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919B1 -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919B1
KR102314919B1 KR1020190105827A KR20190105827A KR102314919B1 KR 102314919 B1 KR102314919 B1 KR 102314919B1 KR 1020190105827 A KR1020190105827 A KR 1020190105827A KR 20190105827 A KR20190105827 A KR 20190105827A KR 102314919 B1 KR102314919 B1 KR 10231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ess
horizontal connecting
tree
t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880A (ko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김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식 filed Critical 김만식
Priority to KR102019010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9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01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unburned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되는 친환경 황토 벽체에 관한 것으로, 벽체와 평행하게 배치된 격자 골조와, 격자 골조의 전면에 도포되는 황토 미장재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황토 벽체는 벽체 사이에 공기로 충전된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는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Loess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황토 벽체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황토벽을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벽돌을 조적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벽체의 내측에는 벽지, 합판, 석고보드, 철판 등의 내장 재질로 마감처리하고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듯이, 내장 재질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을 함유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부 벽체에 장착된다.
콘크리트 벽체의 양생 과정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배출되는 휘발성 유해물질, 그리고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내장 재질과 이의 접착제에서 발산되는 자극성 또는 발암성 물질들로 인해 호흡기질환, 피부질환,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등의 발병 원인으로 상당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화화물질을 실내로의 발산을 억제할 수 있는 벽 구조체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일환으로 건축물의 내부 벽체에 인체에 유익한 황토 벽체를 시공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황토는 결합력이 약하고 쉽게 균열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0588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벽체 상에 평행하게 배치된 황토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와 황토 벽체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는 건축물의 내부 벽체에 시공되되, 벽체와 평행하게 배치된 격자 골조와, 격자 골조의 전면에 도포되는 황토 미장재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황토 벽체는 벽체 사이에 공기로 충전된 이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격자 골조는 벽체 상에서 제1 이격 틈새로 이격되고, 벽체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다수의 수직 지지목과; 수직 지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지지목과 직교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호 제2 이격 틈새로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연결목; 및 수직 지지목과 수평 연결목의 교차 지점을 묶어 고정하는 결속끈;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다수의 수평 연결목은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죽편으로 구성되고, 결속끈은 볏짚으로 꼬아 엮은 새끼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과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을 수직 지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덧붙여서, 황토 미장재는 황토와 생석회 분말 및 해초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은, 황토 미장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건축물의 벽체와 평행하게 격자 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및 격자 골조의 전면에 황토 미장재로 마감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황토 미장재는 황토 65~75 wt%와 생석회 분말 15~25 wt% 및 해초 10 wt%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격자 골조는 벽체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다수의 수직 지지목과; 수직 지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지지목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연결목; 및 벽체와 수직 지지목 사이에 제1 이격 틈새를 제공하고 인접배치된 수평 연결목들 사이에 제2 이격 틈새를 제공하도록 수직 지지목과 수평 연결목의 교차 지점을 묶어 고정하는 결속끈;을 구비할 수 있다.
황토 미장재의 마감처리 단계에서, 페이스트 상태의 황토 미장재가 격자 골조의 전면에 도포되어 제2 이격 틈새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벽체와 이격되게 황토 벽체를 시공함으로서 건축물 내부 벽체와 황토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의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위 이격 공간과 건축물의 실내공간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황토 미장재에 형성된 미세한 공극으로 공기가 유통되면서 황토 미장재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수행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고 냄새를 제거함은 물론, 황토가 본래가지고 있는 효능이 더욱 활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실내를 인체에 유익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을 상하 이격되게 격자 골조의 수직 지지목에 배치되고 황토와 생석회 분말 및 해초를 기본으로 하여 배합하여 격자 골조에 황토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여 시공상 편이성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여 황토 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체의 시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절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체를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바람직하기로는 건축물의 내부 벽체와 평행하게 이격되게 시공되는 황토 벽체에 관한 것으로, 다시 말하자면 건축물의 내부 벽체와 황토 벽체 사이에 이격 공간을 개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격자 골조를 수단으로 하여 황토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부 벽체와 황토 미장재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1)는 건축물의 벽체(W) 상에, 바람직하기로는 벽체(W)의 내측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배치되도록 시공된다. 여기서, 벽체(W)는 콘크리트 벽체, 조적벽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체(1)는 건축물의 벽체(W) 사이에 이격 공간(S)을 제공하여 이중 벽체의 구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W)와 황토 벽체(1) 사이에 공기로 충전된 이격 공간(S)을 개재한다.
여기서, 이격 공간은 실질적으로 건축물의 벽체(W)와 황토 벽체(1)에서 전면을 황토 미장재(30)로 도포된 다수의 수평 연결목(12)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격 공간(S)은 콘크리트 벽체(W)에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편 황토 벽체와 대향되게 배치된 벽체(W)의 내부면 및/또는 황토 벽체의 내부면에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벽체(1)는 황토벽체(1)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건축물의 천장벽체와 건축물의 하부 바닥면에 맞닿아지도록 시공되면, 이격 공간(S)은 건축물의 벽체(W), 황토 벽체(1), 건축물의 천장벽체, 건축물의 바닥면에 의해 내부적으로 밀폐된 채 공기로 충전된 공간이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체(1)는 콘크리트 벽체(W)와 평행하게 배치된 격자 골조(10)와 이 격자 골조(10)의 전면에 도포되는 황토 미장재(30)를 포함한다.
격자 골조(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수직 지지목(11)과, 수직 지지목(11)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황토 미장재(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힘살 기능을 구현하는 얇은 목재 재질의 수평 연결목(12)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벽체 상에 격자형 구조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건물의 내부벽을 제공하기 위해 각목(角木)으로 구성된 다수의 수직 지지목(11)과 대나무를 길쭉하게 잘라 원호(圓弧) 단면형상을 갖는 죽편(竹片)으로 구성된 다수의 수평 연결목(12)을 구비한다. 황토 벽체(10)는 죽편으로 구성된 수평 연결목(12)의 탄력으로 인해 외부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수직 지지목(11)과 수평 연결목(12)의 교차 지점을 결속끈(13)으로 묶어 격자형 구조로 격자 골조(10)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결속끈(13)은 볏짚으로 꼬아 엮은 새끼줄이나 삼베의 소재로 사용되는 삼실로 만든 삼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격자 골조(10)는 결속끈(13)의 외경 두께로 인해 수직 지지목(11)의 후단측과 콘크리트 벽체(W) 사이에 제1 이격 틈새(S11)를 제공할 수 있다. 수직 지지목(11)의 후단측은 건축물의 벽체(W)와 대향되게 배치된 수직 지지목의 일 측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벽체(1)는 제1 이격 틈새(S11)와 함께 이격 공간(S)으로 인해 콘크리트 벽체(1)와 실질적으로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제1 이격 틈새(S11)는 다수의 수직 지지목(11)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참조부호 없음)을 상호 유체연통가능하게 형성하여 이격 공간(S) 내에 구획된 다수의 내부 공간 간에 신뢰할 수 있는 공기의 유동을 돕는다. 이와 더불어서, 격자 골조(10)는 수직 지지목(11)의 전단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평 연결목(12)을 배치하는데, 다수의 수평 연결목(12)은 상하로 배열된 수평 연결목들 사이에 제2 이격 틈새(S12)를 제공하여 수직방향, 다시 말하자면 상호방향으로 상호 이격배치된다. 황토 미장재(30)가 격자 골조의 전면에 황토 미장재(30)를 타설(도포)할 때 각각의 제2 이격 틈새(S12)로 유입되어 수평 연결목이 황토 미장재(30)에 매립되어 황토 미장재의 흘러내림 현상을 방지하여 시공시 황토 미장재(30)와 격자 골조(10) 간에 결합력을 증대시켜서 황토 벽체의 내구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격자 골조(10)는 전술되었듯이 수직 지지목(11)과 수평 연결목(12)의 교차 지점을 결속끈(13)으로 묶어 수직 지지목과 수평 연결목을 상호 지지보유하게 되는데, 이때 결속끈의 외경 두께로 인해 인접하게 배치된 수평 연결목(12) 사이에 제2 이격 틈새(S12)를 제공할 수도 있다.
참고로, 수직 지지목(11)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W)에서 제1 이격 틈새(S11)로 이격되고 콘크리트 벽체를 따라 소정의 간격(예컨대 등간격)으로 수직배치되는데, 천정 슬래브와 바닥 슬래브에 고정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격자 골조가 수직 지지목(11)과 수평 연결목(12) 간에 격자배열로 위치고정하기 위해 못과 같은 금속 체결구를 사용할 경우에 금속못의 부식, 물기에 노출된 목재와 금속못 간의 팽창률 차이로 인한 결속력 약화, 금속못으로 인해 수직 지지목·수평 연결목의 갈라지는 문제점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자연친화적 소재인 볏집을 꼬아서 만든 새끼줄이나 삼베의 소재로 사용되는 삼실로 만든 삼끈 등으로 구성된 결속끈(13)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지지목(11)과 수평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평 연결목(12)을 매듭지어 묶어 벽체(W)와 수직 지지목(11) 간에 제1 이격 틈새(S11)와 함께 인접배치된 수평 연결목들(12) 사이에 제2 이격 틈새(S1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결속끈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수직 지지목과 수평 연결목을 위치고정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이격 틈새를 제공하는 간격자(spacer)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토 벽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이격 틈새(S12)를 두고 다수의 수평 연결목(12)을 배치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12a)과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12b)을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하여 황토 미장재의 도포면을 개략적으로 사인곡선(sine curve)과 같이 올록볼록한 형상으로 반복형성하여 수평 연결목과 황토 미장재 간의 접촉면을 넓히고 제2 이격 틈새(S12)로 황토 미장재(30)의 유입을 용이하게 돕는다. 즉, 제2 이격 틈새(S12)는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a)과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b)으로 한정되는바,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을 통해 제2 이격 틈새(S12)로 황토 미장재의 유입을 허용하는 한편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을 통해 제2 이격 틈새(S12)로 유입된 황토 미장재를 전방측으로 흘러내리지 못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수평 연결목(12)에 황토 미장재(30)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황토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균열을 최소화하여 시공상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황토 벽체(1)는 황토 미장재를 수단으로 하여 항균, 제습, 방충, 방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원적외선 등을 건축물의 실내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통해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새집증후군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벽체(W)와 황토 벽체(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에 의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격 공간(S)과 건축물의 실내공간 사이에 황토 미장재(30)가 존재하게 됨으로서 황토 미장재(30)에 형성된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공기가 유통되면서 황토 미장재(30)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이와 같은 필터링 작용에 의해 위에서 언급된 여러 황토의 효능이(단순히 황토가 도포된 벽체와 비교하여) 더욱 더 활발히 발휘될 수 있도록 촉진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인체에 유익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황토 미장재(30)를 격자 골조(10)에 도포하여 건조하는데, 수직으로 설치된 격자 골조(10)에서 황토 미장재(30)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게를 경감하면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건조 도중에 그리고 건조 후에도 황토 미장재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성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황토 미장재(30)는 황토와 생석회 분말 및 해초로 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황토 미장재(30)는 황토 65~75 wt%와 생석회 분말 15~25 wt% 및 해초 10 wt%로 배합되어 경량토의 기능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황토, 생석회 분말, 해초와 같이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혼합된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황토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데, 원적외선은 인체의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음이온은 공기오염물질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정화시켜 쾌적환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석회 분말은 구성요소 간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바인더(binder)로서 활용되는데, 천연광물 소재로 인체에 무해하다. 해초는 응고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덧붙여서, 황토 미장재(30)는 송진 분말을 황토와 생석회 분말에 혼합할 수도 있다. 송진 분말이 황토 미장재에 혼합되어 송진의 향과 성분을 첨가할 수 있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되면서 송진의 점도가 경화되어 구성요소들을 견고하게 융착시킬 수 있다. 즉, 황토 미장재(30)는 황토 60~70 wt%, 생석회 분말 15~25 wt%, 해초 10 wt%, 및 송진 5 wt%로 배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해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는 우선적으로 황토 미장재를 공급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황토 미장재 공급 단계(S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는 황토와 생석회 분말 및 해초를 혼합·교반한다. 황토는 지표면의 황토층에서 채취하고 고온의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100~250 mesh로 분쇄하여 고른 입자를 갖도록 한다. 생석회 분말도 자연광물이므로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분쇄기로 100~250mesh로 분쇄한다. 해초는 해초류를 100℃ 이상으로 끊인 후에 미세분쇄하여 반죽(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한다.
작업자는 경량화되고 기능성을 갖는 황토 미장재를 제작하기 위해 황토 65~75 wt%와 생석회 분말 15~25 wt% 및 해초 10 wt%로 배합하여 반죽한다. 반죽 농도에 따라 황토 미장재에 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황토 미장재는 격자 골조의 전면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건축물의 내벽으로 활용하게 되는바, 황토로부터 원적외선과 음이온, 흙 냄새를 실내에 발산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단계(S100)에서 소나무의 은은한 향 냄새를 휘산하고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송진 분말을 추가로 혼합·교반하거나 또는 빻아진 은행잎을 추가로 혼합·교반할 도 있다.
작업자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W) 상에 격자 골조를 배치한다(S20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골조(10)는 콘크리트 벽체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지지목(11)과,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평 연결목(12), 및 수직 지지목(11)과 수평 연결목(12)의 교차 지점을 묶어 체결하는 결속끈(13)을 구비하고, 결속끈(13)은 볏짚으로 꼬아 엮은 새끼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격자 골조는 콘크리트 벽체와 수직 지지목의 후단측 사이에 제1 이격 틈새를 제공하여 콘크리트 벽체(W)와 수직 지지목(11) 사이를 이격되게 설치하는데, 제1 이격 틈새를 통해 결속끈(13)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수직 지지목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가능하게 한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는 콘크리트 벽체(W)와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격자 골조(10)에 페이스트 상태의 황토 미장재(30)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마감처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연결목을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12a)과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b)으로 순서대로 배치하는데, 격자 골조(10)의 전면에 타설되는 페이스트 상태의 황토 미장재(30)의 일부가 제2 이격 틈새 사이로 유입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공 방법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친환경 황토 벽체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황토 벽체,
10 ----- 격자 골조, 11 ----- 수직 지지목,
12 ----- 수평 지지목, 13 ----- 결속끈,
30 ------ 황토 미장재,
S ----- 이격 공간, S11,S12 ----- 이격 틈새,
W ----- 건축물의 벽체

Claims (9)

  1. 건축물의 벽체(W)에 시공되는 황토 벽체에 있어서,
    상기 황토 벽체(1)는 상기 벽체(W)와 평행하게 배치된 격자 골조(10)와, 상기 격자 골조(10)의 전면에 도포되는 황토 미장재(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황토 벽체(1)는 상기 벽체(W) 사이에 이격 공간(S)을 제공하되,
    상기 격자 골조(10)는,
    상기 벽체(W) 상에서 제1 이격 틈새(S11)로 이격되고, 상기 벽체(W)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다수의 수직 지지목(11)과;
    상기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 지지목(11)과 직교되게 수평방향으로 제2 이격 틈새(S12)로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연결목(12); 및
    상기 수직 지지목(11)과 상기 수평 연결목(12)의 교차 지점을 묶어 고정하는 결속끈(13);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수평 연결목(12;12a,12b)은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죽편(竹片)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끈(13)은 볏짚으로 꼬아 엮은 새끼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수평 연결목은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12a)과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b)을 상기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황토 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 미장재(30)는 황토와 생석회 분말 및 해초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황토 벽체.
  6. 황토 미장재(30)를 공급하는 단계(S100)와;
    건축물의 벽체(W)와 평행하게 격자 골조(10)를 배치하는 단계(S200); 및
    상기 격자 골조(10)의 전면에 황토 미장재(30)로 마감처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격자 골조(10)는,
    상기 벽체(W)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다수의 수직 지지목(11)과;
    상기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 지지목(11)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연결목(12); 및
    상기 벽체(W)와 상기 수직 지지목(11) 사이에 제1 이격 틈새(S11)를 제공하고 인접배치된 수평 연결목(12) 사이에 제2 이격 틈새(S12)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직 지지목(11)과 상기 수평 연결목(12)의 교차 지점을 묶어 고정하는 결속끈(13);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수평 연결목은 볼록한 원호 단면형상의 수평 연결목(12a)과 오목한 원호 단면형상을 갖는 수평 연결목(12b)을 상기 수직 지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황토 미장재는 황토 65~75 wt%와 생석회 분말 15~25 wt% 및 해초 10 wt%로 배합되는,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황토 미장재의 마감처리 단계(S300)에서,
    상기 황토 미장재가 상기 격자 골조(10)의 전면에 도포되면서 상기 제2 이격 틈새(S12)로 유입되는, 친환경 황토 벽체의 시공 방법.
KR1020190105827A 2019-08-28 2019-08-28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14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827A KR102314919B1 (ko) 2019-08-28 2019-08-28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827A KR102314919B1 (ko) 2019-08-28 2019-08-28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80A KR20210025880A (ko) 2021-03-10
KR102314919B1 true KR102314919B1 (ko) 2021-10-19

Family

ID=7514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827A KR102314919B1 (ko) 2019-08-28 2019-08-28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9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215B1 (ko) 2022-08-03 2023-02-17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구조물 제작 장치
KR102597130B1 (ko) 2022-08-03 2023-11-03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건축용 구조물 및 이의 제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69B1 (ko) * 2005-11-15 2006-12-06 이병수 대마가 함유된 황토벽돌
KR101068512B1 (ko) * 2011-06-30 2011-09-28 김진욱 한옥 미장용 벽체의 외 엮기 방법
KR101380391B1 (ko) * 2014-01-15 2014-04-02 김오재 단열층을 구비하는 황토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88B1 (ko) 2004-02-27 2006-08-09 박일홍 친환경 방향성 벽 구조체 및 그 건물 내벽 시공방법
KR101770961B1 (ko) * 2015-02-12 2017-08-24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열성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는 황토벽체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69B1 (ko) * 2005-11-15 2006-12-06 이병수 대마가 함유된 황토벽돌
KR101068512B1 (ko) * 2011-06-30 2011-09-28 김진욱 한옥 미장용 벽체의 외 엮기 방법
KR101380391B1 (ko) * 2014-01-15 2014-04-02 김오재 단열층을 구비하는 황토벽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215B1 (ko) 2022-08-03 2023-02-17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구조물 제작 장치
KR102597130B1 (ko) 2022-08-03 2023-11-03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건축용 구조물 및 이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80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919B1 (ko) 친환경 황토 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CH708688A2 (de) Stabile Formkörper oder Platten als Leichtbaumaterial, zur Wärmedämmung und zur Verwendung als Brandschutz, das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und ein damit ausgerüstetes Bauwerk.
JP2008544125A (ja) 泥土ハウス
KR101885301B1 (ko) 시공이 간편한 황토 벽체와 이의 시공방법
DE102012020841A1 (de) Mineralscha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20090072338A (ko)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951322B1 (ko) 황토석파우더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없는 건물의바닥과 벽면 및 천정면 시공방법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KR101083743B1 (ko) 천연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미장재 및 이를 이용한 미장 공법
KR100702668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78235B1 (ko)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DE102014110916A1 (de) Wandflächenheizung
KR100656828B1 (ko) 장석과 백 시멘트와 펄프를 이용한 황토 판재의 제조방법
JP6160946B2 (ja) 抗菌性コンクリート床の構築方法
DE4241534C1 (de) Mineralwolle-Formkörper für die Dämmung von Bauteilen von Gebäud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neralwolle-Formkörpern
KR100870128B1 (ko)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KR100227718B1 (ko) 건강실내바닥의 시공방법
CH584597A5 (en) Fireproof building block made of expanded phlogopite - has low wt. and provides heat and sound insulation
KR20040076340A (ko) 건강바닥층의 시공방법
KR19990078960A (ko) 벽면용 마감제
KR101325747B1 (ko) 건축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건축패널
JP2004035339A (ja) 建築材料及び床下蓄熱層
JP2005029472A (ja) 住環境改善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建材、敷設材並びに散布剤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KR100554106B1 (ko) 카오린을 이용한 원적외선 복사 건축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