force evenly acts on the first stirring blade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and by raising the motor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guide to the UV sterilization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s the elevating cylinder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lamps repeatedly approach the UV sterilization lamps, the collision plate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ing guide to bend the first coil spr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 moving cylinder for reciprocating.

또한,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내부에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용부와,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2 수용부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수용부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출입홀이 형성된 낙하가이드와, 상기 낙하공간에서 상기 각각의 출입홀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출입판과, 상기 출입판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용부 내의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에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낙하공간을 따라 낙하하는 제2 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낙하가이드의 낙하공간 또는 외부로 이동하도록 출입판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출입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에 상기 제2 수용부가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출입실린더에 후진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낙하가이드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제2 수용부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실린더는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한 시점에서 3초 내지 10초 이후에 상기 출입판을 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In addition,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ade; further compris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the first stirring blade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accommodated therein A second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space is formed, an inlet into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put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discharged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falling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dropped. , A drop guide having a plurality of entrance and exit hol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one inner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o be positioned on a horizontal line with each entry hole in the drop space A plurality of access plates, a second coil spring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ess plate, respectively, capable of generating a vibration force to the first or second stirring blades in the second accommodation unit, and the second coil spring a support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and supporting the second receiving part falling along the falling space, and an entry/exit cylinder for advancing or reversing the access plate so that the support plate moves to the falling space or the outside of the drop guide through the entry/exit hole and an impact sensor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reverse signal to the entry/exit cylinder by sensing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second receiving part contacts the support plate, and disposed below the outlet of the drop guide and through the outlet and a buffer pad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unit and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discharged second receiving unit, wherein the entry/exit cylinder is 3 seconds to 10 seconds after the shock sensor detects the impact. is programmed to revers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2개의 교반 블레이드의 판면을 통해서 소재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고점도 소재 뿐만 아니라 분발 소재도 효과적으로 분쇄, 분산, 교반할 수 있으며, 특히 PTFE를 섬유화하는 데에 효과적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compressive force can be applied to the material through the plate surface of the two stirring blad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ulverize, disperse, and stir not only the high-viscosity material but also the powdered material, especially for fiberizing PTFE effective.

그리고, 2개의 교반 블레이드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고, 교반과정 중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가 교반용기의 사이드 측으로 밀려나간 소재를 용기의 중앙부분으로 가져오기 때문에 소재가 2개의 블레이드 사이에서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since the two stirring blades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any one of the blades rotating at a high speed during the stirring process brings the material pushed out to the side of the stirring vessel to the center of the vessel, the material is between the two blad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niformly stirred in

또한, 교반 블레이드를 살균하고, 교반 블레이드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후속으로 교반하는 소재를 깨끗하게 상태로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sterilizing the stirring blade,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tirring blade, and then stirring the material to be stirred in a clean stat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가 작동시 소재의 이동방향을 표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에 회전축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에 회전축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서 한 쪽 교반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전단력 분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의 링기어와, 제1기어 및 제2 기어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살균부를 도시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first blade and a second blade applied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aterial when the first blade and the second blade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is appli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on shaft is appli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action of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tribution of shear force acting on one stirring blade in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ring gear and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of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erilizing unit applied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pplied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3]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가 작동시 소재의 이동방향을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에 회전축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에 회전축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서 한 쪽 교반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전단력 분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의 링기어와, 제1기어 및 제2 기어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first blade and a second blade applied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ncludes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aterial when the first blade and the second blade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to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rotating shaft is applied to the stirring blade,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is appli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action of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ar force distribution acting on one stirring blade in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tirring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ring gear of the device and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는, 제1 교반 블레이드(10)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와, 링기어(30)와, 제1 기어(40) 및 제2 기어(50)를 포함할 수 있다.Agitat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he ring gear 30, the first gear 40,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gear 50 .

제1 교반 블레이드(10)는 제1 회전축(10a) 및 제1 회전축(10a)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회전축(10a)과 함께 회전하는 플레이트(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irring blade 10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shaft 10a and a plate 11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rotating shaft 10a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10a.

플레이트(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3개로 적용되며 제1 회전축(10a)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plate 11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more, and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are applied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10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는 제1 회전축(10a) 둘레로 회전하며, 제1 회전축(10a)은 링기어(30)와, 제1 기어(40) 및 제2 기어(50)를 통해 자전 및 공전하게 된다.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around a first rotational shaft 10a, and the first rotational shaft 10a is a ring gear 30, a first gear 40, and a second gear It rotates and orbits through (50).

플레이트(11)는 제1 회전축(10a)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부착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재를 휘저어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late 1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tach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first rotation shaft 10a, and serves to stir and stir the material.

플레이트(11)는 모두 3개가 제1 회전축(10a)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All three plates 11 are radially dispos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10a.

아울러, 플레이트(11)는 제1 회전축(10a)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11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first rotation shaft 10a.

이때, 제1 회전축(10a)을 중심으로 각 플레이트(11)의 위치 사이마다 형성되는 사잇각(α)은 120도 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gle α formed between the positions of each plate 11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10a may be 120 degrees.

각각의 플레이트(11)는 도면방향 기준 상단(111)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단(112)을 향해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태는 특히 한 플레이트(11)의 상단(111)과 하단(112)이 모두 제1 회전축(10a)에 직각인 평면 형태를 가지며 상단(111)과 하단(112) 사이에 연장된 판면(113)이 나선형 곡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판이 비틀어진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플레이트(11)의 형상이 나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한 플레이트(11)의 하단(112)은 교반할 소재를 수용하는 용기(미도시)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므로 적어도 하단(112)은 제1 회전축(10a)에 수직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Each plate 11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spirally twisted toward the lower end 112 starting from the upper end 111 in the drawing direction. In particular, the shape shown in FIG. 1 has a planar shape in which both the upper end 111 and the lower end 112 of one plate 11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axis 10a and extend between the upper end 111 and the lower end 112 . Although the plate surface 113 is exemplified in a twisted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s forming a spiral curved surface, the shape of the plate 11 is not limited to a helical shape and may be a plate shape of another type. However, since the lower end 112 of one plate 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a container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material to be stirred, at least the lower end 112 can for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10a. have

플레이트(11)의 상단(111)과 하단(112) 사이에서 연장된 반경방향 외측단(114) 역시 판면(113)과 마찬가지로 나선형을 이룬다. 외측단(114)은 제1 회전축(10a)에 수직한 단면이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뾰족하 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단(114)의 뾰족한 부분의 내각(β)은 120도일 수 있다.The radially outer end 114 extending between the upper end 111 and the lower end 112 of the plate 11 also forms a spiral like the plate surface 113 . The outer end 114 may have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axis 10a as shown in FIG. 1 , and may be sharply form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ner angle β of the sharp part of the outer end 114 may be 120 degrees.

이때, 외측단(114)의 뾰족한 부분의 내각(β)에 따라 소재의 섬유화(Fibrosis)나 전단가공(Shearing)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서 외측단(114)의 내각은 120도 이상 또는 이하 등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brosis or shearing force of the materia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ner angle β of the sharp part of the outer end 114, in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angle of the outer end 114 may be set to various angles such as 120 degrees or more or less.

한편 도면에는 각 플레이트(11)가 오른쪽 방향 나사와 같은 나선을 따르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왼쪽 방향 나사와 같은 나선을 따를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drawings, each plate 11 is illustrated as following a spiral such as a right-handed screw, but may follow a spiral such as a left-handed scre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는 3개의 플레이트(11) 모두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ree plates 1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다른 예로, 3개의 플레이트(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1)에는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through hole 11a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late 11 of the three plates 11 .

즉,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3개의 플레이트(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11)에만 관통공(11a)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플레이트(11)에 관통공(11a)이 형성 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 a through hole 11a is formed in only one plate 11 among the three plates 11 , or a through hole 11a is formed in all plates 11 as shown in FIG. 3 . This can be formed.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어느 2개의 플레이트(11)에만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hrough-hole 11a may be formed only in any two plates 11 .

관통공(11a)은 플레이트(11)가 이루는 판 형 상의 상단(111), 하단(112) 및 외측단(114)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1a)을 통해 원주방향으로 소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11a may be formed in a portion except for the upper end 111, the lower end 112, and the outer end 114 of the plate shape formed by the plate 11, and the materi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11a. is allowed to pass through.

특히 3개의 플레이트(11) 모두에 관통공(11a)이 형성된 경우, 각각의 관통공(11a)들이 모두 연통되어서 그 영역에서는 제1 회전축(10a)도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축(10a)은 상단(111)과 하단(112) 부분에만 존재하게 된다. 이런 예가 전술한 도 4에 예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through-holes 11a are formed in all of the three plates 11, the respective through-holes 11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rotational shaft 10a may also be omitted in the region.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on shaft 10a exists only in the upper part 111 and the lower end 112 part. An example of this is illustrated in Figure 4 above.

관통공(11a)이 존재함으로써 소재가 부분적으로 플레이트(11)의 판면(113)에 의한 압박력 및 전단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대신 보다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istence of the through hole 11a allows the material to be stirred more uniformly instead of partially weakening the pressing force and shearing force by the plate surface 113 of the plate 11 .

이와 같은 제1 교반 블레이드(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웃하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와의 사이에서 각 플레이트(21)의 판면(113) 사이에서도 소재를 압박 및 전달할 수 있으므로, 분말 소재를 교반하는데 더욱 적합하다.Such a first stirring blade 10 can press and transfer the material even between the plate surfaces 113 of each plate 21 between the neighboring second stirring blades 2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powder material is stirred more suitable for

한편, 제2 교반 블레이드(20)는 제2 회전축(20a) 및 제2 회전축(20a)에 돌출되게 형성되 제2 회전축(20a)과 함께 회전하는 플레이트(21)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may include a plate 21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플레이트(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21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more.

일 예로, 플레이트(21)는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3개로 적용되며 제2 회전축(20a)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late 21 is applied in thre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는 제2 회전축(20a) 둘레로 회전하며, 제2 회전축(20a)은 링기어(30)와, 제1 기어(40) 및 제2 기어(50)를 통해 자전 및 공전하게 된다.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onal shaft 20a,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20a is a ring gear 30, a first gear 40, and a second gear It rotates and orbits through (50).

플레이트(21)는 제2 회전축(20a)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부착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재를 휘저어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late 2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tach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and serves to stir and stir the material.

플레이트(21)는 모두 3개가 제2 회전축(20a)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All three plates 21 are radially dispos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아울러, 플레이트(21)는 제2 회전축(20a)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21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이때, 제2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각 플레이트(21)의 위치 사이마다 형성되는 사잇각(α)은 120도 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gle α formed between the positions of each plate 21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may be 120 degrees.

각각의 플레이트(21)는 도면방향 기준 상단(211)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단(212)을 향해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형태는 특히 한 플레이트(21)의 상단(211)과 하단(212)이 모두 제2 회전축(20a)에 직각인 평면 형태를 가지며 상단(211)과 하단(212) 사이에 연장된 판면(213)이 나선형 곡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판이 비틀어진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플레이트(21)의 형상이 나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한 플레이트(21)의 하단(212)은 교반할 소재를 수용하는 용기(미도시)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므로 적어도 하단(212)은 제2 회전축(20a)에 수직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Each plate 21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spirally twisted toward the lower end 212 starting from the upper end 211 in the drawing direction. In particular, the shape shown in FIG. 2 has a planar shape in which both the upper end 211 and the lower end 212 of one plate 21 ar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otation axis 20a and extend between the upper end 211 and the lower end 212 . Although the plate surface 213 is exemplified as a twisted rectangular plate as forming a spiral curved surface, the shape of the plate 21 is not limited to a helical shape and may be a plate shape of another type. However, since the lower end 212 of the one plate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a container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material to be stirred, at least the lower end 212 can for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otation axis 20a. have

플레이트(21)의 상단(211)과 하단(212) 사이에서 연장된 반경방향 외측단(214) 역시 판면(213)과 마찬가지로 나선형을 이룬다. 외측단(214)은 제2 회전축(20a)에 수직한 단면이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뾰족하 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단(214)의 뾰족한 부분의 내각은 120도일 수 있다.The radially outer end 214 extending between the upper end 211 and the lower end 212 of the plate 21 also forms a spiral like the plate surface 213 . The outer end 214 may have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rotation axis 20a as shown in FIG. 9 to be sharply form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ner angle of the sharp part of the outer end 214 may be 120 degrees.

한편 각 플레이트(21)가 왼쪽 방향 나사와 같은 나선을 따르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오른쪽 방향 나사와 같은 나선을 따를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each plate 21 is illustrated as following a spiral such as a left-handed screw, it may follow a spiral such as a right-handed screw.

이때,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의 나선 방향과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의 나선 방향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iral direction of the plate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piral direction of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may be different or the same as each other.

즉,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가 오른쪽 방향 나사라면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는 왼쪽 방향 나사로 형성되고,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가 왼쪽 방향 나사라면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는 오른쪽 방향 나사로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if the plate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s a right-handed screw,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formed as a left-handed screw, and the plate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s If is a left-handed screw,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formed of a right-handed screw.

그리고, 도 1내지 도 4에는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가 오른쪽 나사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가 왼쪽 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And, in Figs. 1 to 4, the plate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s formed in the right-hand screw direction, and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formed in the left-hand screw direction. .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3개의 플레이트(21) 모두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three plates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다른 예로, 3개의 플레이트(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1)에는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through hole 11a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late 21 among the three plates 21 .

즉,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플레이트(21)에 관통공(21a)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21)에만 관통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 through-holes 21a are formed in all plates 21 , or through-holes 21a are formed in only one plate 21 as shown in FIG. 1 . can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3개의 플레이트(21) 중에서 어느 2개의 플레이트(21)에만 관통공(21a)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hrough hole 21a may be formed only in any two plates 21 among the three plates 21 .

관통공(21a)은 플레이트(21)가 이루는 판 형 상의 상단(211), 하단(212) 및 외측단(214)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21a)을 통해 원주방향으로 소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21a may be formed in a portion except for the upper end 211, the lower end 212, and the outer end 214 of the plate shape formed by the plate 21, and the materi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21a. is allowed to pass through.

특히 3개의 플레이트(21) 모두에 관통공(21a)이 형성된 경우, 각각의 관통공(21a)들이 모두 연통되어서 그 영역에서는 제2 회전축(20a)도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회전축(20a)은 상단(211)과 하단(212) 부분에만 존재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through-holes 21a are formed in all of the three plates 21 , the respective through-holes 21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may also be omitted in the region. In this case,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exists only in the upper part 211 and the lower end 212 part.

관통공(21a)이 존재함으로써 소재가 부분적으로 플레이트(11,21)의 판면(113,213)에 의한 압박력 및 전단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대신 보다 균일하게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istence of the through hole 21a allows the material to be stirred more uniformly instead of partially weakening the pressing force and shearing force by the plate surfaces 113 and 213 of the plates 11 and 21 .

한편, 도 4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플레이트(21)는 1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he plate 21 may be formed as one.

이와 같은 경우 플레이트(21)는 비틀어진 립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ate 21 may have a twisted lip shape.

그리고, 플레이트(21)는 일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2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viewed from one side.

따라서, 도 4의 플레이트(21)의 내부에는 전술한 관통공(21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S)이 형성된다.Accordingly, a space 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aforementioned through hole 21a is formed inside the plate 21 of FIG. 4 .

한편 제1 교반 블레이드(10)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는 각각의 제1 회전축(10a) 및 제2 회전축(20a)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한 플레이트(11)의 반경방향 외측단(114)이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이웃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have respectiv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shafts 10a and 20a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one plate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 The radially outer end 114 of 11) may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plates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

제1 교반 블레이드(10)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는 제1 회전축(10a)과 제2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자전)하는데, 양자가 가장 근접하는 간격은 예컨대 3mm이다. 이 간격은 교반 대상의 특성, 얻고자 하는 교반 효과에 따라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자전축과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자전축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rotate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10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0a,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for example, 3mm. This interval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rring object and the desired stirring effect.

한편, 제1 교반 블레이드(10)가 하나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플레이트(11)를 포함하고 있고, 제2 교반 블레이드(20)도 관통공(21a)이 형성된 하나의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있다면,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플레이트(11)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플레이트(21)는 상호 회전하는 도중 다른 플레이트가 그 사이에 개입되지 않은 채로 직접 상호 인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ncludes a plate 11 having one through hole 11a,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also includes one plate 21 having a through hole 21a formed therein. If included, the plate 11 in which the through hole 11a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s formed and the plate 21 in which the through hole 21a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formed is another plate during mutual rotation. ar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intervening therebetween.

그러면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들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관통공(11a,21a)끼리 인접할 수 있으며, 소재는 교반 블레이드의 자전 회전당 한 번씩 압박력, 전단력이 감소하는 대신 교반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n,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plates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the through-holes 11a and 21a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material is stirred instead of reducing the pressing force and shearing force once per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increasing effect can be obtained.

그리고,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교반 블레이드(10)가 3개의 플레이트(11) 중에서 하나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플레이트(11)를 포함하고 있고,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하나의 플레이트(21)만 포함하고 있다면,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공간(S)이 형성된 플레이트는 상호 회전하는 도중 다른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가 그 사이에 개입되지 않은 체로 직접 상호 인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들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관통공(11a)과 공간(S)이 인접할 수 있으며, 소재는 교반 블레이드의 자전 회전당 적어도 1회 이상 압박력, 전단력이 감소하는 대신 교반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ncludes a plate 11 having one through hole 11a among the three plates 11 ,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If only one plate 21 is included, the pl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11a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is formed and the plate in which the space S is formed are the plates of the other first stirring blade 10 during mutual rotation. ar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intervening therebetween. Then,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the through hole 11a and the space S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material may reduce the pressing force and shear force at least once per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The effect of increasing agitation can be obtained.

도 9는 제1 교반 블레이드(10) 및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로서, 도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면, 각 교반 블레이드(10, 20)의 회전을 순차로 도시하고 있다. 제1 교반 블레이드(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교반 블레이드(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a)의 상태에서 A영역의 소재가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 그리고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들의 사이에서 압축 및 교반되기 시작한다. A영역의 소재는 (b), (c)의 상태를 거치면서 각 플레이트의 판면 사이로 압축되어 들어가며 (d), (e) 상태를 거치면서 빠져나오기 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각 교반 블레이드(10, 20)의 상대속도 및 운동 방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압박력 뿐만 아니라 전단력도 복합적으로 받으면서 교반될 수 있다.9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when proceeding from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o the right, the rotation of each stirring blade (10, 20) sequentially is shown as Whe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rotates clockwise, in the state of (a), the material in area A is the plate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 21), and start to be compressed and stirred between the plates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 The material in area A is compressed between the plates of each plate while going through the states of (b) and (c), and begins to come out through the states (d) and (e). In this process, each stirring blade (10, 20), the relative speed and direction of motion continuously change, so it can be stirred while receiving not only compressive force but also shear force.

그리고, 제1 교반 블레이드(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즉 제1 교반 블레이드(10)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소재가 플레이트의 안쪽에서 바깥쪽 넓은 면적으로 밀리게 됨으로 섬유화(Fibrosis) 현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And, whe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rotates clockwis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rotates counterclockwise, that is,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material is push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late to a large area, thereby maximizing the fibrosis phenomenon.

나아가, 제1 교반 블레이드(10)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소재가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상향 화살표 방향)로 이동하여 넓은 면적의 곡선을 타고 가면서 전단가공(Shearing)된다.Furthermore, whe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material moves from the lower end of the plate to the upper end (upward arrow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is sheared while riding the curve of

뿐만 아니라,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 소재의 섬유화 현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ate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fiberization phenomenon of the material can be maximized.

도 10은 화살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자전하는 교반용 블레이드, 예컨대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분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좌측부터 순차로 관통공이 없는 교반용 블레이드,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하나인 교반용 블레이드, 모든 플레이트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해당 영 역에서 회전축도 생략된 교반용 블레이드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붉은 색에 가까 울수록 전단력을 크게 받는 영역(예컨대, 판면 부분)이며 푸른 색에 가까울수 록 전단력을 적게 받는 영역을 의미한다. 요컨대 각 플레이트의 판면)들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압축력이나 전단력의 효과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달리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관통공이 없거나, 1개 내지 3 개인 경우를 각각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tribution of shear force acting on the stirring blade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arrow, for example,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n sequence from the left, the stirring blade without the through hole, the plate having the through hole A single blade for stirring is illustrated, and a blade for stirring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ll plates and the axis of rotation is omit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Here, the closer to red, the greater the shear force (eg, plate surface), and the closer to blue, the less shear force. In short,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each plate) is large. However, since the effect of compressive force or shear force needs to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the case where there is no through hole or there are 1 to 3, respectively.

한편, 링기어(30)와 제1 기어(40) 및 제2 기어(50)는 제1 교반 블레이드(10)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제2 교반 블레이드(20)를 제1 교반 블레이드(10)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ring gear 30, the first gear 40, and the second gear 50,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1 Performs a function of rotating at a faster speed than the stirring blade (10).

링기어(30)는 제1 회전축(10a)의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회전축(20a)의 착탈형 회전축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주연을 따라서는 기어니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ring gear 30 is disposed above the detachable rotary shaft of the first and detachable rotary shaft 10b and the second rotary shaft 20a of the first rotary shaft 10a, and gear teeth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y.

즉, 제1 회전축(10a)은 제1 착탈형 회전축(1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1 착탈형 회전축(10b)은 제1 회전축(10a)의 상측에 형성된 중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first rotary shaft 10a is to include a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the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low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tary shaft (10a).

그리고, 제2 회전축(20a)은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은 제2 회전축(20a)의 상측에 형성된 중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And, the second rotary shaft (20a) is to include a second removable rotary shaft (20b), the second removable rotary shaft (20b)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low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ry shaft (20a).

이때, 제1 착탈형 회전축(10b) 중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상측에 위치된 부분의 일정영역은 링기어(3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은 제1 착탈형 회전축(10b)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링기어(30)의 외부에 위치된다.At this time, a certain region of the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f the first detachable rotary shaft 10b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ing gear 30, and the second detachable rotary shaft 20b is a first detachable type It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rotation shaft 10b and is located outside the ring gear 30 .

그리고,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의 일부분은 회전가이드통(60)의 내부에 위치되며, 회전가이드통(60)의 내부에는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볼베어링(B)이 마련된다.And, a portion of the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and the second removable rotary shaft 20b is located inside the rotary guide tube 60, and the inside of the rotary guide tube 60 is a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and a second 2 A ball bearing (B) for smoothly rotating the removable rotary shaft (20b) is provided.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은 자전 및 공전하며, 회전가이드통(60)은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된다.The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and the second removable rotary shaft 20b rotate and revolve, and the rotary guide tube 60 rotates in plac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and the second removable rotary shaft 20b do.

제1 기어(40)는 제1 착탈형 회전축(10b)의 상측에 장착된다. 제1 기어(40)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연에는 링기어(30)의 기어니와 치합되는 기어니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first gear 4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0b. The first gear 40 may be formed as a pinion gear, and gear teeth mesh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ring gear 3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y.

따라서, 제1 기어(40)는 링기어(3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gear 40 moves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ring gear 30 .

제2 기어(50)는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의 상측에 장착된다. 제2 기어(50)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연에는 제1 기어(40)의 기어니와 치합되는 기어니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gear 5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etachable rotary shaft 20b. The second gear 50 may be formed as a pinion gear, and gear teeth mesh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first gear 4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y.

제1 기어(40)가 링기어(3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이동하고, 제2 기어(50)가 제1 기어(40)와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제2 기어(50)는 제1 기어(40)보다 더 많이 회전하게 된다.Since the first gear 40 rotate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ring gear 30 , and the second gear 5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gear 40 , the second gear 50 rotates the first It rotates more than the gear 40 .

결국,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제1 교반 블레이드(10)보다 빠른 속도로 많이 회전하게 됨으로,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는 교반 과정 중 용기의 가장자리로 이동하게 되는 소재를 용기의 중앙인 제1 교반 블레이드(10)의 플레이트(11)와 제2 교반 블레이드(20)의 플레이트(21) 사이로 밀어낸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소재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rotates much faster tha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so that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moves to the edge of the container during the stirring process. is pushed between the plate 11 of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plate 21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which is the center of the vessel. By this action,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material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살균부(70)를 설명한다.Next, the sterilization unit 70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살균부를 도시한 도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erilizing unit applied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살균부(70)는 소재를 교반한 제1 교반 블레이드(10) 및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 등을 살균하여 새롭게 교반하는 소재에 오염 물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The sterilization unit 70 is configured to sterilize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hat stirred the material to prevent the contaminants from adhering to the newly stirred material.

이를 위해 살균부(70)는 제1 수용부(71)와, 제1 코일스프링(72)과, 충돌판(73)과, 승강가이드(74)와, UV 살균램프(75)와, 모터(76)와, 승강실린더(77) 및 이동실린더(78)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terilization unit 70 includes a first receiving unit 71 , a first coil spring 72 , a collision plate 73 , a lifting guide 74 , a UV sterilization lamp 75 , and a motor ( 76), and a lifting cylinder 77 and a moving cylinder 78 may be included.

제1 수용부(7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제1 수용부(71)는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7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may include a cover 7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pening.

덮개(711는 제1 수용부(7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711 may be hinged to the first receiving part 71 .

수용공간에는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수용된다.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이때,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detachable rotary shaft 10b and the second detachable rotary shaft 20b are accommodated in a separated state, respectively.

제1 수용부(71)는 후술되는 UV 살균램프(75)의 살균력이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작용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다.The first receiving portion 71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UV sterilization lamp 75 to be described later acts o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

제1 코일스프링(72)은 제1 수용부(71)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first coil spring 72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71 .

제1 코일스프링(72)은 제1 수용부(71)에 수용된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first coil spring 72 generates a vibration force i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71 .

충돌판(73)은 중공이 형성된 구조로써, 제1 코일스프링(72)이 관통설치된다.The collision plate 73 has a hollow structure, and the first coil spring 72 is installed therethrough.

이때, 제1 코일스프링(72)은 중앙부분이 중공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il spring 72 is fixed in the hollow.

따라서, 제1 코일스프링(72)은 충돌판(73)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il spring 72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of the collision plate 73 .

제1 코일스프링(72)의 저면에는 후술되는 모터(76)의 모터축이 결합되는 판 형상의 연결부재(721)가 마련된다.A plate-shaped connecting member 721 to which a motor shaft of a motor 76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il spring 72 .

충돌판(73)은 후술되는 이동실린더(78)에 의해 제1 수용부(71)의 내벽면에 반복적으로 부딪혀 제1 코일스프링(72)이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진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The collision plate 73 repeatedly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by a moving cylinder 78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rst coil spring 72 is bent, so that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2 to generate a vibration force on the stirring blade (20).

승강가이드(74)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elevating guide 74 has an open bottom surface and an empty barrel structure.

승강가이드(74)의 내부에는 제1 수용부(71)가 승강되는 승강통로(74a)가 형성된다.An elevating passage 74a through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is elevated is formed in the elevating guide 74 .

UV 살균램프(75)는 승강가이드(74)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제1 수용부(71)의 수용공간에 위치한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블레이드를 살균한다.UV sterilization lamp 75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one inner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elevating guide 74,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sterilize

모터(76)는 연결부재(7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AC 모터 또는 D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76 may be formed of an AC motor or a DC motor to rotate the connecting member 721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승강실린더(77)는 승강가이드(74)의 하측 외부에 배치된다.The elevating cylinder 77 is disposed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guide 74 .

승강실린더(77)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이 모터(76)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lifting cylinder 77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and a pisto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tor 76 .

즉, 승강실린더(77)는 모터(76)를 상승시켜 제1 수용부(71)를 UV 살균램프(75)의 사이에 위치시킨다.That is, the lifting cylinder 77 raises the motor 76 to pos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between the UV sterilization lamps 75 .

이동실린더(78)는 리니어실린더 또는 로드레스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cylinder 78 may be formed of a linear cylinder or a rodless cylinder.

이동실린더(78)의 피스톤은 승강실린더(77)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piston of the moving cylinder 78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cylinder 77 .

따라서, 이동실린더(78)는 승강실린더(77)를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킨다.Accordingly, the moving cylinder 78 repeatedly moves the lifting cylinder 77 from the left direction to the right direction and from the right direction to the left direction.

이러한 살균부(7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7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승강실린더(77)가 모터(76)를 상승시켜 제1 수용부(71)를 UV 살균램프(75)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모터(76)는 연결부재(721)와, 제1 코일스프링(72)과, 충돌판(73) 및 제1 수용부(71)를 일률적으로 회전시킨다.First, the lifting cylinder 77 raises the motor 76 to pos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between the UV sterilization lamps 75 , and the motor 76 includes the connecting member 721 and the first coil. The spring 72, the collision plate 73, and the 1st accommodation part 71 are rotated uniformly.

따라서, UV 살균램프(75)의 살균력이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고르게 작용하게 되어 사각지대 없이 완벽하게 살균하게 된다.Therefore, the sterilization power of the UV sterilization lamp 75 is evenly appli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o completely sterilize without blind spots.

나아가, 이동실린더(78)가 승강실린더(77)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제1 수용부(71) 내의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좌,우에 위치한 UV 살균램프(75)들과 반복적으로 가까워져 살균효율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s the moving cylinder 78 reciprocates the lifting cylinder 77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n the first receiving part 71 moves to the left.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by repeatedly approaching the UV sterilization lamps 75 located on the right.

아울러, 승강실린더(77)가 이동되면 충돌판(73)이 승강가이드(74)의 내벽면에 충돌되어 제1 코일스프링(72)이 휘어졌다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작용이 반복됨으로, 제1 수용부(71)에 반복적으로 진동이 발생되어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ing cylinder 77 is moved, the collision plate 73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ing guide 74 so that the first coil spring 72 is bent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is repeated. Vibration is repeatedly generat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71 to shake of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

다음으로, 도 13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제거부(80)를 설명한다.Next,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applied to the stirring device including the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pplied to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물질 제거부(80)는 소재를 교반한 제1 교반 블레이드(10) 및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묻어 있는 소재의 잔여물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is configured to remove residues or other foreign substances of the material adher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10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hat stirred the material.

이를 위해 이물질 제거부(80)는 제2 수용부(81)와, 낙하가이드(82)와, 출입판(83)과, 제2 코일스프링(84)과, 지지판(85)과, 출입실린더(86)와, 충격감지센서(87)와, 수집부(88) 및 완충패드(89)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includes a second receiving unit 81, a drop guide 82, an entry/exit plate 83, a second coil spring 84, a support plate 85, and an entry/exit cylinder ( 86), and the impact sensor 87, and may include a collection unit 88 and a buffer pad (89).

제2 수용부(8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제2 수용부(81)는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8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may include a cover 8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pening.

제1 수용부(7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홈(미도시)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덮개(811)의 저면에는 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1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not shown)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811 at regular intervals. can be formed.

수용공간에는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가 수용된다.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이때, 제1 착탈형 회전축(10b) 및 제2 착탈형 회전축(20b)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detachable rotary shaft 10b and the second detachable rotary shaft 20b are accommodated in a separated state, respectively.

낙하가이드(82)는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2 수용부(81)가 투입되는 투입구(82a) 및 상기 제2 수용부(81)가 배출되는 배출구(82b)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수용부(81)가 낙하되는 낙하공간(82c)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출입홀(82d)이 형성된다.The drop guide 82 has an inlet 82a into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is put and an outlet 82b through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is discharg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is formed therein. 2 A drop space 82c into which the receiving part 81 falls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entrance holes 82d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one inner wall and the other wall,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출입판(83)은 낙하공간(82c)에서 각각의 출입홀(82d)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The access plate 83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line with each of the access holes 82d in the drop space 82c.

출입판(83)은 출입홀(82d)을 통해 낙하가이드(82)의 외부 또는 낙하공간(82c)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access plate 83 may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rop guide 82 or to the drop space 82c through the access hole 82d.

출입판(83)과 출입홀(82d)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출입판(83)과 출입홀(82d)이 각각 6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same number of access plates 83 and access holes 82d may be applied, and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six access plates 83 and access holes 82d are applied respectively.

제2 코일스프링(84)은 출입판(83)의 상면에 각각 배치된다.The second coil springs 84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ess plate 83 .

제2 코일스프링(84)은 제2 수용부(81) 내의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second coil spring 84 generates a vibration force in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n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

지지판(85)은 제2 코일스프링(84)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며 낙하공간(82c)을 따라 낙하하는 제2 수용부(81)를 지지한다.The support plate 85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spring 84 and supports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falling along the falling space 82c.

즉, 낙하가이드(82)의 투입구(82a)를 통해 투입된 제2 수용부(81)가 지지판(85)에 충돌되면 제2 코일스프링(84)이 반복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는 작용을 반복하여 제2 수용부(81)에 반복적으로 진동이 발생됨으로,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82a of the drop guide 82 collides with the support plate 85, the second coil spring 84 repeatedly compresses or expands the second coil spring 84 repeatedly. As the vibration is repeatedly generated in the receiving part 81 , it is possible to shake of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

출입실린더(86)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out cylinder 86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출입실린더(86)의 피스톤은 출입판(83)에 결합된다.The piston of the entry/exit cylinder 86 is coupled to the entry/exit plate 83 .

출입실린더(86)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출입판(83)과 제2 코일스프링(84) 및 지지판(85)이 출입홀(82d)을 통해 낙하가이드(82)의 낙하공간(82c)에 인입된다.When the piston of the entry and exit cylinder 86 is advanced, the entry plate 83, the second coil spring 84, and the support plate 85 enter the falling space 82c of the drop guide 82 through the entry hole 82d. do.

그리고, 출입실린더(86)의 피스톤이 후진될 경우 출입판(83)과 제2 코일스프링(84) 및 지지판(85)이 출입홀(82d)을 통해 낙하가이드(82)의 외부로 인출된다.And, when the piston of the entry and exit cylinder 86 moves backward, the entry plate 83, the second coil spring 84, and the support plate 85 are drawn out of the drop guide 82 through the entry hole 82d.

충격감지센서(87)는 지지판(85)에 각각 설치된다.The impact sensor 87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85, respectively.

충격감지센서(87)는 지지판(85)에 제2 수용부(81)가 낙하에 의해 충돌할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출입실린더(86)에 후진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impact sensor 87 detects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collides with the support plate 85 by falling, and generates a reverse signal in the entry/exit cylinder 86 .

충격감지센서(87)의 신호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송신된다.The signal of the impact sensor 87 is transmitted to an electrically connected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는 충격감지센서(87)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시 해당 충격감지센서(87)에 해당하는 출입실린더(86)의 피스톤이 후진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impact sensor 87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iston of the entry/exit cylinder 86 corresponding to the impact sensor 87 to move backward.

수집부(88)는 낙하가이드(82)의 배출구(82b) 하측에 배치된다.The collection part 88 is disposed below the outlet 82b of the drop guide 82 .

수집부(88)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88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n empty space therein.

따라서, 배출구(82b)를 통해 배출된 제2 수용부(81)는 수집부(88)의 내부공간으로 수집된다.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82b is coll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lecting part 88 .

완충패드(89)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완충기능을 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pad 89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 function, such as rubber or silicone.

완충패드(89)는 수집부(88)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제2 수용부(81)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킨다.The buffer pad 89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part 88 to alleviate the impact of falling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이물질 제거부(80)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use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2 수용부(81)의 내부에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를 수용한 다음 덮개(811)를 닫는다.First,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and then the cover 811 is closed.

이후, 낙하가이드(82)의 투입구(82a)로 제2 수용부(81)를 투입하여 낙하공간(82c)으로 낙하시킨다.Thereafte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is put into the inlet 82a of the drop guide 82 to fall into the falling space 82c.

제2 수용부(81)가 낙하하다가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판(85)에 2개의 충돌되면 제2 코일스프링(84)이 압축 및 팽창 작용을 반복하게 되어 제2 수용부(81) 내의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진동이 발생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제2 수용부(81)의 바닥면으로 낙하된다.Wh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falls and two collide with the support plate 85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the second coil spring 84 repeats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action, so that the first stirring blade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is repeated. (10) or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dust or foreign substances fal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81).

이때, 제2 수용부(81)가 지지판(85)에 충돌되면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판(85)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87)가 충격을 각각 감지하여 제어부에 충격신호를 송신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81 collides with the support plate 85 , the shock sensor 87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85 located at the uppermost portion detects the shock, respectively, and transmits an imp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충격감지센서(87)로부터 충격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약 3초 내지 10초 이후에 최상부에 위치한 2개의 출입실린더(86)의 피스톤이 출입판(83)을 후진시키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istons of the two uppermost entry/exit cylinders 86 to move the access plate 83 backward after about 3 to 10 seconds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impact signal from the impact sensor 87 .

따라서, 최상부에 위치한 출입판(83)과, 지지판(85)과, 제2 코일스프링(84)이 출입홀(82d)을 통해 낙하가이드(82)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2 수용부(81)는 중간층에 위치한 지지판(85)으로 낙하된다.Accordingly, the access plate 83 located at the uppermost portion, the support plate 85 and the second coil spring 84 are drawn out of the drop guide 82 through the access hole 82d,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 is dropped to the support plate 85 located in the intermediate layer.

그리고, 출입실린더(86)가 출입판(83)을 후진시키기 전까지는 제2 코일스프링(84)의 압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되어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된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action of the second coil spring 84 is repeated until the entry/exit cylinder 86 moves the entry/exit plate 83 backward, causing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to vibrate. This happens continuously.

이때, 제어부는 출입판(83)을 낙하가이드(82)의 외부로 인출한 이후에 약 3초 내지 7초 이후에 출입실린더(86)의 피스톤을 전진시켜 최상부에 위치한 출입판(83)과, 지지판(85)과, 제2 코일스프링(84)이 다시 출입홀(82d)을 통해 낙하공간(82c)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dvances the piston of the access cylinder 86 after about 3 to 7 seconds after withdrawing the access plate 83 to the outside of the drop guide 82, and the access plate 83 located at the top, The support plate 85 and the second coil spring 84 are controlled to be positioned in the drop space 82c through the entry/exit hole 82d again.

이후에, 제어부는 전술한 방식으로 출입실린더(86)를 제어하여 제2 수용부(81)가 중앙에 위치된 지지판(85)과 최하부에 위치된 지지판(85)을 순차적으로 충돌되도록 함으로써,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에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ntry/exit cylinder 86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so that the support plate 85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support plate 85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81 sequentially collide with each other. 1 so that the vibration is repeatedly generated in the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그리고, 최하부에 위치된 지지판(85)을 통과한 제2 수용부(81)는 낙하가이드(82)의 배출구(82b)를 통해 수집부(88)의 내부로 낙하된다.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85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is dropped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part 88 through the outlet 82b of the fall guide 82 .

따라서, 작업자는 제2 수용부(81)에서 제1 교반 블레이드(10)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20)를 꺼낸 다음 새로운 소재를 교반하면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only needs to take out the first stirring blade 10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20 from the second receiving part 81 and then stir the new material.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 제1 교반 블레이드 10a : 제1 회전축
10b : 제1 착탈형 회전축 11,21 : 플레이트
11a,21a : 관통공 111,211 : 상단
112,212 : 하단 113,213 : 판면
114,214 : 외측단 20 : 제2 교반 블레이드
20a : 제2 회전축 20b : 제2 착탈형 회전축
30 : 링기어 40 : 제1 기어
50 : 제2 기어 60 : 회전가이드통
70 : 살균부 71 : 제1 수용부
711,811 : 덮개 72 : 제1 코일스프링
721 : 연결부재 73 : 충돌판
74 : 승강가이드 74a : 승강통로
75 : UV 살균램프 76 : 모터
77 : 승강실린더 78 : 이동실린더
80 : 이물질 제거부 81 : 제2 수용부
82 : 낙하가이드 82a : 투입구
82b : 배출구 82c : 낙하공간
82d : 출입홀 83 : 출입판
84 : 제2 코일스프링 85 : 지지판
86 : 출입실린더 87 : 충격감지센서
88 : 수집부 89 : 완충패드
10: first stirring blade 10a: first rotating shaft
10b: first removable rotary shaft 11, 21: plate
11a, 21a: through hole 111,211: top
112,212: bottom 113,213: plate surface
114,214: outer end 20: second stirring blade
20a: second rotary shaft 20b: second removable rotary shaft
30: ring gear 40: first gear
50: second gear 60: rotation guide barrel
70: sterilization unit 71: first accommodation unit
711,811: cover 72: first coil spring
721: connecting member 73: collision plate
74: elevating guide 74a: elevating passage
75: UV germicidal lamp 76: motor
77: elevating cylinder 78: moving cylinder
80: foreign material removal part 81: second accommodation part
82: fall guide 82a: inlet
82b: outlet 82c: fall space
82d: entrance hall 83: entrance plate
84: second coil spring 85: support plate
86: entrance cylinder 87: impact sensor
88: collection unit 89: buffer pad

Claims (3)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대칭되게 배치되며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로서,
링기어;
상기 제1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링기어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링기어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제2 교반 블레이드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가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는 각각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회전축 둘레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판 형상의 적어도 하단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판 형상의 상단과 하단의 각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사잇각은 120도이며,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가 하나로 적용되는 경우 플레이트는 회전축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단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이 반경방향 외측 방향을 향해 뾰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제2 교반 블레이드는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의 한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외측단이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의 이웃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단의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 내각은 120도이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교반 대상 소재가 원주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판 형상의 상단, 하단 및 반경방향 외측단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모두에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 상기 관통공들이 서로 연통되어 상기 회전축은 상기 판 형상의 상단과 하단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공을 포함 하고 있고 상기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도 관통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와 제2 교반 블레이드 각각의 관통공 이 형성된 플레이트들은 회전 중 둘 사이에 다른 플레이트가 개입됨이 없이 직접 상호 인접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tirring blade having a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second stirring blad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having a second rotational shaft,
ring gear;
a first gear mount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rotationally moved along an inner periphery of the ring gear; and
It is mounted on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from the outside of the ring gear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gear;
The first agitating blade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about each axis of rotation,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rotates at a faster speed than the first agitating blade,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each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dispos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axis of rotation, or,
The first stirring blade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includes one plat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rotation shaft,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re each formed in a plate shape helically arranged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at least a lower end of the plate shape form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rotation axis is the center of the plate shape. The angle formed between each position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plate shape is 120 degrees,
When the plate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applied as one, the plate is formed in a lip shape spirally disposed on the axis of rotation,
The radially outer ends of each of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re formed so that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is pointed toward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doedoe each rotation axis i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hen a plurality of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the radial outer end of one plate of the first stirring blade It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plates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A cross-sectional inner angl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in the radial direction is 120 degrees,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terial to be stirred can pas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excluding the upper end, lower end and radially outer end of the plate shape,
When through-holes are formed in both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the through-ho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 shaft exists only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plate shape,
When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first stirring blade includes a through hole and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second stirring blade includes a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of each of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includes a through hole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a blade disposed so that the formed plates can b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intervening another plate between the two during rot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제1 교반 블레이드 및 제2 교반 블레이드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내부에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이 관통설치되는 충돌판과,
내부에 상기 제1 수용부가 승강되는 승강통로가 형성된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한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블레이드를 살균하는 UV 살균램프와,
상기 UV 살균램프의 살균력이 상기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드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승강가이드의 하측 외부에서 상기 모터를 상승시켜 상기 제1 수용부를 상기 UV 살균램프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제1 수용부가 상기 UV 살균램프들과 반복적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충돌판이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벽면에 충돌되어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이 휘어지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내부에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용부와,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2 수용부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수용부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출입홀이 형성된 낙하가이드와,
상기 낙하공간에서 상기 각각의 출입홀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출입판과,
상기 출입판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용부 내의 제1 교반 블레이드 또는 제2 교반 블레이드에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낙하공간을 따라 낙하하는 제2 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낙하가이드의 낙하공간 또는 외부로 이동하도록 출입판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출입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에 상기 제2 수용부가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출입실린더에 후진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낙하가이드의 배출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제2 수용부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실린더는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한 시점에서 3초 내지 10초 이후에 상기 출입판을 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first stirring blade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and
It further comprises;
The sterilization unit,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irst stirring blade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receiving par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first coil spring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 collision plate through which the first coil spring is installed;
an elevating guide having an elevating passage in whic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elevates and elevates;
A UV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one inner wall and the other wall of the elevating guide and sterilizes the first or second stirring blade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coil spring in place so that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UV sterilizing lamp evenly acts on the first stirring blade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an elevating cylinder that raises the motor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guide to pos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between the UV sterilization lamps; and
A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repeatedly approaches the UV germicidal lamps, the collision plate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ing guide so that the first coil spring is bent. ,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 second receiving par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first stirring blade or the second stirring blade is accommodated;
An inlet into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pu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discharged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a falling space into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alls is formed, and the inner wall and the other wall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drop guide having a plurality of entry and exit hole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access plates arranged to be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line with each of the entry and exit holes in the falling space;
a second coil spring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ess plate, respectively, capable of generating a vibration force in the first or second stirring blades in the second receiving part;
a support pl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spring and supporting a second receiving part falling along the falling space;
an entrance and exit cylinder for advancing or reversing the entrance plate so that the support plate moves to the falling space or the outside of the drop guide through the entrance hole;
an impact sensor installed on each of the support plates and configured to detect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and generate a reverse signal to the entry/exit cylinder;
a collecting unit disposed below the outlet of the drop guide and collecting the second receiving unit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It includes a buffer pad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unit,
The in-and-out cylinder is a stirring device including a blade programmed to reverse the access plate after 3 seconds to 10 seconds from the time the impact sensor senses the impact.
KR1020210056909A 2021-04-30 2021-04-30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KR102315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09A KR102315097B1 (en) 2021-04-30 2021-04-30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09A KR102315097B1 (en) 2021-04-30 2021-04-30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097B1 true KR102315097B1 (en) 2021-10-20

Family

ID=7826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909A KR102315097B1 (en) 2021-04-30 2021-04-30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84A1 (en)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High-shear mix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03A (en) * 2010-04-22 2011-10-28 김경호 Mixing blade for a kneader
KR101537909B1 (en) * 2014-10-28 2015-07-17 주식회사 제일기공 mixer
KR20200072801A (en) 2018-12-13 2020-06-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Multi-Shaft Planetary Mixer For Preventing Agglomeration
JP2020182814A (en) * 2019-05-08 2020-11-12 温州▲てい▼安智能科技有限公司 Ultraviolet disinfection apparatus having no dead corner in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03A (en) * 2010-04-22 2011-10-28 김경호 Mixing blade for a kneader
KR101537909B1 (en) * 2014-10-28 2015-07-17 주식회사 제일기공 mixer
KR20200072801A (en) 2018-12-13 2020-06-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Multi-Shaft Planetary Mixer For Preventing Agglomeration
JP2020182814A (en) * 2019-05-08 2020-11-12 温州▲てい▼安智能科技有限公司 Ultraviolet disinfection apparatus having no dead corner in terminal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84A1 (en)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High-shear mix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097B1 (en) Stirring device including blade
JP2006125511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grinder and agitator using the same
CN108479564A (en) A kind of stirring device for production of cosmetics convenient for homogeneous stirring
CN107349837A (en) A kind of efficient pig feed automatic crushing agitating device
CN108579493A (en) A kind of powder mixing agitator
CN112170196A (en) Powder vibration screening device for ore mining
RU2729156C1 (en) Feed mixer
CN109126578B (en) Building materials powder mixes machine
KR101734950B1 (en) The multi mixer system for mixing and grinding of raw materials
CN113018192A (en) Ointment mixing and preparing device
CN1622851A (en) Dynamic mixer
CN112426955A (en) Multidirectional agitating unit that multiple form material mixes usefulness
CN111889010A (en) Raw material mixing device for food processing
CN116182529A (en) Drying device is used in zinc powder processing
CN207707160U (en) One kind being convenient for clean flour mixer
CN215137523U (en) Medical separating device
CN112619779B (en) Crushing equipment for kitchen garbage recycl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CN113399082A (en) Reducing mechanism that bio-pharmaceuticals was used
CN112371021A (en) Essence for daily use automatic stirrer
KR100417119B1 (en) Mixing apparatus
CN213348628U (en) Emulsification equipment is used in cosmetics production
JP3059006U (en) Food processing equipment
CN218393322U (en) Blendor for feed processing
JPH09117652A (en) Vertical controlled mixer
CN219356477U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reaker ejection of compac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