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940B1 - 디스펜서 하우징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940B1
KR102314940B1 KR1020170096927A KR20170096927A KR102314940B1 KR 102314940 B1 KR102314940 B1 KR 102314940B1 KR 1020170096927 A KR1020170096927 A KR 1020170096927A KR 20170096927 A KR20170096927 A KR 20170096927A KR 102314940 B1 KR102314940 B1 KR 10231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dispenser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095A (ko
Inventor
박유만
최용신
이종수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0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bottom part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5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8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with provision for us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티슈의 분배가 가능한 디스펜서 모듈의 장착을 위한 디스펜서 하우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은 디스펜서 모듈과 티슈가 출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제1 개구에 대향하고 제1 개구보다 장착면에 더 근접한 제2 개구 및 티슈의 분배를 위한 제3 개구를 갖는 메인 바디와, 제2 개구에 결합되고 디스펜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장 케이스 및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메인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내장 케이스는 제2 개구에 대향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후방벽을 장착면에 고정하기 위해 장착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을 후방벽에 포함한다. 브래킷은 장착면과 후방벽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하우징{DISPENSER HOUSING}
본 개시는 디스펜서 모듈의 장착을 위한 디스펜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티슈를 뽑아 쓸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펜서(이하, '티슈 디스펜서'라 함)가 당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의 티슈 디스펜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티슈 디스펜서(10)는 한 쌍의 수용부(12, 13)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디스펜서 바디(11)를 가진다. 한 쌍의 수용부(12, 13) 중 상측에 배치되는 수용부(12)에는 티슈의 적층물이 수용되며, 티슈를 한 장씩 뽑아낼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분배구(14)가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수용부(12, 13) 중 하측에 배치되는 수용부(13)에는 사용한 티슈를 버릴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투입구(15)가 구비된다. 수용부(12)에는 전방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6)가 구비되어 티슈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용부(13)에는 전방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7)가 구비되어 내부에 담기는 사용 후 버려진 티슈를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티슈 디스펜서(10)는 통상 설치 장소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 장소 내의 측벽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최근, 티슈 디스펜서의 설치가 늘어나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티슈를 뽑아낼 필요 없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따라 자동으로 티슈를 분배(또는, '불출(拂出)'이라고 함)하는 장치, 이른바 디스펜서 모듈(또는, '디스펜서 구동장치'라고 함)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티슈를 뽑아 써야 하는 티슈 디스펜서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화장실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펜서 모듈을 해당 설치 장소에 다시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디스펜서 모듈을 화장실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화장실의 공간 활용 측면, 인테리어 측면 등을 고려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티슈 디스펜서 대신에 디스펜서 모듈이 장착되도록 설계 및 제작된 새로운 티슈 디스펜서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화장실의 측벽에 매립된 기존의 티슈 디스펜서를 화장실의 측벽으로부터 떼어내야 하는 작업, 떼어낸 기존의 티슈 디스펜서와 새로 설치하려는 티슈 디스펜서의 크기 차이로 인해 화장실의 측벽을 보수해야 하는 작업 등이 요구되어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설(旣設)된 티슈 디스펜서에 디스펜서 모듈을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티슈의 분배가 가능한 디스펜서 모듈의 장착을 위한 디스펜서 하우징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은 디스펜서 모듈과 티슈가 출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제1 개구에 대향하고 제1 개구보다 장착면에 더 근접한 제2 개구 및 티슈의 분배를 위한 제3 개구를 갖는 메인 바디와, 제2 개구에 결합되고 디스펜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장 케이스 및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메인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장 케이스는 제2 개구에 대향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후방벽을 장착면에 고정하기 위해 장착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을 후방벽에 포함한다. 브래킷은 장착면과 후방벽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래킷은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크를 갖는 제1 고정부와, 제1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내장 케이스의 후방벽은 제1 고정부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와, 삽입구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제1 개구를 향하여 연장하는 브래킷 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브래킷 결합부는 후크가 위치 조절가능하게 걸리는 고정용 개구와 제1 고정부와 브래킷 결합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펜서 하우징은 하방벽과 대향하는 상방벽, 상방벽과 하방벽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방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해 내장 케이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내장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클램핑 나사 및 내장 케이스에 고정되는 클램핑 나사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바디는 상방 프레임 및 상방 프레임의 양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제3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하방 프레임 및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와 하방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장 케이스의 하방벽, 하방벽과 대향하는 상방벽 및 하방벽과 상방벽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방벽 각각은 내장 케이스의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구비하고, 플랜지는 테두리 패널의 후방면에 나사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펜서 하우징은 테두리 패널의 후방면 중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하는 확장 패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방 프레임의 양 가장자리 각각에 프론트 커버의 하측 양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힌지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는 하방 회전에 의해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제1 개구를 폐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펜서 하우징은 메인 바디와 프론트 커버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바디는 측방 프레임 각각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제1 링크 결합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론트 커버는 프론트 커버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결합되는 제2 링크 결합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링크는 일단에서 제1 링크 결합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2 링크 결합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펜서 하우징은 프론트 커버의 하방 회전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힌지의 적어도 일부의 하방에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바디는 메인 바디의 전방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프론트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차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장 케이스는 디스펜서 모듈과 후크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후방벽에 구비하고, 내장 케이스는 디스펜서 모듈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하방벽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장 케이스는 후방벽에 대항하는 전면 개구를 포함하고, 내장 케이스의 전면 개구의 크기는 메인 바디의 제2 개구의 크기와 같거나 메인 바디의 제2 개구의 크기보다 작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은 디스펜서 모듈과 티슈가 출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제1 개구에 대향하고 제1 개구보다 장착면에 더 근접한 제2 개구 및 티슈의 분배를 위한 제3 개구를 갖는 메인 바디와, 제2 개구에 결합되고 디스펜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장 케이스 및 하방 회전에 의해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제1 개구를 폐쇄하도록 메인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는 상방 프레임 및 상방 프레임의 양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제3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하방 프레임 및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와 하방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 패널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은 기설된 티슈 디스펜서의 틀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디스펜서 모듈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적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은 모듈화된 부품의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기설된 티슈 디스펜서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은 조형적 호기심 및 미감을 주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설치 장소의 분위기를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티슈 디스펜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프론트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하우징을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프론트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 하우징과, 디스펜서 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펜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메인 바디, 내장 케이스 및 프론트 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 바디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내장 케이스의 후방벽과 브래킷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확장 패널이 결합된 디스펜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일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설치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과 디스펜서 하우징이 설치된 측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설치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과 디스펜서 하우징이 설치된 측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내장 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내장 케이스 내에 고정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고정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가 적용된 디스펜서 하우징의 일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3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와 스토퍼에 의해 하방 회전의 회전각이 제한되는 프론트 커버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에 있어서, 메인 바디와 프론트 커버의 맞물림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내부에 티슈(30)의 분배가 가능한 디스펜서 모듈(20)을 해제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 모듈(20)에 의해 롤 타입의 티슈(30)가 회전가능하게 보유되며, 디스펜서 모듈(20)은 자동으로 롤 타입의 티슈(30)를 소정 길이로 절취하여 분배할 수 있다. 티슈(30)는 단위 시트가 절취선을 매개로 연속하는 형태 또는 절취선 없이 연속하는 시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메인 바디(100)와, 메인 바디(100)의 후방(RD)에서 메인 바디(100)에 결합되는 내장 케이스(200) 및 메인 바디(100)의 전방(FD)에서 메인 바디(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300)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100)는, 전방(FD) 또는 후방(RD)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틀)으로서, 내부가 전후방(FD/RD)으로 관통되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내장 케이스(200)는 전방(FD)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메인 바디(100)와 메인 바디(100)에 결합된 내장 케이스(200)는 그 내부에 디스펜서 모듈(2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S)(도 5 참조)을 형성한다. 디스펜서 모듈(20)의 장착 시, 디스펜서 모듈(20)의 일부는 내장 케이스(200)에 수용되며, 디스펜서 모듈(20)의 나머지 일부는 메인 바디(100)에 수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00)는 메인 바디(100)의 개방된 전방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메인 바디(100)의 개방된 전방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프론트 커버(300)는, 전방(FD)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메인 바디(100)에 대해 프론트 커버(300)가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프론트 커버(300)를 개방하여 메인 바디(100)와 내장 케이스(200)의 내부에 디스펜서 모듈(20)을 장착 또는 장착 해제시킬 수 있으며, 또는 디스펜서 모듈(20)에 의해 보유되는 티슈(30)를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00)는 상측 양 가장자리부(104) 및 하측 양 가장자리부(105)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형적 호기심과 미감을 준다. 프론트 커버(300)는, 좌측방(LSD) 또는 우측방(RSD)에서 볼 때, 전방(FD)을 향하는 전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드러운 미감을 준다. 또한, 프론트 커버(300)의 전면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상하로 연장하는 홈(310R)이 형성되어 있어 단순함에서 벗어난 미감을 준다.
메인 바디(100), 내장 케이스(200) 및 프론트 커버(300) 각각은 모듈화된 부품들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메인 바디(100), 내장 케이스(200) 및 프론트 커버(300)로 조립되는 부품들은 내구성 등이 우수한 금속 재료로 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금속 재료가 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 하우징(1000)에 적용되는 메인 바디(100), 내장 케이스(200) 및 프론트 커버(3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메인 바디(100), 메인 바디(100)의 후방(RD)으로 분리되는 내장 케이스(200), 메인 바디(100)의 전방(FD)으로 분리되는 프론트 커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메인 바디(100)와 프론트 커버(300) 사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4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펜서 하우징(1000)에 한 쌍의 링크(400)가 적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00)에는 내장 케이스(20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프론트 커버(300)는 힌지와 링크를 사용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메인 바디(100)와 내장 케이스(200)의 결합 방식과 메인 바디(100)와 프론트 커버(300)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메인 바디(100)는 디스펜서 모듈(20)과 티슈(30)의 출입을 위한 제1 개구(101)와, 제1 개구(101)에 대향하는 제2 개구(102)를 가진다. 내부가 전후방(FD/RD)으로 관통된 메인 바디(100)에 있어서, 제1 개구(101)는 전방 개구, 제2 개구(102)는 후방 개구로 각각 참조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설치 시, 내장 케이스(200)를 향해 개방된 제2 개구(102)는 제1 개구(101)보다 장착면(3R)(도 22 참조)에 더 근접하게 된다. 여기서, '장착면'은 기설된 티슈 디스펜서(10)(도 1 참조)에 있어서 수용부(12) 내의 전방(FD)을 향하는 측면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00)는 티슈(30)의 분배를 위한 제3 개구(103)를 가진다. 디스펜서 모듈(20)로부터 분배되는 티슈(30)는 제3 개구(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메인 바디(100)는 복수의 프레임이 조립되고, 조립된 복수의 프레임에 일 패널이 조립되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100)는 상방 프레임(111) 및 상방 프레임(111)의 양 가장자리에서 하방(LD)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110)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의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방 프레임(120) 및 결합된 메인 프레임(110)과 하방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테두리 패널(1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110)의 상방 프레임(111)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방 프레임(111)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상방 프레임(111)의 양 가장자리 각각에 측방 프레임(112)이 결합될 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110)[상방 프레임(111)과 측방 프레임(112)]은, 좌측방(LSD) 또는 우측방(RSD)에서 볼 때 소정의 폭(W)(도 8 참조)을 가지며, 이러한 폭(W)은 디스펜서 모듈(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은, 전방(FD) 또는 후방(RD)에서 볼 때, 대략 역'U'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메인 바디(100)는 프론트 커버(3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자물쇠(181)와 열쇠(182)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자물쇠(181)는 삽입된 열쇠(182)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전방(FD)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열쇠(182)의 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원위치(예컨대, 좌측방(LSD)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걸림쇠(18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물쇠(181)는 상방 프레임(111)에 장착되며, 이를 위해 상방 프레임(111)에는 자물쇠(181)의 장착을 위한 관통 구멍(111H)이 형성된다.
메인 바디(100)는, 디스펜서 모듈(20)의 장착 여부, 디스펜서 모듈(20)에 보유된 티슈(30)의 잔량 상태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 중 적어도 일 측방 프레임(112)에 구비되는 윈도우 패널(113)을 더 포함한다. 윈도우 패널(113)은 육안 확인이 보다 용이하도록 상하(TD/LD)로 길게 연장하는 사각 형상을 가진다. 윈도우 패널(113)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는 윈도우 패널(113)이 장착될 수 있는 관통 구멍(112H)이 형성된다.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은 하방 프레임(120)과의 결합을 위한 절곡부(112A)를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한다.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에 있어서, 한 쌍의 절곡부(112A)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절곡부(112A)에 하방 프레임(120)의 일부가 맞대어져 결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방 프레임(120)에 상방(TD) 또는 하방(LD)으로 절곡된 부분이 구비되고, 이 절곡된 부분이 측방 프레임(112)의 내면에 맞대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곡부(112A)의 전방 가장자리가 하방(LD)으로 절곡되어 프론트 커버(30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160)를 형성한다.
하방 프레임(120)은 전방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리세스(120H)가 형성된 하방 프레임 본체(121)를 포함한다. 하방 프레임 본체(121)에는 후방 가장자리에서 상방(TD)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22)와, 전방 양 가장자리 각각에서 상방(TD)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돌기(123)가 구비된다. 메인 바디(100)를 개폐하기 위해 프론트 커버(300)가 회전할 때 프론트 커버(300)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좌측방(LSD) 또는 우측방(RSD)으로 편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방 프레임(120)에 형성된 리세스(120H)는 메인 바디(100)의 제3 개구(103)를 형성한다.
하방 프레임(120)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메인 프레임(110)의 상방 프레임(111)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 각각에도 후방 부분에 플랜지(111F, 112F)가 구비된다.
메인 바디(100)는 프론트 커버(30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힌지(14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힌지(140) 각각은 하방 프레임(120)의 양 가장자리 각각에 구비되며, 한 쌍의 힌지(140)는 프론트 커버(300)의 하측 양 가장자리와 결합된다.
테두리 패널(130)은 상하 및 좌우 테두리를 가지며, 메인 바디(100)의 제2 개구(102)를 형성한다. 테두리 패널(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부 및 하방 프레임(120)의 후방부에 결합된다. 즉, 테두리 패널(130)은 전방(FD)을 향하는 전방면(131)이 상방 프레임(111)의 플랜지(111F), 측방 프레임(112)의 플랜지(112F) 및 하방 프레임(120)의 플랜지(122)에 모두 맞대어져 결합된다. 테두리 패널(130)의 전방면(131) 중 좌우측 가장자리 각각에는 디스펜서 모듈(2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S)으로 돌출되어 디스펜서 모듈(20)의 일부와 걸리는 걸림돌기(134)가 구비된다. 측방 프레임(112)의 플랜지(112F)에는 걸림돌기(134)를 디스펜서 모듈(2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S)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테두리 패널(130)은 내장 케이스(200)가 결합되는 후방면(132)과, 후방면(132)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후방(RD)으로 연장하는 지지부(133)를 가진다. 지지부(133)는,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설치 시, 티슈 디스펜서(10)가 매립되어 있는 벽면에 맞대어진다.
일 실시예의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기설된 티슈 디스펜서(10)의 수용부(12)가 크게 형성되어 있어 디스펜서 하우징(1000)을 설치하더라도 수용부(12)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확장 패널(190)을 더 포함한다. 확장 패널(190)은 테두리 패널(130)의 후방면(132) 중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방(TD)으로 연장한다. 확장 패널(190)의 상방(TD)으로 연장하는 길이(L)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도 13 참조). 도 4에서는 단형 확장 패널(190)이 테두리 패널(130)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 13에서는 장형 확장 패널(190)이 테두리 패널(130)에 결합되어 있다.
메인 바디(100)는, 링크(4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 각각의 전방(FD)에 결합되는 제1 링크 결합 프레임(150)을 더 포함한다. 제1 링크 결합 프레임(150)에는 링크(40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메인 바디(100)는, 하방 프레임(120)의 플랜지(122)와 테두리 패널(130)의 전방면(131) 사이에 일부분이 개재되고 후방(RD)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 가이드 패널(191)과, 상방 프레임(111)의 플랜지(111F)와 테두리 패널(130)의 전방면(131) 사이에 일부분이 개재되고 후방(RD)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 가이드 패널(192)을 더 포함한다. 테두리 패널(130)이 메인 프레임(110)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때 가이드 패널(191, 19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모듈(20)의 장착 시, 디스펜서 모듈(20)은 가이드 패널(191)에 의해 받쳐져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바디(100)는 메인 바디(100)의 전방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상방 프레임(111)의 전방 가장자리와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의 전방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차부(17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방 프레임(111)과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의 전방 가장자리 모두에 단차부(170)가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차부(170)는 상방 프레임(111)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부(170)는 상방 프레임(111)과 측방 프레임(112)의 전방 가장자리의 전장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는 메인 바디(100)의 제2 개구(102)에 대향하는 후방벽(210), 후방벽(210)의 하측 및 상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전방(FD)으로 연장하는 하방벽(220) 및 상방벽(230), 대향하는 상방벽(230)과 하방벽(2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방벽(240)을 가진다. 하방벽(220), 상방벽(230) 및 한 쌍의 측방벽(240) 각각은 내장 케이스(200)의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221, 231, 241)를 구비하고, 플랜지(221, 231, 241)는 테두리 패널(130)의 후방면(132)에 맞대어져 나사 결합된다.
내장 케이스(200)는 하방벽(220), 상방벽(230) 및 한 쌍의 측방벽(240)에 의해 구획되는 전면 개구(201)를 포함한다. 내장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전면 개구(201)는 메인 바디(100)의 제2 개구(102), 즉 테두리 패널(13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개구(102)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제2 개구(102)의 크기보다 작다.
내장 케이스(200)는 후방벽(210)을 대향하는 장착면(3R)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부가 내장 케이스(200)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장착면(3R)에 결합되는 브래킷(250)을 더 포함한다. 브래킷(250)은 내장 케이스(200)에 가변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어 장착면(3R)과 후방벽(210) 사이의 간격(G)(도 13 참조)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250)은 상방(TD)으로 돌출하는 후크(252)를 갖는 제1 고정부(251)와, 제1 고정부(251)로부터 하방(LD)으로 절곡된 제2 고정부(253)를 구비한다. 제2 고정부(253)에는 좌우 양측에 관통 구멍(253H)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 등으로 제2 고정부(253)를 설치면(3S)(도 13 참조)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치면'은 기설된 티슈 디스펜서(10)(도 1 참조)에 있어서 수용부(12) 내의 좌측방(LSD) 및 우측방(RSD)을 향하는 측면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후방벽(210)은 제1 고정부(251)가 삽입되는 삽입구(211)와, 삽입구(21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FD)으로 제1 개구(101)를 향하여 연장하는 브래킷 결합부(212)를 구비한다. 브래킷 결합부(212)에는 후크(252)가 전방(FD) 또는 후방(RD)으로 위치 조절가능하게 걸리는 고정용 개구(213)와, 후크(252)가 고정용 개구(213)에 걸린 상태의 제1 고정부(251)를 브래킷 결합부(212)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의 체결 수단은 나사 등을 포함하며, 브래킷 결합부(212)에는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214)가 형성되고, 제1 고정부(251)에는 체결구(2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방(FD/RD)으로 연장하는 슬릿(251H)이 형성된다.
브래킷 결합부(212)의 양측 가장자리는 하방(LD)으로 절곡된 부분(212A)을 포함하여, 브래킷(250)의 전방(FD) 또는 후방(RD)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내장 케이스(200)는,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디스펜서 모듈(20)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하여, 디스펜서 모듈(20)과 후크 결합 등의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전방(FD)으로 돌출된 걸림부(215)를 후방벽(210)에 구비한다. 또한, 디스펜서 모듈(20)과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슬릿(222)을 하방벽(220)에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하방벽(220)과 상방벽(230)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하방벽(220)과 상방벽(230)는 개방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직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내장 케이스(200)는 한 쌍의 측방벽(240) 각각을 대향하는 설치면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는 내장 케이스(200)[측방벽(240)]에 결합되는 클램핑 나사(261)를 포함한다. 클램핑 나사(261)의 헤드는 내장 케이스(200) 내에 위치되고, 클램핑 나사(261)의 헤드를 회전시켜 헤드로부터 연장하는 나사부를 내장 케이스(200)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설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내장 케이스(200)에는 나사부의 길이가 다양한 클램핑 나사(261)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측방(LSD) 및 우측방(RSD)으로 클램핑 나사(261)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 티슈 디스펜서(10)의 수용부(12) 내에 삽입되는 내장 케이스(200)가 좌우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프론트 커버(300)는 커버 본체(310)와, 커버 본체(3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결합되는 제2 링크 결합 프레임(320), 커버 본체(3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330, 340)을 포함한다. 도한, 프론트 커버(300)는 자물쇠(181)의 걸림쇠(183)가 걸릴 수 있도록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걸림구(301)를 더 포함한다.
커버 본체(310)는 전방(FD)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전면부(311)와, 전면부(311)의 상하 및 좌우 가장자리에서 후방(RD)으로 절곡된 측면부(312, 313, 314)를 가진다. 제2 링크 결합 프레임(320), 지지 프레임(330, 340)은 전면부(311)와 측면(312, 313, 314)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설치된다.
전면부(311)의 전면 양측 가장자리부에 홈(310R)이 형성된다. 또한, 전면부(311)의 일측 가장자리에 관통구(310H)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 등과 같은 부속 부품을 장착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00)가 링크(400)에 의해 메인 바디(100)에 연결될 때, 링크(400)의 일단은 메인 바디(100)에 구비되는 제1 링크 결합 프레임(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400)의 타단은 제2 링크 결합 프레임(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 프레임(330, 340)은 프론트 커버(300)의 변형을 방지한다. 지지 프레임(330)에는 걸림구(301)를 나사(302)(도 25 참조)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 프레임(340)에 의해 힌지(14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설치예들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패널(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지지부(133)에 의해서, 설치 장소의 측벽(1)에 티슈 디스펜서(10)가 전부 또는 일부 매립되는 경우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티슈 디스펜서(10)가 전부 매립되는 경우는 티슈 디스펜서(10)의 전면이 측벽(1)의 벽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매립되는 경우(도 15 및 도 16 참조)를 의미하며, 티슈 디스펜서(10)가 일부 매립되는 경우는 티슈 디스펜서(10)의 전면이 측벽(1)으로부터 소정 높이(H1) 나오도록 매립되는 경우(도 17 및 도 18 참조)를 의미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장소의 측벽(1)에 티슈 디스펜서(10)가 전부 매립되는 경우,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설치 시, 내장 케이스(200)는 티슈 디스펜서(10)의 수용부(12)로 삽입되고, 지지부(133)의 후방(RD)을 향하는 단부면은 측벽(1)의 벽면(2)에 맞대어진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장소의 측벽(1)에 티슈 디스펜서(10)가 일부 매립되는 경우,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설치 시, 내장 케이스(200)는 티슈 디스펜서(10)의 수용부(12)로 삽입되고, 측벽(1)의 벽면(2)으로부터 돌출되는 티슈 디스펜서(10)의 일부분은 지지부(133)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도 14에서, 'B'로 표시한 부분)에 수용되면서 지지부(133)의 후방(RD)을 향하는 단부면은 측벽(1)의 벽면(2)에 맞대어진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테두리 패널(130)에 구비되는 지지부(133)에 의해 티슈 디스펜서(10)의 매립 상태에 상관없이 측벽(1)의 벽면(2)에 밀착되게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테두리 패널(130)의 후방면(132)으로부터 연장하는 지지부(133)의 높이(H)는, 티슈 디스펜서(10)의 매립된 측벽(1)의 벽면(2)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1)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지지부(133)의 높이(H)는 티슈 디스펜서(10)의 벽면(2)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디스펜서 하우징(1000)에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A)와, 이러한 내장 케이스(200A)가 적용된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일 설치예를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A)는 전체적으로는 일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와 같이 전방(FD)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지만, 하방벽(220A), 상방벽(230A) 및 하방벽(220A)과 상방벽(230A)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방벽(240A)이 각각 복수 개로 분할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내장 케이스(200A)는 상방벽(230A), 한 쌍의 측방벽(240A)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해 내장 케이스(200A)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260)를 포함한다. 도 22에 도시된 디스펜서 하우징(1000)의 일 설치예에서는, 상방벽(230A) 및 한 쌍의 측방벽(240A)이 고정 부재(260)에 의해 각각에 대향하는 설치면(3T, 3S)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26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 케이스(200A)로부터 돌출하는 클램핑 나사(261)와, 내장 케이스(200A)에 고정되는 클램핑 나사 지지대(262)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260)는 설치면(3T, 3S)에 맞대어지는 클램핑 나사(261)의 선단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무 재료 등으로 형성된 완충 부재(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A)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260)는 일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에 구비되는 브래킷 결합부(212)는 다른 실시예의 내장 케이스(200A)에 적용이 가능하다.
내장 케이스(200A)는,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디스펜서 모듈(20)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하여, 디스펜서 모듈(20)과 후크 결합 등의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전방(FD)으로 돌출된 걸림부(215A)를 후방벽(210A)에 구비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프론트 커버(300)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160)를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40)는 메인 바디(100)에 결합되는 제1 힌지 연결부(141), 프론트 커버(300)에 결합되는 제2 힌지 연결부(142) 및 제1 힌지 연결부(141)와 제2 힌지 연결부(142)를 중심축(C)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중심부(14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디스펜서 하우징(1000)에 있어서, 힌지(140)의 중심축(C)은 좌우방향(LSD/RSD)으로 연장한다. 즉, 프론트 커버(300)는 하방 회전(R1)에 의해 메인 바디(100)의 제1 개구(101)를 개방하고, 상방 회전(R2)에 의해 메인 바디(100)의 제1 개구(101)를 폐쇄한다. 메인 바디(100)와 프론트 커버(300)는 힌지(140) 외에도 링크(400)로 연결되어 있어서, 링크(400)에 의해 힌지(140)에 가해지는 프론트 커버(300)의 하중으로 인한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스토퍼(160)는 측방 프레임(11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절곡부(112A)의 전방 가장자리가 하방(LD)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힌지(140)는 절곡부(112A)에 결합되는 하방 프레임(1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일부분이 전방(FD)으로 회전가능하게 나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스토퍼(160)는 힌지(14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1 힌지 연결부(141)의 하방(LD)에 구비된다.
프론트 커버(300)는 스토퍼(160)에 접촉되어 하방 회전(R1)이 저지될 때까지 회전이 가능하다. 스토퍼(160)에는 고무 등의 완충 재료가 부착되어 프론트 커버(300)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펜서 하우징(1000)에 디스펜서 모듈(20)를 장착하거나, 티슈(30)를 교체할 때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프론트 커버(300)가 메인 바디(100)에 대해 충분하게 열릴 수 있는 각도, 즉 프론트 커버(300)가 메인 바디(100)에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110도 내지 130도의 회전각(α)을 갖도록 회전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하방 프레임(120)의 일부(예컨대, 절곡부(112A))을 절곡시켜 스토퍼(160)를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토퍼(160)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한 후 메인 바디(100)의 하방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의 전방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상방 프레임(111)의 전방 가장자리와 한 쌍의 측방 프레임(112)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단차부(170)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차부(17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가 프론트 커버(300)에 의해 폐쇄될 때, 프론트 커버(3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100)와 프론트 커버(30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메인 바디(100)와 프론트 커버(300)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펜서 모듈(20)이 장착된 디스펜서 하우징(1000)이 기설된 티슈 디스펜서(10)의 수용부(12)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 모듈(20)이 장착된 디스펜서 하우징(1000)은 설치 장소의 측벽(1)에 내장 케이스(200, 200A)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매립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 매립 구멍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 디스펜서 하우징 30: 티슈
100: 메인 바디 110: 메인 프레임
120: 하방 프레임 130: 테두리 프레임
140: 힌지 150: 제1 링크 결합 프레임
160: 스토퍼 170: 단차부
190: 확장 패널 200: 내장 케이스
210: 후방벽 211: 삽입구
212: 브래킷 결합부 215: 걸림부
250: 브래킷 260: 고정 부재
261: 클램핑 나사 300: 프론트 커버
320: 제2 링크 결합 프레임 400: 링크
1000: 디스펜서 하우징

Claims (15)

  1. 티슈의 분배가 가능한 디스펜서 모듈의 장착을 위한 디스펜서 하우징으로서,
    상기 디스펜서 모듈 및 상기 티슈가 출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고 상기 제1 개구보다 장착면에 더 근접한 제2 개구 및 상기 티슈의 분배를 위한 제3 개구를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펜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장 케이스 및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케이스는 상기 제2 개구에 대향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벽을 상기 장착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을 상기 후방벽에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장착면과 상기 후방벽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펜서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방으로 돌출하는 후크를 갖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벽은 상기 제1 고정부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제1 개구를 향하여 연장하는 브래킷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 결합부는 상기 후크가 위치 조절가능하게 걸리는 고정용 개구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브래킷 결합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케이스의 하방벽과 대향하는 상방벽, 상기 상방벽과 상기 하방벽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방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내장 케이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상기 내장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클램핑 나사 및 상기 내장 케이스에 고정되는 클램핑 나사 지지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방 프레임 및 상기 상방 프레임의 양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상기 제3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하방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와 상기 하방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케이스의 하방벽, 상기 하방벽과 대향하는 상방벽 및 상기 하방벽과 상기 상방벽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방벽 각각은 상기 내장 케이스의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테두리 패널의 후방면에 나사 결합되는, 디스펜서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패널의 후방면 중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하는 확장 패널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프레임의 양 가장자리 각각에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측 양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힌지가 구비되는, 디스펜서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프론트 커버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측방 프레임 각각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제1 링크 결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결합되는 제2 링크 결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는 일단에서 상기 제1 링크 결합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제2 링크 결합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펜서 하우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방 회전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상기 힌지의 적어도 일부의 하방에 구비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케이스는 상기 디스펜서 모듈과 후크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상기 후방벽에 구비하고,
    상기 내장 케이스는 상기 디스펜서 모듈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하방벽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케이스는 상기 후방벽에 대향하는 전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케이스의 전면 개구의 크기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제2 개구의 크기와 같거나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제2 개구의 크기보다 작은, 디스펜서 하우징.
  15. 티슈의 분배가 가능한 디스펜서 모듈의 장착을 위한 디스펜서 하우징으로서,
    상기 디스펜서 모듈 및 상기 티슈가 출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고 상기 제1 개구보다 장착면에 더 근접한 제2 개구 및 상기 티슈의 분배를 위한 제3 개구를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펜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장 케이스 및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방 프레임 및 상기 상방 프레임의 양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상기 제3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하방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와 상기 하방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KR1020170096927A 2017-07-05 2017-07-31 디스펜서 하우징 KR102314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5570 2017-07-05
KR1020170085570 2017-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95A KR20190005095A (ko) 2019-01-15
KR102314940B1 true KR102314940B1 (ko) 2021-10-21

Family

ID=6503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927A KR102314940B1 (ko) 2017-07-05 2017-07-31 디스펜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57B1 (ko) 2019-05-21 2020-04-20 김석열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1326B2 (en) * 2011-10-17 2014-10-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sheet dispenser with overfill preven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95A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559A (en) Hinge for inset doors
US5806144A (en) Device for a door hinge structure
KR101709447B1 (ko) 도어용 손낌 방지형 힌지 장치
US5826923A (en) Security apparatus for hinged door
US20110232033A1 (en) Hinge for door or window
KR20180044917A (ko) 여닫이 문용 손가락 보호 장치
KR102314940B1 (ko) 디스펜서 하우징
US20170311763A1 (en) Door assembly for a bathing enclosure
JP5572613B2 (ja) 回動式扉非常解錠システム
JP4950639B2 (ja) 引手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20200001805U (ko) 여닫이로 개폐되는 문틈으로 손가락끼임을 방지하는 기구
KR100488075B1 (ko) 냉장고 도어의 홀더 핸들 구조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5479403B2 (ja) アウトセット用吊り引戸のレール取付ブラケット
JP5079572B2 (ja) 間仕切へのドアの取付構造
EP3564462A1 (en) Cover plate for concealing a lock and a hinged portal comprising such a cover plate
JP2000045639A (ja) 引 戸
RU2323317C2 (ru) Монтажная фурнитура для стеклянных дверей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JP5145166B2 (ja) 間仕切りパネルにおけるエッジ材の取付構造
KR101767065B1 (ko) 가구용 경첩의 안전장치
EP2599931A1 (en) Extendable awning assembly and support device for an extendable awning
WO2020000041A1 (en) An electric strike assembly
JP2003038265A (ja) 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