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02B1 -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 Google Patents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02B1
KR102314302B1 KR1020190100060A KR20190100060A KR102314302B1 KR 102314302 B1 KR102314302 B1 KR 102314302B1 KR 1020190100060 A KR1020190100060 A KR 1020190100060A KR 20190100060 A KR20190100060 A KR 20190100060A KR 102314302 B1 KR102314302 B1 KR 10231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tact
capsular
gripp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525A (ko
Inventor
천희종
Original Assignee
천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희종 filed Critical 천희종
Priority to KR102019010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61F9/00754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for cutting or perforating the anterior lens capsule, e.g. capsulot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61F9/00745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에 제1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블레이드에 접촉하며 상기 제1블레이드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단부에 형성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에 접촉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본체부에서 이격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는, 제2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 접촉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접촉부에서 이격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2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2밴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낭절개연을 형성할 수 있고, 수정체를 안정적으로 조각내는 것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백내장 수술 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DEVICE FOR CUTTING NUCLEUS OF LENS AND INCISING RADIAL CAPSULORHEXIS}
본 발명은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택해지는 현상으로, 외상, 전신 질환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데, 노안에 의한 노인성 백내장이 가장 흔하다. 백내장은 약물로 완치가 힘들기 때문에 외과적인 수술에 의존하고 있다. 백내장 수술로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수정체 제거 후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정체유화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수정체유화에 앞서, 미리 수정체 핵을 조각 내는 시술이 실시된다. 이러한 시술에 따르면, 수정체 핵을 유화전에 미리 나누기 때문에 초음파 유화가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시술은 CCC forcep을 이용해 전낭에 절개연을 형성하고, Pre-Chooper를 사용해 수정체 핵을 조각냄으로써 실시된다.
종래의 CCC forcep은 파지된 상태에서 손가락 단부에 힘을 인가하는 경우 한쌍의 단부가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가락 단부에 과한 힘이 인가되는 경우 CCC forcep의 단부의 제어가 어려워 절개연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Pre-Chooper는 일반적으로 일직선 형태로 마련되므로 단부의 길이가 길어지는데, 이에 따르면,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수정체 핵은 쉽게 조각낼 수 있지만,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수정체 핵은 조각내기 힘들기 때문에 수정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수정체소대의 손상이나 각막내피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낭절개연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수정체를 안정적으로 조각내는 것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부에 제1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블레이드에 접촉하며 상기 제1블레이드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단부에 형성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에 접촉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본체부에서 이격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는, 제2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 접촉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접촉부에서 이격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2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2밴딩부를 포함하는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면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밴딩부가 밴딩되는 각도는, 상기 제1접촉부의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40°내지 60°이며, 상기 제2밴딩부가 밴딩되는 각도는, 상기 제2접촉부의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40°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는, 외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낭절개연을 형성할 수 있고, 수정체를 안정적으로 조각내는 것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백내장 수술 도구가 제공된다. 즉, 기존의 2가지 도구를 사용하여 각각 시술하는 것을 1개의 도구로 모두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낭절개연을 손상 없이 매우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정체의 회전 없이 수정체핵의 좌우측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연에서 가까운 부분의 수정체핵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수정체유화술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의 조작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전낭절개연을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수정체핵을 절단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의 조작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전낭절개연을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수정체핵을 절단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10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포함한다.
제1본체부(110)는 단부에 제1블레이드(113a)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본체부(12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제2본체부(12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본체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제1파지부(111)와, 제1접촉부(112)와, 제1밴딩부(113)를 포함한다.
제1파지부(111)는 수술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접촉부(112)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파지부(111)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파지부(111)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하면, 마찰력이 증대되어 수술자가 제1파지부(111)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1접촉부(112)는 상술한 제1파지부(11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2본체부(120)에 접촉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접촉부(112)는 수술자가 제1파지부(111) 및 제2파지부(121)에 파지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2접촉부(122)에서 이격된다. 제1접촉부(112)는 제2접촉부(122)와의 효율적인 접촉 및 접촉시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제1파지부(111)와 제1접촉부(112)가 연결되는 부분의 면적 보다 더 넓은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밴딩부(113)는 제1접촉부(112)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단부에는 제1블레이드(113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밴딩부(113)의 밴딩 형상에 따르면, 제1블레이드(113a) 단부의 양측면(또는 상하측면) 도달 반경이 크게 넓어질 수 있으므로, 절개연에서 가까운 부분의 수정체핵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측면이나 각막절개연에서 가까운 방향의 수정체핵을 추가적으로 절단하는 경우 수정체를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정체핵을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밴딩부(113)의 밴딩 각도는 제1접촉부(112)의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40°내지 60°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구의 전체길이 및 수술자의 상황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블레이드(113a)는 수정체핵을 절단하는데 용도로 사용되는데, 일측 가장자리 부분은 첨단부분을 형성하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부분에 의하면, 타측 가장자리에 의해서 불필요한 수정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제2본체부(120)는 제1블레이드(113a)에 접촉하며 제1블레이드(113a)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어는 제2블레이드(123a)를 단부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2블레이드(123a)와 제1블레이드(113a)가 이격되도록 제1본체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본체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제2파지부(121)와, 제2접촉부(122)와, 제2밴딩부(123)를 포함한다.
제2파지부(121)는 상술한 제1파지부(111)와 함께 수술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접촉부(122)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파지부(121)의 외면에는 제1파지부(111)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파지부(121)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하면, 마찰력이 증대되어 수술자가 제2파지부(121)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2접촉부(122)는 상술한 제2파지부(12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본체부(110)에 접촉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2접촉부(122)는 수술자가 제1파지부(111) 및 제2파지부(121)에 파지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1접촉부(112)에서 이격된다. 제2접촉부(122)는 제1접촉부(112)와의 효율적인 접촉 및 접촉시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제2파지부(121)와 제2접촉부(122)가 연결되는 부분의 면적 보다 더 넓은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밴딩부(123)는 제2접촉부(122)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단부에는 제2블레이드(123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밴딩부(123)의 밴딩 형상에 따르면, 제2블레이드(123a) 단부의 양측면(또는 상하측면) 도달 반경이 크게 넓어질 수 있으므로, 절개연에서 가까운 부분의 수정체핵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측면이나 각막절개연에서 가까운 방향의 수정체핵을 추가적으로 절단하는 경우 수정체를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정체핵을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밴딩부(123)의 밴딩 각도는 제2접촉부(122)의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40°내지 60°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구의 전체길이 및 수술자의 상황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블레이드(123a)는 수정체핵을 절단하는데 용도로 사용되는데, 일측 가장자리 부분은 첨단부분을 형성하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부분에 의하면, 타측 가장자리에 의해서 불필요한 수정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자가 제1파지부(111) 및 제2파지부(121)에 파지력을 인가하면, 제1접촉부(112)와 제2접촉부(122)가 분리되어 제1블레이드(113a)와 제2블레이드(123a)가 분리된다. 반대로, 수술자가 제1파지부(111) 및 제2파지부(121)에 인가된 파지력을 제거하면, 제1접촉부(112)와 제2접촉부(122)가 접촉되며 이와 동시에 제1블레이드(113a)와 제2블레이드(123a)가 접촉된다.
종래의 CCC forcep은 파지된 상태에서 손가락 단부에 힘을 인가하는 경우 한쌍의 단부가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가락 단부에 과한 힘이 인가되는 경우 CCC forcep의 단부의 제어가 어려워 절개연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100)의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의 결합 및 동작 구조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력이 제거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113a)와 제2블레이드(123a)가 접촉되는 것이 유지되는 구조이므로, 제1블레이드(113a)와 제2블레이드(123a)의 제어가 용이해지므로, 절개연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re-Chooper는 일반적으로 일직선 형태로 마련되므로 단부의 길이가 길어지는데, 이에 따르면,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수정체 핵은 쉽게 조각낼 수 있지만, 수정체낭에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수정체 핵은 조각내기 힘들기 때문에 수정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수정체소대의 손상이나 각막내피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a)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100)의 제1밴딩부(113)와 제2밴딩부(123)의 밴딩 구조에 따르면, 제1블레이드(113a) 및 제2블레이드(123a) 단부의 양측면(또는 상하측면) 도달 반경이 크게 넓어질 수 있으므로, 절개연에서 가까운 부분의 수정체핵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측면이나 각막절개연에서 가까운 방향의 수정체핵을 추가적으로 절단하는 경우 수정체를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정체핵을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a)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100)에 따르면, 전낭절개연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수정체를 안정적으로 조각내는 것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백내장 수술 도구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100)에 따르면, 기존의 2가지 도구를 사용하여 각각 시술하는 것을 1개의 도구로 모두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110 : 제1본체부
111 : 제1파지부
112 : 제1접촉부
113 : 제1밴딩부
113a : 제1블레이드
120 : 제2본체부
121 : 제2파지부
122 : 제2접촉부
123 : 제2밴딩부
123a : 제2블레이드
a : 전낭
b : 수정체

Claims (5)

  1. 단부에 제1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블레이드에 접촉하며 상기 제1블레이드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단부에 형성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가 이격되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에 접촉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본체부에서 이격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부는,
    제2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 접촉되며 파지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접촉부에서 이격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밴딩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2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2밴딩부를 포함하는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면이 곡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밴딩부가 밴딩되는 각도는,
    상기 제1접촉부의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40°내지 60°이며,
    상기 제2밴딩부가 밴딩되는 각도는,
    상기 제2접촉부의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40°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와 상기 제2파지부는,
    외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KR1020190100060A 2019-08-16 2019-08-16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KR10231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60A KR102314302B1 (ko) 2019-08-16 2019-08-16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60A KR102314302B1 (ko) 2019-08-16 2019-08-16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25A KR20210020525A (ko) 2021-02-24
KR102314302B1 true KR102314302B1 (ko) 2021-10-18

Family

ID=746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60A KR102314302B1 (ko) 2019-08-16 2019-08-16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755A (ja) 2006-08-07 2008-02-28 Oertli-Instrumente Ag 眼科手術用切開装置
KR101446883B1 (ko) * 2013-12-02 2014-10-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과 수술용 포셉
CN106726121A (zh) 2016-12-22 2017-05-3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同仁医院 一种可以单手控制的反向劈核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755A (ja) 2006-08-07 2008-02-28 Oertli-Instrumente Ag 眼科手術用切開装置
KR101446883B1 (ko) * 2013-12-02 2014-10-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과 수술용 포셉
CN106726121A (zh) 2016-12-22 2017-05-3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同仁医院 一种可以单手控制的反向劈核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25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1230A (en) Cataract disassembly
AU657887B2 (en) Sheath structure for a surgical knife
Gimbel Divide and conquer nucleofractis phacoemulsification: development and variations
US7588553B2 (en) Phacoemulsification device having rounded edges
US10898374B2 (en) Cataract posterior/wedge chopper
US11944572B2 (en) Phacoemulsification tip
US4766897A (en) Capsulectomy surgical instrument
US8974480B2 (en) Nucleus chopper and splitter
US5312413A (en) Instrumentation for ophthalmic surger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167618A (en) Capsulotomy forceps
US20040199171A1 (en) Phacoemulsification needle
JP2011520514A (ja) 緑内障手術のための小口径の機械組織切除/吸引プローブ
US20160143779A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Controlled Capsulorhexis For Cataract Surgery
KR20150130308A (ko) 홍채 확장기
US20150320597A1 (en) Lens Nucleus Chopper
US20100010419A1 (en) Phacoemulssification Needle Tips
US20050020990A1 (en) Phacoemulsification needle
Jacob Different methods of chopping in cataract surgery
KR102314302B1 (ko) 수정체 전낭 절개 및 수정체핵 절단 기구
JP2002541878A (ja) 角膜切開術用装置
US11786399B2 (en) Phaco tips with dissociation of the suction and ultrasound functions
RU2599681C2 (ru)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дроб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глазных хирург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снабженное таким наконечником, способ подавления возникновения кавитации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 по удалению катаракты
US20090192440A1 (en) Shaped Phacoemulsification Needle Tips
US10849640B2 (en) Membrane aggregating forceps
JP2009240622A (ja) 超音波乳化吸引術用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