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83B1 -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83B1
KR102315083B1 KR1020200003010A KR20200003010A KR102315083B1 KR 102315083 B1 KR102315083 B1 KR 102315083B1 KR 1020200003010 A KR1020200003010 A KR 1020200003010A KR 20200003010 A KR20200003010 A KR 20200003010A KR 102315083 B1 KR102315083 B1 KR 10231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pe
circulation
main sensing
sens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891A (ko
Inventor
홍성호
서무광
하재민
조준익
전홍규
유재형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F25/000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6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of moving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88Lubricating oil characteristics, e.g. deteri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순환되는 오일 내에 불순물이 얼마만큼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오일의 성상이 얼마나 열화되었느지를 측정할 수 있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순환 배관, 메인 센싱 배관, 교반 장치, 오일 순환 장치 및 오일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은 상기 순환 배관의 일단 및 타단과 연결되어 순환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교반 장치는 오일에 불순물을 교반시켜 상기 순환 배관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순환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으로 삽입된 오일을 상기 순환 루프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로써, 가상의 엔진 또는 기계 장치에서 오일이 순환되는 것과 같은 실험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실험을 통해 오일 내에 불순물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얼마나 체크되는지를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OIL ANALYSIS TEST SYSTEM WITH OIL SENSORS}
본 발명은 유분석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윤활유와 같은 오일을 진단하기 위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는 기계의 마찰면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이거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오일로써, 엔진이나 기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유는 엔진이나 기계 시스템 내에서 오래 사용될 경우 불순물이나 마모 입자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 내에 불순물이나 마모 입자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윤활유 내에 불순물이나 마모 입자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오일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센서에는 예를 들어, 철분 센서, 오염도 센서, 수트 오염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비용적인 측면이나 복잡성으로 인해, 실제 기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오일 센서를 엔진이나 기계 시스템에 적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다양한 운전 조건 및 오염 조건에서 오일의 상태를 진단하는 실험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순환되는 오일 내에 불순물이 얼마만큼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오일의 성상이 얼마나 열화되었느지를 측정할 수 있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순환 배관, 메인 센싱 배관, 교반 장치, 오일 순환 장치 및 오일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은 상기 순환 배관의 일단 및 타단과 연결되어 순환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교반 장치는 오일에 불순물을 교반시켜 상기 순환 배관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순환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으로 삽입된 오일을 상기 순환 루프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측정부는 제1 및 제2 오일 센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오일 센서 장치들은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일 센서 장치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일단과 상기 순환 배관의 일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오일 센서 장치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타단과 상기 순환 배관의 타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제1 및 제2 연결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의 우회 통로를 형성하는 우회 센싱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우회 센싱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오일 센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제1 및 제2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제1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 및 상기 우회 센싱 배관의 교차 부분에서의 오일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 및 상기 우회 센싱 배관의 교차 부분에서의 오일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센싱 배관 중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를 배치된 일부 배관은 투명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센싱 배관 중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를 배치된 일부 배관에는 오일 내의 불순물을 트랩(trap)하기 위한 그루브(groov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일 센서 장치들 각각은 센서 몸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오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몸체부는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센서는 상기 센서 몸체부에 삽입 결합되어, 오일 내의 불순물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오일 순환 장치와 연결되는 일부 배관은 고무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교반 장치와 연결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 장치에서 불순물이 교반된 오일이 상기 순환 배관 내로 삽입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오일 삽입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유량 측정 장치, 유압 측정 장치 및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측정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측정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에 따르면, 순환 배관에 삽입된 오일이 순환 배관, 메인 센싱 배관 및 우회 센싱 배관을 통해 순환됨에 따라, 가상의 엔진 또는 기계 장치에서 오일이 순환되는 것과 같은 실험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실험을 통해 오일 내에 불순물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얼마나 체크되는지를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장치에서 원하는 불순물을 오일 내에 삽입하여 교반시킴에 따라, 다양한 오염 조건에서 오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장치, 오일 순환 장치, 유량 측정 장치, 유압 측정 장치 및 온도 조절 장치에 의해, 유속, 유량, 유압, 온도 등을 제어함에 따라, 다양한 운전 조건에 따라 오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센싱 배관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배관으로 형성됨에 따라, 메인 센싱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센싱 배관에 그루브가 형성됨에 따라, 불순물을 가두어 두는 트랩(trap)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오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분석 시험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분석 시험 시스템 중 온도 조절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분석 시험 시스템 중 오일 측정부의 오일 센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분석 시험 시스템 중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센싱 배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메인 센싱 배관에 형성된 그루브에 불순물이 트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그루브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분석 시험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분석 시험 시스템 중 온도 조절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순환되는 오일, 예를 들어 윤활유를 진단하기 위한 시험 장치로, 하우징부(10), 순환 배관(20), 메인 센싱 배관(30), 우회 센싱 배관(40), 교반 장치(50), 오일 순환 장치(60), 유량 측정 장치(70), 유압 측정 장치(80), 온도 조절 장치(90) 및 오일 측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케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0)는 외부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를 차단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배관(20)은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있는 오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배관(20)은 예를 들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은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배관(20)의 일단 및 타단과 연결되어 순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은 예를 들어, 상기 순환 배관(20)과 연결되어 사각형 순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은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의 우회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제1 및 제2 연결부들와 각각 연결되도록 ㄷ-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제1 연결부에 결합된 제1 밸브(42) 및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제2 연결부에 결합된 제2 밸브(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밸브들(42, 44)은 3-way 밸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밸브(42) 및 상기 제2 밸브(44) 각각은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 및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의 교차 부분에서의 오일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밸브(42)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제1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으로 계속 진행할지 또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으로 우회하여 진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두 방향 모두로 진행하도록 하되 흐르는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밸브(44)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제2 연결부에서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을 통해 우회하여 이동하는 오일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으로 진입시킬지 또는 차단시키지를 결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두 방향 모두로 진행하도록 하되 흐르는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들(42, 44)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순환 배관(20)에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로 제공된 오일이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으로 우회하지 않고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으로만 이동하여 다시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에서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으로 다시 돌아온 후 이후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인가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 장치(50)는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오일에 불순물을 교반시켜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 장치(50)는 오일에 임의의 불순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 내에 있는 오일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통은 상기 순환 배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불순물이 교반된 오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분석 시험 시스템은 오일 삽입 밸브(5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오일 삽입 밸브(52)는 상기 순환 배관(20) 중 상기 교반 장치(50)의 교반통과 연결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통에서 불순물이 교반된 오일이 상기 순환 배관 내로 삽입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교반 장치(50)를 통해 오일 내에 임의의 불순물을 교반시킨 후 실험하기 위해 원하는 양을 상기 순환 배관(20)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는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배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삽입된 오일을 상기 순환 루프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는 모터와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삽입된 오일을 상기 순환 루프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에서의 진동과 맥동을 고려하여, 상기 순환 배관(20) 중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와 연결되는 일부 배관을 고무 배관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의 오일 입구와 연결된 배관과,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의 오일 출구와 연결된 배관은 고무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측정 장치(70)는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배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20)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측정 장치(80)는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배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20)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90)는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배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20)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조절 장치(90)는 도 2에서와 같이, 배관과 연결되는 온도 조절통, 상기 온도 조절통 내에 배치되어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오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 또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 또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이나 또는 오일의 성상(점도, 산가, 염기가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측정부는 제1 및 제2 오일 센서 장치들(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오일 센서 장치들(110, 120)은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이나 또는 오일의 성상이 얼마나 열화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일 센서 장치(110)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일단과 상기 순환 배관(20)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순환 배관(20)에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에서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이동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이나 또는 오일의 성상이 얼마나 열화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일 센서 장치(120)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타단과 상기 순환 배관(2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에서 상기 순환 배관(20)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순환 배관(20)에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으로 이동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이나 또는 오일의 성상이 얼마나 열화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과 연결되어,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오일 센서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오일 센서 장치(130)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의 두 꺾임 부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유분석 시험 시스템 중 오일 측정부의 오일 센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일 센서 장치들(110, 120, 130) 각각은 센서 몸체부(112) 및 적어도 하나의 오일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몸체부(112)는 2개의 배관 연결구들을 통해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센서(114)는 상기 센서 몸체부(112)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삽입구에 삽입 결합되어, 오일 내의 불순물이나 또는 오일의 성상이 얼마나 열화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 배관(20)에 삽입된 오일이 상기 순환 배관(20) 및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을 통해 순환되거나, 상기 순환 배관(20),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 및 상기 우회 센싱 배관(40)을 통해 순환됨에 따라, 가상의 엔진 또는 기계 장치에서 오일이 순환되는 것과 같은 실험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실험을 통해 오일 내에 불순물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얼마나 체크되는지를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장치(50)에서 불순물을 오일 내에 삽입하여 교반시킴에 따라, 실험자가 다양한 종류의 불순물을 오일 내에 삽입시켜 다양한 오염 조건에서 오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장치(50), 상기 오일 순환 장치(60), 상기 유량 측정 장치(70), 상기 유압 측정 장치(80)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90)에 의해, 유속, 유량, 유압, 온도 등을 제어함에 따라, 다양한 운전 조건에 따라 오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유분석 시험 시스템 중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센싱 배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메인 센싱 배관에 형성된 그루브에 불순물이 트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그루브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은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체가 투명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를 배치된 일부 배관에서만 투명 배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에는 오일 내의 불순물을 트랩(trap)하기 위한 그루브(groove, 3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루브(32)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 중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의 일부 배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루브(32)는 도 4에서와 같은 반원 구조, 도 6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구조, 도 7에서와 같이 사다리꼴 구조 또는 사다리꼴 유사 구조, 도 8에서와 같이 삼각형 구조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배관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센싱 배관(30)에 상기 그루브(3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루브(32)에서 불순물이 트랩(trap)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오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순환 배관
30 : 메인 센싱 배관 40 : 우회 센싱 배관
50 : 교반 장치 60 : 오일 순환 장치
70 : 유량 측정 장치 80 : 유압 측정 장치
90 : 온도 조절 장치 100 : 오일 측정부
110 : 제1 오일 센서 장치 120 : 제2 오일 센서 장치
130 ; 제3 오일 센서 장치

Claims (11)

  1. 순환 배관;
    상기 순환 배관의 일단 및 타단과 연결되어 순환 루프를 형성하는 메인 센싱 배관;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제1 및 제2 연결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의 우회 통로를 형성하는 우회 센싱 배관;
    오일에 불순물을 교반시켜 상기 순환 배관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교반 장치;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으로 삽입된 오일을 상기 순환 루프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는 오일 순환 장치; 및
    상기 메인 센싱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오일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센싱 배관 중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에 배치된 배관은 투명 배관이고,
    상기 투명 배관에는 오일 내의 불순물을 트랩(trap)하기 위한 그루브(groove)가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을 통과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오일 센서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 센서 장치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일단과 상기 순환 배관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오일 센서 장치는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타단과 상기 순환 배관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우회 센싱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우회 센싱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오일 내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오일 센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제1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 및 상기 우회 센싱 배관의 교차 부분에서의 오일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메인 센싱 배관의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센싱 배관 및 상기 우회 센싱 배관의 교차 부분에서의 오일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오일 센서 장치들 각각은
    배관과 연결되는 센서 몸체부; 및
    상기 센서 몸체부에 삽입 결합되어, 오일 내의 불순물 또는 오일의 성상의 열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오일 순환 장치와 연결되는 일부 배관은 고무 배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교반 장치와 연결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 장치에서 불순물이 교반된 오일이 상기 순환 배관 내로 삽입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오일 삽입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측정부는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측정 장치;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압 측정 장치; 및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오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석 시험 시스템.
KR1020200003010A 2020-01-09 2020-01-09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KR10231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010A KR102315083B1 (ko) 2020-01-09 2020-01-09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010A KR102315083B1 (ko) 2020-01-09 2020-01-09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91A KR20210089891A (ko) 2021-07-19
KR102315083B1 true KR102315083B1 (ko) 2021-10-20

Family

ID=7712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010A KR102315083B1 (ko) 2020-01-09 2020-01-09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178A (ja) 2006-10-11 2010-02-25 エボニック ローマックス アディティヴ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潤滑液の酸化安定性測定方法
JP2012180921A (ja) 2011-03-03 2012-09-20 Ntn Corp 油潤滑方式転動装置およびその潤滑油中の混入水分濃度の異常監視のしきい値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828B1 (ko) * 2014-09-11 2016-05-16 한국기계연구원 오염 유체 시험장치
KR20160093364A (ko) * 2015-01-29 2016-08-08 (주)호현 선박 엔진 윤활유의 수분 함유도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178A (ja) 2006-10-11 2010-02-25 エボニック ローマックス アディティヴ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潤滑液の酸化安定性測定方法
JP2012180921A (ja) 2011-03-03 2012-09-20 Ntn Corp 油潤滑方式転動装置およびその潤滑油中の混入水分濃度の異常監視のしきい値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91A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7097B (zh) 一种外置式发动机用机油温控系统及测试控制方法
KR20110014233A (ko) 내연기관에 대한 냉각수 펌프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852641B (zh) 节温器诊断方法及系统、发动机冷却系统及电子控制器
KR102315083B1 (ko) 오일 센서를 이용한 유분석 시험 시스템
US6577959B1 (en) Fluid level measuring system for machines
CN108575093A (zh) 风扇驱动系统及管理系统
CN111678684B (zh) 待检测电驱系统润滑油最佳注油量的检测试验方法
US20230374987A1 (en) Method for Ascertaining Leaks of a Displacement Pump
CN206876399U (zh) 一种轴承智能润滑试验装置
CN110886742B (zh) 变速箱液压控制装置的测试系统
CN207036402U (zh) 一种密封圈性能测试装置
Pai et al. Modelling of fluid flow in a 3-axial groove water bearing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káč et al. Experimental Hydraulic Device for the Testing of Hydraulic Pumps and Liquids.
CN206891726U (zh) 一种多功能轴承智能润滑试验装置
KR910004295Y1 (ko) 자동차 연료 계통의 순환부식 시험장치
KR20160093364A (ko) 선박 엔진 윤활유의 수분 함유도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1579306B1 (ko) 차량용 서모스탯의 신뢰성 검사장치
Schepner In Situ Assessment of Engine Oil Quality Through Real-Time Sensing
SK2232017U1 (sk) Zariadenie na testovanie prietokových vlastností filtračných materiálov
CN216351109U (zh) 一种通用型航空发电机地面测试滑油冷却系统
CN114856753B (zh) 发动机机油更换精度控制装置
SK1142019A3 (sk) Zariadenie na testovanie prietokových vlastností filtračných materiálov
CN210128823U (zh) 一种过滤器试验工装和抗疲劳性能试验装置
KR200173628Y1 (ko) 오일 필터 개발용 리그 시험기
Qatu et al. Measurement of fluid bulk modulus using impedance of hydraulic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